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934B1 - 위성통신 시스템 단말지구국의 역다중화 장치 - Google Patents

위성통신 시스템 단말지구국의 역다중화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934B1
KR0138934B1 KR1019950014968A KR19950014968A KR0138934B1 KR 0138934 B1 KR0138934 B1 KR 0138934B1 KR 1019950014968 A KR1019950014968 A KR 1019950014968A KR 19950014968 A KR19950014968 A KR 19950014968A KR 0138934 B1 KR0138934 B1 KR 0138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ting
demultiplexer
detection
fl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4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438A (ko
Inventor
김원호
안재영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50014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934B1/ko
Publication of KR970004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9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04B7/18517Transmission equipment in earth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지구국의 역다중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지구국들간에 주고받는 부가적인 시그날링 데이타를 송신측 단말국에서 전송한 다중화 프레임으로부터 수신측 단말국이 프레임의 동기신호를 획득하여 트래픽 데이타와 시그날링 데이타를 역다중화하는 단말지구국의 역다중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솜을 검출하는 솜 검출수단(50); 플래그를 검출하는 플래그 검출 수단(40); 주-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와 종-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 및 아퍼츄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수단(10); 솜 동기창 신호, 플랙그 검출창 신호, 트래픽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 및 프레임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주-이벤트 제어 수단(20); 트래픽 데이타 버퍼 읽기 신호와 채널배경 잡음 삽입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종-이벤트 제어 수단(30); 트래픽 데이타를 출력하는 트래픽 데이타 버퍼링 수단(60); 및 시그날링 데이타를 출력하는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링 수단(70)을 구비하여, 이중모드로 실행되고, 부가적인 데이타를 역다중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성통신 시트엠 단말지구국의 역다중화 장치
제1도는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도,
제2도는 음성모드시 플래그의 구성도,
제3도는 데이타모드시 플래그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역다중화 장치의 구성도,
제5도는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의 음성모드시 다중화 프레임의 동기 타이밍을 획득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
제6도는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와 주-이벤트 제어부의 음성모드시 제어 타이밍도,
제7도는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의 데이타모드시 다중화 프레임의 동기 타이밍을 획득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
제8도는 타이밍 및 동기 획득 제어부와 주-이벤트 제어부의 데이타 모드시 제어 타이밍도,
제9도는 주-이벤트 제어부와 종-이벤트 제어부의 음성모드 및 데이타모드시 제어 타이밍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및 동기 획득 제어부의 구성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및 동기 획득 제어부의 상태 천이 로직부의 상태 천이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이벤트 제어부의 구성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벤트 제어부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20: 주-이벤트 제어부
30: 종-이벤트 제어부40: 플래그(FLAG)검출부
50: 솜(SOM)검출부60: 트래픽 데이타 버퍼부
70: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부
본 발명은 위성통신 시스템(DGS-200 : DAMA=SCPC SATELLITE GROUND SYSTEM-200)에서 단말지구국의 역다중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지구국들간에 주고받는 부가적인 시그날링 데이타를 송신측 단말국에서 전송한 다중화 프레임으로부터 수신측 단말국이 프레임의 동기신호를 획득하여 트래픽 데이타와 시그날링 데이타를 역다중화(DEMULTIPLEXING)하는 단말지구국의 역다중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성의 캐리어 할당을 요구 할당 방식으로 단일 채널에 단일 캐리어를 할당하는 종래의 위성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데이타나 연속 디지탈 데이타의 전송시 독립적으로 부가적인 사용자 데이타(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송하기 원하는 디지탈 데이타, 비화 장치의 키워드, 호처리 관련 신호등)를 전송하기 위한 다중화 장치 및 역다중화 장치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즉, 요구 할당 방식으로 위성 통신 회선을 설정, 해제 및 회선 연결 상태의 확인을 위하여 필요한 호 관련 시그날링 데이타와, 위성 통신 회선이 음성모드로 설정되어 운용될 때 음성활성화 검출기에 의해 음성이 검출되어야만 송신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수신측에서 수신 버스트 사이에 배경 잡음을 발생하여 삽입하여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송신측 음성 채널의 배경 잡음 레벨(BACK-GROUND NOISE LEVEL)을 음성 버스트와 함게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기 위해서,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타를 서비스중인 통신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독립적으로 저속의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해서, 트래픽 데이타(음성 또는 연속 디지탈 데이타)와 상기 시그날링 데이타를 송신측 단말국에서 다중화하여 상대방(수신측)단말국으로 전송하게 되는데, 수신측 단말국에서 이 다중화 프레임으로부터 플래그, 트래픽 데이타, 부가적인 시그날링 데이타를 역다중화하기 위한 기준 타이밍인 프레임 동기 타이밍을 획득하여 획득된 프레임 동기 타이밍을 이용하여 플래그, 트래픽 데이타, 시그날링 데이타를 각각 역다중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성 데이타나 연속 디지탈 데이타의 전송시 독립적으로 부가적인 사용자 데이타(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송하기 원하는 디지탈 데이타, 비화 장치의 키워드, 호처리 관련 신호 등)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측 단말국의 다중화 프레임으로부터 동기 타이밍을 획득하여 플래그, 트래픽 데이타, 부가적인 시그날링 데이타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역다중화 장치 입력 클럭에 따라 송신측 단말국으로부터 다중화된 수신 데이타 스트림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럭(4,096KHz)에 다라 솜을 검출하여 솜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아퍼츄어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솜의 오검출 확률을 줄이기 위한 오픈-아퍼츄어모드와 미스검출 확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클로즈드-아퍼츄어모드로 동작하는 솜 검출 수단;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역다중화 장치 입력 클럭에 따랄 상기 수신 데이타 스트림 신호를 수신하여 플래그 검출창 신호에 의하여 플래그를 검출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ㅎ플래그 