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801B1 -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 - Google Patents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801B1
KR100446801B1 KR10-2002-0002327A KR20020002327A KR100446801B1 KR 100446801 B1 KR100446801 B1 KR 100446801B1 KR 20020002327 A KR20020002327 A KR 20020002327A KR 100446801 B1 KR100446801 B1 KR 100446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astening member
rotating body
mo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1661A (ko
Inventor
김종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 피 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 피 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 피 씨
Priority to KR10-2002-0002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801B1/ko
Publication of KR20030061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16Perforating by tool or tools of the dril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낱장으로 이루어진 서류들의 집철(輯綴)을 위해 다수매의 서류들을 천공하기 위한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류의 집철을 위한 천공시 천공간격이 서로 다른 제 1 및 제 2샤프트들을 서류의 종류 또는 사용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면서 서류의 천공간격, 즉 베이스상에서 이동되는 테이블의 이동거리를 서류의 천공간격에 적합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서류를 다양한 형태로 천공처리한다든지 또는 사무실,은행 또는 영업소 등에서 기본적으로 자주 사용하게 되는 서류의 천공간격에 맞춰 제 1 및 제 2샤프트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샤프트 외측면에 여러 가지의 천공간격을 미리 설정한 후, 서류의 천공간격에 적합하도록 샤프트에 형성된 천공간격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서류의 천공간격조절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Punching apparatus with punching space controller}
본 발명은 낱장으로 이루어진 서류들의 집철(輯綴)을 위해 다수매의 서류들을 천공하기 위한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류의 천공시 천공간격이 서로 다른 샤프트들을 상호 대향되게 위치시킨 후, 이 샤프트들을 서류의 종류 또는 사용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면서 천공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은행 또는 영업소 등에서 전표(傳票)나 각종 서류 등을 집철하기 위해 다수매의 서류를 천공하기 위한 천공장치는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천공장치는 전동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동식 천공장치의 구성을 보면, 베이스 및 이 베이스의 상부에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 포스트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포스트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판 및 이 이동판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판을 상.하이동시키는 핸들을 가지며, 상기 이동판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전기적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 및 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동시에 핸들의 작동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테이블상에 안착된 다수매의 서류를 천공할 수 있도록 천공드릴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에는 천공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상에 테이블의 이동방향을 따라 브라켓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외주연에 나사부를 갖는 나사봉이 고정설치되며, 이 나사봉에는 서류의 천공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이동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가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의 저면에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레버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회동레버의 일단에는 나사봉의 나사부에 끼워지면서 고정부재의 일측면에 걸리도록 스토퍼가 고정설치되고, 이 회동레버의 타단에는 상기 테이블의 일측벽에 고정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작동레버와 연동되는 연결레버가 설치되며, 이 연결레버의 소정 위치에는 작동레버의 회전시 작동레버를 최초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전동식 천공장치에 있어서, 서류의 종류 또는 서류의 사용처에 따라 천공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서류의 종류 또는 서류의 사용처에 따라 천공의 간격에 적합하도록 상기 나사봉에 개재된 다수개의 고정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고정부재간의 길이를 서류의 천공위치에 맞도록 조절한 다음, 각각의 고정부재에 설치된 볼트의 일단을 나사봉의 외주연으로 가압하여 체결을 이루게 되는데, 이는 작업자가 각각의 고정부재를 나사봉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고정부재들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면서 볼트를 체결해야 하는 불편함을 갖고 있었다.
