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407B1 - 천공장치 - Google Patents

천공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407B1
KR0138407B1 KR1019950036687A KR19950036687A KR0138407B1 KR 0138407 B1 KR0138407 B1 KR 0138407B1 KR 1019950036687 A KR1019950036687 A KR 1019950036687A KR 19950036687 A KR19950036687 A KR 19950036687A KR 0138407 B1 KR0138407 B1 KR 0138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drilling
stopper
hea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6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351A (ko
Inventor
김종명
Original Assignee
김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명 filed Critical 김종명
Priority to KR1019950036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407B1/ko
Publication of KR970020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16Perforating by tool or tools of the dril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표(傳票)나 서류 등이 다수매 적층된 비교적 두꺼운 종이류를 극히 간단하게 천공할 수 있도록 한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1); 상기 베이스(1)상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 포스트; 상기 가이드 포스트에 이동부재가 안내되어 승, 하강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구비된 모터에 천공드릴이 회전가능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를 소정거리 승, 하강시키기 위한 핸들부; 상기 헤드부의 승, 하강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헤드부 승, 하강거리 조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천공드릴의 길이에 따라 헤드부의 승, 하강거리가 조정되어 호환성이 있고, 비교적 두꺼운 종이류를 한 번에 천공작업으로 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공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를 나타낸 단면구조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에서 천공드릴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제4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에서 누름수단을 나타낸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제5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에서 헤드부와 핸들부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제6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의 헤드부 승, 하강거리 조정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7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다.
제8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의 천공간격 조정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9도는 제8도의 B-B선 단면도이다.
제10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에서 천공위치 조정수단을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베이스2: 가이드 포스트
5: 스프링6: 보호대
10: 헤드부11: 이동부재
12: 모터13: 천공드릴
14: 모터축19: 누름판
21: 지지브라켓22: 부시
23: 나사봉24: 핸들
30: 핸들부37: 스토퍼
40: 테이블46: 나사봉
49: 스토퍼54: 스토퍼 팁
56: 측면 가이드판59: 전면 가이드판
본 발명은 천공(穿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표(傳票)나 서류 등이 다수매 적층된 비교적 두꺼운 종이류를 극히 간단하게 천공할 수 있도록 한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류를 천공하는 장치는 주로 사무실에서 전표나 서류등을 철(綴)하는 작업에 사용하는 수동식 천공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식 천공장치는 한 번의 천공작업으로 천공할 수 있는 두께가 약 5mm 이하로 얇기 때문에 은행등에서 약 50mm의 두꺼운 전표를 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10~15회에 걸쳐 나누어 천공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수동식 천공장치는 앨범 등과 같이 두껍고 단단한 종이류는 천공할 수 없다. 따라서 두껍게 적층된 종이류와 비교적 두껍고 단단한 종이류를 손쉽게 천공할 수 있는 전동식 천공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전동식 천공장치는 베이스상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가이드 프스트에 헤드부가 상,하 이송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헤드부에는 천공드릴이 설치되며, 상기 천공드릴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핸들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헤드부 및 천공드릴이 하강하여 베이스상에 놓인 종이류를 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천공장치는 천공드릴의 길이에 의해 천공할 수 있는 종이류의 두께가 결정되는 것으로, 통상 천공드릴의 길이는 약 50mm 이고, 이로써 약 50mm 두께의 종이류를 천공할 수 있으며, 헤드부의 승, 하강 거리도 이에 맞도록 설정된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천공장치는 50mm 이상의 두께는 천공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이상의 두께를 천공할 때에는 역시 여러번에 걸쳐 나누어 천공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다. 