검출수단;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수신 버스트온 신호에 따라 동작을 시작하여 외부로부터 역다중화 장치 입력 클럭, 역다중화 장치 동작모드를 입력받고, 음성모드시에는 외부로부터 UW-검출신호를 입력받으며, 데이타모드시에는 외부로부터 복조기 반송파 락신호와 채널 디코더 인싱크 신호를 입력받아 솜 동기창 신호와 상기 솜검출 수단의 솜 검출 신호를 논리곱하여 솜이 검출된 시점에 주-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와 종-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솜 검출수단으로 아퍼츄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수단; 상기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수단의 주-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에 의해 계수기를 초기화하며, 음성모드시에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수신 버스트 온 신호와 역다중화 장치 인에이블 신호와 역다중화 장치 동작모드에 의해 계수기를 인에이블 시키고, 데이타모드시에는 역다중화 장치 동작모드와 인가전원에 의해 계수기를 인에이블시켜 역다중화 장치 입력 클럭에 맞춰 계수를 시작하며, 외부로부터 수신 FEC 부호화율에 따라 솜 동기창 신호를 상기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 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플랙그 검출수단과 외부에 플래그 검출창 신호를 출력하며, 트래픽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과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을 출력하고, 프레임 타이밍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주-이벤트 제어수단; 상기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수단의 종-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에 의해 초기화되며, 역다중화 장치 출력 클럭에 따라 계수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PCM 프레임 클럭에 동기시켜 트래픽 데이타 버퍼 읽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플랙그 검출수단으로부터 플래그를 입력받아 채널 배경 잡음 삽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종-이벤트 제어수단; 상기 수신 데이터 스트림 신호를 상기 주-이벤트 제어 수단의 트래픽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에 따라 임시 저장되며, 상기 종-이벤트 제어 수단의 트래픽 데이타 버퍼 읽기 클럭에 따라 트래픽 데이타를 외부로 출력하는 트래픽 데이타 버퍼링 수단; 및 상기 수신 데이타 스트림 신호를 상기 주-이벤트 제어수단의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에 따라 임시 저장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 읽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시그날링 데이타를 외부로 출력하는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위성 통신 시스템(DGS-200)에서 시그날링 데이타가 다중화되어 전송되고, 수신되어 역다중화되는 운용모드는 단말지구국이 음성모드와 데이타 모드로 설정되어 운용될 때 본 발명이 적용되어 수신된 다중화 프레임의 동기 타이밍를 획득하고 이 기준 타이밍을 이용하여 플래그, 트래픽 데이타, 부가적인 시그날링 데이타를 역다중화하며, 음성모드로 운용될 때 음성 데이타는 32kbps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이며, 데이타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는 32 또는 64kbps연속 디지탈 데이타가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수신된다.
제1도는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도로서, 수신된 다중화 프레임의 구성은 프레임의 시작됨을 나타내며 솜검출부에서 검출하여 프레임의 동기를 획득하는 8-비트의 솜(SOM : Start of Message)과, 음성모드, 데이타 모드의 프레임의 데이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2-비트의 플래그(FLAG)와, 음성이나 또는 연속되는 디지탈 데이타의 1260-비트 트래픽 데이타(TRAFFIC DATA)와, 10-비트의 시그날링 데이타(SIGNALLING DATA)로 구성이 되며, 다중화 프레임의 총 길이는 1280-비트이다.
제2도는 음성모드시의 2-비트 플래그의 구성도로서, 음성 데이타, 잡음 레벨, 시그날링 데이타의 유.무를 나타낸다. 플래그 비트가(0, 1)이면 시그날링 데이타만 존재하고, (1, 0)이면 음성 데이타를 (1, 1)이면 음성 데이타와 시그날링 데이타를, (0, 0)이면 음성 데이타와 잡음 레벨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제3도는 데이타모드시 플래그의 구성도로서, 데이타, 시그날링 데이타의 유.무를 나타낸다. (0, 0)이면 데이타, 시그날링 데이타 모두 존재하지 않으며, (0, 1)이면 시그날링 데이타만, (1, 0)이면 데이타만, (1, 1)이면 데이타, 시그날링 데이타가 모두 존재함을 나타낸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역다중화 장치의 구성도로서, 수신된 프레임의 역다중화를 위하여 외부로부터 역다중화 장치 동작 모드, 채널 디코더 인싱크 신호, 복조기 반송파 락 신호, UW-검출신호, 역다중화 장치 입력 클럭, 수신 버스트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고 솜 검출부(50)로부터 솜 검출 신호를 입력받으며 주-이벤트 제어부(20)으로부터 솜 동기창 신호를 입력받아 프레임의 기준 타이밍을 획득하여 주-이벤트 제어부 및 종-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와 아퍼츄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 외부로부터 역다중화 장치 동작모드, 역다중화 장치 입력 클럭, 수신 버스트 온/오프 신호, 수신 FEC부호화율, 역다중화 장치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신호를 입력받고,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의 주-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에 동기되어 플래그 검출창 신호, 솜 동기창 신호, 트래픽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 프레임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주-이벤트 제어부(20),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의 종-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에 의해 초기화되어 외부로부터 역다중화 장치 출력 클럭, PCM프레임 클럭을 입력받고 플래그 검출부(40)로부터 플래그를 입력받아 PCM프레임 클럭에 동기된 트래픽 데이타 버퍼 읽기 클럭을 트래픽 데이타 버퍼부(60)로 출력하고 음성모드로 운용시 사용되는 채널 배경 잡음 삽입 제어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종-이벤트 제어부(30), 외부로부터 다중화된 수신 데이타 스트림, 4,096KHz클럭, 역다중화 장치 입력 클럭을 입력받고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로부터 아퍼츄어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솜을 검출하여 솜 검출 신호를 타이밍 및 동기 획득 제어부(10)로 출력하는 솜검출부(50), 외부로부터 다중화된 수신 데이타 스트림, 역다중화 장치 입력 클럭을 입력받고 주-이벤트 제어부(20)로부터 플래그 검출창 신호를 입력받아 역다중화된 프레임의 플래그를 외부와 종-이벤트 제어부(30)로 출력하는 플래그 검출부(40),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다중화된 수신 데이타 스트림을 주-이벤트 제어부(20)의 트래픽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에 의해 임시로 저장하여 종-이벤트 제어부(30)의 트래픽 데이타 버퍼 읽기 클럭에 의해 트래픽 데이타를 외부로 출력하는 트래픽 데이타 버퍼부(60)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다중화된 수신 데이타 스트림을 주-이벤트 제어부(20)의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에 의해 임시로 저장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 읽기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시그날링 데이타를 외부로 출력하는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부(70)를 구비한다.
그 구체적인 동작을 제5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음성모드로 동작될 때의 상세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다.
