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475B1 - 슬라이드 테이블이 부착된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테이블이 부착된 액추에이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475B1
KR0138475B1 KR1019940025565A KR19940025565A KR0138475B1 KR 0138475 B1 KR0138475 B1 KR 0138475B1 KR 1019940025565 A KR1019940025565 A KR 1019940025565A KR 19940025565 A KR19940025565 A KR 19940025565A KR 0138475 B1 KR0138475 B1 KR 0138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table
cloud
cylinder body
bow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888A (ko
Inventor
마사유키 호소노
히로시 미야치
도시오 사토
Original Assignee
다카다 요시유키
에스엠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9663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5863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34130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778217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카다 요시유키, 에스엠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다 요시유키
Publication of KR950011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4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14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shoe type bearing body, e.g. a body facing one side of the guide rail or track only
    • F16C29/0621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shoe type bearing body, e.g. a body facing one side of the guide rail or track only for supporting load in essentially two directions, e.g. by multiple points of contact or two rows of rolling elements
    • F16C29/0623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shoe type bearing body, e.g. a body facing one side of the guide rail or track only for supporting load in essentially two directions, e.g. by multiple points of contact or two rows of rolling elements with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44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 B23Q1/5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 B23Q1/58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a single sliding 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3Stationary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2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 B23Q1/40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using ball, roller or whee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33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 F16C29/0669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n assembly of at least three major parts, e.g. an assembly of a top plate with two separate legs attached thereto in the form of bearing shoes
    • F16C29/0671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n assembly of at least three major parts, e.g. an assembly of a top plate with two separate legs attached thereto in the form of bearing shoes with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2/00Apparatus used in shaping articles
    • F16C2322/39General build up of machine tools, e.g. spindles, slides, actuators

Abstract

피스톤로드(34a, b)는 실린더몸체(12)에 형성된 각각의 실린더실(30a, b)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각각의 피스톤(32a, b)에 커플링된다. 피스톤로드는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슬라이드테이블(16)상에 장착된 단부플레이트(36)에 연결된 먼끝부를 가지고 있다. 피스톤로드(34a, b)가 피스톤(32a, b)에 의해 변위될 때, 슬라이드 테이블(16)은 실린더몸체(12)의 축선상으로 또한 변위된다. 슬라이드 테이블(16)이 행정의 끝단부중 어느 하나에 위치될 때, 하중은 슬라이드 테이블(16)상에 지지된 공작물의 하중과 가이드레일(14)을 통하여 실린더몸체(12)로의 실린더 테이블 자체의 하중에 의해 작용된다. 그 결과 슬라이드 테이블(16)은 하중하에서 심하게 굽혀지게 되는 것으로 부터 방지된다. 슬라이드 테이블의 길이는 슬라이드 테이블 변위의 증가에 관계없이 소정된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슬라이드 테이블의 변위가 증가될때에도, 슬라이드 테이블은 굽혀지지 않아 굽힘에 대하여 높은 강성을 유지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테이블이 부착된 액추에이터
본 발명은 선형가이드장치를 통하여 슬라이드 테이블을 부드럽게 변위시키도록 작동가능한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드 테이블이 커플링되어 부착된 액추에이터는 한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공작물을 이송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슬라이드 테이블이 부착된 여러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2-31902호 제 62-185905호에 개시된 바와같이 당해분야에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 2-31902호에 따르면, 피스톤로드는 액추에이터 몸체에 있는 실린더가 이동될 때 변위된다. L 자형 단면을 가진 슬라이드 테이블은 피스톤로드의 먼끝상에서 유지되어 있는 하나의 단부를 갖추고 있으며, 선형가이드장치는 액추에이터 몸체와 슬라이드 테이블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 62-185905호에 따르면, 액추에이터의 대향끝상에 있는 한쌍의 브래킷은 2개의 피스톤로드에 커플링되고, 실린더몸체로서 기능을 하는 슬라이드테이블은 액추에이터 몸체의 상부표면상에 배치된다. 슬라이드 테이블은 브래킷 사이에서 액추에이터 로드를 따라 왕복운동식으로 이동가능하다.
