KR0121699Y1 -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699Y1
KR0121699Y1 KR2019930014485U KR930014485U KR0121699Y1 KR 0121699 Y1 KR0121699 Y1 KR 0121699Y1 KR 2019930014485 U KR2019930014485 U KR 2019930014485U KR 930014485 U KR930014485 U KR 930014485U KR 0121699 Y1 KR0121699 Y1 KR 01216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al speed
compressor
shaft
rear head
pul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4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087U (ko
Inventor
문원식
Original Assignee
정몽원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2019930014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699Y1/ko
Publication of KR9500040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0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6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6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1/00Pump parameters
    • F04B2201/12Parameters of driving or driven means
    • F04B2201/1201Rotational speed of the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는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축 단부 및 리어헤드에 걸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대응되는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플레이트와, 상기 펄스 플레이트와 대향하여 근접하도록 상기 리어 헤드에 설치되며 상기 펄스 플레이트로부터 발생하는 펄스의 검출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회전속도 검출기와, 상기 리어 헤드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속도 검출기를 리어헤드에 고정시키기 위한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압축기의 축이 비자성체인 특수함금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펄스 플레이트 및 이에 관련된 검출기를 구비하고 있어, 다른 압축기와 호환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속도 검출 메커니즘이 축의 길이변동 없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진동 및 소음도 적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제1도는 종래 사판 타입 압축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리어헤드의 내부구조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가 채용된 압축기의 리어헤드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리어헤드의 저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가 채용된 압축기에 있어서, 펄스 플레이트 및 회전속도 검출기가 리어헤드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가 채용된 압축기에 있어서, 펄스 플레이트 및 회전속도 검출기가 리어헤드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가 채용된 압축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회전축 2:펄스 플레이트(pulse plate)
4:오링(O-ring) 21:실린더
23:시판 24:피스톤
25:밸브원판 26:박판상 밸브
27:리드 28(40):프런트 헤드(front head)
29(50):리어 헤드(rear head)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축기의 회전축이 비자성체의 특수합금인 경우에도 축의 길이를 변동시킴 없이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증발기 내에서 기화된 열교환 매체를 흡입하는 작용과 흡입된 열교환 매체를 압축하는 작용을 포함하여 압축된 열교환 매체를 펌핑하여 연속적으로 냉매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축에 고정된 사판(斜板)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을 축에 나란히 적용시킨 사판타입, 토출효율이 높고 안정적인 스크롤 타입(scroll type), 밸런스가 좋고 토오크변동이 작은 로터리 타입(rotary rype) 및 측 회전자의 회전을 피스톤 왕복운동으로 바꾼 웨블 플레이트 타입(wobble plate type)등 여러 종류로 분류된다.
첨부된 도면 중의 제1도에는 이러한 압축기중 종래 사판 타입 압축기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를 참조하면, 2개의 분리된 구조체가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실린더(21) 사이에는 이 실린더(21)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축(22)에 사판(23)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21)에는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축에 평행하게 다수개의 피스톤(24)이 삽입설치 된다. 이 피스톤(24)의 중심부에는 소정의 절개부(2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개부(24a)에 사판(23)이 삽입되어 사판(23)의 회전시 상기 복수개의 피스톤(24)이 순차적으로 왕복 직선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21)의 양측에는 흡입공(25a)과 토출공(25b)이 형성된 밸브원판(25)이 설치되고, 이 밸브원판(25)의 양측에는 흡입공(25a)을 개폐하는 박판상의 밸브(26)와 토출공(25b)을 개폐하는 리드(27)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박판상 밸브(26)와 밸브원판(25)이 설치된 실린더(21)의 양측에는 프런트 헤드(front head:28)와 리어 헤드(rear head:29)가 설치되는데, 리어 헤드(29)는 제2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21)와 대향되는 내면에 상기 흡입공(25a)과 토출공(25b)의 경계를 연결하는 격벽(29b)이 형성되고, 이 격벽(29b)에 의해 마련된 내측의 캐비티(29a)는 압축기의 토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외측 캐비티(29c)는 압축기의 흡입구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21)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프런트 