주-이벤트 제어부(20)는 외부의 수신 동기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제6도와 같은 수신 버스트 온 신호와 채널 디코더의 역다중화 장치 인에이블 신호, 그리고 역다중화 장치 동작모드를 받아서 1,280계수기를 인에이블시켜 제6도의 a와 같은 첫번재 솜 동기창을 생성하여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에 공급하고, 솜 검출부(50)는 수신 데이타 스트림을 역다중화 장치 입력 클럭에 의해 수신하여 지정된 시간내에 솜을 검출하기 위한 4,096KHz클럭을 입력받아 제1도와 같이 8-비트 솜(SOM)이 검출될 경우 제6도와 같은 솜 검출 신호를 생성하여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에 공급한다.
상기 타이밍 및 동기 획득 제어부(10)는 주-이벤트 제어부(20)의 첫번째 솜동기창 신호와 솜 검출부(50)의 첫번재 솜 검출 신호를 논리곱하고, 외부의 수신 동기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음성모드시의 입력신호 UW-검출신호가 인가되면 제5도와 같은 상태 천이 과정을 통해 동기를 획득하여 첫번째 주-이벤트 제어부와 종-이벤트 제어부의 초기화 신호를 제6도 및 제9도와 같이 발생시켜서 주-이벤트 제어부(20) 및 종-이벤트 제어부(30)의 구동을 시작한다.
구동이 시작된 주-이벤트 제어부(20)및 종-이벤트 제어부(30)에 의해 제9도와 같은 제어 타이밍 신호를 생성시켜서 수신 버스트 오프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적이고 순차적으로 역다중화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는 제5도와 같은 음성모드시의 프레임동기획득 상태 천이도에 의하여 수신된 프레임의 동기신호를 획득하고 이 타이밍을 역다중화를 위한 타이밍 기준으로 이용한다. 동기 획득방법은 제5도와 같이 임의로 지정한 총 6개의 동기획득 상태와 솜 검출부(50)의 솜 검출 상태를 나타내는 1-비트의 플래그를 가지고 다음에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프레임의 동기획득이 이루어진다.
외부의 수신 동기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수신 버스트의 UW-검출 신호가 인가되면 제6상태가 되며, 제6상태에서 제6도의 a로 표시한 주-이벤트 제어부(20)의 첫번재 솜 동기창과 솜 검출부(50)의 솜 검출 신호를 논리곱하여 주-이벤트 제어부(20)에 제6도와 같은 초기화 신호를 제공한다. 주-이벤트 제어부(20)의 첫번째 솜 동기창은 솜 검출부(50)의 오검출(false detection)의 확률을 줄이기 위하여 외부의 수신동기 장치로부터 역다중화 장치가지의 채널 디코더 데이타 쓰루풋(Throughput)지연을 계수하여 정확한 첫번째 솜의 검출 위치에 만들어 제공한다.
주-이벤트 제어부(20)는 수신 FEC부호화율 신호를 입력받아 수신 FEC부호화율이 1/2인 경우, 채널 디코더의 역다중화 장치 인에이블 신호가 입력된 시점부터 192를 계수하고, 3/4인 경우 193을 계수하여 첫번재 솜 동기창을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에 제공한다.
제6상태에서 솜이 검출되어 솜 검출 상태 플래그가 1이면 제6상태를 유지하고, 솜이 검출되지 않아 상태 플래그가 0이면 제5상태로 천이한다. 제5상태에서 솜 검출 상태 플래그가 1이면 제6상태로 천이하고, 0이면 제4상태로 천이한다. 제4상태에서 솜 검출 상태 플래그가 1이면 제5상태로 천이하고 0이면 제1상태로 천이한다. 제1상태에서 솜 검출 상태 플래그가 1이면 제2상태로 천이하고 0이면 제1상태를 유지한다. 제2상태에서 솜 검출 상태 플래그가 1이면 제3상태로 천이하고 0이면 제1상태로 천이한다. 제3상태에서 솜 검출 상태 플래그가 1이면 제4상태로 천이하고, 0이면 제1상태로 천이한다.
제6도는 수신 부호화율이 1/2인 경우에 수신 프레임의 동기 획득을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동작 설명에 따라서 역다중화 장치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와 주-이벤트 제어부(20)의 동작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제6도의 주-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는 제5도에서 설명한 상태 천이도에 따라 타이밍 및 동기 획득 제어부(10)에 의해 제공되는데, 예를들어 , 제6도의 b점의 상태가 동기획득이 완전히 이루어진 제6상태라고 한다면, c점의 상태는 제5상태를, d점의 상태는 제4상태를, e점의 상태는 제1상태를 나타낸다. 각 b, c, d점의 상태에서 솜 검출부(50)에 의해 솜이 검출되지 않아 각각의 상태가 하위 상태로 상태 천이가 되지만 b, c, d점의 상태에서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는 솜 검출부(50)에 아퍼츄어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솜 검출부(50)가 클로즈드-아퍼츄어 모드로 운용되도록 하고 주-이벤트 제어부(20)에 초기화 신호를 프레임 주기로 각각 제공하여 수신되는 프레임의 역다중화를 계속 이 타이밍에 의존하여 수행하도록 한다. 그러나, 제1상태에서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는 솜 검출부(50)에 다시 아퍼츄어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오픈-아퍼츄어 모드로 동작되게 하여 역다중화 장치의 기준 타이밍을 다시 정하는데 이 모드로 제어된 솜 검출부(50)에 의해 제공되는 솜 검출 신호에 따라 기준 타이밍이 재설정되어 주-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가 제6도의 f점과 같이 생성되어 주-이벤트 제어부(20)를 재구동시킨다.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는 위에서 언급한 두가지 모드의 아퍼츄어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솜 검출부(50)의 솜 검출을 제어하는데, 하나는 오픈-아퍼츄어 모드이며 또하나는 클로즈드-아퍼츄어 모드이다. 이 아퍼츄어 제어신호는 제5도의 동기획득 상태에 따라서 제1상태일 때 솜 검출부(50)의 오검출 확률(false detection probabiity)을 줄이기 위한 오픈-아퍼츄어(open aperture)모드와 제2,3,4,5,6상태에서의 미스검출 확률(miss detection probability)을 감소시키기 위한 클로즈드-아퍼츄어(closed aperture)모드 제어 신호를 솜 검출부(50)에 제공한다.