슬라이드 테이블이 부착된 액추에이터는 가이드레일과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변위가능한 슬라이드 테이블 사이에서 구름식으로 이동가능한 보올을 포함하고 있는 선형가이드장치를 가지고 있어 슬라이드 테이블을 부드럽게 변위시킨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부 제 1-63817호는 보올구름홈을 갖춘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의 보올구름홈과 직면하고 있는 보올구름홈과 보올의 관통을 위해 보올구름홈에 평행한 광통구멍을 갖춘 가이드블럭, 반쪽 환형보올 순환통로를 가지고 있고 가이드 블록의 한끝에 이음된 단부, 보올구름홈에 구름식으로 삽입된 복수의 보울, 그리고 보울을 유지하는 라테이너로 구성된 선형가이드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첨부된 도면 중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개된 선형가이드장치를 가이드 블럭(2), 가이드블럭(2)의 단부에 이음된 단부캡(4), 그리고 단부캡(6)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리테이너(6)를 갖추고 있다. 가이드블럭(2), 단부캡(4), 및 리테이너(6)는 보올순환통로(8)를 이음식으로 형성하고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 2-31902호에 개시된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공작물을 지지하는 슬라이드 테이블의 변위가 증가될 때, 슬라이드 테이블의 단부가 피스톤로드의 먼끝부상에 유지되기 때문에, 공작물의 하중과 슬라이드 테이블의 하중에 의해 부과된 하중은 슬라이드 테이블에 작용되어 슬라이드 테이블을 상당히 큰 정도로 굽히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슬라이드 테이블의 편형함은 손상을 입어 고정밀도로 공작물을 위치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부 제 62-185905호에서, 슬라이드 테이블이 실린더몸체로서 기능을 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테이블의 변위가 증가되어야 한다면, 피스톤로드는 길이에 있어서 증가되어야만 하고, 그 결과 슬라이드 테이블은 일이에 있어서 또한 증가되어야만 한다. 결과로서, 단지 제한된 공간만이 슬라이드 테이블의 설치를 위해 적용가능하며, 액추에이터의 단가가 상당히 높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 1-63817호에 개시된 선형가이드장치에 있어서, 보올순환통로(8)는 리테이너(6)와 단부캡(4) 사이에 그리고 슬라이드테이블(2)과 단부캡(4) 사이에 총 4개의 이음부를 담고 있는 아치형의 부분(9)을 포함하고 있다. 이음부가 아치형 부분(9)에 존재해 있기 때문에, 이들이 조립될때 상이한 정밀도로 인하여 층이 발생되기 쉬우며, 이러한 층들이 실제로 도입된다면, 이들은 보올순환통로(8)을 통한 보올의 원만한 구름운동을 방해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 테이블의 변위증가에 관계없이 원하는 길이로 설정될 수 있는 길이를 갖추고 있고, 슬라이드 테이블의 변위가 증가될때에도 굽힘에 대하여 상당히 큰 양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리고 심하게 공기제한없이 설치될 수 있는 슬라이드 테이블을 갖추고 있어,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자체에 형성된 한쌍의 유체입구/출구와 자체에 형성되어 축선상으로 뻗어 있는 오목부를 갖추고 있는 실린더몸체, 실린더몸체상에 장착되고 실린더몸체의 한끝에서 다른 한끝으로 축선상으로 뻗어 있는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기 위하여 가이드레일상에 장착된 슬라이드 테이블, 피스톤의 이동에 반응하여 오목부를 따라 이동하기 위하여 피스톤에 커플링된 피스톤로드, 그리고 슬라이드 테이블의 단부상에 장착되고 피스톤로드의 먼끝부를 유지하고 있는 단부플레이트로 구성된 액추에이터가 제공되어 있다.
실린더몸체는 중앙축선으로부터 한측면으로 변위되고 실린더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랜드를 갖출 수 있으며, 상기 랜드는 슬라이드 테이블의 상부표면과 동일 레벨에 놓여 있는 상부표면을 갖추고 있다.
단지 하나의 피스톤만이 이 오목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변위될 수 있다.
변경적으로, 실린더몸체는 차체에 형성되어 축선방향으로 뻗어 있는 다른 하나의 오목부를 지닐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는 다른 하나의 오목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다른 하나의 피스톤, 다른 하나의 피스톤 이동에 반응하여 다른 하나의 오목부를 따라 이동하기 위해 다른 하나의 피스톤에 커플린된 다른 하나의 피스톤로드, 그리고 다른 하나의 피스톤의 먼끝부를 유지하고 있는 단부플레이트로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올을 슬라이드 테이블을 갖춘 액추에이터에 있는 보올순환통로에서 원만하게 구름시키기 위해 선형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자체의 측표면에 형성된 제 1 보올구름홈과 보올구름홈의 바닥에 형성된 보올리테이너홈을 지닌 가이드레일을 갖춘 액추에이터에 사용될 수 있는 선형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선형가이드장치는 제 1 보올구름홈에 직면하게 슬라이드 테이블의 표면상에 장착되도록 적용되어 있고, 이 선형가이드장치는 제 1 보울구름홈에 직면하도록 적용된 제 1 일자형부위, 제 1 일자형부위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제 2 일자형부위, 그리고 제 1 및 제 2 일자형부위 단부를 상호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아치형부위로 구성된 제 2 보올구름홈을 갖춘 가이드블록; 제 1 아치형부위에 직면하는 제 3 아치형부위, 제 3 아치형부위의 단부에 이음되고 제 2 일자형부위에 직면하는 일자형부위, 그리고 제 3 아치형부위의 대향단부에 이음되고 제 1 일자형부위에 직면하는 보올리테이너 부위로 구성된 제 3 보올구름홈을 갖춘 제 1 커버부재; 제 2 아치형부위에 직면하는 제 4 아치형부위, 제 4 아치형부위의 단부에 이음되고 제 2 일자형부위에 직면하는 일자형부위, 그리고 제 4 아치형부위의 대향단부에 이음되고 제 1 일자형 단부에 직면하는 보올리테이너 부위로 구성된 제 4 보올구름홈을 갖춘 제 2 커버부재; 제 2, 제 3 및 제 4 보올구름홈에 삽입된 복수의 보올; 그리고 가이드블럭을 제 1 치 제 2 커버부재에 일체적으로 커플링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커버부재의 일자형 부위는 서로에 연결된 먼끝부를 갖추고 있으며, 그리고 제 1 및 제 2 커버부재의 보올리테이너 부위는 서로에 연결된 먼 끝부를 갖추고 있다.
가이드블럭은 병렬배관되어 장방형으로된 것과 같이 형상화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일자형부위를 갖추고 있는 가이드블럭몸체, 가이드블럭몸체의 하나의 단부에 이음되고 제 1 아치형 단부를 갖춘 제 1 반원형 블럭몸체, 그리고 가이드 블럭몸체의 대향단부에 이음되고 제 2 아치형단부를 갖춘 제 2 반원형블럭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 작동에 있어서, 압력하에 있는 유체는 유체입구/출구 중 하나를 통하여 실린더몸체 안으로 도입된다.
