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825B1 - 세탁기의 사양기능선택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사양기능선택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825B1
KR0139825B1 KR1019940006094A KR19940006094A KR0139825B1 KR 0139825 B1 KR0139825 B1 KR 0139825B1 KR 1019940006094 A KR1019940006094 A KR 1019940006094A KR 19940006094 A KR19940006094 A KR 19940006094A KR 0139825 B1 KR0139825 B1 KR 0139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function
mode
sett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차희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06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825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각 기능을 지역별, 구매자의 요구에 따라 각 사양기능을 간단용이하게 설정 및 삭제할수 있도록 하여 제어부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사양기능선택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세탁기에 소비자의 사양기능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선택된 사양기능의 설정유무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판단결과에 따라 사양기능을 설정 및 삭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사양기능선택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 세탁기의 사양기능선택제어장치의 제어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 세탁기의 사양기능선택제어방법의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기능선택스위치부 나 : 수위감지부
다 : 마이콤 라 : 급수구동부
마 : 펌프구동부 바 : 세탁모터부
사 : 메모리부 아 : 표시부
본 발명은 세탁기의 사양기능선택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기의 각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대하여 지역별, 구매자의 요구에 따라 각 사양기능을 간단 용이하게 선택하여 설정하고 삭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어부의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사양기능선택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세탁기 제작시, 세탁기의 사용 지역에 따라 그에 맞게 각 사양기능을 미리 설계하여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세탁기의 사용지역이 확대되어 수출지역이 다 변화함에 따라 각 지역별 또는 구매자의 사양 요구도 다양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역별, 구매자의 사양 요구를 모두 수렴하여 각 기능별 기종을 제작하다 보면, 각 기능별 제어부(회로기판)도 다양해지게 된다.
가령 예를들면, 세탁기의 사용지역 및 구매자의 요구에 의하여 온수기능 및 급수헹굼이 필요 없는 경우나, 또한 세탁기에 펌프기능이 필요 없는 경우, 상기 사용지역 및 구매자의 요구에 따라 그에 맞는 기능과 사양으로 각각 제작하게 되는데, 이때 제작시 부주의에 의하여 각 지역별, 각 구매자의 요구사양에 맞는 기능으로 제작되지 않을 경우, 수출에 어려움을 가지게 되는가하면, 제작자의 측면에서도 지역별, 구매자의 요구에 맞게 각 기능 추가 및 삭제로 인한 해당 기능별 부품에 대하여 제어하는 제어부에서도 일일이 추가 및 삭제하여야 하므로, 상기 추가되고 삭제되는 제어부에 대하여 별도로 제작 또는 관리를 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생산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상기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세탁기의 전체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인쇄회로기판)을 공용화하면서 각지역별, 각 구매자의 요구사양에 따라 제어부인 마이콤의 포트를 지정하여 기능별 점퍼선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기능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 있으나, 상기의 경우 각 지역별, 구매자가 요구하는 기능을 간단히 설정 제어할 수 있으나, 이 또한 제어부에 기능별 해당부품을 추가 및 삭제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를 사용지역 및 구매자의 사양기능을 제어부에 간단 용이하게 설정입력하고 삭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탁기 제작시 제어부의 기능별 해당 부품의 추가 나 삭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해소 및 제어부의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기에 구매자의 사양기능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선택된 사양기능에 대하여 설정유무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사양기능을 설정 및 삭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세탁기의 사양기능선택제어장치의 블록도 로서, 세탁운전에 대한 신호 및 각기능을 사양 선택하고 입력할 수 있는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가)와, 상기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가)에서 입력된 운전신호에 의하여 세탁조에 급수되는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나)와, 상기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가)에서 입력되는 각각의 신호를 기설정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하면서 각 구동부를 제어하거나 또는 기능선택신호를 설정 입력이나 삭제하는 마이콤(다)과, 상기 마이콤(다)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하면서 세탁조에 급수하는 급수구동부(라)와, 상기 마이콤(다)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세탁수를 펌핑하는 펌프구동부(마)와, 상기 마이콤(다)의 제어신호에 의하야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세탁하거나 세탁조를 회전시켜 탈수하는 세탁모터부(바)와, 상기 마이콤(다)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역별, 구매자의 요구기능을 기억하는 메모리부(사)와, 상기 마이콤(다)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아)로 구성하여서 된 것 이다.
