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771Y1 - 자동차 도어용 개폐핸들의 타음 저감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용 개폐핸들의 타음 저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771Y1
KR0139771Y1 KR2019940010983U KR19940010983U KR0139771Y1 KR 0139771 Y1 KR0139771 Y1 KR 0139771Y1 KR 2019940010983 U KR2019940010983 U KR 2019940010983U KR 19940010983 U KR19940010983 U KR 19940010983U KR 0139771 Y1 KR0139771 Y1 KR 0139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handle
corrugated pipe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0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488U (ko
Inventor
최우녕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10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771Y1/ko
Publication of KR9500334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4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7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05B77/38Cushion elements, elastic guiding elements or holding elements, e.g. for cushioning or damping the impact of the bolt against the striker during closing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도어 개폐핸들을 작동할 때 개폐핸들이 하우징에 설치된 고무댐퍼와 부딪치는 타음을 저감함을 도모한 자동차 도어용 개폐핸들의 타임 저감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개폐핸들에 의해 자동차의 도어를 개폐작동시킬 때 개폐핸들의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측에 복원성을 갖도록 형성된 주름관부 등의 가변부재와; 상기 주름관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하우징의 장착공에 억지 끼움되는 체결홈을 형성한 몸체부 등의 고정수단과; 상기 몸체부의 중심을 관통하면서 주름관부가 개폐핸들에 의해 확장 또는 신축시 공기의 배출이 완만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통로 등의 관통수단을 형성한 벨로우즈형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도어용 개폐핸들의 타음 저감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용 개폐핸들의 타음 저감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핸들용 타음 저감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벨로우즈 댐퍼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음 저감구조가 적용된 개폐핸들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
제4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개폐핸들용 타음 저감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댐퍼 20 : 주름관부
21 : 개폐핸들 22 : 플레이트
23 : 통기공 30 : 몸체부
40 : 통로 42,44,45 : 제1,2,3통로
43 : 연장부 411 : 하우징
412 : 장착공 413 : 체결홈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도어 개폐핸들용 타음 저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핸들을 작동할 때 개폐핸들이 하우징에 설치된 고무댐퍼와 부딪치는 타음을 저감하기 위한 자동차 도어용 개폐핸들의 타음 저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제4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개폐핸들용 타음 저감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부호(1)은 개폐핸들을 지칭한다.
상기한 개폐핸들(1)은 도어(2)를 개폐하기 위하여 와측판넬(3)의 소정부위에 형성된 하우징(4)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하우징(4)에는 도어(2)를 열거나 닫을 때 개폐핸들(1)의 손잡이(5)를 외측으로 당기면 프레임(6)은 하우징(4)에 형성된 홈(7)을 타고 회전함과 동시에 개폐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면서 도어가 개폐되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폐핸들(1)의 손잡이(5)를 놓게 되면 개폐핸들(1)은 복원되면서 손잡이(5)의 안쪽에 횡으로 형성된 플레이트(8)가 하우징(4)에 직접 접촉함으로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개 장착된 고무재의 댐퍼(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댐퍼(9)는 개폐핸들(1)에 형성된 플레이트(8)와 접촉하는 선단은 단순한 면 형상을 한 헤드부(10)로 형성되어 있으며, 목부(11)는 하우징(4)에 형성된 구멍(12)에 장착되어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
상기한 본 고안은 개폐핸들이 설치된 하우징에 댐퍼가 장착되어 도어의 개폐 작동시 플레이트가 부딪쳐 발생하는 소음 또는 주행중에 자동차의 흔들림에 의해 개폐핸들이 댐퍼와 불완전한 접촉에 의해 주변에서 소음이 발생하여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도어 개폐핸들을 작동할 때 개폐핸들이 하우징에 설치된 고무댐퍼와 부딪치는 타음을 저감함을 도모한 자동차 도어용 개폐핸들이 타음 저감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개폐핸들에 의해 자동차의 도어를 개폐 작동시킬 때 개폐핸들의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측에 복원성을 갖도록 형성된 주름관부 등의 가변부재와; 상기 주림판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하우징의 장착공에 억지 끼움되는 체결홈을 형성한 몸체부 등의 고정수단과; 상기 몸체부의 중심을 관통하면서 주름관부가 개폐핸들에 의해 확장 또는 신축시 공기의 배출이 완만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통로 등의 관통수단을 형성한 벨로우즈형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도어용 개폐핸들의 타음 저감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주름관부는 개폐핸들의 플레이트에 의해 가압 또는 해제시 접촉 유무에 따라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된 통기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도어용 개폐핸들의 타음 저감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통로는 주름관부 내부와 연통하도록 몸체부에 형성된 제1통로와, 이 제1통로가 형성된 몸체부의 후미 연장부에서 공기의 배출이 완만하도록 분지된 제2,3통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도어용 개폐핸들의 타음 저감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작용]
상기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를 열고 닫거나 할 때 개폐핸들을 잡아 당기게 되는데, 선단에 주름관부를 형성한 댐퍼를 장치함으로서 도어를 닫은 후 개폐핸들의 손잡이를 무심코 놓게 될 때 댐퍼의 주름관부가 확장상태에 있기 때문에 복원되는 개폐핸들의 복원력을 흡수하게 되어 종전 댐퍼와 부딪치는 소음을 흡수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핸들용 타음 저감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벨로우즈 댐퍼를 도시한 측단면도로, 부호(13)은 벨로우즈형 댐퍼를 지칭한다.