아울러,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고정부재의 간격을 불규칙적으로 체결할 경우, 천공드릴의 승.하강에 의해 천공되는 서류를 이동시키기 위한 테이블의 이동거리, 즉 나사봉에 개재된 고정부재간의 간격이 불규칙해짐으로 인해 서류의 천공위치도 함께 불규칙해지게 됨에 따라 천공이 완료된 서류를 집철하는 과정에서 서류가 가지런하지 못하고 불량으로 집철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사무실,은행 또는 영업소 등에서는 전표나 각종 서류 등을 집철하기 위해 몇 가지의 기본적인 천공간격을 자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본적인 천공간격에 대해서 서류의 천공간격이 달라질 때마다 작업자는 일일이 나사봉에 개재된 다수개의 고정부재 간격을 조절한 후, 이 고정부재에 설치된 볼트를 나사봉의 외측면에 체결하거나 해제시켜 천공의 간격을 정확하게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과 아울러,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함께 갖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서류의 천공시 천공간격이 서로 다른 샤프트들을 상호 대향되게 위치시킨 후, 이 샤프트들을 서류의 종류 또는 사용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면서 천공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류의 천공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천공의 간격을 샤프트에 미리 설정한 후, 이 샤프트를 개별적으로 전환시키면서 천공의 간격을 신속하게 조절함에 따라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의 상부에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이동되는 테이블의 전방 양측벽에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그 내측에 관통공을 갖는 지지부; 상기 테이블의 이동방향을 따라 적정한 길이의 고정축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의 관통공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축의 양측에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를 갖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고정축에서 외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나란히 배열되는 것으로, 그 양측이 제 1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연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이동부재가 설치되며, 이 이동부재를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결속부재를 갖는 제 1샤프트;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된 결속부재를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에 대해 제 1샤프트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 1회전수단; 상기 회전체의 고정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샤프트와 동일한 반경을 가지면서 제 1샤프트와 대향되도록 나란히 배열되는 것으로, 그 양측이 제 2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모서리부에 서로 다른 간격으로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된 제 2샤프트; 상기 제 2샤프트의 외측면에 형성된 모서리부의 수에 대응되도록 제 2샤프트를상기 회전체에 대해 개별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 2회전수단; 상기 회전체의 고정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을 가지면서 대향되게 배열된 제 1 및 제 2샤프트의 위치를 전환시켜주기 위한 전환수단; 상기 베이스의 전방측 상부에 지지편을 갖는 브라켓이 고정설치되고, 이 지지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샤프트에 설치된 이동부재의 일측면에 면접촉되거나 상기 제 2샤프트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져 상기 테이블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샤프트의 이동부재 또는 제 2샤프트의 삽입홈으로부터 상기 스토퍼를 이탈시켜 테이블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인접하고 있는 다른 이동부재 또는 삽입홈으로 스토퍼가 끼워지면서 테이블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의 테이블에 설치되는 천공간격조절기의 구성을 요부 절개한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에 따른 제 1회전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4b는 제 1회전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에 따른 제 2회전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5b는 제 2회전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에 따른 전환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6b는 전환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에 따른 이동개폐수단이 제 1샤프트와 연동되는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7b는 이동개폐수단이 제 2샤프트와 연동되는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베이스 10 : 테이블
20 : 회전체 30 : 제 1샤프트
40 : 제 1회전수단 50 : 제 2샤프트
60 : 제 2회전수단 70 : 전환수단
80 : 스토퍼 90 : 이동개폐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은 베이스로써, 상기 베이스(1)의 상부에는 가이드레일(2)을 따라 좌.우이동되도록 테이블(10)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10)의 상부에는 다수매로 적층된 서류(3)의 측면을 가지런히 정리함과 동시에 서류(3)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쌍의 가이드판(4)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판(4)의 하부에는 테이블(10)의 내측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피니언(4a)과 치합되도록 래크(4b)가 형성됨에 따라 한쌍의 가이드판(4)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이드판(4)을 이동시킬 경우, 반대편에 설치된 가이드판(4)이 동일한 거리를 갖도록 이동됨에 따라 서류(3)를 테이블(10)의 중앙에 적층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 포스트(5)가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 포스트(5)에는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판(6)이 설치되고, 이 이동판(6)의 일측에는 이동판(6)을 선택적으로 상.