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833B1 - 코일밴딩장치 - Google Patents

코일밴딩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833B1
KR0137833B1 KR1019940022541A KR19940022541A KR0137833B1 KR 0137833 B1 KR0137833 B1 KR 0137833B1 KR 1019940022541 A KR1019940022541 A KR 1019940022541A KR 19940022541 A KR19940022541 A KR 19940022541A KR 0137833 B1 KR0137833 B1 KR 0137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ur gear
pin
cylinder
cent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2659A (ko
Inventor
조동수
Original Assignee
석진철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철,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철
Priority to KR1019940022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833B1/ko
Publication of KR960012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25Shaping or compacting conductors or winding heads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winding in the core or machine ; Applying fastening means on winding heads
    • H02K15/0037Shaping or compacting winding he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C모터 필드 코일 어셈블리(Field coil ASM)의 리드코일을 U 또는 S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코일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밴딩본체측에 상하로 한쌍의 제1평기어와 제2평기어가 회전자재되어 있고,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와 각각 연결되어 좌우로 직선운동하는 제1래크와 제2래크는 상기 제1평기어와 제2평기어에 각각 치합되어 있고, 상기 상방의 제1평기어는 축부가 본체측에 회전자재되게 삽입되어 있고, 그 중심축선상에 압축스프링에 의해 돌출된 고정핀이 슬라이딩 자재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선상과 소정의 떨어진 위치에서 상측면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핀이 설치되어 있고, 이 돌출핀과 90°각도에 위치해서 핀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이 핀구멍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고 고정핀중심과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여 180°로 반원형의 제1가이드홈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평기어는 중심선상에 일정깊이로 형성된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평기어의 축부가 위치되는 관통된 반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제1평기어에 형성된 핀구멍의 중심선과 제2평기어의 중심선이 일직선상을 이루도록 제1평기어의 하방에 배치되며, 또한 제1평기어와 제2평기어 사이에는 제2평기어고정판이 위치되며 이 제2평기어고정판은 제2평기어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평기어의 상방측에는 핀위치조정판을 상하로 동작시키는 제3실린더가 회동판에 장착되고, 이 회동판은 일단이 밴딩본체체에 회전자재 되어 있고, 상기 핀위치조정판의 하면측에는 고정핀을 누르고 제1평기어와 제2평기어의 핀구멍에 각각 대응하는 단핀과 상하로 이동하는 장핀이 구성되고 또 단핀을 중심으로 단핀과 장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여 일정 깊이로 호형의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일밴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코일밴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더욱이 코일의 U자 형상을 밴딩하는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 코일의 S자 형상을 밴딩하는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
제3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평기어의 단면도.
제3B도는 제3A도의 일측면도.
제4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평기어의 단면도.
제4B도는 제4A도의 일측면도.
제5도는 제1평기어와 제2평기어의 조립상태도.
제6A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핀위치 조정판의 정면도.
제6B도는 제6A도의 저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압회로도.
본 발명은 DC모터 필드 코일 어셈블리(Field coil ASM)의 리드코일을 U자 또는 S자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코일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모터코일의 성형방법은 성형지그를 구비하여 기 성형지그에 코일을 망치로 U자 또는 S자 형상으로 두드려가며 완전히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코일성형작업의 소요시간이 길며 작업성이 한계에 놓여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코일의 성형 작업소요 시간을 줄이고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코일밴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밴딩본체측에 상하로 한쌍의 제1평기어와 제2평기어가 회전자재되어 있고,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와 각각 연결되어 좌우로 직선운동하는 제1래크와 제2래크는 상기 제1평기어와 제2평기어에 각각 치합되어 있고, 상기 상방의 제1평기어는 축부가 본체측에 회전자재되게 삽입되어 있고, 그 중심축선상에 압축스프링에 의해 돌출된 고정핀이 슬라이딩 자재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선상과 소정의 떨어진 위치에서 상측면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핀이 설치되어 있고, 이 돌출핀과 90°각도에 위치해서 핀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이 핀구멍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고 고정핀중심과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여 180°로 반원형의 제1가이드홈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평기어는 중심선상에 일정깊이로 형성된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평기어의 축부가 위치되는 관통된 반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제1평기어에 형성된 핀구멍의 중심선과 제2평기어의 중심선이 일직선상을 이루도록 제1평기어의 하방에 배치되며, 또한 제1평기어와 제2평기거의 사이에는 제2평기어고정판이 위치되며 이 제2평기어고정판은 제2평기어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평기어의 상방측에는 핀위치조정판을 상하로 동작시키는 제3실린더가 회동판에 장착되고, 이 회동판은 일단 이 밴딩본체측에 회전자재되어 있고, 상기 핀위치조정판의 하면측에는 고정핀을 누르고 제1평기어와 제2평기어의 핀구멍에 각각 대응하는 단핀과 상하로 이동하는 장핀이 구성되고 또 단핀을 중심으로 단핀과 장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여 일정 깊이로 호형의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코일밴딩장치는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밴딩본체(10)측에 상하로 한쌍의 제1평기어(20)와 제2평기어(30)가 회전자재 되어 있다.
