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002Y1 - 차폭표시부재가 설치된 보조 후진등 - Google Patents

차폭표시부재가 설치된 보조 후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002Y1
KR0138002Y1 KR2019960050274U KR19960050274U KR0138002Y1 KR 0138002 Y1 KR0138002 Y1 KR 0138002Y1 KR 2019960050274 U KR2019960050274 U KR 2019960050274U KR 19960050274 U KR19960050274 U KR 19960050274U KR 0138002 Y1 KR0138002 Y1 KR 01380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versing
light
display member
vehicl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7256U (ko
Inventor
안상준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50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002Y1/ko
Publication of KR199800372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2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0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retractable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revers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3Manually actuated switch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폭표시부재가 설치된 보조 후진등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에 자동차가 후진을 할 때 운전석에 구비된 수위칭수단에 의하여 차량의 후미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 가능토록 후방측부에서 보조 후진등이 인출되어 비추는 동시에 차체의 폭을 인지하도록하여 후진시 충돌을 방지하도록한 차폭표시부재가 설치된 보조 후진 등에 관한 것인바, 종래의 후진등은 자차의 진행방향을 비추도록 되어 있지만 설치된 부위가 정 후면 부위여서 후방의 측부는 후진시 운전자가 파악하기가 어려웠으며, 또한 후진시 자차의 차폭과 자차주변에 정지된 물체와의 거리 및 간격을 인지하기 어려워 접촉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차량의 후진시 스위칭수단에 의하여 측후방에서 인출되어 후방을 비춤과 동시에 자차의 폭을 표시하는 차폭표시부재가 돌출되어 운전자가 용이하게 차폭을 파악할 수 있도록하며, 또한 자차의 폭을 인지하도록하여 후진시 측방의 물체와 부딪쳐 차량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차폭표시부재가 설치된 보조 후진등
본 고안은 차폭표시부재가 설치된 보조 후진등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에 자동차가 후진을 할 때 운전석에 구비된 수위칭수단에 의하여 차량의 후미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 가능토록 후방측부에서 보조 후진등이 인출되어 비추는 동시에 차체의 폭을 인지하도록하여 후진시 충돌을 방지하도록한 차폭표시부재가 설치된 보조 후진 등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등화장치는 그 기능면에서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그것은 대상물을 잘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명과 다른 차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차의 주행상태를 알리는 목적으로 하는 신호 기능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면 좌·우에는 턴 시그널과 차폭 등을 일체로 한 프론트 콤비네이션 램프(front combination lamp)가 있고, 후면에도 후미등, 제동등 후진등 그리고 방향지시등을 일체로 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rear combination lomp)가 있다. 이들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조는 각 램프의 기능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상대차가 오인을 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각 램프 전구의 필라멘트가 각각 독립된 포물형 반사경의 초점에 일치하도록 각각의 소켓에 연결한다, 또 커버 렌즈는 표면이 평평하고, 외관은 1개의 램프로 형성된 투광성 합성 수지로 만들어져 있다. 후비등 부분은 적색의 후부 반사기로, 후진등 부분은 백색 그리고 방향지시등은 황색으로 분활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각 램프에 있어서, 차가 후진할 때 뒤쪽의 장애물을 확인하고, 또 후방에 대해 차가 후진하는 것을 알리는 신호로도 사용되며, 상기 후진등은 뒷범퍼 부근에 부착하거나 콤비네이션 램프와 일체로 되어 있고,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를 후진위치에 넣으면 전구가 등화되는 구조로 전구는 15∼27W정도를 사용한다.