하이동시킬 수 있도록 핸들(7)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판(6)의 소정 위치에는 외부로부터의 전기적신호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동축(8a)을 갖는 모터(8)가 설치되는데, 이 모터(8)의 구동축(8a)에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핸들(7)이 하방향으로 작동되면서 테이블(10)의 상부에 적층된 서류(3)를 천공시킬 수 있도록 천공드릴(9)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테이블(10)의 전방에는 천공드릴(9)에 의해 천공되는 서류(3)의 천공간격을 서류의 종류 또는 서류의 사용처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천공간격조절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테이블(10)의 전방 양측에 관통공(12)을 갖는 지지부(14)가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이 지지부(14)의 관통공(12)에는 천공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체(2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20)는 중앙에 테이블(10)의 이동방향을 따라 적정한 길이를 갖도록 고정축(22)이 설치되고, 이 고정축(22)의 양측에는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24)(26)가 체결부재(28)에 의해 상기 관통공(12)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24)(26)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지플레이트 일측에 상기 관통공(12)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돌출부(26a)를 형성한 후, 상기 체결부재(28)에 의해 결합되도록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24)(26)의 중앙에 결속공(24a)(26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24)(26)의 직경을 상기 관통공(1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함에 따라 상기 지지부(14)의 관통공(12)내에서 회전체(20)가 회전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체(20)의 고정축(22)에서 외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제 1샤프트(30)가 나란히 배열되는데, 이 제 1샤프트(30)의 양측은 머리부(31b)를 갖는 제 1체결부재(31)에 의해 상기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24)(26)에 대해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1샤프트(30)의 외주연에는 서류(3)의 천공간격에 맞춰 테이블(10)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이동부재(3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개재되어 있으며, 이 이동부재(32)의 소정 위치에는 이동부재(32)를 통해 상기 제 1샤프트(30)의 외측면을 가압하거나 감압하여 이동부재(32)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속부재(3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32)의 양측단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에 소정의 경사면(32a)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경사면(32a)은 후술할 스토퍼(80)에 의해 베이스(1)의 상부에서 서류(3)의 천공간격에 맞춰 이동하는 테이블(10)이 목적하고자 하는 천공의 마지막 이동거리까지 도달된 상태에서 다시 테이블(10)을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스토퍼(80)에 대해 이동부재(32)의 경사면(32a)이 스토퍼(80)의 일측면을 가압하면서 타고 넘어가 테이블(10)을 최초상태로 복귀시키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결속부재(33)의 돌출부위는 상기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24)(26)의 외주연내에 배치되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 1샤프트(30)에 설치된 다수개의 이동부재(32)에 대해 서류(3)의 천공간격에 적합하도록 이동부재(32)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결속부재(33)를 상기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24)(26)의 외주연으로부터 외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회전수단(40)을 갖는다.
상기 제 1회전수단(40)은 도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20)의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24)(26)에 상기 제 1체결부재(31)의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1 및 제 2관통공(41)(42)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관통공(41)(42)을 통과한 제 1체결부재(31)의 일단에는 적정한 길이를 갖도록 제 1숫나사부(31a)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숫나사부(31a)와 나사체결을 이루도록 상기 제 1샤프트(30)의 일측에 제 1암나사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체결부재(31)의 머리부(31b)가 접하는 외측 지지플레이트(26)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이동부재(32)의 결속부재(33)를 외측 지지플레이트(26)의 외주연으로부터 벗어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 1요홈(43)이 적정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 다수개의 제 1요홈(43)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 1요홈(43)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체결부재(31)의 머리부(31b)에는 내부에 제 1단턱(45)을 갖는 제 1삽입공(44)이 형성되고, 이 제 1단턱(45)에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 1스프링(46)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삽입공(44)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그 일측이 상기 제 1스프링(46)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제 1요홈(43)으로 끼워지도록 제 1가압판(48)을 갖는 제 1작동핀(47)이 설치되고, 상기 제 1작동핀(47)의 타측에는 제 1스프링(46)의 팽창력을 제 1가압판(48)이 가압하여 제 1작동핀(47)을 제 1요홈(43)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제 1노브(4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노브(49)를 잡아당길 경우, 제 1샤프트(30)와 결합하고 있는 제 1체결부재(31)는 회전체(20)의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24)(26)에 대해 자유로운 상태로 전환된다.
즉, 상기 제 1체결부재(31)는 상기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24)(26)에 형성된 제 1,제 2관통공(41)(42)내에서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인해 상기 제 1노브(49)를 잡아당김과 동시에 제 1체결부재(31)의 머리부(31b)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 1체결부재(31)와 나사결합된 제 1샤프트(30)는 제 1체결부재(3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이루면서 제 1샤프트(30)에 개재된 이동부재(32)의 결속부재(33) 위치를 이동시켜 사용자가 결속부재(33)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체(20)의 고정축(22)을 중심으로 상기 제 1샤프트(30)와 동일한 반경을 가지면서 대향되도록 제 2샤프트(50)가 나란히 배열되는데, 이 제 2샤프트(50)의 양측은 머리부(51b)를 갖는 제 2체결부재(51)에 의해 상기 회전체(20)의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24)(2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 2샤프트(50)의 외측면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모서리부(52)에는 기본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서류(3)의 천공간격에 맞춰 테이블(10)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천공의 간격을 갖는 삽입홈(54)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제 2샤프트(50)의 외측면을 여러 가지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6각형으로 형성하여 사용함이 가장 좋을 것이다.
