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061Y1 - 일정 전압 공급 회로 - Google Patents

일정 전압 공급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061Y1
KR0138061Y1 KR2019960017765U KR19960017765U KR0138061Y1 KR 0138061 Y1 KR0138061 Y1 KR 0138061Y1 KR 2019960017765 U KR2019960017765 U KR 2019960017765U KR 19960017765 U KR19960017765 U KR 19960017765U KR 0138061 Y1 KR0138061 Y1 KR 01380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ator
input terminal
inverting input
switching means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7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4675U (ko
Inventor
김홍식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60017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061Y1/ko
Publication of KR9800046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6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0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1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an operational amplifier as final control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as a func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 load, e.g. delay, temperature, specific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as a func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 load, e.g. delay, temperature, specific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 G05F1/467Sources with noise compen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 전압 공급 회로에 관해 게시한다. 본 고안은 입력 전압을 입력되면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력단에 비반전 입력 단자와 반전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출력단은 상기 스위칭 수단에 연결된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제어 단자에 출력단이 연결되고 입력단은 Vcc에 연결되어 상기 비교기에 인가되는 Vcc를 비교기의 반전 입력 단자와 비반전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일정 시간 지연시켜서 상기 비교기가 외부 노이즈에 무관하게 정상 동작하게 하는 지연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비교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정 전압 공급 회로
제1도는 종래의 일정 전압 공급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정 전압 공급 회로도.
제3도는 상기 제2도에 도시된 비교기의 전압 파형도이다.
본 고안은 일정 전압 공급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정된 초기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일정 전압 공급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이용하는 모든 시스템은 일정한 전원을 필요로 한다. 전원은 시스템의 용도에 따라 높은 전압이 요구되기도 하고 때로는 낮은 전압이 요구되기도 한다. 그런데 전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조건은 일정한 전압을 공급해야 한다는 것이다. 만일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지 못하면 시스템이 불안한 동작을 하게 되어 원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없게 될 수가 있다. 때문에 어떠한 조건하에서도 전원은 일정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일정 전압 공급 회로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회로는 입력 전압인 Vi를 입력으로 하여 회로의 동작을 온(on)시키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력단에 일단들이 연결된 제1저항 및 제2저항과, 상기 제2저항의 타단은 N노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N노드에 일단이 연결된 제3저항과, 상기 제1저항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된 제4저항, 및 상기 제1저항의 타단에 비반전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의 타단에 반전 입력단자가 연결되며 제어 단자에 Vcc가 연결되고 출력단은 상기 스위칭 수단에 연결된 비교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N노드를 통해서 출력 전압인 Vo가 출력된다.
상기 스위칭 수단으로 트랜지스터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제1도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은 Vi가 입력되면 상기 스위칭 수단이 연결되어 상기 비교기의 입력단에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반전 입력 단자보다는 비반전 입력 단자에 더 큰 전압이 인가되어 비교기의 출력단으로 Vcc가 출력된다. 만일 Vo가 증가하면 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이 비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보다 증가하게 된다. 그러면 비교기는 접지 전압을 출력하게 되어 상기 스위칭 수단은 단락되어 Vo는 감소하게 된다. Vo가 감소하면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증가하여 반전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커지게 돠어 다시 비교기는 Vcc를 출력하고 스위칭 수단은 연결되어 Vo는 다시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어 Vo는 일정한 전압을 나타낸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입력 전압이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되자마다 Vcc와 입력전압들이 상기 비교기에 동시에 인가되기 때문에 노이즈나 외부 잡음이 회로에 유입될 경우 비교기가 오동작하는 수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교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일정전압 공급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입력 전압을 입력되면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력단에 비반전 입력 단자와 반전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출력단은 상기 스위칭 수단에 연결된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제어 단자에 출력단이 연결되고 입력단은 Vcc에 연결되어 상기 비교기에 인가되는 Vcc를 비교기의 반전 입력 단자와 비반전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일정 시간 지연시켜서 상기 비교기가 외부 노이즈에 무관하게 정상 동작하게 하는 지연 수단을 구비하는 일정 전압 공급 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또한 입력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회로의 동작을 온시키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력단에 일단들이 연결된 제1저항 및 제2저항과, 상기 제2저항의 타단은 N노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N노드에 일단이 연결된 제3저항과, 상기 제1저항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된 제4저항, 및 상기 제1저항의 타단에 비반전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의 타단에 반전 입력단자가 연결되며 출력단은 상기 스위칭 수단에 연결된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제어 단자에 출력단이 연결되고 입력단은 Vcc에 연결되어 Vcc를 일정 시간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 및 상기 N노드에 연결된 출력 전압 단자를 구기하는 일정 전압 공급 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하여 비교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 회로를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정 전압 공급 회로도이다. 제2도 중 제1도와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소자를 나타낸다. 제2도에 도시된 회로는 입력 전압인 Vi를 입력으로 하여 회로의 동작을 온시키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력단에 일단들이 연결된 제1저항 및 제2저항과, 상기 제2저항의 타단은 N노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N노드에 일단이 연결된 제3저항과, 상기 제1저항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된 제4저항, 및 상기 제1저항의 타단에 비반전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의 타단에 반전 입력단자가 연결되며 출력단은 상기 스위칭 수단에 연결된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제어 단자에 출력단이 연결되고 입력단은 Vcc에 연결되어 상기 비교기에 인가되는 Vcc를 비교기의 반전 입력 단자와 비반전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일정 시간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N노드를 통해서 출력 전압인 Vo가 출력된다.
상기 스위칭 수단으로 트랜지스터나 전계효과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제2도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은 Vi가 입력되면 상기 스위칭 수단이 연결되어 상기 비교기의 입력단에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반전 입력 단자보다는 비반전 입력 단자에 더 큰 전압이 인가되어 비교기의 출력단으로 Vcc가 출력된다. 이 때 Vcc는 상기 지연 수단에 의하여 반전 입력 단자와 비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보다 일정 시간 지연된 상태에서 비교기에 인가되기 때문에 비교기는 안정하게 동작하게 된다. 제3도의 t1이 바로 상기 지연 수단에 의하여 지연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만일 Vo가 증가하면 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이 비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보다 증가하게 된다. 그러면 비교기는 접지 전압을 출력하게 되어 상기 스위칭 수단은 단락되어 Vo는 감소하게 된다. Vo가 감소하면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증가하여 반전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커지게 돠어 다시 비교기는 Vcc를 출력하고 스위칭 수단은 연결되어 Vo는 다시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어 Vo는 일정한 전압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고안에 따르면 입력 전압이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되면 입력 전압들이 상기 비교기에 인가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Vcc가 비교기의 제어 단자에 인가되기 때문에 노이즈나 외부 잡음이 회로에 유입될 경우에도 비교기는 전혀 영향을 받지않고 정상 동작을 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2)