압력하에서 도입된 유체는 피스톤로드가 오목부내에 그리고 오목부를 따라 변위되도록 피스톤을 지나간다. 피스톤로드의 먼끝부가 슬라이드 테이블상에 장착된 단부플레이트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테이블은 피스톤로드가 변위됨과 동시에 실린더 몸체의 축선상을 또한 변위된다.
슬라이드 테이블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행정의 끝에 도달할 때까지 변위되도록 실린더 몸체상에 장착된 가이드레일에 의해 안내된다. 슬라이드 테이블이 행정의 끝에 위치될 때, 하중은 슬라이드 테이블상에 지지된 공작물의 하중과 가이드레일을 통한 실린더 몸체로의 슬라이드 테이블 하중에 의해 작용된다.
선형가이드장치에서, 보올순환통로는 가이드블럭에 있는 보올구름홈으로만 구성된 내부 주위표면과, 그리고 일자형, 아치형 보올리테이너 부위를 각각 갖춘 제 1 및 제 2 커버부재내에 보올구름베어링으로만 구성된 외부주위표면을 지니고 있다.
제 1 및 제 2 커버부재는 일자형인 보올리테이너 부위와 일자형 부위에서 서로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커버부재의 이음단부가 일자형부위에 있기 때문에, 이들은 상당히 높은 치수정밀도를 갖고 있으면서도 상이한 정밀도를 갖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제 1 및 제 2 커버부재의 이음단부에 있는 층들은 보올이 보올순환통로에서 원만히 구르도록 최소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그리고 장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에 의해서 설명하는 첨부된 도면에 연관하여 취해질 때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테이블을 갖춘 액추에이터(10)는 장방형 실린더몸체(12), 실린더몸체(12)의 상부표면에 일체적으로 이음된 가이드레일(14),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선형으로 왕복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슬라이드 테이블(16), 그리고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슬라이드 테이블(16)을 부드럽게 변위시키기 위해 가이드레일(14)과 슬라이드 테이블(16) 사이에 위치된 복수의 선형가이드장치(100)로 구성된다.
한쌍의 단부블럭(18a, 18b)은 실린더몸체(12)의 상부표면의 각각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이음된다. 각각의 단부블럭(18a, 18b)은 슬라이드 테이블(16)의 세밀한 변위조절을 위하여 한쌍의 조절노브(20a, 20b)를 갖추고 있다.
실린더몸체(12)는 하나의 횡단측표면에 형성된 한 쌍의 압축공기 입구/출구(22a, 22b)와,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센서부착홈(24)을 지니고 있다. 실린더몸체(12)는 소정된 길이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병렬실린더실(30a, 30b)을 또한 지니고 있다.
실린더실(30a, 30b)의 길이방향 축선상의 각각의 연장부상에는 반원형 단면의 한쌍의 병렬오목부(26a, 26b)가 형성되어 있다. 링형상의 시일부재(28a, 28b) (또한 제 3 도 참조)는 오목부(26a, 26b)와 실린더실(30a, 30b) 각각의 사이에 위치된다.
피스톤(32a, 32b)은 화살표(X, Y)가 가르키는 방향으로 변위하기 위해서 실린더실(30a, 30b)에 각각 배치된다. 피스톤(32a, 32b)에는, 슬라이드 테이블(16)의 단부상에 장착된 단부플레이트(36)에 오목부(26a, 26b)에서 커플링되는 먼끝부를 지닌 각각의 피스톤 로드(34a, 34b)가 연결된다. 각각의 피스톤로드(34a, 34b)는 피스톤로드(34a, 34b)상에 끼워맞춤되어 단부플레이트(36)를 이들 사이에서 끼우는 한쌍의 링(38a, 38b)에 의해 단부플레이트(36)에 커플링된다.
링형상의 자석(40a, 40b)은 각각의 피스톤(32a, 32b)에 각각 형성된 환형홈에 끼워맞춤된다. 실린더실(30a, 30b)에 있는 피스톤(32a, 32b)의 위치는 자석(40a, 40b)에 의해 산출된 자장을 검출하도록 센서부착홈(24)에 배치된 센서 (도시되지 않음) 에 의해 검출된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 62-185905호에 개시된 바와같이, 실린더실(30a, 30b)은 연통통로 (도시되지 않음) 에 의해 서로 연통하도록 유지되어 있고, 그리고 피스톤(32a, 32b)의 이동방향에 따라 압축공기입구/ 출구(22a, 22b)중 하나로 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는 동시에 실린더실(30a, 30b) 안으로 도입된다.
가이드레일(14)은 단부블럭(18a, 18b) 사이에서 실린더몸체(12)의 축선을 따라 뻗어있다. 또한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이드레일(14)은 대향측표면에 형성된 각각 V자형 단면의 한쌍의 보올구름홈(42)과, 보올구름홈(42)의 바닥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보올리테이너홈(43)을 갖추고 있다. 가이드레일(14)과 선형가이드장치(100) 사이의 틈은 슬라이드 테이블(16)에서 나사화된 나사(46)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슬라이드 테이블(16)은 C 자형단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이드레일(14)의 각각의 측면상에 2개의 동일형상으로 된 4개의 선형가이드장치(100)는 가이드레일(14)의 대향 측면상에서 슬라이드 테이블(16) 안으로 나사화된 볼트(44) (제 4 도참조) 에 의해 슬라이드 테이블(16)에 장착된다. 한쌍의 이격된 충격완충기(50a, 50b)는 슬라이드 테이블(16)이 실린더몸체(12)상에서의 슬라이드 테이블(16)의 행정의 끝단부중에 단부블럭(18a, 18b) 중 하나와 부딪칠때 발생되는 충격을 감쇠시키기 위해 슬라이드 테이블(16)의 축선상으로 대향한 단부 각각의 상에 장착된다. 슬라이드 테이블(16)과 단부플레이트(36)가 서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선형가이드장치(100)는 가이드블럭(112), 복수의 보올(114), 한쌍의 커버부재(116a, 116b), 한쌍의 스크레이퍼(118a, 118b), 그리고 한쌍의 볼트(120a, 120b)로 구성된다.