상기 제 2샤프트(50)의 일측에는 제 2샤프트(50)의 외측면을 이루는 각각의 모서리부(52) 수에 대응되도록 제 2샤프트(50)를 상기 회전체(20)에 대해 개별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 2회전수단(60)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제 2회전수단(60)은 도 5a,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20)의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24)(26)에 상기 제 2체결부재(51)의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3 및 제 4관통공(61)(62)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및 제 4관통공(61)(62)을 통과한 제 2체결부재(51)의 일단에는 적정한 길이를 갖도록 제 2숫나사부(51a)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숫나사부(51a)와 나사체결을 이루도록 상기 제 2샤프트(50)의 일측에 제 2암나사부(5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체결부재(51)의 머리부(51b)가 접하는 외측 지지플레이트(26)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제 2샤프트(50)의 모서리부(52) 수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제 2요홈(63)이 적정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제 2요홈(63)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 2요홈(63)에 대응되도록 제 2체결부재(51)의 머리부(51b)에는 내부에 제 2단턱(65)을 갖는 제 2삽입공(64)이 형성되고, 이 제 2단턱(65)에는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 2스프링(66)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삽입공(64)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그 일측이 상기 제 2스프링(66)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제 2요홈(63)으로 끼워지도록 제 2가압판(68)을 갖는 제 2작동핀(67)이 설치되고, 이 제 2작동핀(67)의 타측에는 제 2스프링(66)의 팽창력을 제 2가압판(68)이 가압하여 제 2작동핀(67)을 제 2요홈(63)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제 2노브(6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노브(69)를 잡아당길 경우, 제 2샤프트(50)와 결합하고 있는 제 2체결부재(51)는 회전체(20)의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24)(26)에 대해 자유로운 상태로 전환된다.
즉, 상기 제 2체결부재(51)는 상기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24)(26)에 형성된 제 3 및 제 4관통공(61)(62)내에서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인해 상기 제 2노브(69)를 잡아당김과 동시에 제 2체결부재(51)의 머리부(51b)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 2체결부재(51)와 나사결합된 제 2샤프트(50)는 제 2체결부재(5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이루면서 제 2샤프트(50)의 모서리부(52)에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홈(54)의 위치를 자주 사용하는 서류(3)의 천공간격에 적합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체(20)의 고정축(22)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을 가지면서 상호 대향되게 배열된 제 1 및 제 2샤프트(30)(5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20)의 외측 지지플레이트(26)의 일측에 전환수단(7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전환수단(70)은 도 6a,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4)에 형성된 관통공(12)의 외주연에 상기 회전체(20)의 고정축(22)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면서 나란히 배열된 제 1 및 제 2샤프트(30)(50)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제 3요홈(7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제 3요홈(73)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 3요홈(73)에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체(20)의 외측 지지플레이트(26)에는 내부에 제 3단턱(75)을 갖는 제 3삽입공(7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 3단턱(75)의 내부에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 3스프링(76)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3삽입공(74)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그 일측이 상기 제 3스프링(76)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14)의 관통공(12)에 형성된 제 3요홈(73)으로 끼워지도록 제 3가압판(78)을 갖는 제 3작동핀(77)이 설치되고, 이 제 3작동핀(77)의 타측에는 제 3스프링(76)의 팽창력을 제 3가압판(78)이 가압하여 제 3작동핀(77)을 제 3요홈(73)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제 3노브(7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노브(79)를 잡아당길 경우, 회전체(20)의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24)(26)는 상기 지지부(14)의 관통공(12)내에서 회전이 가능한 자유로운 상태로 전환된다.
즉, 상기 회전체(20)의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24)(26)는 체결부재(28)에 의해 상기 지지부(14)의 관통공(12)내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인해 상기 제 3노브(79)를 잡아당김과 동시에 외측 지지플레이트(26)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내측 지지플레이트(24) 및 고정축(22)도 외측 지지플레이트(26)의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체(20)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제 1 및 제 2샤프트(30)(50)는 제 3노브(79)의 제 3작동핀(77)이 상기 지지부(14)의 관통공(12)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3요홈(73)중 상호 대향된 위치에 형성된 제 3요홈(73)으로 끼워지면서 상기 제 1 및 제 2샤프트(30)(50)의 위치가 전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1)의 상부 중앙에는 지지편(81)을 갖는 브라켓(82)이 고정설치되는데, 이 지지편(81)에는 상기 베이스(1)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을 따라 이동되는 테이블(10)의 진행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스토퍼(80)가 회전축(8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스토퍼(80)의 하부측 일단은 상기 회전체(20)의 고정축(22)에 대해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 1샤프트(30)의 이동부재(32)에 면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제 2샤프트(50)의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홈(54)에 끼워져 테이블(1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제 1샤프트(30)에 개재된 이동부재(32)의 양측면중 직각을 이루는 일측면에 상기 스토퍼(80)의 하부측 일단이 면접촉을 이루면서 테이블(1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 2샤프트(50)의 외측면을 이루는 모서리부(52)에 형성된 삽입홈(54)으로 스토퍼(80)가 끼워져 테이블(10)의 이동을 제한하고자 할 경우, 상기 회전체(20)의 외측 지지플레이트(26)에 설치된 제 3노브(79)를 관통공(12)에 형성된 제 3요홈(73)중 대향되는 위치, 즉 180도에 해당되는 제 3요홈(73)으로 전환시킴에 따라 제 2샤프트(50)와 제 1샤프트(30)의 위치가 바뀌면서 상기 제2샤프트(50)의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홈(54)으로 스토퍼(80)가 끼워져 테이블(1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테이블(10)의 일측에는 상기 제 1샤프트(30)의 이동부재(32) 또는 상기 제 2샤프트(50)의 삽입홈(54)에 대해 상기 스토퍼(8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테이블(10)의 이동을 허용한다거나 인접한 다른 이동부재(32) 또는 삽입홈(54)으로 스토퍼(80)가 끼워지도록 하여 테이블(1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개폐수단(90)을 갖는다.
