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920Y1 - 터미날 탈거 장치 - Google Patents

터미날 탈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920Y1
KR0137920Y1 KR2019950027593U KR19950027593U KR0137920Y1 KR 0137920 Y1 KR0137920 Y1 KR 0137920Y1 KR 2019950027593 U KR2019950027593 U KR 2019950027593U KR 19950027593 U KR19950027593 U KR 19950027593U KR 0137920 Y1 KR0137920 Y1 KR 0137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cking
connector
pressing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7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871U (ko
Inventor
윤승천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50027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920Y1/ko
Publication of KR9700198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8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9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2Hand to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미날 탈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두 개의 록킹편을 분리한 후 터미날을 탈거해야 하므로 작업이 어려웠었다.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터미날 콘텍터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콘텍터 내부의 공간부에 걸림턱을 갖는 콘텍터와 외주면에 두 개의 록킹편을 갖는 터미날이 결합함에 있어 두 개의 누름편을 터미날의 록킹편을 누른 후 이어서, 밀대로 터미날을 후방으로 후퇴시킴으로 콘넥터에 결합된 터미날을 쉽게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미날 탈거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제2도는 종래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종래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콘텍터 14 : 터미날
16 : 록킹홈 18 : 록킹편
20 : 터미날 결합홈 22, 24 : 록킹편
26 : 공간부 28 : 걸림턱
30, 32 : 누름편 34 : 손잡이
36 : 지지대 38 : 압축 스프링
40 : 누름부 42 : 이탈 방지용 핀
44 : 가이드 홈 46 : 밀대
본 고안은 터미날 탈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두 개의 와이어 간을 접속하기 위해 콘넥터에 결합된 터미날 콘넥터로부터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터미날 탈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넥터를 제2도로 보면, 콘넥터(12)의 록킹편(18)에 터미날(14)의 록킹홈(16)이 결합되는 콘넥터와 터미날의 결합체는 하나의 핀으로 록킹편을 상측으로 올린후 이들을 분리할 수 있다.
종래의 다른 실시예를 제3도로 보면, 콘넥터(12)의 내부에는 걸림턱(28)을 갖는 공간부(26)를 형성하고, 터미날(22)의 외주면의 양측에는 탄성을 가진 록킹편(22)(24)을 결합한다. 이렇게 형성된 콘넥터(12)의 터미날 결합홈(20)에 터미날(14)을 제3도와 같이 결합하면, 록킹편(22)(24)이 공간부(26)의 걸림턱(28)에 걸리므로 콘넥터(12)의 터미날 결합홈(20)으로부터 터미날(22)이 탈거되지 않는다. 특히, 록킹편(22)(24)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져도 콘넥터(12)의 터미날 결합홈(20)으로부터 터미날(22)이 쉽게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는 콘넥터의 터미날 결합홈으로부터 터미날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콘넥터의 터미날 결합홈으로부터 터미날을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핀으로 록킹편을 걸림턱으로부터 분리하고 터미날을 분리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을 두 개의 핀을 사용해야 하므로 한 손으로 터미날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두 개의 핀을 공간부에 삽입하여 록킹편을 분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두 개의 록킹편을 갖는 콘넥터에 있어 두 개의 와이어 간을 접속하는 콘넥터의 걸림턱에 록킹된 두 개의 록킹편을 이탈시켜 터미날을 콘넥터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터미날 탈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제1도로 보면, 본 고안은 외향 돌출하고 내향 편향가능한 록킹편(22)(24)을 가진 터미날과, 상기 터미날을 수용하며 상기 록킹편(22)(24)이 걸리는 걸림턱(28)을 가진 콘넥터로 이루어진 콘넥터와 터미날의 결합체에서 상기 터미날을 분리하기 위한 터미날 탈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넥터와 상기 터미날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록킹편(22)(24)을 내향 탄성 변형시켜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한 쌍의 누름편(30)(32)과, 상기 항쌍의 누름편(30)(32) 사이에서 상기 터미날의 탈거방향으로 가압 가능하게 설치된 밀대(4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한쌍의 누름편(30)(32)은 지지대(36)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36)는 상기 밀대(46)의 선형 이동을 위한 가이드 홈(44)을 갖으며, 상기 지지대(36)에는 손잡이(34)가 부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은 누름편(30)(32)을 콘넥터(12)와 터미날(14) 간에 형성된 공간부(26)에 삽입하면, 누름편(30)(32)의 단부가 공간부(26)의 걸림턱(28)에 록킹된 록킹편(22)(24)을 누르면서 전진한다. 이에 따라 자체 탄성으로 공간부(26)의 걸림턱(28)에 록킹되었던 록킹편(22)(24)이 해제된다.
누름편(30)(32)의 삽입을 완료(록킹편(22)(24)의 록킹상태 해제)하고, 콘넥터(12)의 터미날 결합홈(20)으로부터 터미날(14)을 분리하기 위하여 누름부(40)를 누르면, 밀대(46)가 압축 스프링(38)을 압축하면서 가이드 홈(44)을 따라 이동하여 콘넥터(12)의 터미날 결합홈(20)에 삽입되므로 터미날(14)의 콘넥터(12)의 터미날 결합홈(20)에 삽입되는 밀대(46)의 길이만큼 후방으로 후퇴하여 탈거된다.
터미날(22)의 탈거를 완료한 후 누름부(40)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38)의 탄발력으로 밀대(46)가 콘넥터(12)의 터미날 결합홈(20)에서 분리되어 원상태로 돌아간다. 이때 원상태로 돌아가는 밀대(46)는 스프링(38)의 탄발력이 지지대(36)와 누름부(40)간에 계속적으로 가해져도 이탈 방지용 핀(42)에 의하여 이탈 방지용 핀(42)이 지지대(36)와 닿은 거리까지만 후퇴한다. 즉, 이탈 방지용 핀(42)으로 밀대(46)가 가이드 홈(4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누름편(30)(32)의 재질이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터미날의 외주면의 크기(콘넥터의 종류를 말한다)에 관계없이 콘넥터에 결합된 터미날을 탈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터미날이 콘넥터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콘넥터 내부의 공간부에 걸림턱을 갖는 콘넥터와 외주면에 두 개의 록킹편을 갖는 터미날이 결합함에 있어 두 개의 누름편을 터미날의 록킹편을 누른 후 이어서, 밀대로 터미날을 후방으로 후퇴시킴으로 콘넥터에 결합된 터미날을 쉽게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외향 돌출하고 내향 편향가능한 록킹편(22)(24)을 가진 터미날과 상기 터미날을 수용하며 상기 록킹편(22)(24)이 걸리는 걸림턱(28)을 가진콘넥터로 이루어진 콘넥터와 터미날의 결합체에서 상기 터미날을 분리하기 위한 터미날 탈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넥터와 상기 터미날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록킹편(22)(24)을 내향 탄성 변형시켜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한 쌍의 누름편(30)(32)과 상기 한 쌍의 누름편(30)(32) 사이에서 상기 터미날의 탈거방향으로 가압 가능하게 설치된 밀대(4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날 탈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누름편(30)(32)은 지지대(36)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36)는 상기 밀대(46)의 선형 이동을 위한 가이드 홈(4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날 탈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6)에는 손잡이(34)가 부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날 탈거장치.
KR2019950027593U 1995-10-02 1995-10-02 터미날 탈거 장치 KR0137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593U KR0137920Y1 (ko) 1995-10-02 1995-10-02 터미날 탈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7593U KR0137920Y1 (ko) 1995-10-02 1995-10-02 터미날 탈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871U KR970019871U (ko) 1997-05-26
KR0137920Y1 true KR0137920Y1 (ko) 1999-04-01