솜 검출부(50)는 8-비트 디지탈 상관기(digital correlator)를 사용하여 아퍼츄어 제어 신호에 따라서 솜 검출 문턱치(threshold)를 조정하여 솜 검출을 수행한다. 오픈-아퍼츄어모드에서의 솜 검출 문턱치 값은 0이고 클로즈드-아퍼츄어 모드에서의 문턱치 값은 1이다.
주-이벤트 제어부(20)의 제어 신호들은 주-이벤트 제어부(20)의 1,280을 계수하는 계수기의 출력을 디코딩하여 만들어진다. 이 제어 신호들은 주-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에 의해 구동이 시작되어 역다중화 장치 입력 클럭의 타이밍에 따라 제9도와 같이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외부의 수신 동기 장치의 수신 버스트 오프 신호와 채널 디코더의 역다중화 장치 디스에이블 신호가 인가될때까지 플래그 검출부(40), 트래픽 데이타 버퍼부(60),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부(70)에 제공되어 수신된 다중화 프레임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실행하게 한다.
종-이벤트 제어부(30)의 제어 신호들은 9를 계수하는 계수기의 출력을 디코딩하여 만들어진다. 이 종-이벤트 제어부(30)의 제어 신호들은 제5도에서 제시된 프레임 동기획득 상태 천이도의 UW-검출 신호에 의해 상태 천이가 시작되는 제6상태와 기준 타이밍이 재설정 되는 제1상태하의 첫번재 주-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가 인가될때마다 재생성되어 제공되며, 외부의 수신동기 장치의 수신 버스트 오프 신호와 채널 디코더의 역다중화 장치 디스에이블 신호가 인가될때까지 트래픽 테이타 버퍼부(60)에 제공되어 역다중화된 트래픽 데이타를 PCM프레임 타이밍에 동기된 역다중화 장치 출력 클럭에 의해 출력시킨다.
이와 같이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에 의해 프레임 동기가 확보되어 주-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가 출력되면, 주-이벤트 제어부(20)는 주-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에 의해 리세트되어 역다중화 장치 입력 클럭에 맞춰 1,280을 계수하기 시작한다. 1∼3을 디코딩하여 2비트의 플래그를 검출하기 위한 플래그 검출창 신호를 플래그 검출부(40)에 제공하고, 3∼1,263을 디코딩하여 역다중화되는 트래픽 데이타를 임시로 저장하여 출력시키는 역다중화 장치 트래픽 데이타 버퍼부(60)에 트래픽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을 제공한다. 그리고, 연이어, 1,263∼1,273을 디코딩하여 역다중화되는 시그날링 데이타를 임시로 저장하여 출력시키는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부(70)에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을 제공하며, 1,278½∼1,279½를 디코딩하여 연속되는 프레임의 솜 동기창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1.080을 디코딩하여 역다중화 장치의 프레임 타이밍을 제공하는데 이 신호는 외부의 수신 동기 장치의 버스트 포스트앰블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창으로 이용된다.
플래그 검출부(40)는 다중화된 수신 데이타 스트림을 역다중화 장치 입력클럭에 의해 입력받아 상기 주-이벤트 제어부(20)의 플래그 검출창 신호에 의해 플래그를 검출하여 종-이벤트 제어부(30) 및 외부의 채널 유니트 프로세서에 출력한다,
또한, 트래픽 데이타 버퍼부(60)와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부(70)는 주-이벤트 제어부(20)의 쓰기 클럭에 의해 트래픽 데이타와 시그날링 데이타를 각각 저장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트래픽 데이타 버퍼부(60)와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부(70)에 임시로 저장된 데이타를 역다중화 장치의 출력 클럭으로 읽기 위한 제어 신호들은 종-이벤트 제어부(30)에 의해 제공된다. 제9도의 타이밍도처럼 주-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가 주어지면 PCM프레임 타이밍에 동기된 종-이벤트 제어부(30)에 초기화 신호가 제공되어 리세트되며 역다중화 장치 출력 클럭에 맞춰 9를 계수한다.
종-이벤트 제어부(30)는 9를 디코딩하여 트래픽 데이타 버퍼부(60)에 임시로 저장된 트래픽 데이타를 PCM프레임 클럭을 입력받아 PCM프레임 타이밍에 동기시켜서 연속적으로 출력시킨다. 또한, 이 타이밍은 플래그 검출부(40)의 2비트 플래그를 입력받아 외부의 수신 배경 잡음 발생기에 의해 삽입되는 채널 배경 잡음 삽입 제어 신호를 제어하는데도 이용된다.
그리고, 역다중화되어 임시로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부(70)에 저장된 10-비트의 시그날링 데이타는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 읽기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프레임 간격으로 외부의 채널 유니트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간다. 이 시그날링 데이타와 함께 제2도와 같은 프레임의 데이타 구성을 나타내는 2-비트의 플래그와 플래그 검출창 신호를 외부의 채널 유니트 프로세서에 제공되어 제2도와 같은 플래그를 이용하여 역다중화되어 전송된 시그날링 데이타가 위성망의 호접속과 관련된 정보인지 수신 배경 잡음을 발생하여 삽입하기 위한 송신측의 잡음 레벨인지를 분류하여 시그날ㄹ링 데이타 버퍼부(70)로부터 데이타를 읽어서 재구성한 다음 외부의 해당되는 유니트로 데이타를 전송한다.
데이타모드로 동작될 대에는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과정만이 상이하기 때문에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약술한다.