장방형으로된 가이드블럭(112)은 장방형 가이드블럭(112)의 주위측표면내에 그리고 주위에 형성된 보올구름홈(122)을 지니고 있다. 보올구름홈(122)은 가이드블럭(112)의 대향한 길이방향측표면 각각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일자형부위(124, 126) (제 6 도 참조)와, 그리고 슬라이드 블럭(16)의 대향한 길이방향 단부에서 제 1 및 제 2 일자형부위(124, 126)의 단부를 횡단식으로 서로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아치형부위(128, 130)로 구성된다. 가이드블럭(112)은 상부에 형성된 나사화된 구멍(132, 133) (제 5 도 및 제 7 도 참조) 을 가지고 있고 볼트의 삽입을 위해 측표면을 횡단한다.
각각의 커버부재(116a, 116b)는 장방형몸체(134), L자형 단면으로된 커버(136), 그리고 리테이너(138)를 가지고 있고, 커버(136)와 리테이너(138)는 몸체(134)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하고 있다. 몸체(134), 커버(136) 및 리테이너(138)는 가이드블럭(112)에 있는 보올구름홈(122)에 직면하는 표면에 형성된 보올구름홈(140)을 지니고 있다.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올구름홈(140)은 가이드블럭(112)에 있는 보올구름홈(122)의 제 2 일자형 부위(126)에 직면하는 일자형부위(142), 보올구름홈(122)의 제 1 및 제 2 아치형부위(128, 130) 각각에 직면하는 한쌍의 아치형부위(144), 그리고 보올구름홈(122)의 제 1 일자형부위(124)에 직면하는 보올리테이너부위(146)로 구성된다.
커버부재(116a)의 리테이너(138)와 커버(136)는 먼끝부상에 각각 배치된 톱니(148a, 150a)를 지니고 있다. 커버부재(116a)의 리테이너(138)와 커버(136)는 먼끝부상에 각각 배치된 오목부(148b, 150b)를 지니고 있다. 몸체(134)는 가이드블럭(112)에서 나사회된 구멍(133)과 정렬되어 형성된 구멍(152)과, 그리고 스크레이퍼를 유지하기 위해 형성된 오목부(154)를 지니고 있다.
각각의 스크레이퍼(118a, 118b)는 자체내에 형성된 한쌍의 구멍(156a, 156b)을 지닌 플레이트(158)와, 그리고 플레이트(158) 상에 장착되고 가이드레일(14)에 있는 보올구름홈 중 하나의 단면에 형상적으로 상보적인 돌출부(159)를 지닌 시일(160) 을 갖추고 있으며, 한쌍의 구멍(156a, 156b)중 어느 하나는 커버부재(116a, 116b)의 하나에 있는 구멍(152)과 정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각각의 선형가이드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보올(114)은 가이드블럭(112)에 있는 보올구름홈(122) 안으로 삽입되고, 커버부재(116a, 116b)는 대향단부로부터 가이드블럭(112) 상에 설치된다. 이와 동시에, 커버부재(116)의 리테이너(138)와 커버(136)의 먼끝부상에 있는 톱니(148a, 150a)는 커버부재(116b)의 홀더(138)와 커버(136)의 먼끝부에 있는 오목부(148b, 150b) 안으로 각각 끼워맞춤되어 이에 의해 커버부재(116a, 116b)를 서로 이음시킨다. 스크레이퍼(118a, 118b)는 커버부재(116a, 116b)에서 오목부(154) 안으로 각각 끼워맞춤된다. 그 후, 볼트(120a)가 스크레이퍼(118a)에 있는 구멍(156b)과 커버부재(116a)에 있는 구멍(152)을 통하여 삽입되어 가이드블럭(112)에 있는 나사화된 구멍(133) 안으로 삽입되면 스크레이퍼(118a), 커버부재(116a) 및 가이드블럭(112)은 서로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유사하게, 스크레이퍼(118a), 커버부재(116a), 및 가이드블럭(112)은 볼트(120b)에 의해 서로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그러므로, 제 6 도 및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블럭(112)에 의해 보올구름홈(122)의 제 2 일자형부위(126)는 커버부재(116a, 116b)의 커버(136)에 의해 덮혀진다. 보올구름홈(122, 140)은 보올순환통로를 이음식으로 연결한다.
슬라이드 테이블(16)을 갖춘 액추에이터(1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되어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입구/출구(22a)를 통하여 공급될때 피스톤(32a, 32b)은 화살표(X)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실린더실(30a, 30b)에서 변위된다 (제 3 도 참조).
피스톤로드(34a, 34b)와 단부플레이트(36)는 또한 이동되어, 이에 의해 동일방향(X)으로 슬라이드 테이블(16)을 변위시킨다. 이와 동시에, 슬라이드 테이블(16)은 가이드레일(14)의 각각의 측상에 2개식 위치되어 있는 4개의 선형가이드장치(100)에 의해 부드럽게 변위된다.