상기 밴딩본체(10)측에 설치된 제1실린더(40)와 제2실린더(50)와 각각 연결되어 좌우로 직선운동하는 제1래크(60)와 제2래크(70)는 상기 제1평기어(20)와 제2평기어(30)에 각각 치합되어 있다.
상기 상방의 제1평기어(20)는 제3a, 3b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축부(21)가 본체측에 회전자재되게 삽입되어 있고, 그 중심축선상에 압축스프링(22)에 의해 돌출된 고정핀(23)이 슬라이딩 자재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선상과 소정의 떨어진 위치에서 상측면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핀(24)이 설치되어 있고, 이 돌출핀(24)과 90°각도에 위치해서 핀구멍(25)이 관통되어 있고, 이 핀구멍(25)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고 고정핀(23) 중심과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여 180°로 반원형의 제1가이드홈(26)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평기어(30)는 중심선상에 일정깊이로 형성된 핀구멍(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평기어(20)의 축부(21)가 위치되는 관통괸 반원형의 개구부(32)가 형성되고, 제1평기어(20)에 형성된 핀구멍(25)의 중심선과 제2평기어(30)의 중심선이 일직선상을 이루도록 제1평기어(2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평기(20)와 제2평기어(30)의 사이에는 제2평기어고정판(33)이 위치되며 이 제2평기어고정판(33)은 제2평기어(30)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평기어(20)의 상방측에는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위치조정판(80)을 상하로 동작시키는 제3실린더(90)가 밴딩본체(10)측 회동판(10A)에 장착되고, 이 회동판(10A)은 일단이 밴딩본체측(10)에 회전자재되어 있다.
상기 핀위치조정판(80)의 하면측에는, 고정핀(23)을 누르고 제1평기어(20)와 제2평기어(30)의 핀구멍(25, 31)에 각각 대응하는 단핀(81)과 장핀(82)이 구성되고 도 단핀(81)을 중심으로 단핀(81)과 장핀(82)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여 일정 깊이로 호형의 제2가이드홈(8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제1실린더(40)가 작동하면 제1래크(60)가 이동하고, 제1평기어(20)가 제1래크(60)에 치합되면서 회전한다. 이때 돌출핀(24)은 고정핀(2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 핀위치조정판(80)은 제3실린더(90)의 동작으로 하방에 내려오게 하면 핀위치 조정판(80)의 단핀(81)이 고정핀(23)을 누르고, 그 장핀(82)이 제2평기어(30)의 핀구멍(31)에 끼워맞추어진다. 이후 제2실린더(50)를 동작시키면, 제2래크(70)가 이동하고, 제2평기어(30)가 제2래크(70)와 치합하면서 제2평기어고정판(33)과 일체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핀위치조정판(80)은 제2평기어(30)과 함께 회전하여 단핀(81)이 제1평기어의 가이드홈(26)을 지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코일밴딩장치의 밴딩동작을 제어하는 공압회로도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래크(60)를 동작시키는 제1실린더(40)측에는 제1제어밸브(102)가 연결되고, 상기 제1제어밸브(102)의 일측에는 스타트밸브(104)가 주유로측사이에 연결되고 그 타측에는 제1오프밸브(106)가 주유로측사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주유로측의 중간에 S형상형성밴딩용 볼밸브(108)가 설치되고, 이 볼밸브(108)의 출구측에는 제2래크(70)를 동작시키는 제2실린더(50)측에는 제2제어밸브(112)가 연결되고, 이 제2제어밸브(112)의 일측에는 상기 제1실림더(40)에 의해 동작하는 제2스위치밸브(114)가 연결되고, 상기 제2제어밸브(112)의 타측에는 핀위치조정판(80)을 동작시키는 제3실린더(90)와 연결된 제3제어밸브(116)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제2실린더(40, 50)의 복귀동작을 시키는 제2오프밸브(118)가 설치되고, 상기 제3제어밸브(116)측에는 제1스위치밸브(120)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압회로의 작동상태를 코일밴딩장치와 함께 코일의 U자 형상과 S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로 각각 구분하여 전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U자 형상 형성자의 전체적인 동작상태를 설펴보면, 제1평기어(20)의 고정핀(23)과 돌출핀(24)에 코일을 물리게 한후 볼밸브(108)가 잠겨진 상태에서 스타트밸브(104)을 눌러 우측으로 절환 복귀하게 되면 제1제어밸브(102)가 절환되고, 제1실린더(40)가 전진한다. 이때 제1,제2스위치밸브(120,114)는 제1실린더(40)가 동작하여도 볼밸브(108)가 잠겨져 있으므로 제2, 제3실린더(40, 50)는 동작하지 않는다.