주-이벤트 제어부(20)는 역다중화 장치 동작모드 신호와 인가전원 VCC를 입력받아 계수기를 인에이블 시켜 솜 동기창 신호를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에 공급하고, 솜 검출부(50)는 입력된 수신 데이타 스트림으로부터 솜을 검출하여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에 공급하고,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는 외부의 복조기에 의해 제공되는 복조기 반송파 락 신호와 채널디코더의 인싱크 신호를 받아서 주-이벤트 제어부(20)의 솜 동기창 신호와 솜 검출부(50)의 솜 검출 신호를 논리곱하여 제8도의 a와 같은 첫번재 주-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와 제9도에 나타낸 종-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를 주-이벤트 제어부(20) 및 종-이벤트 제어부(30)에 제공하여 구동시킨다.구동이 시작된 주-이벤트 제어부(20)및 종-이벤트 제어부(30)는 제9도와 같은 제어 신호들을 생성시켜서 복조기 반송파가 언락(unlock)또는 채널 디코더의 인싱크 신호가 디스에이블될대까지 반복적이고 순차적으로 역닫중화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는 수신된 다중화 프레임을 역다중화하기 위하여 제7도와 같은 데이타모드시의 프레임 동기획득 상태 천이도에 의하여 수신된 프레임의 동기 신호를 획득하고 이 타이밍을 역다중화를 위한 타이밍 기준으로 이용한다. 동기획득 방법은 제7도와 같이 임의로 지정한 총 6개의 동기획득 상태와 솜 검출부(50)의 솜 검출 상태를 나타내는 1-비트의 플래그를 가지고 다음에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프레임의 동기획득이 이루어진다. 외부로 부터 복조기 반송파 락 신호가 인가되고, 외부의 채널 디코더 인싱크 신호가 인가되면 제1상태에서 부터 상태 천이가 시작된다. 제1상태에서 첫번재의 솜이 검출되면 제2상태로 천이하면서 주-이벤트 제어부(20)에 초기화 신호가 제공된다. 그리고, 제2상태에서 제8도의 b점으로 표시한 첫번재 솜 동기창에 의해 솜이 검출되어 솜 검출 상태 플래그가 1이면 제3상태로 천이하고 0이면 제1상태로 천이한다. 제3상태에서 솜 검출 상태 플래그가 1이면 제4상태로 천이하고 0이면 제1상태로 천이한다. 제4상태에서 솜 검출 상태 플래그가 1이면 제5상태로 천이하고 0이면 제1상태로 천이한다. 제5상태에서 솜 검출 상태 플래그가 1이면 제6상태로 천이하고 0이면 제4상태로 천이한다. 제6상태에서 솜검출 상태 플래그가 1이면 제6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0이면 제5상태로 천이한다.
제8도는 수신 프레임의 동기획득을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동작 설명에 따라서 역다중화 장치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되는 솜 동기창 신호와 주-이벤트 제어부(20)에 제공되어지는 초기화신호를 보여준다. 제8도의 주-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는 제7도에 설명한 상태 천이도에 의해 제어되는데, 예를 들어, 제8도의 c점의 상태가 동기획득이 시작되는 제1상태라고 한다면, d점의 상태는 제2상태를, e점의 상태는 제3상태를, f점의 상태는 제4상태를, g점의 상태는 제5상태를, h점의 상태는 제6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제8도의 i점의 상태가 동기획득이 완전히 이루어진 제6상태라고 한다면, j점의 상태는 제5상태를, k점의 상태는 제4상태를, l점의 상태는 제1상태를 나타낸다. 각 i,j,k점의 상태에서 솜 검출부(50)에 의해 솜이 검추되지 않으면 각각의 상태가 하위 상태로 상태 천이가 되지만 i,j,k점의 상태가 클로즈드-아퍼츄어 모드로 운용되면 주-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가 프레임 주기로 각각 제공되어 수신되는 프레임의 역다중화를 계속 이 타이밍에 의존하여 수행한다.
그러나, 제1상태에서는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가 오픈-아퍼츄어 모드로 동작하여 역다중화 장치의 기준 타이밍을 다시 정하는데 이 모드로 동작되는 솜 검출부(50)에 의해 검출되는 솜 검출 신호에 따라 기준 타이밍에 재설정되어 주-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가 제8도의 m점과 같이 생성되어 주-이벤트 제어부(20)를 재구동시킨다.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는 두가지 모드의 아퍼츄어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솜 검출부(50)의 솜 검출을 제어하는데, 하나는 오픈-아퍼츄어 모드이며 또 하나는 크로즈드-아퍼츄어 모드이다. 이 아퍼츄어 제어신호는 제7도의 동기호기득 상태에 따라서 제1상태일때 솜 검출부(50)의 오검출 확률(false detection probability)을 줄이기 위한 오픈-아퍼츄어(open aperture)모드 제어 신호와 제2, 3, 4, 5, 6상태에서의 미스검출 확률(miss detection probability)을 감소시키기 위한 클로즈드-아퍼츄어(closed aperture)모드 제어 신호를 솜 검출부(50)에 제공한다.
솜 검출부(50)는 아퍼츄어 제어 신호에 따라서 솜 검출 문턱치(threshold)를 조정하여 솜 검출을 수행한다. 오픈-아퍼츄어모드에서의 솜검출 문턱치 값은 0이고 클로즈드-아퍼츄어 모드에서의 문턱치 값은 1이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동기가 확보되어 주-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가 주-벤트 제어부(20)에 제공되면 주-이벤트 제어부(20)는 음성모드시의 동작과 동일하게 1,280을 계수하는 계수기의 출력을 디코딩하여 플래그 검출부(40), 트래픽 데이타 버퍼부(60),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부(70)에 플래그를 검출하기 위한 플래그 검출창 신호, 역다중화 장치 데이타 입력 속도로 쓰기 위한 트래픽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을 제공한다. 그리고, 연속되는 프레임의 솜 동기창 신호를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에 제공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트래픽 데이타 버퍼부(60)와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부(70)에 임시로 저장된 데이타를 역다중화 장치의 출력 클럭으로 읽기 위한 제어 신호들은 종-이벤트 제어부(30)에 의해 제공된다
종-이벤트 제어부(30)는 초기화 신호가 제공되어 리세트되며 9를 계수하여 트래픽 데이타 버퍼부(60)에 임시로 저장된 트래픽 데이타를 PCM프레임 클럭단위로 연속적으로 출력시킨다. 그리고, 역다중화되어 임시로 시그날링데이타 버퍼부(70)에 저장된 10-비트의 시그날링 데이타는 프레임 간격을 외부의 채널 유니트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 간다. 이 시그날링 데이타와 함게 제3도와 같은 프레임의 데이타 구성을 나타내는 2-비트의 플래그를 플래그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어 플래그 검출창 신호와 함께 외부의 채널 유니트 프로세서에 제공된다. 외부의 채널 유니트 프로세서는 제3도와 같은 플래그를 이용하여 역다중화되어 전송된 시그날링 데이타의 유/무를 분석하여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부(70)로부터 시그날링 데이타를 읽어서 재구성한 다음, 외부의 해당되는 유니트로 데이타를 전송한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의 구성도로서, 솜 검출부(50)의 솜 검출 신호와 주-이벤트 제어부(20)의 솜 동기 창 신호를 논리곱하여 상태 천이 제어 로직부(100)에 출력하는 논리곱 게이트(101), 수신 버스트 온/오프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역다중화 장치 입력 클럭, 역다중화장치 동작모드 신호를 입력받고, 음성모드시는 UW-검출신호, 데이타모드시는 채널 디코더 인싱크 신호와 복조기 반송파 락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논리곱 게이트(1010)의 출력과 클럭 신호를 JK플립플롭(102, 103, 104)에 출력하고, 상기 JK플립플롭(102, 103, 104)의 솜검출에 따른 상태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솜 검출부(50)에 아퍼츄어 제어신호, 주-이벤트 제어부(20) 및 종-이벤트 제어부(30)에 초기화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 처닝 제어 로직부(100) 및 상기 상태 천이 제어 로직부(100)로부터 클럭 신호와 솜 검출에 따른 출력값을 입력받아 상기 상태 천이 제어 로직부 (100)에 솜 검출에 따른 상태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3개의 JK플립플롭(102, 103, 104)을 구비한다.