상기의 후진등은 자차의 진행방향을 비추도록 되어 있지만 설치된 부위가 정 후면 부위여서 후방의 측부는 후진시 운전자가 파악하기가 어려웠으며, 또한 후진시 자차의 차폭과 자차주변에 정지된 물체와의 거리 및 간격을 인지하기 어려워 접촉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이의 목적은 차량의 후진시 스위칭수단에 의하여 측후방에서 인출되어 후방을 비춤과 동시에 자차의 폭을 표시하는 차폭표시부재가 돌출되어 운전자가 용이하게 차폭을 파악할 수 있도록하며, 또한 자차의 폭을 인지하도록하여 후진시 측방의 물체와 부딪쳐 차량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석에 구비된 스위칭수단과, 차체 측후방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서 인출되어 후방을 비추는 라이트부재가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장공과, 상기 몸체 하단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후방차체에 설치된 랙기어와, 상기 몸체의 인입출시 이탈을 방지하는 브라켓과, 상기 스위칭수단에 의하여 작동되는 정·역모터와,상기 랙기어와 치합되어 모터의 구동축에 축설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가 설치된 구동축의 타단에 축설된 제1베밸기어와, 이에 치합되는 제2베밸기어와, 상기 제2베밸기어가 축설되며 타단은 차폭현광부재와 연결된 회동축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에 따른 보조 후진등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인 보조 후진등의 인입, 인출장치의 발췌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보조 후진등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차폭표시부재가 설치된 보조 후진등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가)는 작동전이며 (나)는 작동후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모터3 : 피니언
4 : 랙기어5 : 제1배벨기어
6 : 제2배벨기어7 : 몸체
10 : 차체11 : 개구부
21 : 구동축61 : 제 1 면
72 : 제 2 면73 : 제 3 면
74 : 힌지75 : 라이트부재
76 : 장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에 따른 보조 후진등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인 보조 후진등의 인입, 인출장치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보조 후진등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로써, 이에 따르면 운전석에 구비된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정·역모터(2)가 히전되면 상기 모터(2)의 구동축(2)도 회전한다.
한편, 상기 구동축(21)에는 피니언기어(3)와 제1베밸기어(5)가 축설되며, 피니언기어(3)는 차체에 일측이 힌지고정(74)되고, 인출시 차량의 후미를 향하는 제1면(71)에는 차량의 전원인 밧데리와 연결된 라이트부재(75)가 설치되며, 제2면(72)은 차체의 외부판넬(10)과 동일한 면을 구성하고 상부에는 장공(76)을 형성되되 차체(7)의 내측으로 향하는 삼각형상을 한 몸체의 제3면에서 직각되게 차체의 개구부 내측으로 일체로 형성된 랙기어(4)와 치합 설치되며 차체(73)의 내측에는 랙기어(4)의 동작시 이탈을 방지하는 브라켓(4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베밸기어(5)는 제2베밸기어(6)와 치합되되 제2베밸기어(6)의 회동축(61) 끝단은 제 2면(72)과 제 3면(73)이 만나는 모서리에 힌지(74)고정된 몸체(7)의 상면에 설치된 차폭표시부재(9)와 연결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2면(72)의 상부에는 차폭표시부재(9)의 절첩시 차체의 개구부(11) 선단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장공(76)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은 차량이 야간에 후진을 할 때 운전자는 운전석에 구비된 스위칭수단을 작동시키면 상기 스위칭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모터(2)가 구동되어 구동축(21)을 회동시킨다.
한편, 상기 구동축(21)에 축설된 피니언기어(3)가 회전되어 이와 치합되어 있던 랙기어(4)를 수직이동 시키며, 상기 랙기어(4)의 운동은 몸체(7)에 전달되어 차체에 형성된 개구부(11)로 부터 몸체(7)를 이탈시킨다.