제1실린더(40)는 전진으로 제1평기어(20)가 회전하고, 제1평기어(20)의 돌출핀(24)은 고정피(23)을 중심으로 코일을 물고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돌출핀(24)이 회전을 180°도에서 정지하도록 하여 코일의 U자 형상의 형성이 완료된다.
이후 제1오프밸브(106)를 절환 복귀하면 제1제어밸브(102)는 원위치 되고, 제1실린더(40)는 복귀하고, 래크(60)는 원위치되며, 돌출핀(24)이 제1평기어(20)의 역회전에 따라 원위치로 위치된다.
다음 S자형상 형성시의 전체적인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볼밸브(108)를 열고, 코일을 제1평기어(20)의 돌출핀(24)과 고정핀(23)에 물리게 한후 스타트밸브(104)를 절환 복귀시키면 제1제어밸브(40)가 절환되고 제1실린더(40)가 전진한다. 따라서 제1래크(60)가 제1평기어(20)를 회전시키고, 돌출핀(24)이 고정핀(23)을 중심으로 코일을 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고정핀(23)의 회전범위를 90°로 제한되게 설치된 제1스위치밸브(120)가 제1실린더(40)에 의해 절환 복귀됨으로 제1제어밸브(102)가 원위치 되고, 제1실린더(40)가 복귀함과 동시에 제3제어밸브(116)가 절환되고, 제3실린더(90)가 동작하여 핀위치조정판(80)이 하강하게 되고, 단핀(81)은 고정핀(23)을 눌러 90°로 형성된 코일을 물로 장핀(82)은 제1평기어(20)의 핀구멍(25)과 제2평기어(30)의 핀구멍(31)에 끼워맞추어진다.
이후 상기 제1실린더(40)가 후퇴위치에 설치된 제2스위치밸브(106)가 절환 복귀되고 제2제어밸브(112)가 절환되고, 제2실린더(50)가 동작한다. 이 제2실린더(50)의 동작으로 제2래크(70)가 이동하고, 제2평기어(30)가 제2래크(70)와 치합되면서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핀위치조정판(80)은 회동하고, 이 핀위치조정판(80)의 단핀(81)이 코일을 장핀(82)에 중심으로 물고 회전하게 된다. 이때 단핀(81)은 제1평기어(20)의 가이드홈(26)을 따라 180°회전되었을시 제2오프밸브(118)를 절환 복귀시키면 제2실린더(50)는 제2래크(70)와 함께 원위치 되고 동시에 제3제어밸브(116)가 절환되고, 제3실린더(90)가 원위치 되어 핀위치조정판(80)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코일은 S자형상으로 형성이 완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되는 본 발명의 코일밴딩장치에 의하면 종래에 있었던 수작업에 의한 작업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고, 래크 및 핀들의 동작을 유압으로 작동시키는 실린더를 이용함으로 작업의 능률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코일의 형상을 U자 및 S자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밴딩본체측에 상하로 한쌍의 제1평기어와 제2평기어가 회전자재되어 있고,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와 각각 연결되어 좌우로 직선운동하는 제1래크와 제2래크는 상기 제1평기어와 제2평기어에 각각 치합되어 있고, 상기 상방의 제1평기어는 축부가 본체측에 회전자재되게 삽입되어 있고, 그 중심축선상에 압축스프링에 의해 돌출된 고정핀이 슬라이딩 자재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선상과 소정의 떨어진 위치에서 상측면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핀이 설치되어 있고, 이 돌출핀과 90°각도에 위치해서 핀구멍이 관통되어 있고, 이 핀구멍의 중심을 회전 중심으로 하고 고정핀중심과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여 180°로 반원형의 제1가이드홈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평기어는 중심선상에 일정깊이로 형성된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평기어의 축부가 위치되는 관통된 반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제1평기어에 형성된 핀구멍의 중심선과 제2평기어의 중심선이 일직선상을 이루도록 제1평기어의 하방에 배치되며, 또한 제1평기어와 제2평기어의 사이에는 제2평기어고정판이 위치되며 이 제2평기어고정판은 제2평기어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평기어의 상방측에는 핀위치조정판을 상하로 동작시키는 제3실린더가 회동판에 장착되고, 이 회동판은 일단이 밴딩본체측에 회전자재되어 있고, 상기 핀위치조정판의 