상기한 댐퍼(13)는 개폐핸들의 복원시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측에 복원성을 갖도록 형성된 주름관부(20)와, 상기 주름관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하우징의 장착공에 억지 끼움되는 체결홈을 형성한 몸체부(30)와, 상기 몸체부의 중심을 관통하면서 주름관부가 개폐핸들에 의해 확장 또는 신축시 공기의 배출이 완만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통로(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주름관부(20)는 개폐핸들(21)의 플레이트(22)에 의해 가압 또는 해제시 접촉 유무에 따라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된 통기공(23)이 뚫려 있다.
상기한 통로(40)는 주름관부(20) 내부와 연통하도록 몸체부(30)에 형성된 제1통로(42)와, 이 제1통로가 형성된 몸체부의 후미 연장부(43)에서 공기의 배출이 완만하도록 분지된 제2,3통로(44),(45)가 뚫려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몸체부(30)에는 개폐핸들(21)이 설치되는 하우징(411)에 형성된 장착공(412)에 끼우기 위해 체결홈(4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몸체부(30)에 형성된 제2,3통로(44),(45)를 형성함으로서 공기가 양 통로를 통해 서서로 배출되도록 하여 주름관부(20) 내의 공기가 신속히 빠져 나감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주름관부(20)는 개폐핸들(21)이 누르고 있지 않을때는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수지재로 함에 따라 복원성을 좋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도어를 열고 닫을 때 개폐핸들(21)을 외측으로 잡아 당긴후 놓더라도 하우징(411)에 설치된 벨로우즈형 댐퍼(13)에 플레이트(22)가 닿을 때 개폐핸들(21)의 복원력에 의한 압력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한 댐퍼(13)는 도어가 닫혀 있으면 주름관부(20)를 개폐핸들(21)의 플레이트(22)가 누르고 있게 되어 주행중에도 소음의 발생이 저감되게 된다.
상기한 주름관부(20)는 확장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도어가 주행중에 강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소음을 발생하거나 개폐핸들(21)의 플레이트(22)와 종래 댐퍼(13)가 접촉함으로서 발생할 수도 있을 소음은 본 고안에서는 주름관부(20)가 가변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소음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개폐핸들(21)을 당기면 플레이트(22)는 댐퍼(13)의 주름관부(20)는 확장하게 되는데, 확장할 때 선단에 뚫려 형성된 통기공(23)과, 몸체부(30)의 후측인 연장부(43)에 형성된 제2,3통로(44),(45)를 통해 공기는 흡입되어 주름관부(20)내에 충진된 상태가 된다.
상기한 댐퍼(13)의 주름관부(20)가 확장상태에서 도어가 열린 다음 개폐핸들(21)을 놓게 되면 복원력에 의해 개폐핸들(21)은 원위치를 돌아가게 될 때 플레이트(22)는 주름관부(20)를 때리면서 통기공(23)을 막게 된다.