이러한 이동개폐수단(90)은 도 7a,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10)의 이동방향을 따라 적정한 길이를 가지며, 그 양측이 상기 테이블(10)의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1힌지축(91)을 갖는 작동바(92)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작동바(92)의 상부측 일단은 상기 스토퍼(80)의 상부와 면접촉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바(92)가 제 1힌지축(91)을 중심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스토퍼(80)는 회전축(83)을 중심으로 작동바(92)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인해 상기 제 1샤프트(30)의 이동부재(32) 또는 제 2샤프트(50)의 삽입홈(54)으로부터 스토퍼(80)의 하부가 이탈되면서 상기 테이블(10)의 이동을 허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바(92)의 후방에는 적정한 길이를 갖도록 연결편(93)이 연장설치되는데, 이 연결편(93)의 일단은 상기 테이블(10)의 일측벽에 수직방향으로 적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작동모드홈(94)에 끼워져 작동바(92)의 제 1힌지축(91)을 중심으로 회전을 이루게 된다.
상기 작동바(92)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테이블(10)의 일측벽에는 제 2힌지축(95)을 갖는 작동레버(96)가 설치되는데, 이 작동레버(96)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모드홈(94)에 끼워진 연결편(93)과 결합을 이루도록 끼움공(97)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작동레버(96)의 소정 위치에는 제 2힌지축(95)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작동레버(96)를 최초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테이블(10)의 일측벽에 고정되어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복원스프링(98)이 개재되어 있다.
다음으로, 서류(3)의 집철을 위한 천공시 서류(3)의 종류 또는 사용처에 따라 천공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테이블(10)의 상부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판(4)을 이동시켜 낱장의 서류(3)들을 테이블(10)의 중앙에 가지런히 적층시킨 후, 적층된 서류(3)의 종류 또는 사용처에 따라 천공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는데, 여기서 서류(3)를 천공하기 위한 천공의 간격이 기본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회전체(20)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제 1 및 제 2샤프트(30)(50)중 제 2샤프트(50)를 스토퍼(80)와 접하도록 전환시켜 목적하고자 하는 서류(3)에 천공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회전체(20)에 설치된 제 2샤프트(50)는 전환수단(70)에 의해 스토퍼(80)와 접하는 것으로서, 이는 회전체(20)의 외측 지지플레이트(26)에 설치된 제 3노브(79)를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제 3노브(79)의 제 3작동핀(77)이 지지부(14)의 관통공(12)에 형성된 제 3요홈(73)으로부터 이탈되면서 회전체(20)는 관통공(12)내에서 자유로운 회전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 상기 외측 지지플레이트(26)를 회전시켜 상기 제 3노브(79)의 제 3작동핀(77)을 관통공(12)의 외주연에 대향되게 형성된 제 3요홈(73)으로 도달시켜 제 2샤프트(50)를 스토퍼(80)와 접하도록 위치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3요홈(73)으로 제 3작동핀(77)이 끼워지는 것은 제 3작동핀(77)에 개재된 제 3스프링(76)의 팽창력이 제 3가압판(78)을 밀어 제 3작동핀(77)을 제 3요홈(73)에 끼우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샤프트(50)가 스토퍼(80)와 접할 경우, 제 2샤프트(50)에 대향되게 설치된 제 1샤프트(30)는 제 2샤프트(50)가 위치하고 있었던 자리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스토퍼(80)에 접하고 있는 제 2샤프트(50)를 서류(3)의 종류에 따라 천공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제 2샤프트(50)에 형성된 각각의 모서리부(52)에 자주 사용되는 서류(3)의 천공간격에 적합하도록 미리 설정된 다수개의 삽입홈(54)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샤프트(50)의 회전상태를 보면, 상기 제 2체결부재(51)의 머리부(51b)에 설치된 제 2노브(69)를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제 2작동핀(67)은 외측 지지플레이트(26)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2요홈(63)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제 2체결부재(51)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제 2체결부재(51)에 의해 결합된 제 2샤프트(50)가 함께 회전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체결부재(51)의 회전은 제 2작동핀(67)이 인접하고 있는 다른 제 2요홈(63)에 도달되면서 정지되는데, 이는 제 2작동핀(67)에 개재된 제 2스프링(66)의 팽창력이 제 2가압판(68)을 밀면서 제 2작동핀(67)을 제 2요홈(63)으로 끼우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 2샤프트(50)의 모서리부(52)에 형성된 삽입홈(54)을 서류(3)의 천공간격에 맞춰 설정한 후, 상기 테이블(10)의 일측에 설치된 작동레버(96)를 작동시켜 테이블(10)을 베이스(1)상에서 가이드레일(2)을 따라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는 상기 작동레버(96)의 일단을 하방향으로 가압할 시 작동레버(96)의 타측은 제 2힌지축(95)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작동레버(96)의 타측에 형성된 끼움공(97)으로 일단이 결합된 연결편(93)은 테이블(10)의 일측벽에 형성된 작동모드홈(94)을 통해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연결편(93)을 갖는 작동바(92)는 작동레버(96)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제 