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926Y1 - 스피커 유니트 - Google Patents

스피커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926Y1
KR0139926Y1 KR2019940010451U KR19940010451U KR0139926Y1 KR 0139926 Y1 KR0139926 Y1 KR 0139926Y1 KR 2019940010451 U KR2019940010451 U KR 2019940010451U KR 19940010451 U KR19940010451 U KR 19940010451U KR 0139926 Y1 KR0139926 Y1 KR 0139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diaphragm
speaker
damper
speak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0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651U (ko
Inventor
안상영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10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926Y1/ko
Publication of KR9500346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6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9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스피커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진동판의 엣지와 댐퍼가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스피커의 부품수 및 조립작업공수가 증가되며, 진동판의 엣지부분에 충분한 강도를 갖지 못할시 상기 엣지와 관계된 어떤 주파수의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엣지부위에서 불필요한 분할공진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서 진동판의 기본적인 주파수 특성에 영향을 주어 스피커의 토탈 하모닉 디스토션을 나쁘게 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고안은,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동판(18)의 엣지(20)와 댐퍼(26)를 연결부(30)로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스피커의 부품수 및 조립작업공수가 절감되며 진동판(18)의 엣지(20) 부분이 부강되어 상기 엣지(20)와 관계된 어떤 주파수의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엣지(20) 부위에서 불필요한 분할공진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서 스피커의 토탈 하모닉 디스토션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피커 유니트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대한 스피커 유니트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니트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이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그네트 12 : 상부판
14 : 실드 케이스 16 : 프레임
18 : 진동판 20 : 엣지
22 : 보이스 코일 24 : 보빈
26 : 댐퍼 28 : 호형홀
30 : 연결부
이 고안은 스피커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판의 엣지와 댐퍼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진동판의 외주연부가 보강됨에 따른 스피커의 토탈 하모닉 디스토션을 악화시키는 분할공진을 제어할 수 있고 스피커의 부품수 및 조립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스피커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스피커 유니트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으로 된 마그네트(10)의 상단에 원판형의 상부판(12)이 부착되고 상기 마그네트(10)의 하면에는 상부판(12)의 외주면 둘레에 소정간격의 공극이 형성되도록 실드 케이스(14)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실드 케이스(14)의 하면에 부착된 넓은 접시형의 프레임(16)에는 절두추체형으로 된 진동판(18)이 부착되되 상기 진동판(18)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엣지(20) 외측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진동판(18)의 중앙에는 상기 상부판(12)과 실드 케이스(14)사이의 공극에 위치되도록 보이스 코일(22)이 권선된 보빈(24)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동판(18)에는 엣지(20)가 상부로 볼록한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진동판(18)의 중앙하단으로부터 실드 케이스(14)의 상단에 웨이브형의 댐퍼(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피커 유니트는, 상부판(12)과 실드 케이스(14) 사이의 공극에 마그네트(10)로부터 발생되는 직류자속이 쇄교되는 상태에서 보이스 코일(22)에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를 받아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기전력을 받은 보빈(24)의 보이스 코일(22)이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여 상하로 진동을 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이스 코일(22)이 상하로 진동됨에 따라 보빈(24)과 일체화된 진동판(18) 역시 진동되어 소정의 음압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판(18)의 엣지(20)와 댐퍼(26)는 공히 탄성과 댐핑효과를 지니고 있으므로 진동판(18)이 상하로 진동시 진동판(18)의 과도한 진폭을 제어하고 진동판(18)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피커 유니트에 있어서는 진동판(18)의 엣지(20)와 댐퍼(26)가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스피커의 부품수 및 조립작업공수가 증가되며 진동판(18)의 엣지(20) 부분에 충분한 강도를 갖지 못할시 상기 엣지(20)와 관계된 어떤 주파수의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엣지(20)부위에서 불필요한 분할공진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서 진동판(18)의 기본적인 주파수 특성에 영향을 주어 스피커의 토탈 하모닉 디스토션을 나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진동판의 엣지와 댐퍼를 호형홀을 반복적으로 형성함에 의해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부로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진동판의 엣지부분이 보강되어 상기 엣지와 관계된 어떤 주파수의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엣지 부위에서 불필요한 분할공진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서 스피커의 토탈 하모닉 디스토션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스피커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진동판의 엣지와 댐퍼가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스피커의 부품수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서 조립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조립작업공수가 절감되도록 한 스피커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니트의 특징은, 마그네트의 상단에 원판형의 상부판이 부착되고 상기 마그네트의 하면에는 상부판의 외주면 둘레에 소정간격의 공극이 형성되도록 실드 케이스가 부착되며, 상기 실드 케이스의 하면에 부착된 넓은 접시형의 프레임에는 엣지 외측이 부착되고 중앙하단이 웨이브형의 댐퍼로 진동판이 지지되며, 상기 진동판의 중앙에는 상기 상부판과 실드 케이스사이의 공극에 위치되도록 보이스 코일이 권선된 보빈이 연장 형성되어 있는 스피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엣지와 댐퍼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니트를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는 이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니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 원형으로 된 마그네트(10)의 상단에 원형판의 상부판(12)이 부착되고, 상기 마그네트(10)의 하면에는 상부판(12)의 외주면 둘레에 소정간격의 공극이 형성되도록 실드 케이스(14)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실드 케이스(14)의 하면에 부착된 넓은 접시형의 프레임(16)에는 절두추체형으로 된 진동판(18)이 부착되되 상기 진동판(18)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엣지(20) 외측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진동판(18)의 중앙에는 상기 상부판(12)과 실드 케이스(14) 사이의 공극에 위치되도록 보이스 코일(22)이 권선된 보빈(24)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동판(18)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동판(18)의 중앙하단으로부터 실드 케이스(14)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웨이브형의 댐퍼(26)가 형성되고, 상기 진동판(18)과 같은 경사면으로 호형홀(28)을 연속적으로 형성함에 의한 연결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30)의 외주연부에는 엣지(20)가 상부로 볼록한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이 고안의 스피커 유니트는, 상부판(12)과 실드 케이스(14) 사이의 공극에 마그네트(10)의 직류자속이 쇄교되는 상태에서 앰프(도시되지 않았음)로부터 보빈(24)의 보이스 코일(22)에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를 받아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기전력을 받은 보이스 코일(22)이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여 상하로 진동을 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이스 코일(22)이 상하로 진동됨에 따라 보이스 코일(22)과 일체화된 진동판(18) 역시 진동되어 소정의 음압을 일으키게 된다.
여기에서, 강성과 공진 주파수 및 단면형상의 관계를 살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f0= 1/2 π·√s0/ m0
so= E ·IX
단, f0: 공진 주파수
so: 강성
m0: 질량
E : 영률
IX: 단면 2차 모멘트이다.
즉, 단면 2차 모멘트(IX)가 커지면 강성(so)이 커지고 강성이 커지면 공진 주파수 또한 커지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이 고안의 스피커 유니트는 진동판(18)의 엣지(20)와 댐퍼(26)를 다수개의 연결부(30)로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진동판(18)의 엣지(20) 부분이 보강되어 상기 엣지(20)와 관계된 어떤 주파수의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엣지(20) 부위에서 불필요한 분할공진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서 스피커의 토탈 하모닉 디스토션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판(18)의 엣지(20)와 댐퍼(26)가 호형홀(28)을 반복적으로 형성함에 의한 다수개의 연결부(3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스피커의 부품수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서 조립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조립작업공수가 절감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에 따른 시피커 유니트에 의하면, 진동판의 엣지와 댐퍼를 연결부로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스피커의 부품수 및 조립작업공수가 절감되며, 진동판의 엣지부분이 보강되어 상기 엣지와 관계된 어떤 주파수의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엣지 부위에서 불필요한 분할공진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서 스피커의 토탈 하모닉 디스토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마그네트의 상단에 원판형의 상부판이 부착되고, 상기 마그네트의 하면에는 상부판의 외주면 둘레에 소정간격의 공극이 형성되도록 실드 케이스가 부착되며, 상기 실드 케이스의 하면에 부착된 넓은 접시형의 프레임에는 엣지 외측이 부착되고 중앙하단이 웨이브형의 댐퍼로 진동판이 지지되며, 상기 진동판의 중앙에는 상기 상부판과 실드 케이스사이의 공극에 위치되도록 보이스 코일이 권선된 보빈이 연장 형성되어 있는 스피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엣지와 댐퍼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커 유니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와 댐퍼가, 호형홀을 반복적으로 배열시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되어 있는 스피커 유니트.
KR2019940010451U 1994-05-12 1994-05-12 스피커 유니트 KR0139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451U KR0139926Y1 (ko) 1994-05-12 1994-05-12 스피커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451U KR0139926Y1 (ko) 1994-05-12 1994-05-12 스피커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651U KR950034651U (ko) 1995-12-18
KR0139926Y1 true KR0139926Y1 (ko) 1999-05-15

