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927Y1 -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 - Google Patents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927Y1
KR0137927Y1 KR2019940035385U KR19940035385U KR0137927Y1 KR 0137927 Y1 KR0137927 Y1 KR 0137927Y1 KR 2019940035385 U KR2019940035385 U KR 2019940035385U KR 19940035385 U KR19940035385 U KR 19940035385U KR 0137927 Y1 KR0137927 Y1 KR 0137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lead
tray
seated
package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5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467U (ko
Inventor
허진구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20199400353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927Y1/ko
Publication of KR9600254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4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92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33Trays for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트레이에서 패키지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이 수직상태에서 지지하고 있는 형상이었기 때문에 패키지의 리드가 휘어진 상태로 안착되었을 때 별도로 리드를 펴주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는 바, 트레이(T)의 패키지 고정부(14)를 패키지 리드(12)의 하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패키지 고정부(14)를 소정의 각도(α)만큼 확장 형성하여 패키지의 몸체(11)를 지지하도록 한 본 고안을 제공하여 리드의 굽음 또는 휨이 발생된 패키지가 트레이에 안착되면서 동시에 리드의 형상을 본래의 모양대로 회복시킬 수 있어 패키지 제조공정의 불량을 줄일 수 있고, 리드의 편평도가 일정하게 되어 패키지의 기판 실장시의 납땜성이 향상되며, 아울러 제품의 전기적 테스트시에 접촉불량에 의한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 트레이에 패키지가 안착되어 있는 상태도.
제3도는 종래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의 문제점인 리드의 휨이 발생한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에 패키지가 안착된 상태도.
제5도는 제4도의 A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패키지 몸체 12 : 패키지의 리드
13 : 패키지 고정부 14 : 패키지 몸체 저면 안착면
15 : 패키지 몸체 측면 안착면 16 : 리드 밀착 지지면
본 고안은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TRAY)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레이의 패키지 고정부를 패키지 리드의 하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 형성하여 리드의 굽음 또는 휨이 발생된 패키지가 트레이에 안착되면서 동시에 리드의 형상을 본래의 모양대로 회복시킬 수있도록 한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패키지(도면에 예시한 패키지는 QFP(Quad Flat Package) )는 패키지를 이동하거나, 포장할 때 트레이를 사용하게 되는 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패키지(1)(1')가 하나의 트레이(T)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트레이에 안착되는 패키지는 제2도에서와 같이, 트레이(1)의 패키지 몸체 안착부(3)에 의해 몸체(1)가 지지되고, 상기 패키지 몸체 안착부(3)의 사방에는 패키지 고정부(4)가 돌출 형성되어 패키지가 유동되지 않고 트레이에 고정되도록 한다.
미설명 부호 2는 패키지의 리드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 구조에서는 트레이의 패키지 몸체 안착부(3)의 4면에 걸쳐 형성되는 패키지 고정부(4)가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형상이기 때문에 단순히 패키지의 유동을 최소화하는 역할밖에는 수행하지못하는 한계를 갖는 것이었다.
즉, 제3도와 같이, 패키지의 리드(2')가 휘어지는 불량이 발생되었을 때, 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의 패키지 고정부의 형상을 변경하여 패키지 리드 휨 발생시 트레이에 패키지를 수납시키는 과정에서 리드의 휨을 바로 잡도록 하려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트레이의 상면에 패키지 고정부를 돌출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고정부의 내측에는 패키지 몸체의 저면이 안착되는 패키지 몸체 저면 안착면과 패키지 몸체 측면의 하반부가 안착되는 패키지 몸체 측면 안착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패키지 고정부의 외측에는 리드의 포밍 형상과 일치하는 단면을 가지고 리드의 내측면을 밀착, 지지하는 리드 밀착 지지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에 패키지가 안착된 상태도이고, 제5도는 제4도의 A부 확대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는 트레이(T)의 상면에 패키지 고정부(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키지 고정부(13)은 내측에는 패키지 몸체(11)의 저면이 안착되는 패키지 몸체 저면 안착면(14)과 패키지 몸체(11)의 측면 하반부가 안착되는 패키지 몸체 측면 안착면(15)이 형성됨과 아울러 패키지 고정부(13)의 외측에는 리드(12)를 밀착, 지지하는 리드 밀착 지지면(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키지 몸체 저면 안착면(14)은 패키지 몸체(11)의 저면이 밀착될 수 있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패키지 몸체 측면 안착면(15)은 패키지 몸체(11)의 측면 하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 α를 가지고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각도 α는 패키지의 종류 및 모양에 따라 그 크기를 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리드 밀착 지지면(16)은 리드(12)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리드(12)의 포밍 형상과 일치하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에 패키지를 안착시킴에 있어서는 패키지 몸체(11)는 패키지 고정부(13)의 내측에 형성된 패키지 몸체 저면 안착면(14)에 패키지 몸체(11)의 저면을 안착시킴과 아울러 패키지 몸체 측면 안착면(15)에 패키지 몸체(11)의 측면 하반부를 안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패키지 몸체(11)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패키지의 안착 과정에서 리드(12)는 패키지 고정부(13)의 외측에 형성된 리드 밀착 지지면(16)에 그 내측면이 지지되어 리드(12)의 변형이 방지됨과 아울러 이미 리드(12)가 굽혀지거나 휘어진 패키지를 안착하는 경우에는 리드(12)의 포밍 형상과 일치하는 단면을 가지는 리드 밀착 지지면(16)에 리드(12)의 내측면이 안착, 지지되면서 본래의 형상으로 회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는 리드의 굽음 또는 휨이 발생된 패키지가 트레이에 안착되면서 동시에 리드의 형상을 본래의 모양대로 회복시킬 수 있어 패키지 제조공정의 불량을 줄일 수 있고, 리드의 편평도가 일정하게 되어 패키지의 기판 실장시의 납땜성이 향상되며, 아울러 제품의 전기적 테스트시에 접촉불량에 의한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트레이의 상면에 패키지 고정부를 돌출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고정부의 내측에는 패키지 몸체의 저면이 안착되는 패키지 몸체 저면 안착면과 패키지 몸체 측면의 하반부가 안착되는 패키지 몸체 측면 안착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패키지 고정부의 외측에는 리드의 포밍 형상과 일치하는 단면을 가지고 리드의 내측면을 밀착, 지지하는 리드 밀착 지지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
KR2019940035385U 1994-12-23 1994-12-23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 Expired - Lifetime KR0137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385U KR0137927Y1 (ko) 1994-12-23 1994-12-23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385U KR0137927Y1 (ko) 1994-12-23 1994-12-23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467U KR960025467U (ko) 1996-07-22
KR0137927Y1 true KR0137927Y1 (ko) 1999-02-18