1힌지축(91)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이루게 되는데, 이는 상기 작동바(92)의 상부측 일단에 면접촉되어 있는 스토퍼(80)의 상부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80)의 하단부는 제 2샤프트(50)의 모서리부(52)에 형성된 삽입홈(54)에 끼워져 있던 상태에서 회전축(83)을 중심으로 이탈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1)상에서 테이블(10)이 이동되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테이블(10)의 이동거리 즉, 서류(3)의 천공간격은 상기 테이블(10)에 개재된 제 2샤프트(50)의 모서리부(52)가 테이블(10)과 함께 이동될 때, 베이스(1)상에 고정설치된 스토퍼(80)의 하단부가 모서리부(52)에 형성된 다른 삽입홈(54)에 도달되면서 테이블(10)의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서류(3)의 천공간격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80)의 하단부가 제 2샤프트(50)의 모서리부(52)에 형성된 다른 삽입홈(54)으로 끼워지기 위한 작동은 상기 작동레버(96)의 회전시 팽창되었던 복원스프링(98)의 자체적인 탄성력에 의해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려는 힘이 상기 연결편(93) 및 작동바(92)로 전달됨에 따라 작동레버(96)는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 2샤프트(50)의 모서리부(52)에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홈(54)으로 스토퍼(80)가 순차적으로 끼워질 때 마다 베이스(1)의 일측에 설치된 천공드릴(9)을 하강시켜 테이블(10)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는 서류(3)를 천공시키게 되는데, 이는 베이스(1)의 일측에 설치된 핸들(7)의 하강시 핸들(7)에 의해 연동되는 이동판(6)이 가이드 포스트(5)를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이동판(6)에 설치된 모터(8)의 구동축(8a)과 결합하고 있던 천공드릴(9)이 모터(8)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면서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테이블(10)에 적층되어 있던 서류(3)를 천공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샤프트(50)의 모서리부(52)에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홈(54)에 의해 이루어진 천공간격에 대해 서류(3)의 사용처에 따른 천공간격이 적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2샤프트(50)에 대향되게 설치된 제 1샤프트(30)와 위치를 바꾸게 되는데, 이는 제 1샤프트(30)의 외주연에 슬라이드되는 다수개의 이동부재(32)를 결속부재(33)로 고정 및 해제시켜 천공의 간격을 서류(3)의 사용처에 적합하도록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32)의 양측면중 직각을 이루고 있는 일측면에 대해 상기 스토퍼(80)의 하부측이 면접촉됨에 따라 테이블(10)은 일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서류(3)의 천공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 1샤프트(30)의 이동부재(32)를 서류(3)의 천공간격에 맞춰 설정한 후, 상기 테이블(10)의 일측에 설치된 작동레버(96)를 작동시켜 테이블(10)을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레버(96)의 작동과정은 앞에서 언급한 작동레버(96)의 작동과 동일하므로 인해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32)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32a)은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서류(3)를 천공하기 위해 이동하는 테이블(10)이 목적하는 이동거리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테이블(10)을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킬 때 상기 이동부재(32)의 경사면(32a)이 스토퍼(80)의 일측면을 가압함에 따라 테이블(10)의 이동이 허용되면서 서류(3)의 천공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류의 집철을 위한 천공시 천공간격이 서로 다른 제 1 및 제 2샤프트들을 서류의 종류 또는 사용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면서 서류의 천공간격, 즉 베이스상에서 이동되는 테이블의 이동거리를 서류의 천공간격에 적합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서류를 다양한 형태로 천공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사무실,은행 또는 영업소 등에서 기본적으로 자주 사용하게 되는 서류의 천공간격에 맞춰 제 1 및 제 2샤프트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샤프트 외측면에 여러 가지의 천공간격을 미리 설정한 후, 서류의 천공간격에 적합하도록 샤프트에 형성된 천공간격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서류의 천공간격조절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그 상부에 다수매 적층된 서류의 측면을 수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쌍의 가이드판을 갖는 테이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 포스트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 포스트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동판을 상.하이동시키는 핸들; 상기 이동판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전기적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핸들의 작동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테이블상에 안착된 다수매의 서류를 천공시키기 위한 천공드릴;을 갖는 천공장치로서,
    상기 테이블의 전방 양측벽에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그 내측에 관통공을 갖는 지지부;