하면측에는 고정핀을 누르고 제1평기어와 제2평기어의 핀구멍에 각각 대응하는 단핀과 상하로 이동하는 장핀이 구성되고 또 단핀을 중심으로 단핀과 장핀의 반경으로하여 일정 깊이로 호혀의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밴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측에는 제1제어밸브가 연결되고, 상기 제1제어밸브의 일측에는 스타트밸브가 주요로측사이에 연결되고 그 타측에는 제1오프밸브가, 주유로측사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주유로측의 중간에 S형상형성밴딩용 볼밸브가 설치되고, 이 볼밸브의 출구측에는 제2래크를 동작시키는 제2실린더측에는 제2제어밸브가 연결되고, 이 제2밸브의 일측에는 상기 제1실린더에 의해 동작하는 제2스위치밸브가 연결되고, 상기 제2제어밸브의 타측에는 핀위치조정판을 동작시키는 제3실린더와 연결된 제3제어밸브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제1,제2제어밸브측에는 복귀동작을 시키는 제2오프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3제어밸브측에는 제1스위치밸브가 연결되어 공압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을 하는 코일밴딩장치.
KR1019940022541A 1994-09-07 1994-09-07 코일밴딩장치 KR0137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541A KR0137833B1 (ko) 1994-09-07 1994-09-07 코일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541A KR0137833B1 (ko) 1994-09-07 1994-09-07 코일밴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659A KR960012659A (ko) 1996-04-20
KR0137833B1 true KR0137833B1 (ko) 1998-06-15

Family

ID=1939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541A KR0137833B1 (ko) 1994-09-07 1994-09-07 코일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837A (ko) 2015-04-29 2016-11-08 최정필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659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35510A1 (en) Electromotion ball valve
DE60120436T4 (de) Motorbetätigtes ventil mit direktantrieb
US3450382A (en) Actuator apparatus
US7240577B2 (en) Electronic gearshift apparatus of sub gearshift for 4 wheel drive vehicle
JPS63313485A (ja) 導電体を接続する方法および装置
DE102010014341B4 (de) Ventilzeitverhalten-Steuervorrichtung
DE2630546A1 (de) Elektrische schaltvorrichtung
KR100229132B1 (ko) 냉장고의 외상용 철판 벤딩장치와 벤딩방법
KR0137833B1 (ko) 코일밴딩장치
DE602005002217T2 (de) Werkzeugschadenerfassungseinrichtung
US5711183A (en) Device in a bending unit
KR19980014841A (ko) 냉장고의 외상용 철판 벤딩장치와 벤딩방법
DE1450510A1 (de) Steuerschieber
US5860775A (en) Spindle position orientation apparatus of boring machine
RU208729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жима деталей
CN220426635U (zh) 硬线的弯折装置
CN220575691U (zh) 一种夹持机构
JPS6330866Y2 (ko)
JPH0413049Y2 (ko)
DE2518838C2 (de) Nähmaschine für kontinuierlichen und intermittierenden Betrieb
JP2656968B2 (ja) ケーブル導体切断装置
JPS6117797Y2 (ko)
JPH0424265A (ja) ミシンの駆動力変換機構
EP0441914A1 (de) Einrichtung mit einem eine leistung einer antriebsmaschine bestimmenden drosselorgan
JPH011239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