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710Y1 -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시간 지연회로 - Google Patents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시간 지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710Y1
KR200142710Y1 KR2019940036292U KR19940036292U KR200142710Y1 KR 200142710 Y1 KR200142710 Y1 KR 200142710Y1 KR 2019940036292 U KR2019940036292 U KR 2019940036292U KR 19940036292 U KR19940036292 U KR 19940036292U KR 200142710 Y1 KR200142710 Y1 KR 200142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mode power
time
switching mode
s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6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825U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40036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710Y1/ko
Publication of KR9600258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8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7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소정 시간 지연시킨 후 부하에 공급한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시간 지연회로는,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소정 지연시키기 위한 시간을 설정하는 지연시간 설정수단과 ; 상기 설정된 지연시간 이전에는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차단시키고, 상기 설정된 지연시간 이후에는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정전압으로 조정하여 외부의 부하로 공급하는 정전압 조정수단으로 구성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SMPS에 걸리는 과부하를 해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SMPS의 스트레스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시간지연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간 지연회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간 지연회로의 구성도.
제3도는 제1도의 구성에서 동작신호들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SMPS)
20 : 지연시간 결정부 30, 60 : 정전압 회로 제어부
40 : 정전압 회로 50 : 영상 재생장치
70 : 레귤레이터 C1 : 캐패시터
D1, D2 : 다이오드 OP1 : 연산증폭기
R1∼R8 : 저항 Q1∼Q3 :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 이하 SMPS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SMPS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소정 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SMPS의 시간 지연회로에 관한 것이다.
SMPS는 각종 전기,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장치로 이용되는데, SMPS의 부하 예를 들어, 영상 재생장치에서는 급격한 초기전류에 의하여 SMPS에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SMPS의 스트레스(stress)비가 상승하거나 SMPS의 용량을 과설계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SMPS에 걸리는 과부하 문제를 해소시키기 위한 SMPS의 시간 지연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SMPS의 스트레스비를 감소시키는 SMPS의 시간 지연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SMPS의 전원용량을 과설계하는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SMPS의 시간 지연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에 따라, 본 고안은 SMPS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소정 지연시킨 후 SMPS에 연결되는 부하에 공급하는 SMPS의 시간 지연회로를 향한 것이다.
SMPS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소정 부하에 공급하는 본 고안에 따른 SMPS의 시간 지연회로는, SMPS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소정 지연시키기 위한 시간을 설정하는 지연시간 설정수단과 ; 상기 설정된 지연시간 이전에는 SMPS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차단시키고, 상기 설정된 지연시간 이후에는 SMPS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정전압으로 조정하여 외부의 부하로 공급하는 정전압 조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의 참조부호에 대해서는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간 지연회로의 구성도이다.
상기 시간 지연회로는 교류전원을 입력하여 안정화된 직류전압을 동작전원으로서 출력하는 SMPS(10)와,
SMPS(10)의 출력단(VOUT, GND)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는 일련의 직렬접속된 저항(R1), 캐패시터(C1) 및 저항(R2)과, 저항(R1)과 캐패시터(C1)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는 다이오드(D1)로 구성되는 지연시간 결정부(20)와,
지연시간 결정부(20)의 캐패시터(C1)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이미터가 접지단(GND)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1)와, 접지단(GND)에 컬렉터가 연결되며 베이스가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2)와,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R3)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SMPS(10)의 출력단(VOUT)의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R4)으로 구성되는 정전압회로 제어부(30)와,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에 출력단자가 연결되며 비반전단자에 기준전압(VREF)이 인가되는 연산증폭기(OP1)와, SMPS(10)의 출력단(VOUT)에 컬렉터가 연결되고 연산증폭기(OP1)의 반전단자에 이미터가 연결되며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자에 베이스가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3)와, SMPS(10)의 출력단(VOUT)과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자의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R5)과,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자와 접지단(GND)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너다이오드(D2)와, 트랜지스터(Q3)의 이미터와 연산증폭기(OP1)의 반전단자의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R6)과, 연산증폭기(OP1)의 반전단자와 접지단(GVD)의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R5)으로 구성되는 정전압회로(40)와,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입력단(VIN)이 연결되는 영상 재생장치(50)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간 지연회로의 구성도이다.