그 구체적인 동작을, 제11도의 상태 천이 로직부의 상태 천이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상태 천이 제어 로직부(100)는 수신 버스트 온 신호에 의해 동작을 시작하여 역다중화 장치 입력 클럭과 역다중화 장치 동작모드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모드시는 UW-검출 신호를 입력받고, 데이타 모드시는 채널 디코더 인싱크 신호와 복조기 반송파 락 신호를 입력받고 솜 검출 신호와 솜동기창 신호를 논리곱한 논리곱 게이트(101)의 출력값을 입력받아 3개의 JK플립플롭을 이용해 제11도와 같은 상태 천이도에 따라 상태 천이를 수행한다. JK플립플롭의 초기상태인 '(0, 0, 0)'의 상태에서 솜이 검출되지 않으면 아퍼츄어 제어신호를 '1'인 오픈 아퍼츄어 모드로 운영하고, 솜이 검출되면 3번째의 JK플립플롭(104)의 입력단 JC를 '1'로 하여 JK플립플롭(102, 103, 104)의 출력 '(0, 0, 1)'을 얻고 클로즈드-아퍼츄어 모드로 운용하고, '(0, 0, 1)'상태에서 다시 솜이 검출되면 2번째 JK플립플롭의 입력 JB를 '1'로 입력하고 2번째 JK플립플롭(104)의 입력 KC를 '1'로 입력하여 JK플립플롭(102, 103, 104)의 출력 '(0, 1, 0)'을 얻고 아퍼츄어 모드는 클로즈드-아퍼츄어 모드로 운용한다. 이와 같은 상태 천이에 의해 주-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와 종-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를 출력하고, 솜 검출부(50)에 아퍼츄어 모드를 출력한다.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이벤트 제어부의 구성도로서, 음성모드시 역다중화 장치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신호와 수신 버스트 온/오프 신호, 그리고 역다중화 장치 동작모드신호를 입력받아 논리곱하는 논리곱 게이트(201), 데이타 모드시 역다중화 장치 동작모드신호와 인가정원(VCC)를 논리곱하는 논리곱 게이트(202), 상기 두개의 논리곱 게이트(201, 202)의 출력값을 논리합하여 계수기 인에이블 신호를 11-비트계수기(204)에 출력하는 논리합 게이트(203), 상기 논리합 게이트(203)의 출력에 인에이블되어 '1,280'을 계수하여 11-비트의 계수값을 디코더 로직부(205)에 출력하고, 주-이벤트 초기화신호에 의해 초기화되어 역다중화 장치 입력 클럭에 따랄 계수하여 11-비트 계수값을 디코더 로직부(205)에 출력하는 11-비트 계수기(204) 및 상기 11-비트 계수기(204)의 출력을 입력받아 초기 상태에는 수신 FEC부호화율에 따라 계수를 달리하여 솜 검출이 이루어지는 정확한 시점에 솜 동기창 신호를 출력하고, 동기가 확보되면 11-비트 계수기(204)의 출력을 입력받아 디코더하여 플래그 검출부(40)에 플래그 검출창 신호,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부(70)에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 트래픽 데이타 버퍼부(60)에 트래픽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 외부에 프레임 타이밍 신호, 타이밍 및 동기 획득 제어부(10)에 연속되는 프레임의 솜 동기창 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더 로직부(205)를 구비한다.
그 구체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음성모드시에는 역다중화 장치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신호와 수신 버스트 온/오프 신호와 역다중화 장치 동작 모드 신호에 의해 11-비트 계수기(204)를 인에이블시키고, 데이타모드시에는 역다중화 장치 동작모드신호와 인가전원(VCC)에 의해 11-비트 계수기(204)를 인에이블 시켜 11비트 출력값을 디코더 로직부(205)에 출력한다.
디코더 로직부(205)는 동기가 확보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솜 검출부(50)의 오검출의 확률을 줄이기 위해 외부의 수신 동기 장치로부터 역다중화장치까지의 채널 디코더 데이타 쓰루풋 지연을 계수하여 정확한 첫번째 솜의 검출위치를 만들어 제공하기 위해 수신 FEC부호화율이 1/2인 경우 11-비트 계수기(204)의 출력이 '192'일때 첫번째 솜 동기창 신호를 출력하고, 3/4인 경우는 출력이 '193'일 때 첫번째 솜 동기창 신호를 출력한다.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부(10)로부터 주-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가 입력되면 11-비트 계수기(204)는 역다중화 장치 입력 클럭의 속도에 맞춰 '1,280'을 계수하여 11비트 계수값을 출력한다.