제2도는 본 발명 세탁기의 사양기능선택제어방법의 플로우차트 로서, 초기화 상태에서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를 통해서 구매자의 사양기능선택신호가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사양기능선택신호입력판단단계(20)와, 상기 사양기능선택신호입력판단단계(20)에서 상기 사양기능선택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기설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사양기능선택신호가 입력되었으면 구매자의 사양 선택기능 중 하나인 급수헹굼모드로 진입하여 표시부를 통해서 급수헹굼모드 진입을 표시하는 급수헹굼모드표시단계(21)와, 상기 급수헹굼모드 표시단계(21)에서 급수헹굼모드로 표시한 상태에서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로부터 급수헹굼 설정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급수헹굼설정판단단계(22)와, 상기 급수헹굼설정판단단계(22)에서 급수헹굼 설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면 0을 입력하여 급수헹굼기능을 삭제하고, 상기 급수헹굼 설정이 필요하게 되면 1을 입력하여 급수헹굼기능을 설정하는 급수헹굼설정단계(23)와, 상기 급수헹굼설정단계(23)에서 급수헹굼을 설정 또는 삭제가 되면, 수온모드로 진입하여 표시부를 통해서 수온모드중 온수모드를 표시하는 수온모드표시단계(24)와, 상기 수온모드표시단계(24)에서 수온모드중 온수급수를 표시한 상태에서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로부터 온수급수설정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온수급수설정판단단계(25)와, 상기 온수급수설정판단단계(25)에서 온수급수 설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면 0을 입력하여 온수급수기능을 삭제하고, 상기 온수급수 설정이 필요하게 되면 1을 입력하여 온구급수기능을 설정하는 온수급수설정단계(26)와, 상기 온수급수설정단계(26)에서 온수급수가 설정 및 삭제된 상태에서 펌프모드로 진입하여 표시부를 통해서 펌프모드중 펌프배수모드를 표시하는 펌프모드표시단계(27)와, 상기 펌프모드 표시단계(27)에서 펌프배수모드를 표시한 상태에서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로부터 펌프배수 설정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펌프배수설정판단단계(28)와, 상기 펌프배수설정판단단계(28)에서 펌프배수 설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면 0을 입력하여 펌프배수기능을 삭제하고, 상기 펌프배수 설정이 필요하게 되면 1을 입력하여 펌프배수기능을 설정하는 펌프배수설정단계(29)와, 상기 펌프배수설정단계(29)에서 펌프배수가 설정 및 삭제된 상태에서, 기타 사양기능모드를 진입하는 기타사양모드진입단계(30)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 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작자는 세탁기의 세트조립제작 전에 세탁기의 전 기능이 저장된 메모리부(사)에 상기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가)를 통해서 제작자는 지역별 또는 구매자의 사양에 따른 기능을 선택하여 마이콤(다)에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콤(다)에서는 제2도의 플로우챠트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양기능선택신호입력판단단계(20)로 가서 상기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가)로부터 사양기능선택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게 되고, 이대 판단결과 사양기능선택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상기 마이콤(다)에서는 기설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고, 반면에서 상기 사양기능선택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마이콤(다)에서는 급수헹굼모드표시 단계(21)로 가서 지역별 또는 구매자의 사양선택기능이 기억된 메모리부(사)를 제어하여 일련의 세탁행정에 대한 기능중에 급수헹굼모드에 대한 신호를 상기 표시부(아)를 통해서 상기 급수헹굼모드 진입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같이 급수헹굼모드를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마이콤(다)에서는 급수헹굼설정판단단계(22)로 가서 상기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가)로부터 급수헹굼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게 되고, 이때 상기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가)로부터 0이 입력되었으면 상기 마이콤(다)에서는 상기 급수헹굼이 필요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부(사)를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부(사)에 기억되어 있는 급수헹굼 기능을 삭제하게 되고, 반면에 상기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가)로부터 1이 입력되었으면 상기 