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021B1 - 스피커용 진동판 - Google Patents

스피커용 진동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021B1
KR960002021B1 KR1019930031389A KR930031389A KR960002021B1 KR 960002021 B1 KR960002021 B1 KR 960002021B1 KR 1019930031389 A KR1019930031389 A KR 1019930031389A KR 930031389 A KR930031389 A KR 930031389A KR 960002021 B1 KR960002021 B1 KR 960002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vibration
speaker
edge
voic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1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203A (ko
Inventor
윤홍섭
Original Assignee
금성포스타주식회사
김충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포스타주식회사, 김충지 filed Critical 금성포스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31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021B1/ko
Publication of KR950023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0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207Shape aspects of the outer suspension of loudspeaker diaphrag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피커용 진동판
제1도는 종래 스피커 진동판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스피커의 종단면도.
제3도는 종래 스피커 진동판에 에지가 부착된 상태의 지면도.
제4도는 종래 스피커 진동판의 진동상태로서, (a)는 직경방향 진동형태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 (b)는 축대칭 분할진동형태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 (c)는 원주방향 분할진동형태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 (d)는 타원진동판의 분할진동형태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스피커 진동판에 에지가 부착된 상태의 저면도로서, (a)는 에지 접합부 폭의 일부를 넓게 한 상태도, (b)는 에지 접합부 일부를 중심부 근처까지 접합한 상태도, (c)는 상기 (a), (b)를 복합한 상태도, (d)는 타원형의 진동판에 부착되는 에지의 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 스피커의 종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a)의 상태에 틴셀와이어 및 인출선이 결선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 : 사면 106 : 아이랫드
107 : 인출선 108 : 틴셀와이어
110 : 접합부 111 : 입력단자
본 발명은 스피커용 진동판의 에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피커의 이상진동에 따른 이상 공진음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스피커는 제2도와 같이 요크(1)에 형성된 보이스코일(2)과 상기 보이스코일(2)에 내경부가 접착제로 접착된 사면(3)과 상기 사면(3)의 외경부에 부착된 에지(4)와 상기 에지(4)의 외경부를 프레임(1)에 부착하였다.
상기 진동판은 종이, 수지 또는 수지함침포등 비교적 강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된 사면(3)과, 상기 에지(4)는 천, 고무, 스펀지등 비교적 연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었다.
그리고, 상기 보이스코일(2)이 진동하도록 보이스코일(2)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사면(3)에 아이랫드(5)를 고정시키고 상기 아이랫드(5)를 중계로 하여 보이스코일(2)에서 뽑아낸 인출선(6)과 외부로부터 연결된 틴셀와이어(7)를 납땜 연결하였다.
그리고, 고파워용 스피커에서는 진동판의 무게중심이 아이랫드(5)로 쪽으로 기울기 때문에 아이랫드(5) 고정부의 반대쪽에 진동판의 무게 중심을 잡기 위하여 발란서(8)가 부착되었다.
그리고 도면중 미설명 부호 9는 아이랫드(5) 또는 발란서(8)를 사면(3)에 부착하는 접착제이고, 10은 입력단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스피커는 입력단자(10)와 틴셀와이어(7)를 통하여 들어온 전기음향신호는 사면(3)에 고정된 아이랫드(5)를 중계로 해서 보이스코일(2)에 연결된 인출선(6)을 지나 보이스코일(2)로 흐르게되고 자장내에 있는 보이스코일(2)은 상기 전기음향신호를 받아 상하진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보이스코일(2)이 상하진동함에 따라 상기 보이스코일(2)과 연결된 사면(3)도 상하진동을 하게 되는데 상기 진동을 에지(4)가 흡수하여 소멸시킨다.
이때 진동판에서는 진동판의 무게 중심이 잡혀 있지 않기 때문에 어느 진동수에 이르면 아이랫드(5)쪽과 반대쪽의 진동방향이 반대로 되면서 상하진동이 아닌 이른바 롤링(파도타기)진동이 생기게 된다.
상기 롤링 진동을 스피커 진동판을 왜곡시켜 고유의 진동음이 나오지 못하고 고조파음이 발생하여 음의 정확한 재생을 방해하기도 하고 보이스코일(2)을 좌우로 진동시켜서 스피커의 다른 구조물과 부딪히게 함으로 원하지 않는 소리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와 같은 진동판이 롤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진동판에 발란서(8)를 부착시켜 무게중심을 잡아줌으로써 진동판에서는 롤링진동없이 상하진동이 유지된다.