    상기 테이블의 이동방향을 따라 적정한 길이의 고정축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의 관통공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축의 양측에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를 갖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고정축에서 외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나란히 배열되는 것으로, 그 양측이 제 1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연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이동부재가 설치되며, 이 이동부재를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결속부재를 갖는 제 1샤프트;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된 결속부재를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에 대해 제 1샤프트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 1회전수단;
    상기 회전체의 고정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샤프트와 동일한 반경을 가지면서 제 1샤프트와 대향되도록 나란히 배열되는 것으로, 그 양측이 제 2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모서리부에 서로 다른 간격으로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된 제 2샤프트;
    상기 제 2샤프트의 외측면에 형성된 모서리부의 수에 대응되도록 제 2샤프트를 상기 회전체에 대해 개별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 2회전수단;
    상기 회전체의 고정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을 가지면서 대향되게 배열된 제 1 및 제 2샤프트의 위치를 전환시켜주기 위한 전환수단;
    상기 베이스의 전방측 상부에 지지편을 갖는 브라켓이 고정설치되고, 이 지지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샤프트에 설치된 이동부재의 일측면과 상기 제 2샤프트에 형성된 삽입홈 각각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테이블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및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스토퍼를 상기 제 1샤프트의 이동부재와 제 2샤프트의 삽입홈 각각에 접촉.이탈시키는 이동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전수단은
    상기 제 1체결부재의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회전체의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관통공;
    상기 제 1,제 2관통공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제 1체결부재의 선단에 적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 1숫나사부 및 이 제 1숫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상기 제 1샤프트의 일측에 제 1암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제 1샤프트와 제 1체결부재의 나사체결시 상기 제 1체결부재의 머리부가 면접촉되는 외측 지지플레이트의 소정 위치에 상기 이동부재의 결속부재를 외향으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적정한 각도를 갖는 다수개의 제 1요홈;
    상기 다수개의 제 1요홈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 1요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체결부재의 머리부 소정위치에 제 1단턱이 형성된 제 1삽입공;
    상기 제 1삽입공의 제 1단턱에 개재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스프링; 및
    상기 제 1삽입공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제 1스프링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제 1요홈으로 끼워지도록 일측에 제 1가압판을 갖는 제 1작동핀이 설치되고, 그 타측에 상기 제 1스프링을 제 1가압판으로 가압하여 제 1작동핀을 제 1요홈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제 1체결부재와 제 1샤프트를 일체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 1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회전수단은
    상기 제 2체결부재의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회전체의 내측 및 외측 지지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된 제 3,제 4관통공;
    상기 제 3,제 4관통공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제 2체결부재의 선단에 적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 2숫나사부 및 이 제 2숫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상기 제 2샤프트의 일측에 제 2암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제 2샤프트와 제 2체결부재의 나사체결시 상기 제 2체결부재의 머리부가 면접촉되는 외측 지지플레이트의 소정 위치에 상기 제 2샤프트의 모서리부가 상기 스토퍼에 각각 대응되도록 적정한 각도를 갖는 다수개의 제 2요홈;
    상기 다수개의 제 2요홈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 2요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2체결부재의 머리부에 제 2단턱이 형성된 제 2삽입공;
    상기 제 2삽입공의 제 2단턱에 개재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스프링; 및
    상기 제 2삽입공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제 2스프링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제 2요홈으로 끼워지도록 일측에 제 2가압판을 갖는 제 2작동핀이 설치되고, 그 타측에 상기 제 2스프링을 제 2가압판으로 가압하여 제 2작동핀을 제 2요홈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제 2체결부재와 제 2샤프트를 일체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 2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샤프트를 6각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간격조절기를갖는 천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고정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면서 나란히 배열된 제 1 및 제 2샤프트에 대해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부의 관통공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3요홈;