헤드(28)와 리어 헤드(29)의 내부 캐비티를 연결하는 제1관통공(21a)과 외부 캐비티를 연결하는 제2관통공(21b)이 각각 다수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22)의 일측 단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풀리와 전자 클러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압축기는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축(22)이 회전하게 되면, 축에 고정된 사판(13)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설치된 피스톤(24)이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밸브원판(25)의 흡입공(25a)으로 흡입된 저온 저압의 매체가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토출공(25b)으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박판상밸브(26)와 리드(27)는 흡입 또는 압축되는 매체에 의해 토출공(25b)과 흡입공(25a)을 개폐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피스톤(24)은 사판(23)에 의해 왕복되면서 압축작용을 하게 되므로 프런트 헤드(28)측과 리어 헤드(29)측에서 각각 흡입 및 압축작용이 동시에 일어나게 되고, 상기 프런트 헤드(28)측에서 압축된 매체는 프런트 헤드(28)와 리어 헤드(29)의 내측 캐비티를 연결하는 실린더(21)의 제1관통공(21a)을 통하여 압축기의 토출구로 토출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압축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즉, 압축기의 사판(23)이나 축(22) 등을 이용하여 회전검출부위를 만들고, 압축기의 하우징에 회전속도 검출기를 장착하여 압축기가 작동시 회전수를 검출하는 방식을 채용했다. 그러나, 여기서 축(22)이 자성체인 경우는 동일재질로 검출부위를 만들어 별 어려움없이 축(22)과 일체화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축(22)이 비자성체의 특수합금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축(22)과 검출부위를 일체화 할 수 없는 난점에 부딪친다. 또한, 검출부위를 만들기 위하여 축(22)의 길이를 길게 하면 고속회전시 진동 및 소음이 증가하고 베어링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축(22)의 길이가 길어짐으로써 다른 양산품과 호환성이 없고, 가공 및 조립 지그(jig)를 각각 별도로 설계,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대두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축이 비자성체인 특수합금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축의 길이를 변동시킴없이 회전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는,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축 단부 및 리어헤드에 걸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대응되는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플레이트와, 상기 펄스 플레이트와 대향하여 근접하도록 상기 리어 헤드에 설치되며 상기 펄스 플레이트로부터 발생하는 펄스의 검출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회전속도 검출기와, 상기 리어 헤드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속도 검출기를 리어헤드에 고정시키기 위한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전술된 제1도를 재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및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가 채용된 압축기의 리어헤드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제3도는 리어 헤드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리어 헤드의 저면도이다.
제3도를 참조하면, 리어 헤드(50)의 대략 중심부에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속도 검출장치의 회전속도 검출기(5)가 설치되는데, 이 회전속도 검출기(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6)에 의해 리어헤드(5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물론 상기 회전속도 검출기(5)를 리어헤드(50)에 설치하기 위해 리어헤드(50)의 중심부에는 소정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관통공(5')(제5도 참조)이 형성된다. 제3도에서 참조부호 50a는 흡입측 캐비티, 50b는 격벽, 그리고 50c는 토출측 캐비티를 각각 나타낸다.
한편, 제5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가 채용된 압축기의 리어 헤드의 측단면도로서, 제5도는 펄스 플레이트 및 회전속도 검출기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측단면도이고, 제6도는 펄스 플레이트 및 회전속도 검출기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측단면도이다.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 리어 헤드(50)의 중심부에는 이 리어 헤드의 몸체를 관통하는 관통공(5')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 관통공(5')은 하나의 동일한 일직선 중심축선에 의한 관통공이 아니라, 각기 다른 중심축선을 가지는 관통공이 리어 헤드(50)의 몸체 내부에서 연접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리어 헤드(50)의 양측면에서 각각 바라본 관통공(5')의 중심축선은 상호 소정 거리 단차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관통공(5')의 일측으로는 회전축(22)에 고정되어 축(22)과 함께 회전운동을 하는 펄스 플레이트(2)가 삽입되고, 관통공(5')의 타측으로는 회전속도 검출기(5)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펄스 플레이트(2)는 주몸체부(2m)와, 그 주몸체부(2m)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22)과의 결합을 위한 볼트형 축결합부(2b)와, 상기 주몸체부(2m)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속도 검출기(5)와 함께 회전속도 검출 메커니즘을 이루는 자성체의 피검출부(2a)로 구성된다. 여기서, 특히 이와 같이 피검출부(2a)가 자성체로 되어 있어 축(22)이 비자성체인 특수합금으로 되어 있는 어떤 압축기에도 채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전속도 검출기(5)에는 이 회전속도 검출기를 관통공(5')에 좀더 견고히 고정시켜주기 위해 오링(4)이 장착된다. 미설명된 부호 2b'는 상기 축결합부(2b)에 대응되는 나사(female)홈이고, 7은 리테이너(6)를 리어 헤드(50)에 고정시키는 볼트이다.