또한 진동판은 이러한 상하진동 혹은 롤링진동 이외에도 진동 주파수에 따라 제4도의 (c)와 같이 진동판(3)의 원주 방향, 혹은 제4도의 (b)와 같이 직경방향의 분할 진동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진동은 이는 진동판 중심부에 시작한 진동판의 중심이 사면 끝부분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한 진동방향이 사면 끝부분에 다 전달되지 못한 상태에서 다른 진동방향의 진동이 진동판 중심에서 생김으로 인한 진동판 왜곡에 의한 것이다.
여기에서 진동판의 원주 방향 분할진동을 "축 비대칭 분할진동" 직경방향의 분할 진동을 "축 대칭 분할진동"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진동판(3)의 롤링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동판에 발란서(8)를 부착하게 되면 발란서(8)의 위치 및 접착시키는 접착제(9)의 양에 따라 무게중심이 변하기 때문에 엄중한 관리가 필요하여 그 관리 또한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진동판에 발란서(8)를 부착시킬 때 부착되어 있는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접착제 사용이 필요하게 되며 이때 접착제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소, 시간 공정 등이 필요로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진동판의 종류 및 접착제(9)의 종류에 충분한 접착 강도가 얻어지지 않거나 접착제(9)의 용제에 의해 사면이 변형, 혹은 물성이 변하기도 하므로 접착제(9)의 선정에 제한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진동판의 분할진동이 생기는 경우 스피커에 입력된 전기신호가 저 파워일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고 파워인 경우에는 이 분할진동의 진폭이 급격히 커짐에 따라 입력신호와 다른 진동음이 발생하여 원음 재생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사면에 부착된 아이랫드, 인출선 및 틴셀와이어 등에 의하여 진동판의 중심이 기울어 진동판이 진동시 롤링진동되는 것을 에지에 의하여 방지하도록 하는 롤링진동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스피커가 이상 진동으로 인하여 이상 공진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스피커용 진동판을 제5도 내지 제7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요크(101)에 형성된 보이스코일(102)과 상기 보이스코일(103)에 내경부가 접착제로 접착된 사면(103)과, 상기 사면(103)의 외경부에 부착된 에지(104)와, 상기 에지(104)의 외경부를 프레임(105)에 부착하고, 상기 보이스코일(102)이 진동하도록 보이스코일(102)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면(3)에 고정한 아이랫드(106)와 상기 아이랫드(106)를 중계로 하여 보이스코일(102)에서 뽑아낸 인출선(107)과 외부로부터 연결된 틴셀와이어(108)를 사면(103)에 납땜(109) 연결한 것에 있어서, 사면(103)에 부착된 아이랫드(106), 인출선(107) 및 틴셀와이어(108) 등에 의하여 진동판의 중심이 기울어 진동판이 진동시 롤링진동되는 것을 에지(104)에 의하여 방지하도록 하는 롤링진동방지수단을 구비하였다.
상기 롤링진동방지수단은 사면(103)에 아이랫드(106), 인출선(107) 및 틴셀와이이어(108) 등이 부착된 쪽의 에지(104)폭보다 반대쪽의 에지(104)폭을 넓게 한 접합부(110)를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접합부(110)는 에지(104)에 다수개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접합부(110)는 폭은 넓은 것과 좁은 것으로 구성하고 또한 긴것과 짧은 것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접합부(110)는 폭은 넓은 것과 좁은 것끼리 대향지게 구성하고 또한 접합부(110)는 길이가 긴것과 짧은 것이 대향지게 구비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1은 입력단자이다.
틴셀와이어(108)로부터 들어온 전기음향신호가 아이랫드(106) 및 보이스코일(102)의 인출선(107)을 통하여 보이스코일(102)에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보이스코일(102)에 전기음향신호가 흐르게 되면 자기회로의 자장내에 있는 보이스코일(102)이 상하진동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진동을 스피커의 진동판을 움직여 소리를 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진동판이 진동하는 과정에서 종래에는 아이랫드 인출선 및 틴셀와이어 등이 부착됨에 따라 진동판의 무게중심이 편심되어 롤링진동이 일어나게 되었으나, 본 발명 제7도와 같이 사면에 아이랫드, 인출선, 틴셀와이어가 부착된 반대편 에지(104)의 폭을 넓게 하여 접합부(110)를 구비함으로써 접합부(110)가 발란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진동판의 무게 중심이 편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진동판의 무게가 편심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이상진동의 하나인 롤링진동을 억제시키고 정상진동인 피스톤진동을 유지한다.