상기 시간 지연회로는 교류전원을 입력하여 안정화된 직류전압을 동작전원으로서 출력하는 SMPS(10)와,
SMPS(10)의 출력단(VOUT, GND)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는 일련의 직렬접속된 저항(R1), 캐패시터(C1) 및 저항(R2)과, 저항(R1)과 캐패시터(C1)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는 다이오드(D1)로 구성되는 지연시간 결정부(20)와, 지연시간 결정부(20)의 캐패시터(C1)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이미터가 접지단(GND)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1)와,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에 일측이 연결되는 저항(R3)으로 구성되는 정전압회로 제어부(60)와, 입력단(IN)이 SMPS(10)의 출력단(VOUT)에 연결되고 정전압회로 제어부(60)의 저항(R3)의 타측이 제어신호 입력단(ADJ)에 연결되는 레귤레이터(70)와,
레귤레이터(70)의 출력단(OUT)에 입력단(VIN)이 연결되는 영상 재생장치(5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레귤레이터(70) 및 영상 재생장치(50)는 각각 접지단(GND)을 구비하고 있다.
제3도는 제1도의 구성에서 동작신호들의 파형을 도시한 것으로, 제3도(a)는 SMPS(10)의 출력단(VOUT)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압을 도시한 것이고, 제3도(b)는 캐패시터(C1)의 충전전류 및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류를 도시한 것이고, 제3도(c)는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전압을 도시한 것이고, 제3도(d)는 트랜지스터(Q2)의 이미터 전압을 도시한 것이고, 제3도(e)는 정전압회로(4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제1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SMPS의 시간 지연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SMPS(10)에서 출력되는 제3도(a)와 같은 동작전원은 지연시간 설정부(20)의 저항(R1)을 통해 캐패시터(C1)에서 충전된다. 캐패시터(C1)를 통해 흐르는 구간(I)에서의 충전전류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인가되고, 이때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에도 저항(R4) 및 저항(R3)을 통한 전류가 흐르므로 트랜지스터(Q1)는 턴온된다.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와 이미터 경로를 통한 전류가 흐르므로 정전압회로 제어부(30)의 트랜지스터(Q2)는 턴온된다. 트랜지스터(Q3)의 바이어스저항(R5)을 통한 SMPS(10)로부터의 동작전원이 트랜지스터(Q2)로 흐르기 때문에 정전압회로(40)의 출력전압은 출력되지 않는다. 즉, 트랜지스터(Q3)는 턴오프되므로 영상 재생장치(50)의 입력단(VIN)에는 정전압회로(40)로부터의 출력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한편 캐패시터(C1)의 용량에 따라 일정 시간이 지닌 제3도의 구간(J)에서 캐패시터(C1)의 충전전류는 흐르지 않게 된다. 그러면 트랜지스터(Q1)이 턴오프되고, 저항(R4)을 통해서 하이레벨의 동작전원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3)는 정상적인 바이어스전류를 저항(R5)을 통해 공급받아 턴온되며, 정전압회로(40)는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즉, 캐패시터(C1)에 의해 소정 시간 지연된 SMPS(10)로부터의 동작전원이 영상 재생장치(50)의 입력단(VIN)으로 공급된다.