  1. 입력 전압을 입력되면 연결되는 스위칭 수단;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력단에 비반전 입력 단자와 반전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출력단은 상기 스위칭 수단에 연결된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제어 단자에 출력단이 연결되고 입력단은 Vcc에 연결되어 상기 비교기에 인가되는 Vcc를 비교기의 반전 입력 단자와 비반전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일정 시간 지연시켜서 상기 비교기가 외부 노이즈에 무관하게 정상 동작하게 하는 지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전압 공급 회로.
  2. 입력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회로의 동작을 온시키는 스위칭 수단; 상기 스위칭 수단의 출력단에 일단들이 연결된 제1저항 및 제2저항과; 상기 제2저항의 타단은 N노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N노드에 일단이 연결된 제3저항과; 상기 제1저항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된 제4저항; 상기 제1저항의 타단에 비반전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의 타단에 반전 입력단자가 연결되며 출력단은 상기 스위칭 수단에 연결된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제어 단자에 출력단이 연결되고 입력단은 Vcc에 연결되어 Vcc를 일정 시간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 및 상기 N노드에 연결된 출력 전압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전압 공급 회로.
KR2019960017765U 1996-06-27 1996-06-27 일정 전압 공급 회로 KR01380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7765U KR0138061Y1 (ko) 1996-06-27 1996-06-27 일정 전압 공급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7765U KR0138061Y1 (ko) 1996-06-27 1996-06-27 일정 전압 공급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675U KR980004675U (ko) 1998-03-30
KR0138061Y1 true KR0138061Y1 (ko) 1999-04-01

Family

ID=19459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7765U KR0138061Y1 (ko) 1996-06-27 1996-06-27 일정 전압 공급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0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675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4887A (en) Inrush current limiting circuit
KR100700406B1 (ko) 전압 레귤레이터
KR970066781A (ko) 기준 전압원 회로 및 전압 피드백 회로
US5883532A (en) Power-on reset circuit based upon FET threshold level
US4952863A (en) Voltage regulator with power boost system
US6515462B2 (en) Power supply device
KR0138061Y1 (ko) 일정 전압 공급 회로
KR0134287Y1 (ko) 병렬 접속된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의 과도전압 보호장치
KR20010012426A (ko) 래치-엎을 억압하기 위한 전압 조절기회로
KR100473216B1 (ko) 강하하는전원에서적절한리셋을보장하는리셋시스템
KR100462015B1 (ko) 전원 과도 특성 절감 회로
KR200142710Y1 (ko)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시간 지연회로
US20070146016A1 (en) Signal output circuit and power source voltage monitoring device using the same
KR0126459Y1 (ko) 전원 보호 회로
KR0166201B1 (ko) 적분기를 이용한 온/오프 지연시간 제거시스템
GB2088161A (en) Bulb Driver with Short Circuit Protection
KR100431336B1 (ko) 히스테리시스형전압감시회로
KR920002026Y1 (ko) 메모리 보호회로
JPH02201618A (ja) システムリセット回路
JPH0934569A (ja) レギュレータ回路
KR200156174Y1 (ko) 리셋신호 안정화회로
KR0132407Y1 (ko) 전원전압 감소 검출회로
SU1287131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с защитой
JPS6369415A (ja) 異常電圧保護回路
JPH0245813A (ja) 集積電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