그리고, 에지(104)에 수개 접합부(110)를 구비함으로써 진동판이 더욱더 안정된 진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5도의 (a)와 같이 진동판의 축비대칭 분할진동, 즉 원주방향 분할진동이 발생하는 부위 에지(104) 접합부(110)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강도가 약한 부분의 보강효과가 있어 분할공진이 억제된다.
그리고, 제5도의 (b), (c)와 같이 에지(104) 접합부(110)의 길이를 중심부까지 연결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진동판의 축대칭 분할진동 즉, 직경방향의 분할공진이 억제된다.
그리고, 제5도의 (d)와 같이 스피커가 타원형인 비원형 진동판에 있어서 단경방향의 양측면에는 접합부의 폭을 넓게하여 접합하고 장경방향으로는 접합부를 진동판의 중심부까지 연결시킴으로써 타원 특유의 분할진동이 억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에지에 형성된 접합부가 종래의 발란서 역할을 하여 진동판이 균형잡힌 피스톤 진동을 하여 음질개선의 효과가 있고, 종래와 같이 별도의 발란서를 부착하지 않기 때문에 접착제 선정의 제약 및 발란서 부착 등으로 인한 공정수로 인한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분할공진을 억제할 수 있음으로써 음질개선 등의 성능향상이 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8)

  1. 사면에 부착된 아이랫드, 인출선 및 틴셀와이어 등에 의하여 진동판의 중심이 기울어 진동판이 진동시 롤링진동되는 것을 에지에 의하여 방지하도록 하는 롤링진동방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스피커용 진동판.
  2. 제1항에 있어서, 롤링진동방지수단은 사면에 아이랫드, 인출선 및 틴셀와이어 등이 부착된 쪽의 에지폭보다 반대쪽의 에지폭을 넓게한 접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진동판.
  3. 제2항에 있어서, 접합부는 에지에 다수개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진동판.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접합부의 폭은 넓은 것과 좁은 것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진동판.
  5. 제2항에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접합부의 길이는 긴것과 짧은 것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진동판.
  6. 제4항에 있어서, 접합부의 폭이 넓은 것과 좁은 것끼리 대향지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진동판.
  7. 제5항에 있어서, 접합부의 길이가 긴것과 짧은 것이 대향지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진동판.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비원형 진동판의 단경방향의 양측면에는 폭이 넓은 접합부를 구성하고, 전동판의 장경방향의 양측면에는 중심부가 연결시킨 접합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용 진동판.
KR1019930031389A 1993-12-30 1993-12-30 스피커용 진동판 KR960002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389A KR960002021B1 (ko) 1993-12-30 1993-12-30 스피커용 진동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389A KR960002021B1 (ko) 1993-12-30 1993-12-30 스피커용 진동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203A KR950023203A (ko) 1995-07-28
KR960002021B1 true KR960002021B1 (ko) 1996-02-09

Family

ID=1937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1389A KR960002021B1 (ko) 1993-12-30 1993-12-30 스피커용 진동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0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203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7894B (zh) 多功能揚聲器
KR101061550B1 (ko) 장방형 서스펜션 및 이를 채용한 스피커 모듈
KR101499514B1 (ko) 장방형의 일체형 투웨이 스피커
JPH0970095A (ja) スピーカ
JPH11168798A (ja) スピーカ装置
US4488012A (en) MFB Loudspeaker
WO1999066764A1 (fr) Haut-parleur
JP2005123779A (ja) スピーカ用振動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
KR960002021B1 (ko) 스피커용 진동판
JP2003032787A (ja) 電気音響変換装置
KR100320245B1 (ko)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
KR100491644B1 (ko) 스피커
JPH10126881A (ja) スピーカ
CN110430512A (zh) 一种降低失真的扬声器
KR20040079709A (ko) 공간효율성 댐퍼를 구비하는 스피커
KR102070111B1 (ko) 스피커
JP3405160B2 (ja) スピーカ用偏心コーン、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偏心コーンを組み込んだ偏心スピーカ
JP2001016685A (ja) スピーカ
JPH0720313B2 (ja) スピ−カ
KR102045267B1 (ko) 슬림형 스피커용 동판 댐퍼
JPS5912700A (ja) 複合型スピ−カ
JP3760826B2 (ja) 電気音響変換器
JPH05137194A (ja) ドーム型スピーカ
KR970003652Y1 (ko) 고출력용 스피커
KR0139926Y1 (ko) 스피커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