또한 천공드릴의 길이를 더 길게하여 설치할수도 있으나, 이는 헤드부의 이송거리가 한정되어 있는 것이므로 설치하여도 천공이 불가능하여 연장된 천공드릴의 길이에 맞는 또 다른 크기의 천공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천공장치는 천공드릴을 모터에 설치함에 있어 모터축에 홀더를 결합하고, 이 홀더에 천공드릴을 끼워 사용하였던 것으로, 이는 홀더에 의해 모터축의 끝단에서 천공드릴의 끝단까지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그 만큼 천공장치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었으며, 또한 모터축의 회전력이 홀더를 통해 천공드릴에 전달되므로 이들의 결합공차에 의해 천공드릴의 끝단부에서는 회전축 중심에 대하여 편심되어 회전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로 인해 천공시 회전저항이 커져 열이 발생하고 천공작업에 힘이 들어가게 되는 등 천공효율이 저하되었던 것이고, 천공드릴의 수명도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50mm 이하의 두께는 물론 그 이상의 두께로 적층된 종이류를 한번의 작업으로 천공할 수 있는 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축에 천공드릴을 직접 설치하여 모터축에서 천공드릴 끝단까지의 거리를 단축하고 모터축의 회전력을 직접 전달받도록 함으로써 천공드릴 끝단에서의 편심 회전을 감소시켜 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천공작업시 마모율을 감소시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헤드부의 승하강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천공하고자 하는 종이류의 두께에 따라 천공드릴의 길이를 선택하여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환성을 갖는 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상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 포스트(2)와; 상기 가이드 포스트(2)에 이동부재가 안내되어 승,하강하도록 설치되고, 내붕에 구비된 모터(12)에 천공드릴(13)이 회전가능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헤드부(10)와; 상기 헤드부(10)를 소정거리 승, 하강시키기 위한 핸들부(30)와; 상기 헤드부(10)의 승하강거리를 조절하도록 상기 헤드부(10)의 이동부재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 포스트(2)에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브라켓(21)과, 상기 지지브라켓(21)에 고정되고 중앙에 암나사부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부시와, 상기 부시의 암나사부와 나사맞춤되는 나사봉(46)과, 상기 나사봉(46)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24)로 구성되는 헤드부 승하강거리 조정수단을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상에 좌, 우 이송가능하게 설치되어 천공하고자 하는 종이류가 놓여지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좌, 우 이송거리를 조정하는 천공간격 조정수단과, 헤드부의 하강시 정지위치를 한정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천공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천공장치를 나타낸 단면구조도 및 평면도로서, 본 발명의 천공장치는 베이스(1)와, 이 베이스(1)상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 포스트(2)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포스트(2)에는 헤드부(10)가 안내되어 승, 하강하도록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베이스(1)는 가이드 포스트(2) 및 헤드부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탱하는 것으로, 하부에 복수개의 받침다리(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포스트(2)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2개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켜 배치하며, 하단은 베이스(1)에 보울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하고 상단은 고정판(4)과 역시 보울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한다.
상기 헤드부(10)는 가이드 포스트(2)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11)에는 모터(12)가 설치되며, 모터(12)에는 천공드릴(1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천공드릴(13)은 모터(12)의 모터축(14)에 직접 설치되는 것으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축(14)에 테이퍼진 삽입구멍(14a)을 형성하고, 이 삽입구멍(14a)에 천공드릴(13)의 삽입부(13a)가 끼워지도록 한다. 