상기한 플레이트(22)가 주름관부(20)를 때릴 때 충격은 주름관부(20)의 통기공(23)을 막음면서 복원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주름관부(20)내의 공기는 순간적으로 압축되고, 이에 개폐핸들(21)의 강한 복원력에 의한 충격은 소음을 내지 않고, 복원압력을 흡수한 상태에서 댐퍼(13)의 몸체부(30) 내부에 형성된 제1통로(42)와, 제2,3통로(44),(45)를 통해 공기는 서서히 배출되게 되어 복원력에 의한 충격은 소멸되게 된다.
상기한 댐퍼(13)의 주름관부(20)내에 충진된 공기가 전부 빠져 나가면 개폐핸들(21)은 정상위치로 소음없이 복귀하게 되며, 도어를 열고 닫음에 있어 상기한 작동을 댐퍼(13)가 반복하여 작동하게 된다.
[고안의 효과]
이러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를 열고 닫을 때 개폐핸들을 놓음으로서 발생하는 소음과, 주행중에 강한 바람등으로 도어가 떨려 발생하는 소음이 벨로우즈형 댐퍼가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소음제거에 효과적이다.
상기한 벨로우즈형 댐퍼는 주행중 개폐핸들의 떨림에 의한 충돌음을 주름관부가 흡수함으로서 소음이 저감되기 때문에 자동차의 고급화에 효과적이다.
상기한 벨로우즈형 댐퍼는 1개만 사용해도 종래의 댐퍼 2개의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단순해지며, 원가절감도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개폐핸들(21)에 의해 자동차의 도어를 개폐작동시킬 때 개폐핸들의 플레이트(22)가 접촉하는 측에 복원성을 갖도록 형성된 주름관부(20) 등의 가변부재와; 상기 주름관부(20)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하우징(411)의 장착공(412)에 억지 끼움되는 체결홈(413)을 형성한 몸체부(30) 등의 고정수단과; 상기 몸체부(30)의 중심을 관통하면서 주름관부(20)가 개폐핸들(21)에 의해 확장 또는 신축시 공기의 배출이 완만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통로(40) 등의 관통수단을 형성한 벨로우즈형 댐퍼(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도어용 개폐핸들의 타음 저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주름관부(20)는 개폐핸들(21)의 플레이트(22)에 의해 가압 또는 해제시 접촉 유무에 따라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된 통기공(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도어용 개폐핸들의 타음 저감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통로(40)는 주름관부(20) 내부와 연통하도록 몸체부(30)에 형성된 제1통로(42)와, 이 제1통로가 형성된 몸체부(30)의 후미 연장부(43)에서 공기의 배출이 완만하도록 분지된 제2,3통로(44),(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도어용 개폐핸들의 타음 저감구조.
KR2019940010983U 1994-05-17 1994-05-17 자동차 도어용 개폐핸들의 타음 저감구조 KR0139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983U KR0139771Y1 (ko) 1994-05-17 1994-05-17 자동차 도어용 개폐핸들의 타음 저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983U KR0139771Y1 (ko) 1994-05-17 1994-05-17 자동차 도어용 개폐핸들의 타음 저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488U KR950033488U (ko) 1995-12-16
KR0139771Y1 true KR0139771Y1 (ko) 1999-04-01

Family

ID=1938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0983U KR0139771Y1 (ko) 1994-05-17 1994-05-17 자동차 도어용 개폐핸들의 타음 저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7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488U (ko) 199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57064Y2 (ja) 収納箱等のダンパ−装置の構造
JP3185838B2 (ja) 車両のドア構造
KR0139771Y1 (ko) 자동차 도어용 개폐핸들의 타음 저감구조
KR20170095658A (ko) 소음 및 진동방지 기능을 갖는 브레이커
KR19990029938U (ko) 자동차 도어 아웃터 사이드 핸들 완충장치
KR100376458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376469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1583635B1 (ko) 수납장치
KR100380373B1 (ko) 자동차 후드의 충격 흡수장치
KR100471477B1 (ko) 자동차용 후드패널의 충격흡수구조
KR100380358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376462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381088B1 (ko) 자동차 후드의 충격 흡수장치
KR100376467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275204B1 (ko) 자동차의 본네트
JP2594630Y2 (ja) グロ−ブボックスリッドのダンパ−の構造
KR0165982B1 (ko) 자동차의 도어 닫힘충격 완화장치
KR100380360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376468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20020044307A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381089B1 (ko) 자동차 후드의 충격 흡수장치
KR20020045999A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376452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9990019860U (ko)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KR200149099Y1 (ko)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