Family

ID=1940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5385U Expired - Lifetime KR0137927Y1 (ko) 1994-12-23 1994-12-23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9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759A (ko) * 2001-08-22 2003-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의 메모리 테스트 장치 및 이 장치의 메모리테스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467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36433B2 (ja) 半導体集積回路のリードフレーム
EP0114531B1 (en) Package for a semiconductor chip with lead terminals
KR0137927Y1 (ko)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
JP2000223639A (ja) 半導体パッケージボディの反りを防止するためのリードフレーム構造
JPH1149276A (ja) Icパッケージ基板の保持体
US6299161B1 (en) Apparatus for guiding a paper in a printer
JPH09124092A (ja) 電子部品搬送体
JPH04749A (ja) フラットパッケージicの構造とその搭載方法
KR100564540B1 (ko) 패키지의 리드 절곡 장치
KR0185513B1 (ko) 리브지지-바가형성된반도체패키지의포장용트레이
KR200152648Y1 (ko) 반도체 디바이스 트래이
KR0119742Y1 (ko) 패키지 트레이
JPH06239381A (ja) 多リード式電子部品の保持具
KR200212572Y1 (ko) 리드프레임 적재용 매거진
JPH02253646A (ja) リードフレーム
KR970018471A (ko) 반도체 칩 패키지의 리드 성형장치
JPH04188660A (ja) リードフレーム
JPH0677252U (ja) Icパッケージ
KR100253300B1 (ko) 반도체 패키지 검사용 소켓의 소켓핀
JP2565115B2 (ja) 集積回路パッケージ
US6793514B2 (en) IC socket
JP2507053B2 (ja) Jリ―ドパッケ―ジ型半導体装置
JPS62261162A (ja) 半導体装置
KR940006188Y1 (ko) 반도체 장치용 리드 프레임
JPH03233960A (ja)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12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2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80213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19980626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code: UJ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730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26

Appeal identifier: 1998101002304

Request date: 19980730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1998091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1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11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7

Year of fee payment: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