상세하게는 선형가이드장치(100)의 보올구름홈(122)의 제 1 일자형부위(124)에 위치된 보올(114)은 가이드레일(14)에 보올구름홈(42)에서 로터슬라이드 테이블(16)이 부드럽게 변위되도록 한다. 선형가이드장치(100)의 커버부재(116a, 116b)의 리테이너(138)는 보올리테이너홈(43)을 형성하는 표면과 접촉하지 않고 보올리테이너홈(43)에서 변위된다. 스페이서(118a, 118b)의 시일(160)의 돌출부(159)는 가이드레일(14)에 있는 보올리테이너홈(42)에서 맞물려 분진이 선형가이드장치(100)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압축공기가 다른 압축공기 입구/출구(22b)를 통하여 공급될때, 피스톤(32a, 32b)은 화살표(Y) 방향으로 실린더실(30a, 30b)에서 변위되어, 슬라이드 테이블(16)을 Y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슬라이드 테이블(16)은 위치에 관계없이, 즉, 행정의 끝단 위치 중 한쪽에 위치될때에도 가이드레일(14)상에 항상 지지된다. 그러므로, 슬라이드 테이블(16)상에 위치된 공작물의 하중과 슬라이드 테이블(16) 자체의 하중은 가이드레일(14)을 통하여 실린더몸체(12)에 의해 직접 지탱이 된다. 결과로서, 슬라이드 테이블(16)은 심하게 구부러지게 되는 것으로 부터 방지되도록 굽힘에 대하여 큰 강성을 갖고 있다.
피스톤로드(34a, 34b)의 먼끝부는 피스톤로드(34a, 34b)의 변위를 슬라이드 테이블(16)에 전달하기 위해 슬라이드 테이블(16)에 일체적으로 커플링되는 단부 플레이트(36)에 의해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슬라이드 테이블(16)의 변위는 피스톤(32a, 32b)에 의해 제한되어, 슬라이드 테이블(16)의 길이에 관계없이 원하는 변위로 설정될 수 있다.
실린더몸체(12)가 슬라이드 테이블(16)의 변위를 증가시키도록 축선방향으로 연장되어도, 슬라이드 테이블(16)의 길이는 원하는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슬라이드 테이블(16)의 변위가 슬라이드 테이블(16)의 길이에 관계없이 원하는 변위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테이블(16) 자체와 실린더몸체(12)는 슬라이드 테이블(16)의 변위가 증가되어도 크기에서 컴팩트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결과로서, 슬라이드 테이블(16)을 갖춘 액추에이터(10)는 광범위하게 적용하기 위해 심하게 공간 제한없이 비교적 저렴하게 설치되도록, 그리고 상당히 큰 강성을 가지고 크기와 무게를 감소시켜 제조될 수 있다.
선형가이드장치(100) 각각은 보올구름홈(122, 140)이 가이드블럭(112)과 커버부재(116a, 116b)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거의 이음부가 없다. 보올구름홈(122, 140)의 아치형 부위는 보올구름홈(122, 140)의 아치형부위와 일자형부위가 가이드블럭(112)과 커버부재(116a, 116b)에서 서로 인체적으로 이음되어 서로 어울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층이 없다. 커버부재(116a, 116b)는 커버부재(116a)에 있는 오목부(148b, 150b)안으로 각각 끼워맞춤되는 커버부재(116a)의 톱니(148a, 150a)에 의해 서로 확실하게 이음된다.
커버부재(116a, 116b)의 이음단부가 보온구름홈(122, 140)의 일자형 부위상에 있기 때문에 이들은 상당히 큰 치수 정밀도를 갖고 있으면서도 상이한 정밀도를 갖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커버부재(116a, 116b)의 이음단부에 있는 층은 최소화되어 보올(114)이 보올구름홈(122, 140)에서 부드럽게 구르도록 한다.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슬라이드 테이블이 부착된 액추에이터(260)는 제 8 도 및 제 10 도에 도시되어 있다. 액추에이터(260)는 제 2 도에 도시된 액추에이터(10)와 동일하게 작동하므로, 액추에이터(260)의 작동은 아래에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제 2 도 내지 제 7 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제 8 도 내지 제 10 도에 도시된 부품들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고,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액추에이터(10)의 구조세부와 다른 액추에이터(260)의 구조세부만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액추에이터(260)는 실린더몸체(262)의 중앙축선으로 부터 하나의 측쪽으로 변위되고 실린더몸체(262)의 중앙구역으로 부터 하나의 끝단 쪽으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랜드(264)와, 랜드(264)와 일체로 형성되어 랜드(264)에 인접하여 배치된 넓고 편편한 부분(266)으로 구성된 실린더 몸체(262)를 지니고 있다 (제 9 도 참조).
랜드(264)는 센서 (도시되지 않음) 의 부착을 위해 상부표면에 형성된 한쌍의 이격된 슬롯(270a, 270b) (제 8 도 및 제 9 도 참조)을 지니고 있다.
랜드(264)는 자체내에 형성되어 피스톤(32)을 수용하는 원형단면으로된 실린더실(30)을 또한 지니고 있다. 실린더실(30)은 대향끝쪽단으로 각각 위치된 한쌍의 시일(272, 274) (제 10 도 참조) 에 의해 밀폐적으로 밀봉된다. 링형상의 자석(40)은 피스톤(32)상에 끼워맞춤된다.
가이드레일(14)은 편편한 부분(266)의 상부표면상에 장착되고, 슬라이드 테이블(276)은 가이드레일(14)상에 변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면서 선형가이드장치(100)가 이들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위치되어 있다. 단부플레이트(278)는 슬라이드 테이블(274)의 길이방향 단부상에 장착되고, 그리고 피스톤(32)에 연결되고 실린더실(30) 밖으로 돌출한 피스톤로드(34)의 먼끝부에 홀더(280)에 의해 커플링되어 있다 (제 8 도 참조).