그러면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가 채용된 압축기의 동작을 제1도,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해 보기로 한다.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가 채용된 압축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제7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가 채용된 압축기는 모터회전에 의해(단계 71) 회전축(22)이 회전하게 되면(단계 72), 축(22)에 고정설치된 사판(23)이 회전하여 실린더(21)에 축(2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설치된 피스톤(24)이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밸브원판(25)의 흡입공(25a)으로 압축 매체를 흡입하여 토출공(25b)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압축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일련의 과정과 함께 축(22)의 일단에 고정설치된 펄스 플레이트(2)도 축(22)과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된다(단계 73).
따라서, 이 펄스 플레이트(2)에 마련되어 있는 피검출부(2a)도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운동을 하며, 대향하여 근접설치된 회전속도 검출기(5)에서는 이 회전속도를 검출하여(단계 74), 마이크로 프로세서(CPU)가 내장된 시스템제어부(SC)에서는 미리 설정된 기준치(예컨대, 미끄럼율 40%)와 비교하여, 비교되는 입력치가 기준치 이상이면 모터전원 콘트롤부로 전원스위치 차단의 명령신호를 진송하게 된다(단계 75). 따라서, 모터의 전원공급 스위치는 오프(OFF)되고 모터는 정지된다(단계 76,77). 여기서, 물론 상기비교입력치가 기준치 미만(즉, 미끄럼율 40%미만)일 경우에는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제어부(SC)에서는 모터의 작동을 지속시키는 명령신호를 내려 모터는 계속해서 회전하게 된다. 결국, 이와 같은 펄스 플레이트 구조 및 관련 시스템으로 압축기의 작동상태를 정확히 검출하여 압축기와 연관된 타장치 및 기기의 원활한 작동을 도모하게 되며, 압축기의 고착상태로 인한 타부품이나 장치의 손상 혹은 열화를 방지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는 압축기의 축이 비자성체인 특수합금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펄스 플레이트 및 이에 관련된 검출기를 구비하고 있어, 다른 압축기와 호환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속도 검출 메커니즘이 축의 길이변동없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진동 및 소음도 적은 장점을 가진다.

Claims (2)

  1.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축 단부 및 리어 헤드에 걸쳐 설치되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대응되는 펄스를 발생시키는 펄스 플레이트와, 상기 펄스 플레이트와 대향하여 근접하도록 상기 리어 헤드에 설치되며 상기 펄스 플레이트로부터 발생하는 펄스의 검출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회전속도 검출기와, 상기 리어 헤드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속도 검출기를 리어 헤드에 고정시키기 위한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플레이트는 주몸체부와, 상기 주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과의 결합을 위한 축결합부와, 상기 주몸체부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속도 검출기와 함께 회전속도 검출 메커니즘을 이루는 자성체의 피검출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KR2019930014485U 1993-07-30 1993-07-30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KR01216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485U KR0121699Y1 (ko) 1993-07-30 1993-07-30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485U KR0121699Y1 (ko) 1993-07-30 1993-07-30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087U KR950004087U (ko) 1995-02-17
KR0121699Y1 true KR0121699Y1 (ko) 1998-08-01

Family

ID=19360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4485U KR0121699Y1 (ko) 1993-07-30 1993-07-30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6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087U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72970B1 (en) Refrigerant compressor
JP3301895B2 (ja) 密閉型圧縮機
KR101935805B1 (ko) 흡입체크밸브
US4874295A (en) Slant plate type compressor with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EP0081076B1 (en) A refrigerant compressor with mechanism for adjusting the capacity of the compressor
KR0121699Y1 (ko)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KR100216388B1 (ko) 가변위성기구를 갖는 경사판형 압축기
JP2819917B2 (ja) 往復動型圧縮機
JPH0724630Y2 (ja) 可変容量型揺動板式圧縮機
JP4689964B2 (ja) 往復動式圧縮機の吸入弁アセンブリ
KR102130409B1 (ko) 압축기
US3319878A (en) Refrigerating apparatus
KR20160097633A (ko) 가변 사판식 압축기용 토출체크밸브
KR101096893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압축기
JP2002115657A (ja) 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シリンダ
KR20130027262A (ko) 압축기
US6398519B1 (en) Swash plate compressor including 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piston and an inside surface of a crank chamber
JP2000161217A (ja) 往復動圧縮機
JPH051668Y2 (ko)
KR0139930Y1 (ko)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JP2000161216A (ja) 往復動圧縮機
KR200369040Y1 (ko) 압축기
KR101463259B1 (ko) 압축기
JP2590372Y2 (ja) 斜板式圧縮機
JP2000161219A (ja) 往復動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