마이콤(다)에서는 급수헹굼기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급수헹굼설정단계(23)로 가서 메모리부(사)를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부(사)에 기억되어 있는 급수헹굼기능을 그대로 설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급수헹굼을 메모리부(사)에서 설정 및 삭제한 상태에서 상기 마이콤(다)에서는 수온모드표시단계(24)로 가서 사양선택기능이 기억된 메모리부(사)를 제어하여 일련의 세탁행정에 대한 수온모드기능중에 온수급수모드에 대한 신호를 상기 표시부(아)를 통해서 상기 온수급수모드 진입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같이 온수급수모드를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마이콤(다)에서는 온수급수설정판단단계(25)로 가서 상기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가)로부터 온수급수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게 되고, 이대 상기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가)로부터 0이 입력되었으면 상기 마이콤(다)에서는 상기 온수급수가 필요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부(사)를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부(사)에 기억되어 있는 온수급수 기능을 삭제하게 되고, 반면에 상기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가)로부터 1이 입력되었으면 상기 마이콤(다)에서는 온수급수기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온수급수설정단계(26)로 가서 메모리부(사)를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부(사)에 기억되어 있는 온수급수기능을 그대로 설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급수헹굼을 메모리부(사)에서 설정 및 삭제한 상태에서 상기 마이콤(다)에서는 펌프모드표시단계(27)로 가서 사양선택기능이 기억된 메모리부(사)를 제어하여 일련의 세탁행정에 대한 펌프모드기능중에 펌프배수모드에 대한 신호를 상기 표시부(아)를 통해서 상기 펌프배수모드 진입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같이 펌프배수모드를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마이콤(다)에서는 펌프배수설정판단단계(28)로 가서 상기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가)로부터 펌프배수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게 되고, 이때 상기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가)로부터 0이 입력되었으면 상기 마이콤(다)에서는 상기 펌프배수가 필요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부(사)를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부(사)에 기억되어 있는 펌프배수기능을 삭제하게 되고, 반면에 상기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가)로부터 1이 입력되었으면 상기 마이콤(다)에서는 펌프배수기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펌프배수설정단계(29)로 가서 메모리부(사)를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부(사)에 기억되어 있는 펌프배수기능을 그대로 설정하게 된다.
이와같이 펌프배수 기능을 설정 및 삭제한 상태에서 상기 마이콤(다)에서는 기타사양모드표시단계(30)로 가서 기타 필요한 사양기능모드에서 대하여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사양기능을 설정 및 삭제하면서 제작자는 지역별, 구매자의 기능요구를 간단 용이하게 충족할수 있게 되는 것 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세탁기의 전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지역별, 구매자의 사양에 따른 전기능이 기억된 메모리부를 구비하여, 지역별, 구매자의 사양요구에 따라 사양기능을 간단 용이하게 설정 및 삭제할수 있게 됨으로써, 제작자는 지역별, 구매자의 사양선택에 따른 별도기능의 제어부를 일일이 제작해야 하는 어려운점 및 각기능에 따른 제어부 관리에 어려운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초기화 상태에서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를 통해서 구매자의 사양기능선택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20)와, 상기 단계(20)에서 상기 사양기능선택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기설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사양기능선택신호가 입력되었으면 구매자의 사양 선택기능 중 하나인 급수헹굼모드로 진입하여 표시부를 통해서 급수헹굼모드 진입을 표시하는 단계(21)와, 상기 단계(21)에서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로부터 급수헹굼설정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22)와, 