제 2 도에 도시된 액추에이터(10)에 있어서, 2개의 피스톤(32a, 32b)은 실린더몸체(12)의 각가의 대향측 쪽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액추에이터(260)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피스톤(32)은 실린더몸체(262)의 한측쪽으로 배치된다. 제 8 도 및 제 10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실린더몸체(262)는 실린더실(30)의 축선연장부상에 형성된 반원형 단면인 하나의 오목부(26)를 지니고 있다.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편평한 부분(266)의 상부표면으로부터 랜드(264)의 상부표면 까지의 높이(A)는 슬라이드 테이블(276)의 두께(B)와 같다. 그러므로, 랜드(264)의 상부표면은 슬라이드 테이블(276)의 상부표면과 동일 레벨에 놓여 있게 된다. 슬라이드 테이블(276)의 상부표면이 실린더몸체(262)의 상부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액추에이터(260) 위로의 공간은 다른 용도로 이용가능하고, 액추에이터(260)는 형상에서 컴팩트하고, 크기에서 작으며, 그리고 무게에 있어서 가볍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가이드장치(300)는 제 11 도 내지 제 13 도 에 도시되어 있다. 제 5 도 내지 제 7 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제 11 도 내지 제 13 도에서 도시된 부품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되고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제 11 도 내지 제 13 도에 도시된 선형가이드장치(300)는 제 5 도 내지 제 7 도에 도시된 선형가이드장치(100)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므로, 선형가이드장치(300)의 작동은 아래에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선형가이드장치(300)는 병렬로 배관되어 장방형으로된 가이드블럭 몸체(304)와 가이드블럭몸체(304)에 커플링된 한쌍의 반원형 블럭몸체(306a, 306b)로 이루어진 가이드블럭(302)을 지니고 있다.
가이드블럭(302)은 주위측표면내에 그리고 주위에 형성된 보올구름홈(122)을 지니고 있다. 보올구름홈(122)은 가이드블럭몸체(304)의 길이방향 측표면에 형성된 제 1 일자형부위(124), 가이드블럭몸체(304) 내에 관통구멍(308)으로서 형성된 제 2 일자형부위(126), 반원형블럭몸체(306a)내에 형성된 제 1 아치형부위(128), 그리고 반원형 블록몸체(306b)내에 형성된 제 2 아치형부위(130)으로 구성된다. 반원형 블럭몸체(306)는 편편한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가이드블럭몸체(304)의 길이방향 단부에 이음된 한쌍의 핀(310a, 31b)을 지니고 있다. 반원형 블럭몸체(306b)는 편편한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가이드블럭몸체(304)의 대향된 길이방향단부에 이음된 한상의 핀(310a, 310b)을 또한 지니고 있다. 상세하게는, 반원형 블럭몸체(306a, 306b)의 핀(310a, 310b)은 가이드블럭몸체(304)의 길이방향 단부에 형성된 각가의 구멍(312a, 312b) 안으로 끼워맞춤되어, 반원형 블럭몸체(306a, 306b)를 가이드블럭몸체(304)에 이음시킨다. 반원형 블록몸체(306a, 306b)가 가이드블럭몸체(304)에 이음될때, 제 1 일자형부위(124), 제 2 일자형부위(126), 및 제 1 및 제 2 아치형부위(128, 130)는 보올구름홈(122)을 이음식으로 형성한다.
가이드블럭(302)이 서로로부터 분리된 반원형 블럭몸체(306a, 306b)와 가이드블럭몸체(304)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이드블럭(302)은 비교적 간단히 제조될 수 있다.
커버부재(314a, 314b)는 제 2 일자형부위(126)가 가이드블럭몸체(304) 내의 관통구멍(308)으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보올구름홈(122)의 일자형부위를 덮기 위하여 돌출한 커버를 갖고 있지 않다. 커버부재(314a, 314b) 각각의 몸체(134)는 아치형부위(144)의 단부로부터 바깥방향으로 돌출한 반원형리지(316)(제 13 도 참조)를 지니고 있고 가이드블럭(302)은 반원형리지(316)를 수용하기 위해 가이드블럭몸체(304)의 길이방향 단부 각각에서 관통구멍(308)의 단부에 형성된 홈(318)(제 12 도 참조)을 지니고 있다.
커버부재(314a, 314b)의 반원형리지(316)가 가이드블럭몸체(304) 내의 홈(318) 안으로 각각 끼워맞춤될때, 제 2 일자형부위(142)로서 기능을 하는 광통구멍(308)은 심한 층을 형성하지 않고 커버부재(314a, 314b)내의 아치형부위(144)에 이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슬라이드 테이블을 갖춘 액추에이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슬라이드 테이블이 행정의 끝단중 어느 하나에 위치될때에도, 슬라이드 테이블이 가이드레일상에 항상 지지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테이블은 굽힘되는 것으로 부터 방지되어 높은 강성을 갖게 된다.
피스톤로드의 먼끝은 피스톤로드의 변위를 슬라이드 테이블에 전달하기 위해 슬라이드테이블상에서 단부플레이트에 의해 유지된다. 그러므로, 슬라이드 테이블의 변위는 피스톤로드의 변위에 의해 제한되어, 슬라이드 테이블의 길이에 관계없이 원하는 변위로 설정될 수 있다. 결과로서, 실린더몸체가 슬라이드 테이블의 변위를 증가시키도록 축선방향으로 연장될때에도, 슬라이드 테이블의 길이는 소정된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슬라이드 테이블의 변위가 슬라이드 테이블의 길이에 관계없이 소정된 변이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테이블 자체와 실린더몸체는 슬라이드 테이블의 변위가 증가될때에도 크기에 있어서 컴팩트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슬라이드 테이블을 갖춘 액추에이터는 광범위한 분야에 이용하기 위해 심한 공간 제한없이 설치되고 높은 강성을 갖으며, 크기와 무게에서 감소되어 상당히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가이드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보올순환통로는 가이드블록에 있는 보올구름홈으로만 구성된 내부주위표면과, 그리고 일자형, 아치형 및 보올리테이너 부위를 각각 지니고 있는 제 1 및 제 2 커버부재에 있는 보올구름홈으로만 구성된 외부주위표면을 갖추고 있다. 제 1 및 제 2 커버부재는 또한 일자형으로된 보올리테이너 부위에 그리고 일자형 부위에서 서로에 연결된다.