Family

ID=19382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0451U KR0139926Y1 (ko) 1994-05-12 1994-05-12 스피커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9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651U (ko)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5583B1 (en) Speaker
US20100002901A1 (en) Speaker
KR0139926Y1 (ko) 스피커 유니트
JP3271075B2 (ja) スピーカユニット
JP4042732B2 (ja) リング型スピーカー
US20040179711A1 (en) Speaker having a weight ring
JPH08168092A (ja) スピーカー
JP3629777B2 (ja) スピーカ
US6804370B2 (en) Speaker capable to playback in wide frequency range
JPH10126881A (ja) スピーカ
KR970003652Y1 (ko) 고출력용 스피커
JP3747576B2 (ja) スピーカ
JP3725528B2 (ja) 平面スピーカ
JP3823376B2 (ja) スピーカ
KR102500980B1 (ko) 익사이터
KR200203455Y1 (ko) 스피커 장치
JP3201096B2 (ja) ホーンスピーカ
JPH0795687A (ja) スピーカフレーム
KR960002021B1 (ko) 스피커용 진동판
JPH10294986A (ja) スピーカ
JP3651483B2 (ja) スピーカ
KR20230150055A (ko) 하이브리드 마이크로스피커
KR200207890Y1 (ko) 다기능 전자 음향 변환기의 받침 스프링 구조
JPH09200894A (ja) スピーカユニット
KR20220105796A (ko) 박형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