따라서 모터축(14)의 끝단에서 천공드릴(13) 끝단까지의 거리가 단축되고, 천공드릴(13)이 모터축(14)으로부터 직접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므로 천공드릴(13)의 회전시 끝단부에서의 편심정도가 감소되어지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천공드릴(13)은 주지된 바와 같이 중공형으로 되어 천공작업으로 발생된 종이조각이 천공드릴(13) 내부의 중공부(13b)를 통해 상단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모터축(14)의 삽입구멍(14a) 상부에는 배출구멍(14b)을 형성하여 천공드릴(13)의 중공부(13b)를 통해 빠져나온 종이조각이 양측에 구비된 수납통(15)에 쌓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동부재(11)는 제1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가이드(16)와, 이 상측 가이드(16)보다 비교적 길게 형성된 하측 가이드(17)가 형성되어 있고, 상, 하측 가이드부(16)(17)에는 가이드 포스트(2)가 관통되는 제1가이드 구멍(16a), 제2 및 제3가이드 구멍(17a)(17b)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가이드 구멍(16a)(17a)(17b)에 의한 3점 가이드 구조에 의해 이동부재(11)는 흔들림 없이 가이드 포스트(2)를 따라 승,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11)의 하부에는 스프링(5)이 설치된 것으로, 이 스프링(5)은 일측의 가이드 포스트(2)에 끼워져 이동부재(11)의 하부를 스프링력으로 받쳐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5)은 헤드부(10)의 하강동작시 압축되고, 이 압축력에 의해 헤드부(10)가 승강되어 자동적으로 원위치되도록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헤드부(10)는 헤드부 승, 하강거리 조정수단에 의해 가이드 포스트(2)상에서 설치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제1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11)의 상측 가이드부(16)상에 지지브라켓(21)이 설치되고, 이 지지브라켓(21)은 가이드 포스트(2)에 안내되는 가이드 구멍(21a)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 구멍(21a) 사이에는 보다 큰 직경의 관통구멍(2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21)의 관통구멍(21b)에는 부시가 삽입되어 스크류 등의 고정수단으로 지지브라켓(21)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부시(22)의 중앙에는 암나사부(22a)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부(22a)에는 나사봉(23)이 나사맞춤되며, 나사봉(23)의 상단에는 핸들(24)이 고정된 구성이다. 따라서 핸들(24)의 회전으로 나사봉(23)과 나사맞춤된 부시(22) 및 지지브라켓(2)이 가이드 포스트(2)를 따라 이동하므로 이동부재(1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로써 헤드부(10)의 설치높이가 조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헤드부(10)를 승, 하강시키는 핸들부(30)를 구비한다. 상기 핸들부(30)는 제1도 및 제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작업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31)와, 이 손잡이(31)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레버(32)(33)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레버(32)는 손잡이(31)와 연결됨과 동시에 일측이 헤드부(10)의 이동부재(10)와 가동핀(34)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2레버(33)는 일단이 상기 제1레버(32)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35)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브라켓(21)에 (36)으로 연결된 구성이다.
따라서 제1도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1)를 회전시키면 제2레버(33)가 지지브라켓(21)의 고정핀(36)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레버(33)와 연결핀(35)으로 연결된 제1레버(32)는 이에 연동하게 되므로 제1레버(32)와 가동핀(34)으로 연결된 이동부재(11)가 가이드 포스트(2)를 따라 하강할 수 있는 것이고, 이로써 헤드부(10)의 천공드릴(13)이 하강하여 천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천공드릴(13)이 하강하여 천공작업을 완료한 직후에 더 이상 하강되지 않고 정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37)를 구비한 것으로, 스토퍼(37)는 제1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스크류의 고정수단에 의해 지지브라켓(21)에 고정되어 있고, 길이방향으로 장방향구멍(3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방향구멍(37a)에 가이드 핀(38)이 삽입되어 이동부재(11)의 일측에 고정된 구성이다.
따라서 이동부재(11)의 하강시 가이드 핀(38)이 스토퍼(37)의 장방향구멍(37a)에 안내되어 하강하게 되고, 가이드 핀(38)이 장방향구멍(37a)의 하단부에서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게 되므로 헤드부(10)가 정지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37)의 장방향구멍(37a)의 길이, 즉 헤드부(10)의 정지거리는 천공드릴(13)이 적층된 종이류(P)의 최하단부까지 천공할 수 있도록 길이를 설정한다.
또한 헤드부(10)에는 천공작업시 종이류(P)의 상면을 견고하게 눌러 주고 천공드릴(13)의 상승시 종이류(P)가 따라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누름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 누름수단은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속이 빈 원통형상의 튜브(25) 상단이 헤드부(10)의 커버(18)에 관통되어 지지되어 있고, 하단부는 이동부재(11)에 관통되어 지지되며, 이러한 튜브(25)는 스크류(26)에 의해 이동부재(11)에 위치고정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튜브(25)의 내부에는 기다란 축(27)이 설치되고 이 축(27)은 튜브(25)내에서 스프링(28)으로 탄력설치되며, 축(27)의 상단에는 걸림판(29)이 설치되어 축(37)이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27)의 하단에는 누름판(19)이 고정되는 것으로, 누름판(19)은 천공드릴(13)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적층된 종이류(P)의 천공부위를 눌러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구성이다.