제 1 및 제 2 커버부재의 이음단부가 일자형 부위에 있기 때문에, 이들은 비교적 높은 치수 정밀도를 갖고 있으면서도 상이한 정밀도를 갖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제 1 및 제 2 커버부재의 이음단부에 있는 층은 최소화되어, 보올을 보울순환통로에서 부드럽게 구르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설명되었어도, 여러 변경과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벗어남없이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제 1 도는 종래의 선형가이드장치의 횡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슬라이드 테이블이 부착된 액추에이터를 도시한 일부분 파단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선 III-III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제 4 도는 실린더 챔버로 제 2 도에 도시된 슬라이드 테이블이 부착된 액추에이터의 확대 종단면도,
제 5 도는 제 2 도에 도시된 슬라이드 테이블이 부착된 액추에이터의 선형가이드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제 6 도는 제 5 도에 도시된 선형가이드장치의 횡단면도,
제 7 도는 제 5 도에 도시된 선형가이드장치의 종단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슬라이드 테이블이 부착된 액추에이터에 대한 평면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선 IX-IX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제 10 도는 제 8 도의 선 X-X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선형가이드장치의 분해사시도,
제 12 도는 제 11 도에 도시된 선형가이드장치의 횡단면도, 그리고
제 13 도는 제 11 도에 도시된 선형가이드장치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60 : 액추에이터12, 262 : 실린더몸체14 : 가이드레일
16 : 슬라이드 테이블26 : 오목부30 : 실린더실
32 : 피스톤34 : 피스톤로드36 : 단부플레이트
42 : 제 1 보올구름홈43 : 보올리테이너홈100,300 : 선형가이드장치
112 : 가이드블럭114 : 보올116a : 제 1 커버부재
116b : 제 2 커버부재120a, 120b : 고정부재122 : 제 2 보올구름홈
124 : 제 1 일자형부위126 : 제 2 일자형부위
128, 130 : 제 1 및 제 2 아치형부위138 : 보올리테이너부위
142 : 일자형부위144 : 제 3 아치형부위
148a, 148b, 150a, 150b : 먼끝부302 : 가이드블록몸체
306a : 제1반원형블럭몸체306b : 제2반원형블럭몸체
(발명의 배경)

Claims (6)

  1. 실린더 몸체의 전장보다 작은 소정의 길이로 실린더 몸체의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실린더실(30) 및 상기 실린더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공통의 축을 따라 실린더실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오목부(26)를 구비하는 실린더 몸체(12, 262),
    상기 실린더 몸체상에 배설되고, 실린더 몸체의 한 단부에서 다른 단부까지 상기 실린더실 및 상기 오목부를 따라 축성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보올구름홈(42)을 구비하는 하나의 가이드레일(14),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4)상에 장착된 슬라이드테이블(16),
    상기 테이블과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보올구름홈(42)안에 배열된 복수개의 보올(114),
    상기 실린더실(30)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열된 피스톤(32),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오목부(26)를 따라 이동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32)에 커플링된 피스톤로드(34),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테이블(16)의 단부상에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34)의 먼끝부에 커플링되어 있으며, 그 일부가 상기 오목부(26)안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단부플레이트(36)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실 및 상기 오목부는 상기 가이드레일(14)을 길이방향으로 양분하는 평면의 한편에 동일축을 따라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10, 26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몸체(262)는 중앙축선으로부터 하나의 측쪽으로 변위되고 실린더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랜드(264)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랜드는 상기 슬라이드 테이블(16)의 상부표면과 동일 레벨로 놓여 있는 상부표면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260).
  3. 제 2 항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피스톤(32)만이 상기 실린더몸체(262)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26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몸체(12)는 또다른 셋트의 실린더실(30), 오목부(26), 피스톤(32) 및 피스톤로드(34)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다른 피스톤로드의 먼끝부는 상기 단부플레이트(36)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1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4)은 측표면에 형성된 제 1 보올구름홈(42)과 상기 제 1 보올구름홈의 바닥에 형성된 보올리테이너홈(43)을 갖고 있고,
    상기 선형가이드장치(100)는 상기 제 1 보올구름홈(42)에 직면하는 상기 슬라이드 테이블(16)의 표면상에 장착되고,
    상기 선형가이드장치(100)는
    상기 제 1 보올구름홈(42)에 직면하도록 형성된 제 1 일자형부위(124), 상기 제 1 일자형부위에 평행하게 뻗어 있는 제 2 일자형부위(126), 및 상기 제 1 및 제 2 일자형부위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아치형부위(128, 130)로 구성된 제 2 보올구름홈(122)을 가지고 있는 가이드블럭(112),
    상기 제 1 아치형부위(128)에 직면하는 제 3 아치형부위(144), 상기 제 3 아치형부위의 단부에 이음되어 있고 상기 제 2 일자형부위(126)에 직면하는 일자형부위(142), 및 상기 제 3 아치형부위(144)의 대향단부에 이음되고 상기 제 1 일자형부위(124)에 직면하는 보올리테이너부위(138)로 구성된 제 3 보올구름홈을 가지고 있는 제 1 커버부재(116a),
    상기 제 2 아치형부위(130)에 직면하는 제 4 아치형부위(144), 상기 제 4 아치형부위(144)의 단부에 이음되고 상기 제 2 일자형부위(126)에 직면하는 일자형부위(142), 및 상기 제 4 아치형부위(144)의 대향단부에 이음되고 상기 제 1 일자형부위(124)에 직면하는 보올리테이너부위(138)로 구성된 제 4 보올구름홈을 가지고 있는 제 2 커버부재(116b),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보올구름홈으로 구성된 보올통로에 삽입되는 복수의 보올(114),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부재에 상기 가이드블럭을 일체적으로 커플링시키는 고정부재(120a, 120b)를 포함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부재의 상기 일자형 부위는 상호 연결된 먼끝부(148a, 148b)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부재의 상기 보올리테이너 부위는 상호 연결된 먼끝부(150a, 150b)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10, 260)의 선형가이드 장치(10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은
    장방형으로 형상화되어 병렬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일자형부위(124, 126)를 가지고 있는 가이드블럭몸체(302),
    상기 가이드블럭몸체(302)의 하나의 단부에 이음되고 상기 제 1 아치형부위(128)를 가지고 있는 제 1 반원형블럭몸체(306a), 그리고
    상기 가이드블럭몸체(302)의 대향단부에 이음되고 상기 제 2 아치형부위(130)를 가지고 있는 제 2 반원형 블록몸체(306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가이드장치(300).