상기 단계(22)에서 급수헹굼 설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면 0을 입력하여 메모리부에 기억되어 있는 급수헹굼기능을 삭제하고, 상기 급수헹굼 설정이 필요하게 되면 1을 입력하여 메모리부의 급수헹굼기능을 설정하는 단계(23)와, 상기 단계(23)에서 급수헹굼을 설정 또는 삭제되게 되면, 수온모드로 진입하여 표시부를 통해서 수온모드중 온수급수모드를 표시하는 단계(24)와, 상기 단계(24)에서 온수급수를 표시한 상태에서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로부터 온수급수설정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25)와, 상기 단계(25)에서 온수급수 설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면 0을 입력하여 온수급수 기능을 삭제하고, 상기 온수급수 설정이 필요하게 되면 1을 입력하여 온수급수기능을 설정하는 단계(26)와, 상기 단계(26)에서 온수급수가 설정 및 삭제된 상태에서 펌프모드로 진입하여 표시부를 통해서 펌프모드중 펌프배수모드를 표시하는 단계(27)와, 상기 단계(27)에서 펌프배수모드를 표시한 상태에서 운전신호 및 기능선택스위치부로부터 펌프배수 설정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28)와, 상기 단계(28)에서 펌프배수 설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면 0을 입력하여 펌프배수기능을 삭제하고, 상기 펌프배수 설정이 필요하게 되면 1을 입력하여 펌프배수기능을 설정하는 단계(29)와, 상기 단계(29)에서 펌프배수가 설정 및 삭제된 상태에서, 기타 사양기능모드를 진입하는 기타사양모드진입단계(30)에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사양기능 선택제어방법.
KR1019940006094A 1994-03-25 1994-03-25 세탁기의 사양기능선택제어방법 KR0139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094A KR0139825B1 (ko) 1994-03-25 1994-03-25 세탁기의 사양기능선택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094A KR0139825B1 (ko) 1994-03-25 1994-03-25 세탁기의 사양기능선택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9825B1 true KR0139825B1 (ko) 1998-12-15

Family

ID=19379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094A KR0139825B1 (ko) 1994-03-25 1994-03-25 세탁기의 사양기능선택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8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3983A (zh) * 2020-04-02 2021-10-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功能控制方法、装置、洗衣机和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3983A (zh) * 2020-04-02 2021-10-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功能控制方法、装置、洗衣机和介质
CN113493983B (zh) * 2020-04-02 2023-10-13 天津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功能控制方法、装置、洗衣机和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825B1 (ko) 세탁기의 사양기능선택제어방법
CN1440474A (zh) 用于显示洗衣机的警告信息的方法
JPH06238089A (ja) 洗濯機
KR100740832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H05345090A (ja) 電気洗濯機
JP3163194B2 (ja) 洗濯機の運転制御方法
KR100833843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70088B1 (ko) 세탁기의 맞춤코스 추천장치 및 방법
KR100539598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21833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46595B1 (ko)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0134313B1 (ko) 세탁기의 세탁행정 기억방법
KR970001333B1 (ko) 세탁기의 헹굼방법
JPH03114499A (ja) 洗濯機
KR920006360B1 (ko) 세탁기의 급수밸브 구동방법
KR0184387B1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970001336B1 (ko) 세탁기의 오조작 표시방법
KR100789800B1 (ko) 세탁기 및 세탁기를 이용한 개인정보 알림방법
KR0128365B1 (ko) 드라이 및 실크세탁이 적용된 세탁기의 세탁행정 표시 방법
KR20040096147A (ko) 섬유 종류 선택이 가능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H0556151B2 (ko)
JPS635798A (ja) 電気洗濯機のすすぎ制御装置
KR950007081B1 (ko) 전자동 세탁기의 도어 열림 사전경보방법
KR0125599B1 (ko) 세탁기 급수구동부의 이상감지방법
KR100203396B1 (ko) 세탁기의 탈수 알피엠 표시 및 선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