이때 상기 누름판(19)의 바닥면 위치는 적어도 천공드릴(13)의 끝단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천공드릴(13)이 적층된 종이류(P)에 닿기 전에 먼저 종이류(P)의 상면을 눌러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천공과정에서 헤드부(10)가 계속 하강하여도 누름판(19)은 스프링(28)이 압축되는 것에 의해 누름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며, 상기 누름판(19)의 설치높이는 상기 튜브(25)의 하단부를 고정하고 있는 스크류(26)를 풀고 튜브(25)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조절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천공장치는 제1도에서와 같이 베이스(1)상에는 천공하고자 하는 종이류(P)를 올려놓을 수 있는 테이블(40)이 설치되고, 이 테이블(40)은 천공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테이블 이송수단에 의해 좌, 우 이송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테이블 정지수단에 의해 임의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테이블 이송수단은 제1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U자 형상의 브라켓(41)이 베이스(1)상에 설치되고, 이 브라켓(41)에 축(42)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로울러(4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테이블(40)의 저면에는 상기 로울러(43)가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44)이 고정된 구성이다. 따라서 테이블(40)은 로울러(43) 및 가이드 레일(44)에 의해 베이스(1)상에서 좌, 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테이블 정지수단은 제1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40) 전방의 베이스(1)상에 브라켓(45)이 테이블(4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이 브라켓(45)에 나사봉(46)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테이블(40)의 저면에는 회동레버(47)가 고정핀(48)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회동레버(47)의 일단에는 스토퍼(49)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49)의 끝단은 비교적 뾰족하게 형성되어 나사봉(46)의 나사산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동레버(47)의 타단은 연결레버(50)가 연결되고, 이 연결레버(50)는 스토퍼 레버(51)와 연결된 것으로, 스토퍼 레버(51)는 테이블(40)의 일측벽에 고정핀(52)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링(53)으로 탄력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퍼 레버(51)가 도면의 실선상태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스토퍼(49)가 나사봉(46)의 나사산 사이에 끼워지므로 테이블(40)이 임의위치에 정지될 수 있는 것이고, 스토퍼 레버(49)가 도면의 가상선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연결레버(50) 및 회동레버(47)를 통해 스토퍼(49)가 연동하여 나사봉(46)의 나사산으로부터 빠지게되므로 테이블(4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나사봉(46)에는 복수개의 스토퍼 팁(5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 팁(54)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55)에 의해 나사봉(46)과 고정되고, 스크류(55)를 풀면 나사봉(46)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어 설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복수개의 스토퍼 팁(54)은 나사봉(46)으로부터 스토퍼(49)의 이동선상으로 돌출되어 테이블(40)의 이동식 스토퍼(49)가 테이블의 움직임폭을 제한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스토퍼 팁(54)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면 항상 테이블(40)이 스토퍼 팁(54)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므로 동일한 위치의 반복적인 천공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테이블(40)상에는 놓여지는 종이류(P)의 일측을 지지하는 측면 측면 가이드판(56)이 설치되어 있고, 측면 측면 가이드판(56)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56a)와 수평부(56b)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수직부(56a)는 종이류(P)의 일측을 지지하게 되고, 수평부(56b)에는 일측이 개구된 장방형구멍(56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56b)의 장방형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의 테이블(40)에는 테이블(40)의 이동방향으로 다수개의 조절구멍(57)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크류(58)로 상기 장방형구멍(56c)을 통해 다수개의 조절구멍(57)중 하나의 조절구멍과 고정하는 것에 의해 측면 가이드판(56)이 테이블상(40)에 고정되며, 측면 가이드판(56)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테이블(40)상에는 천공하고자 하는 종이류(P)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측면 가이드판(56)이 구비되어 있고, 이 측면 가이드판(56)은 제1도, 제2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수직부(59a)와 테이블(40)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59b)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59b)에는 일측이 개구된 장방형구멍(59c)이 형성되며, 이 장방향구멍(59c)을 통해 스크류(60)로 고정된 구성이다.