KR1019940025565A 1993-10-12 1994-10-06 슬라이드 테이블이 부착된 액추에이터 KR0138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012393 1993-10-12
JP93-280123 1993-10-12
JP25457693 1993-10-12
JP93-254576 1993-10-12
JP94-96638 1994-05-10
JP6096638A JPH07158637A (ja) 1993-10-12 1994-05-10 リニアガイド装置
JP94-134130 1994-06-16
JP13413094A JP3778217B2 (ja) 1993-10-12 1994-06-16 スライドテーブル付アクチュエ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888A KR950011888A (ko) 1995-05-16
KR0138475B1 true KR0138475B1 (ko) 1998-06-01

Family

ID=27468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565A KR0138475B1 (ko) 1993-10-12 1994-10-06 슬라이드 테이블이 부착된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653266B1 (ko)
KR (1) KR0138475B1 (ko)
CN (1) CN1048439C (ko)
DE (1) DE69410397T2 (ko)
TW (1) TW32023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94187B (en) * 1997-06-11 2002-07-11 Howa Machinery Ltd A rodless power cylinder
JP2003181729A (ja) * 2001-12-14 2003-07-02 Toshiba Mach Co Ltd 工作機械の送り案内装置
DE102004055306B4 (de) * 2003-11-21 2007-06-14 Smc K.K. Stellglied
DE102004017896A1 (de) * 2004-04-13 2005-11-03 Festo Ag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itnahmeverbindung bei einem Linearantrieb
DE102004050818B4 (de) * 2004-10-19 2006-09-28 Hiwin Technologies Corp. Linearführung mit einem Zylinderrollenmodul
DE102004057714A1 (de) 2004-11-30 2006-06-01 Accuride International Gmbh Linearführungssystem mit Stellelementen
DE102006014943A1 (de) * 2006-03-31 2007-10-04 Schaeffler Kg Linearführung
ES1069639Y (es) * 2009-02-05 2009-07-28 Loxin 2002 Sl Dispositivo de soporte adaptable con posicionamiento relativo indexado
DE202012003909U1 (de) * 2012-04-19 2013-07-25 I-Dimod Gmbh & Co. Kg Laufschuh für ein Läuferelement einer Linearführung und Läuferelement
TWI503489B (zh) * 2012-05-23 2015-10-11 Chieftech Prec Co Ltd 線性滑軌之循環裝置及其半中間條
JP6651412B2 (ja) * 2016-05-25 2020-02-19 Thk株式会社 転がり案内装置
JP6850214B2 (ja) 2016-08-08 2021-03-31 Thk株式会社 移動体保持具及び移動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581A (en) * 1890-10-28 Ointment
US3439581A (en) * 1966-08-15 1969-04-22 Res Designing Services Inc Slid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20231U (en) 1997-11-11
CN1048439C (zh) 2000-01-19
KR950011888A (ko) 1995-05-16
CN1105109A (zh) 1995-07-12
EP0653266A2 (en) 1995-05-17
DE69410397D1 (de) 1998-06-25
EP0653266A3 (en) 1995-09-06
DE69410397T2 (de) 1999-01-21
EP0653266B1 (en) 199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475B1 (ko) 슬라이드 테이블이 부착된 액추에이터
KR0180961B1 (ko) 선형 액츄에이터
EP0704275B1 (en) Linear actuator
KR100416396B1 (ko) 선형 액츄에이터
JPH0419214Y2 (ko)
US7520191B2 (en) Actuator
KR950003067B1 (ko) 직선미끄럼베어링 및 그의 조립방법
KR100526855B1 (ko) 그라인더 가압장치
KR960000574B1 (ko) 로드레스 실린더
KR100227966B1 (ko) 실린더장치
US6679631B2 (en) Linear guide mechanism
US5676038A (en) Actuator with slide table
US20110162520A1 (en) Linear actuator
KR830008001A (ko) 왕복운동 장치
EP0711928B1 (en) Rodless cylinder
US5294201A (en) Linear motion rolling contact guide unit using a rod rail
JPH0440012Y2 (ko)
JP3188729B2 (ja) 精密スライド機構
JP2586451Y2 (ja) 流体圧アクチュエータ
JPH08100807A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2540597Y2 (ja) アクチュエータ
USRE34621E (en) Self equalizing piercing machine
JP3767647B2 (ja) スライドシリンダ
JPH07158610A (ja) スライドテーブル付アクチュエータ
JPH10318209A (ja) ロッドレスシリン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