Family

ID=1942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7593U KR0137920Y1 (ko) 1995-10-02 1995-10-02 터미날 탈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92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895B1 (ko) * 2007-12-13 2009-09-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탈거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871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6824B1 (en) Screwless junction box connection
US20060141862A1 (en) Electrical connector
JP3775709B2 (ja) 端子金具
US4576427A (en) Zero insertion and extraction force connector
US2120469A (en) Straight line connecter
US3170748A (en) Coaxial cable connector
JPH0246668A (ja) 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ー
CN101552408B (zh) 具有锁定机构的连接器
JPH0748390B2 (ja) 電気コネクター
GB2290421A (en) Connector housing
KR20000011885A (ko) 전기커넥터
KR0137920Y1 (ko) 터미날 탈거 장치
JPS63184271A (ja) モジユラ−プラグ
JP3651311B2 (ja) 光コネクタ
US4447102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US4333703A (en) Contact retention assembly
JPH10241813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する短絡ばね
JP2002350677A (ja) プラグ挿着具、プラグ抜脱具及びそれらを備えたプラグ着脱具
JPH051175U (ja) コネクタ
EP0631161A1 (en) High density fiber optic connector
US11121503B1 (en) Quickly assembled cable connector
EP0154412B1 (en) Electrical connectors
JP2002170629A (ja) コネクタ
JP3755716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JP3912205B2 (ja) コネクタ、及び解除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