상기에서 지연시간 결정부(20)의 다이오드(D1)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과도한 전압이 인가될때 트랜지스터(Q1)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고, 저항(R2)는 바이어스 및 이상 노이즈에 의한 트랜지스터(Q1)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제2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간 지연회로에서도 동일하게 수행된다. 즉, 제1도와 같은 정전압회로(40)를 대신하여 집적회로의 레귤레이터(70)를 이용한 것으로, SMPS(10)로부터의 동작전원을 소정 지연한후 안정화된 동작전원을 영상 재생장치(50)의 입력단(VIN)에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부하조건에 따라 소정 시간 지연한 후 공급함으로써, SMPS에 걸리는 과부하를 해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SMPS의 스트레스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소정 지연시키기 위한 시간을 설정하는 지연시간 설정수단과 ; 상기 설정된 지연시간 이전에는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차단시키고, 상기 설정된 지연시간 이후에는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정전압으로 조정하여 외부의 부하로 공급하는 정전압 조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시간 지연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지연시간 동안에는 상기 정전압 조정수단을 차단시키기 위한 차단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설정된 지연시간 이후에는 상기 정전압 조정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시간 지연회로.
  3.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단에 병렬접속되며,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소정 시간동안 충전시키는 캐패시터와 ; 상기 캐패시터가 충전동작을 수행할시 도통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캐패시터의 충전시간이 지난 이후에는 차단상태를 나타내는 제1스위칭 수단과 ; 상기 제1스위칭 수단이 도통될시는 차단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제1스위칭 수단이 차단될시는 도통상태를 나타내는 제2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스위칭 수단은, 상기 캐패시터의 충전시간동안에는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단에서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차단시키고, 상기 캐패시터의 충전시간 이후에는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원을 외부의 부하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시간 지연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로부터 상기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단에 순방향으로 접속되는 다이오드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시간 지연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제1스위칭 수단 및 제2스위칭 수단이 NPN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시간 지연회로.
KR2019940036292U 1994-12-27 1994-12-27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시간 지연회로 KR200142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6292U KR200142710Y1 (ko) 1994-12-27 1994-12-27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시간 지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6292U KR200142710Y1 (ko) 1994-12-27 1994-12-27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시간 지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825U KR960025825U (ko) 1996-07-22
KR200142710Y1 true KR200142710Y1 (ko) 1999-06-01

Family

ID=19403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6292U KR200142710Y1 (ko) 1994-12-27 1994-12-27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시간 지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71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5709A (ko) * 1997-12-27 1999-07-15 김영환 멀티 전원회로에서의 특정전원 지연 회로
KR100704119B1 (ko) * 2005-12-14 2007-04-06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전류 제어 스위칭 모드 전력 공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825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0406B1 (ko) 전압 레귤레이터
US5374887A (en) Inrush current limiting circuit
US6445167B1 (en) Linear regulator with a low series voltage drop
WO1986005926A1 (en) Method and circuit for providing adjustable control of short circuit current through a semiconductor device
US5034676A (en) Direct current power supply circuit having automatic linear and switching modes
US6133766A (en) Control circuit for the current switch edges of a power transistor
US5625518A (en) Clamping circuit with reverse polarity protection
JP3821717B2 (ja) 直流安定化電源装置
KR200142710Y1 (ko)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시간 지연회로
EP0662747B1 (en) A DC/DC converter for outputting multiple signals
KR20080000542A (ko) 스위칭 레귤레이터
US20110216461A1 (en) System and Method to Limit In-Rush Current
JP347069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
KR100536577B1 (ko) 휴대용 전자 장치의 서지/돌입 전류 제한 회로
JP4403288B2 (ja) レギュレータ回路
KR19990023907A (ko) 전원 공급 어댑터 회로
KR19980017810A (ko) 모니터의 전원 전류 감지 장치
JP3629912B2 (ja) Dc/dcコンバ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JPH0744248A (ja) 定電圧回路
KR890009007Y1 (ko) 정전압 전원장치
KR100264892B1 (ko) 전류제한회로
JPH08106331A (ja) 電源制御装置
KR200141249Y1 (ko) 세탁기 리셋회로
KR200321222Y1 (ko) 과전류 방지 장치
JP2811904B2 (ja) 電源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