따라서 제10도의 가상선상태와 같이 장방향구멍(59c)을 이용하여 전면 가이드판(59)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써 종이류(P)의 선단부로부터 천공위치가 조절된다.
그리고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드릴(13)과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테이블(40)상에는 천공드릴(13)의 날끝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대(6)가 테이블(4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보호대(6)는 연한 재질, 예를 들면 나무로 제조되고,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보호대(6)는 일측면이 테이블(40)의 상면과 일치하여 노출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천공작업시 천공드릴(13)이 적층된 종이류(P)의 최하단부까지 천공한 보호대(6)의 노출면에 닿게 되므로 천공드릴(13)의 날끝이 보호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천공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40)상에 천공하고자 하는 종이류(P)를 적층시켜 올려놓은 후, 핸들부(30)의 손잡이(31)를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핀(36)을 중심으로 제2레버(33)가 회동함과 동시에 제1레버(32)와 제2레버(33)가 연결핀(35)로 연결된 것이므로 제1레버(32)와 가동핀(34)으로 연결된 이동부재(11)가 가이드 포스트(2)를 따라 하강하게 되는 것이며, 이로써 헤드부 전체가 하강하고, 천공드릴(13)은 모터(12)에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하면서 헤드부(10)와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때 이동부재(11)의 하부를 받쳐지지하는 스프링(5)은 압축되어지고, 헤드부(10)에 구비된 누름수단의 누름판(19) 바닥면은 천공드릴(13)의 끝단보다 소정거리 아래에 위치된 것이므로 천공드릴(13)보다 먼저 종이류(P)의 상면에 닿게 되는 것이며, 헤드부(10)가 계속해서 하강 되면, 제4도에서와 같이 누름판(19)은 더 이상 하강하지 않고 헤드부(10)에 고정된 설치된 스프링(28)이 압축되면서 이 스프링(28)의 압축력에 의해 누름판(19)이 종이류(P)의 상면을 견고하게 눌러 천공작업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천공드릴(13)이 적층된 종이류(P)의 최하단부까지 하강하여 천공작업을 마치게 되면, 제1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21)에 설치된 스토퍼(37)의 장방향구멍(37a)에 이동부재(11)의 가동핀(34)이 안내되는 것이므로 장방향구멍(37a) 끝단에서 더 이상 하강할 수 없게되고, 이로써 헤드부(10)와 천공드릴(13)이 정지하게 되므로 천공드릴(13)이 작업 종료후에도 계속 하강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정지된 위치에서 천공드릴(13)의 끝단은 테이블(40)상에 설치된 보호대(6)와 접촉하게 되므로 천공드릴(13)의 날끝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보호대(6)는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형상된 것이므로 노출면이 천공드릴(13)에 의해 손상될 경우 다른면이 노출되도록 돌려 끼울수 있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천공작업을 마친 후, 핸들부(30)의 손잡이(31)를 놓게 되면, 이동부재(11) 하부에 설치되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헤드부(10), 핸들부(30) 및 누름판(19)은 작업전 상태로 원위치되는 것이고, 다음 천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2)의 모터축(14)에 천공드릴(13)이 직접 장착된 것이므로 모터축(14)의 회전력을 직접 전달받을 수 있고, 모터축(14)에서 천공드릴(13) 끝단까지의 길이가 단축되므로 그 만큼 천공장치의 전체높이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며, 천공드릴(13) 끝단부위에서의 편심, 즉 떨림이 감소되어 천공드릴의 천공성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천공작업으로 발새한 찬공조각은 천공드릴(13)의 중공부(13b)내에 쌓이게 되고, 반복되는 천공작업에 의해 천공조각이 증가하게 되면, 모터축(14)의 배출구멍(14b)을 통해 수납통(15)내에 쌓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천공드릴(13)의 길이에 따라 헤드부(10)의 설치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 승, 하강거리 조정수단의 핸들(24)을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봉(23)이 제위치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이 나사봉(23)에 나사맞춤된 부시(22)와 지지브라켓(21)이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지지브라켓이 핸들의 조작으로 하강하게 되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이동부대가 하강하게 되고, 지지브라켓(21)이 상승하게 되면, 압축된 스프링(5)의 복원력으로 이동부재(11)가 상승하게되어 헤드부(10)의 설치높이가 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길이가 짧은 천공드릴(13)을 사용할 때에는 헤드부(10)를 하강시키고, 길이가 긴 천공드릴(13)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헤드부(10)를 상승시켜 설치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한 대의 천공장치로 천공드릴(13)의 길이에 관계없이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있고, 천공작업시 헤드부(10)의 승, 하강거리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블(40)을 임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정지시킬 수 있어 원하는 위치에 천공할 수 있다. 