    상기 제 3요홈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 3요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체의 외측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제 3단턱을 갖는 제 3삽입공;
    상기 제 3삽입공의 제 3단턱에 개재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3스프링; 및
    상기 제 3삽입공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제 3스프링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제 3요홈으로 끼워지도록 일측에 제 3가압판을 갖는 제 3작동핀이 설치되고, 그 타측에 상기 제 3스프링을 제 3가압판으로 가압하여 제 3작동핀을 제 3요홈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회전체를 지지부의 관통공에 대해 일체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 3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개폐수단은
    상기 테이블의 양측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1힌지축을 가지며, 그 상부측 일단이 상기 스토퍼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면접촉되면서 상기 제 1샤프트의 이동부재 또는 제 2샤프트의 삽입홈으로부터 스토퍼를 이탈시키는 작동바;
    상기 작동바의 후방에 적정한 길이를 갖도록 연장설치되는 연결편 및 이 연결편의 일단이 회동되도록 상기 테이블의 일측벽에 수직방향으로 적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작동모드홈;
    상기 작동모드홈에 끼워진 연결편의 일단이 끼워지도록 끼움공을 가지며, 그 측벽의 소정 위치에 연결편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 2힌지축을 갖는 작동레버; 및
    상기 작동레버의 소정 위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테이블의 일측벽에 고정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시 작동레버를 최초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
KR10-2002-0002327A 2002-01-15 2002-01-15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 KR100446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327A KR100446801B1 (ko) 2002-01-15 2002-01-15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327A KR100446801B1 (ko) 2002-01-15 2002-01-15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661A KR20030061661A (ko) 2003-07-22
KR100446801B1 true KR100446801B1 (ko) 2004-09-04

Family

ID=3221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327A KR100446801B1 (ko) 2002-01-15 2002-01-15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8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498A (ja) * 1992-09-22 1994-04-19 Nippon Seiki Kk 穿孔装置
KR970020351A (ko) * 1995-10-23 1997-05-28 김종명 천공장치
KR200237081Y1 (ko) * 2000-12-04 2001-09-25 (주)정신오.에이시스템 천공간격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전동식 천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498A (ja) * 1992-09-22 1994-04-19 Nippon Seiki Kk 穿孔装置
KR970020351A (ko) * 1995-10-23 1997-05-28 김종명 천공장치
KR200237081Y1 (ko) * 2000-12-04 2001-09-25 (주)정신오.에이시스템 천공간격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전동식 천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661A (ko) 200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15419B (zh) 一种用于服务器滑轨的锁定机构
KR20060093917A (ko)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와 천공제본기
US4008501A (en) Electrically actuated punching and binding apparatus
KR100446801B1 (ko) 천공간격조절기를 갖는 천공장치
US20060081106A1 (en) Vibration-type paper cutting device
KR101163648B1 (ko) 제본기의 스프링 제본 장치
US20080107500A1 (en) Modular punch/binding machine and punching module for the same
CN110834358A (zh) 可避免移位的薄膜打孔装置
TW200533489A (en) Hole punch
CN208977848U (zh) 一种智能机器人用的系统控制盒固定装置
KR100446802B1 (ko) 천공장치
KR100446804B1 (ko) 천공장치
KR100627660B1 (ko)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
CN112757384A (zh) 一种财务资料装订用打孔装置
CN211389080U (zh) 一种装订财务凭证用打孔机
CA2967789A1 (en) Eavestrough outlet cutter
CN206796008U (zh) 一种便携式打孔器
US3684391A (en) Machine for perforating paper sheets and the like
KR100187508B1 (ko) 서류 천공장치
CN207071989U (zh) 一种书口打孔器
KR200457418Y1 (ko) 천공제본장치
KR100893932B1 (ko) 제본기 펀치플레이트의 펀치 누름하중 분산장치
CN218802561U (zh) 一种纸板压痕切线机
KR20060032561A (ko) 동시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
CN211567394U (zh) 一种出版物印刷装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