디코더 로직부(205)는 '1∼3'을 디코딩하여 2비트의 플래그를 검출하기 위한 플래그 검출창 신호, '3∼1,263'을 디코딩하여 트래픽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 '1,263∼1,273'을 디코딩하여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 '1,278½∼1,279½'를 디코딩하여 연속되는 프레임의 솜 동기창 신호를 출력하고, '1,080'을 디코딩하여 역다중화 장치의 프레임 타이밍 신호를 출력한다.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벤트 제어부의 구성도로서, 종-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에 의해 초기화되어 역다중화 장치 출력 클럭의 속도로 '9'를 계수하는 4-비트 계수기(301) 및 상기 4-비트 계수기(301)의 출력을 입력받아 디코딩하여 PCM프레임 클럭에 동기시켜 트래픽 데이타 버퍼 읽기 클럭을 출력하고, 2비트 플래그를 입력받아 채널 배경잡음 삽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더 로직부(302)를 구비한다.
그 구체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종-이벤트 제어부(30)의 4-비트 계수기(301)는 종-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가 입력되면 초기화되어 '9'를 역다중화 자치 출력 클럭의 속도에 맞춰 계수한다.
디코더 로직부(302)는 상기 4-비트 계수기(301)의 '9'를 계수한 출력값을 입력받아 트래픽 데이타 버퍼부(60)에 임시 저장된 트래픽 데이타를 읽기 위한 읽기 클럭을 PCM프레임 클럭을 입력받아 PCM프레임 클럭에 동기시켜 출력하고, 2비트 플래그를 입력받아 역다중화되어 전송된 시그날링 데이타가 위성망의 호접속과 관련된 정보인지 수신 배경 잡음을 발생하여 삽입하기 위한 송신측의 잡음 레벨인지를 제어하기 위한 채널 배경 잡음 삽입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위성 통신 시스템 (DGS-200)의 단말지구국간에 부가적인 저속의 시그날링 데이타를 주고 받기 위한 수신측 단말국간에 있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나의 역다중화 장치에 의해 음성모드와 데이타모드 두가지 모드 중 채널 유니트 동작 모드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하나의 모드로 실행되어 수신된 다중화 프레임을 역다중화하여 역다중화된 플래그, 트래픽 데이타, 시그날링 데이타를 제공한다.
둘째,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32kbps속도의 디지탈 음성 데이타 또는 연속 디지탈 데이타를 수신하면서 동시에 트래픽 데이타와 독립적으로 최대 254bps속도로 부가적인 시그날링 데이타를 역다중화하여 제공한다.
셋째,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64kbps속도의 연속 디지탈 데이타를 수신하면서 동시에 트래픽 데이타와 독립적으로 최대 508kbps 속도로 부가적인 시그날링 데이타를 역다중화하여 제공한다.
넷째, 역다중화 장치가 음성모드로 운용될 때, 수신된 프레임의 동기획득을 위하여 아퍼츄어 제어를 이용한 제5도와 같은 동기획득 상태 천이도에 의해 프레임의 기준 타이밍을 설정한 후, 수신된 다중화 프레임내의 2-비트의 플래그, 1,260-비트의 음성 데이타, 10-비트의 시그날링 데이타를 각각 역다중화하여 제공한다.
다섯째, 역다중화 장치가 데이타 모드로 운용될 때, 수신된 프레임의 동기획득을 위하여 아퍼츄어 제어를 이용한 제7도와 같은 동기획득 상태 천이도에 의해 프레임의 기준 타이밍을 설정한 후, 수신된 다중화 프레임내의 2-비트의 플래그, 1,260- 비트의 연속 디지탈 데이타, 10-비트의 시그날링 데이타를 각각 역다중화하여 제공한다.

Claims (6)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역다중화장치 입력 클럭에 따라 송신측 단말국 으로부터 다중화된 수신 데이타 스트림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럭(4,096KHz)에 따라 솜을 검출하여 솜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아퍼츄어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솜의 오검출 확률을 줄이기 위한 오픈-아퍼츄어모드와 미스검출 확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클로즈드-아퍼츄어 모드로 동작하는 솜 검출 수단(50);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역다중화 장치 입력 클럭에 따라 상기 수신 데이타 스트림 신호를 수신하여 플래그 검출창 신호에 의하여 플래그를 검출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플래그 검출 수단(40);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수신 버스트 온 신호에 따라 동작을 시작하여 외부로부터 역다중화 장치 입력 클럭, 역다중화 장치 동작모드를 입력받고, 음성 모드시에는 외부로부터 UW -검출 신호를 입력받으며, 데이타모드시에는 외부로부터 복조기 반송파 락신호와 채널 디코더 인싱크 신호를 입력받아 솜 동기창 신호와 상기 솜 검출 수단(50)의 솜 검출 신호를 논리곱하여 솜이 검출된 시점에 주 -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와 종-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솜 검출 수단(50)으로 아퍼츄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 수단(10); 상기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수단(10)의 주-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에 의해 계수기를 초기화하며, 음성모드시에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수신 버스트 온 신호와 역다중화 장치 인에이블 신호와 역다중화 장치 동작모드에 의해 계수기를 인에이블 시키고, 데이타모드시에는 역다중화 장치 동작모드와 인가전원에 의해 계수기를 인에이블시켜 역다중화 장치 입력 클럭에 맞춰 계수를 시작하며, 외부로부터 수신 FEC부호화율에 따라 솜 동기창 신호를 상기 타이밍 및 동기 획득 제어 수단(10)에 출력하고, 상기 플래그 검출 수단(40)과 외부에 플래그 검출창 신호를 출력하며, 트래픽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과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을 출력하고, 프레임 타이밍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주-이벤트 제어 수단(20); 상기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수단(10)의 종-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에 의해 초기화되며, 역다중화 장치 출력 클럭에 따라 계수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PCM프레임 클럭에 동기시켜 트래픽 데이타 버퍼 읽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플랙그 검출수단(40)으로부터 플래그를 입력받아 채널 배경 잡음 삽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종-이벤트 제어 수단(30); 상기 수신 데이타 스트림 신호를 상기 주-이벤트 제어 수단(20)의 트래픽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에 따라 임시 저장하며, 상기 종-이벤트 제어 수단(30)의 트랙픽 데이타 버퍼 읽기 클럭에 따라 트래픽 데이타를 외부로 출력하는 트래픽 데이타 버퍼링 수단(60); 및 상기 수신 데이타 스트림 신호를 상기 주-이벤트 제어 수단(20)의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에 따라 임시 저장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 읽기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시그날링 데이아를 외부로 출력하는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링 수단(7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 시스템 단말지구국의 역다중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 수단(10)은 , 상기 솜 검출수단(50)의 솜 검출 신호와 주-이벤트 제어 수단(20)의 솜 동기창 신호를 논리곱하는 논리곱 연산 수단(101); 클럭 신호와 솜 검출에 따른 출력값을 입력받아 솜 검출에 따른 상태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립플롭(102 내지 104);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수신 버스트 온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역다중화 