즉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4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스토퍼 레버(51)를 가상선 상태로 작동시키게 되면, 스프링(53)이 인장되면서 연결레버(50) 및 회동레버(47)에 의해 스토퍼(49)가 나사봉(46)으로부터 빠지게 되어 테이블(40)의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테이블(4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스토퍼 레버(51)를 놓게되면, 인장된 스프링(5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스토퍼 레버(51)가 실선상태로 원위치되는 것이므로 연결레버(50)와 회동레버(47)에 의해 스토퍼(49)는 다시 나사봉(46)의 나사산 사이에 끼워지게 되어 테이블(40)이 원하는 위치에 정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천공하고자 하는 종이류(P)의 임의 위치에 천공할 수 있는 것이고, 이때 상기 나사봉(46)에 설치된 복수개의 스토퍼 팁(54)에 의해서는 복수개의 천공구멍을 소정간격 이격시킨 동일한 위치에 반복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편리하게 사용된다.
즉 복수개의 스토퍼 팁(54)을 원하는 천공작업 위치로 이동시켜 배치한 후, 스토퍼 레버(51)를 조작하여 테이블(40)를 이동시키게 되면, 스토퍼(53)가 스토퍼 팁(54)에 걸려 테이블(40)이 더 이상 이송되지 않게 되고, 이때 스토퍼 레버(51)를 놓게되면, 스토퍼(53)가 나사봉(46)에 끼워져서 정지위치가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설정된 천공위치에 테이블을 신속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설정된 간격으로 동일한 위치에 반복적으로 천공시키는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는 것이다.
또한 테이블(40)상에 구비된 측면 가이드판(56)과 전면 가이드 판(59)에 의해 천공하고자 하는 종이류(P)가 바르게 지지되어 놓여질 수 있고, 이 측면 가이드판(56)과 전면 가이드판(59)이 소정거리 이송가능하게 된 것이므로, 종이류(P)의 크기에 따라 천공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에 의하면, 천공드릴이 모터축에 직접 장착되어 모터축에서 천공드릴 날끝까지의 길이가 단축됨으로써 천공장치의 전체높이를 축소시킬 수 있고, 천공드릴의 회전시 떨림(편심)이 감소되어진다.
또한 헤드부의 승, 하강 거리가 조정됨으로써 천공드릴의 길이를 다양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있으며, 특히 50mm이상 적층된 종이류(P)가 한 번의 천공작업으로 천공이 간능하고, 천공위치를 동일한 간격으로 동일한 위치에 반복적으로 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상기 베이스(1)상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 포스트(2); 상기 가이드 포스트(2)에 이동부재가 안내되어 승, 하강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구비된 모터(12)에 천공드릴(13)이 회전가능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헤드부(10); 상기 헤드부(10)를 소정거리 승, 하강시키기 위한 핸들부(30); 상기 헤드부(10)의 승, 하강거리를 조절하도록 상기 헤드부(10)의 이동부재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 포스트(2)에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브라켓(21)과, 상기 지지브라켓(21)에 고정되고 중앙에 암나사부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부시와, 상기 부시의 암나사부와 나사맞춤되는 나사봉(46)과, 상기 나사봉(46)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24)로 구성되는 헤드부 승,하강거리 조정수단을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2)의 모터축(14)에 천공드릴(13)이 직접 장착됨을 특징으로하는 상기 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21)에 설치되고, 이동부재에 고정된 가이드핀이 안내되는 장방형구멍(37a)이 형성되어 이동부재의 하강거리를 한정하는 스토퍼(37)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천공하고자 하는 종이류가 놓여지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1)상에서 횡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된 테이블(40)을 더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천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드릴(13)의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테이블(40)상에 설치되어 천공드릴(13)의 하강시 접촉되어 날끝을 보호하는 것으로, 단면이 정사각형인 나무재질의 보호대(6)를 더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천공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40)을 임의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테이블 정시수단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천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은 테이블(40)의 이송방향으로 베이스(1)상에 길게 설치된 나사봉(46)과, 상기 테이블(40)상에 설치되어 나사봉(46)의 나사산 사이에 끼어 상기 테이블(40)을 고정하는 스토퍼(49)와, 상기 스토퍼(49)에 연결되어 상기 스토퍼(49)를 상기 나사산에서 빠지게 하는 레버(51)와, 암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홀에 상기 나사봉(46)이 관통되어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테이블(40)의 이동폭을 조절하는 좌우의 복수개 스토퍼 팁(5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천공장치.