상기 몸체(7)는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의 측후방에서 인출되어 라이트부재(75)가 후미를 비추게되며, 이때 상기 구동축에 축설된 제 1베밸기어(5)가 회동되어 제 2베밸기어(6)를 회동시킨다. 상기 제 2베밸기어(6)가 회동되면 이에 연결되어 고정된 회동축(61)이 회동되어 이의 끝단에 설치된 차폭표시부재(9)를 장공(76)에서 수직되게 인출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어 차량후미를 비추는 보조후진등(1)은 기설치된 보조등이 후진시 비추는 폭과 조도를 보다 넓고 높게 하여 운전자가 후진시 후미의 사물을 파악하기 용이하게 하고 또한 몸체(7)에 설치된 차폭표시부재(9)에 의하여 자신의 차폭이 얼마이며, 인식된 후미의 공간과는 어떠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지를 운전자에게 인식시켜 후진시 추돌을 방지하고 자차 또한 파손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한편 상기의 보조후진등을 사용후 스위칭수단을 작동시키면 모터(2)가 역회전하여 인출시와는 회동기구들이 반대로 회전되어 절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본 고안의 차폭표시부재가 설치된 보조 후진등은 차량의 후진시 스위칭수단에 의하여 측후방에서 인출되어 후방을 비춤과 동시에 자차의 폭을 표시하는 차폭표시부재가 돌출되어 운전자가 용이하게 차폭을 파악할 수 있도록하며, 또한 자차의 폭을 인지하도록하여 후진시 측방의 물체와 부딪쳐 차량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의 후진 시 차량의 후미를 비추는 후진등에 있어서,
    차체 측후방에 형성된 개구부(11)와,
    상기 개구부(11)에서 인출되어 후방을 비추는 라이트부재(75)가 설치되어 차체에 일측이 힌지(74)고정된 몸체(7)와,
    상기 몸체(7) 하단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랙기어(4)와,
    상기 스위칭수단에 의하여 작동되는 정·역모터(2)와,
    모터(2)의 구동축(21)에 축설되어 랙기어(5)에 치합된 피니언기어(3)와,
    상기 피니언기어(3)가 설치된 구동축(21)의 타단에 축설된 제1베밸기어(5)와,
    이에 치합되는 제2베밸기어(6)와,
    상기 제2베밸기어(6)가 고정 설치된 회동축(61)과,
    상기 회동축(61)의 끝단에 연결 고정된 차폭표시부재(9)로 이루어진 차폭표시부재가 설치된 보조 후진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인출시 차량의 후미를 향하는 제1면(71)에는 차량의 전원인 밧데리와 연결된 라이트부재(75)가 설치되며, 절첩시 차체(10)와 수평면을 이루는 제2면(72)과, 차체의 내측으로 향하는 제3면(73)으로 이루어져 제 2면(72)과 제 3면(73)이 만나는 모서리가 차체(10)에 힌지(74)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폭표시부재가 설치된 보조 후진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7)를 구성하는 제2면(72)의 상부에 차폭표시부재(9)가 절첩시 차체에 간섭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공(76)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폭표시부재가 설치된 보조 후진등.
KR2019960050274U 1996-12-17 1996-12-17 차폭표시부재가 설치된 보조 후진등 KR0138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274U KR0138002Y1 (ko) 1996-12-17 1996-12-17 차폭표시부재가 설치된 보조 후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274U KR0138002Y1 (ko) 1996-12-17 1996-12-17 차폭표시부재가 설치된 보조 후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256U KR19980037256U (ko) 1998-09-15
KR0138002Y1 true KR0138002Y1 (ko) 1999-04-01

Family

ID=19479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274U KR0138002Y1 (ko) 1996-12-17 1996-12-17 차폭표시부재가 설치된 보조 후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0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256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3155A (en) Side mounted rear view mirror with brake light
US4802069A (en) Retractable tire change lights for automotive vehicle
KR101734258B1 (ko) 차량용 위험 표시 장치
KR0138002Y1 (ko) 차폭표시부재가 설치된 보조 후진등
JPS6323235Y2 (ko)
JPS6341239Y2 (ko)
JPH033077Y2 (ko)
US1937724A (en) Automobile headlight
KR0124410B1 (ko) 자동차용 헤드 라이트의 광색 변환 장치
KR200164298Y1 (ko) 승합차용 후사경
JP3829899B2 (ja) 車両の後輪照明装置
KR200234344Y1 (ko) 승합차용 후사경
KR200421686Y1 (ko) 후방등을 겸비한 측면 깜박이
KR200249373Y1 (ko) 라이트가 구비된 후방미러조립체
KR100269971B1 (ko) 차량의 위험 표지판 겸용 스톱램프
KR19980059605A (ko) 야간 인식등을 구비한 자동차의 백 미러
KR200237308Y1 (ko) 차량용후사경에형성된보조등의점등구조
KR20010002153A (ko) 차량용 보조 후진등
KR200167644Y1 (ko) 차량용 보조 후진등
KR0135631Y1 (ko) 자동차의 전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
CN2281922Y (zh) 多功能汽车后视镜
KR0112379Y1 (ko) 자동차용 헤드라이트의 렌즈이동장치
TWI296981B (ko)
KR19980040766U (ko) 야간 인식 등을 구비한 자동차의 백 미러
JP3067647U (ja) 自動回転カ―ライ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