장치 입력 클럭, 역다중화 장치 동작모드를 외부로부터 입력받고, 음성 모드시에는 UW-검출 신호를 입력받으며, 데이타 모드시에는 외부로부터 채널 디코더 인싱크 신호와 복조기 반송파 락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논리곱 연산 수단(101)의 출력과 클럭신호를 상기 플립플롭(102 내지 104)에 각각 출력하고, 상기 각 플립플롭(102 내지 104)의 상태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솜 검출 수단(50)에 아퍼츄어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주-이벤트 제어 수단(20) 및 종-이벤트 제어 수단(30)에 초기화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 천이 제어 수단 (30)에 초기화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 천이 제어 수단(1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 시스템 단말지구국의 역다중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플롭(102 내지 104)은, 3개의 JK플립플롭(102 내지 10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 시스템 단말 지구국의 역다중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이벤트 제어 수단(20)은, 음성모드시에는 역다중화 장치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신호와 수신 버스트 온/오프 신호 그리고 역다중화 장치 동작모드를 입력받고, 데이타 모드시에는 역다중화 장치 동작모드와 인가전원(VCC)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계수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계수기 인에이블 수단(201 내지 203); 상기 계수기 인에이블 수단(201 내지 203)의 출력에 인에이블되며, 주-이벤트 제어부 초기화 신호에 의해 초기화되어 역다중화 장치 입력 클럭의 속도로 계수하여 계수값을 출력하는 계수 수단(204); 및 상기 계수 수단(204)의 출력을 입력받아 초기 상태에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수신FEC 부호화율에 따라 계수를 달리하여 솜 검출이 이루어지지는 시점에 솜 동기창 신호를 상기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 수단(10)으로 출력하고, 동기가 확보되면 상기 계수수단(204)의 출력을 디코딩하여 상기 플래그 검출 수단(40)에 플래그 검출창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링 수단(70)에 시그날링 데이타 버퍼 쓰기 클럭을 출력하고, 상기 트래픽 데이타 버퍼링 수단(60)에 트래픽 데이타 퍼버 쓰기 클럭을 출력하며, 외부에 프레임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딩 수단(20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 시스템 단말지구국의 역다중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기 인에이블 수단(201 내지 203)은, 음성모드시에는 역다중화 장치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신호와 수신 버스트 온/오프 신호 그리고 역다중화 장치 동작모드를 입력받아 논리곱하는 제1논리곱 연산수단(201); 데이타 모드시에는 역다중화 장치 동작모드와 인가전원(VCC)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논리곱하는 제2논리곱 연산수단(202); 및 상기 제1및 제2논리곱 연산 수단(201,202)의 출력값을 논리합하여 계수기 인에이블 신호를 상기 계수 수단(204)으로 출력하는 논리합 연산수단(20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 시스템 단말지구국의 역다중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벤트 제어 수단(30)은, 상기 타이밍 및 동기획득 제어수단(100의 종-이벤트 초기화 신호에 의해 초기화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역다중화 장치 출력 클럭의 속도로 계수하는 계수수단(301); 및 상기 계수 수단(301)의 출력을 입력받아 디코딩하여 외부로부터 PCM프레임 클럭에 동기시켜 상기 트래픽 데이타 버퍼링 수단(60)에 트래픽 데이타 버퍼 읽기 클럭을 출력하고, 상기 플래그 검출 수단(40)으로부터 플래그를 입력받아 채널 배경 잡음 삽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딩 수단(30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 시스템 단말지국의 역다중화 장치.
KR1019950014968A 1995-06-07 1995-06-07 위성통신 시스템 단말지구국의 역다중화 장치 KR0138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4968A KR0138934B1 (ko) 1995-06-07 1995-06-07 위성통신 시스템 단말지구국의 역다중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4968A KR0138934B1 (ko) 1995-06-07 1995-06-07 위성통신 시스템 단말지구국의 역다중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438A KR970004438A (ko) 1997-01-29
KR0138934B1 true KR0138934B1 (ko) 1998-07-01

Family

ID=1941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4968A KR0138934B1 (ko) 1995-06-07 1995-06-07 위성통신 시스템 단말지구국의 역다중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9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438A (ko) 1997-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30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and real-time digitalized voice information over a communications channel
US5754554A (en) Telephone apparatus for multiplexing digital speech samples and data signals using variable rate speech coding
US4229815A (en) Full duplex bit synchronous data rate buffer
KR910003961A (ko) 허위 프레임 싱크에 둔감한 이동 통신 시스템
US4606023A (en) Guard time elimination in a time-division multiplexed, active star-coupled, half-duplex mode, synchronous communications network
JPS6345149B2 (ko)
EP0053623A1 (en) Multiplexing device and method, and receiver using such a method.
US4747096A (en) Combination TASI and ADPCM apparatus
US5123014A (en) Data link with an imbedded channel
US4637016A (en) Frame synchronization circuit for digital transmission system
US5488610A (en) Communication system
KR0138934B1 (ko) 위성통신 시스템 단말지구국의 역다중화 장치
US4105869A (en) Time-division multiplex digital transmission system with intermediate stations adapted to transit insert and extract digital channels
KR860003717A (ko) 암호 디지탈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S5753163A (en) Preventing system for false acquisition of synchronization in start-stop synchronizing transmission system
US5357531A (en) Multiframe channel parity counter
JPH10262040A (ja) データの同期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送信機および受信機
KR100321126B1 (ko) 티원/이원신호의동기클럭정보변환장치
JPH06103872B2 (ja) 多重伝送方式
JPS648941B2 (ko)
JPS6338909B2 (ko)
KR890001847Y1 (ko) 데이터콜렉터 회로
JPH02246431A (ja) 映像・音声多重化方式
JPS5862950A (ja) データ伝送装置
JPH022118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