  8.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40)상에 놓여지는 종이류의 일측면과 전면을 가이드하는 측면 가이드판(56)과 전면 가이드판(59)이 테이블상에 설치되고, 상기 측면 가이드판(56)과 전면 가이드판(59)은 설치위치가 조절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천공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에 설치되어 헤드부(10)의 하강시 테이블(40)상에 놓인 종이류의 상면을 눌러 지지하기 위한 누름수단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천공장치.
KR1019950036687A 1995-10-23 1995-10-23 천공장치 KR0138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6687A KR0138407B1 (ko) 1995-10-23 1995-10-23 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6687A KR0138407B1 (ko) 1995-10-23 1995-10-23 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351A KR970020351A (ko) 1997-05-28
KR0138407B1 true KR0138407B1 (ko) 1998-07-01

Family

ID=19430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6687A KR0138407B1 (ko) 1995-10-23 1995-10-23 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4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057B1 (ko) * 2008-12-15 2011-03-22 손해원 제본기의 천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801B1 (ko) * 2002-01-15 2004-09-04 주식회사 에스 피 씨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
KR100446804B1 (ko) * 2002-01-17 2004-09-04 주식회사 에스 피 씨 천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057B1 (ko) * 2008-12-15 2011-03-22 손해원 제본기의 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351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993B1 (ko)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
KR0138407B1 (ko) 천공장치
DE7340182U (de) Transportvorrichtung zum abfuehren von gegenstaenden zum gebrauch mit herstellungsmaschinen o.dgl.
KR20010081959A (ko) 제본기의 천공장치
CN109551916A (zh) 一种印刷品生产装置
KR101017614B1 (ko) 펀칭장치
KR102214187B1 (ko) 펀칭유닛을 구비한 종이컷팅장치
CN210525183U (zh) 一种自动上料的切药机
KR100187508B1 (ko) 서류 천공장치
US5454679A (en) Wire element bindery press
KR200237081Y1 (ko) 천공간격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전동식 천공기
US20060213345A1 (en) Invalidating device for stacks of thin, planar objects
KR102661674B1 (ko) 타이밍 벨트 타공용 펀칭 지그
KR100446802B1 (ko) 천공장치
KR102557465B1 (ko) 가이드핀의 교체가 용이한 제본천공기용 하부 히터부재
JP3407151B2 (ja) 紙束穿孔綴じ装置
KR200268187Y1 (ko) 펀칭기의 천공드릴 고정장치
CN214136351U (zh) 一种会计凭证打孔装置
KR200191047Y1 (ko) 제본기의 천공장치
CN219951527U (zh) 一种高效布料裁切机构
JPH06106498A (ja) 穿孔装置
EP0677465B1 (de)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Bogenstapeln an einer Bogendruckmaschine
KR920001441Y1 (ko) 앨범내지의 다단식 천공 절단기
KR900011394Y1 (ko) 수동 천공기
JPS5811516Y2 (ja) 穿孔機における紙葉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