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837A -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 - Google Patents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837A
KR20160128837A KR1020150060855A KR20150060855A KR20160128837A KR 20160128837 A KR20160128837 A KR 20160128837A KR 1020150060855 A KR1020150060855 A KR 1020150060855A KR 20150060855 A KR20150060855 A KR 20150060855A KR 20160128837 A KR20160128837 A KR 20160128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steam
ultrasonic
water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필
Original Assignee
최정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필 filed Critical 최정필
Priority to KR1020150060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8837A/ko
Publication of KR20160128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는,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어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에 이웃된 위치에서 상기 바디 프레임 내에 마련되며, 초음파 방식으로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PCB 메인보드;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되며, 초음파 진동에 의해 액체를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상기 바디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수증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수증기 흡입 통로관; 및 상기 바디 프레임의 외측에 마련되며, 입력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온/오프(ON/OFF) 전원버튼 및 작동버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Mist respiratory tool}
본 발명은,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습관적, 환경적 혹은 질병적인 이유로 인해 물을 잘 마시지 않는 사람일지라도 물과 유사한 형태의 수증기를 언제어디서나 자유롭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하여 물을 마시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70%가 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생명 유지를 위해서는 매일 2리터 가랑의 물을 섭취해야 한다.
체내의 물이 5%만 부족해도 우리 몸은 탈수 상태에 빠지고 12% 이상 모자라면 생명을 잃게 된다.
예컨대, 콩팥에서는 물을 통해 노폐물을 제거하며, 혈액과 체액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각 기관이 균형 있게 활동하도록 한다.
물이 부족하면 신체기능이 떨어지고 몸 속에 독소가 쌓이게 마련이고. 또 기관지에서 먼지나 세균을 제거하는 섬모세포가 비실거려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물은 대단히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물이란 사람이 생명을 유지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요소이지만 현대인들의 경우에는 물을 잘 마시지 않는다. 특히, 자주 목이 아픈 사람의 경우에는 물을 마시기가 거북하기 때문에 잘 마시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습관적, 환경적 혹은 질병적인 이유로 인해 물을 잘 마시지 않는 사람일지라도 물과 유사한 형태의 수증기를 언제어디서나 자유롭게 흡입할 수만 있다면 물을 마시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체내의 불순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구현하기 위한 미스트 호흡기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12015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3503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6-001265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9-001782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습관적, 환경적 혹은 질병적인 이유로 인해 물을 잘 마시지 않는 사람일지라도 물과 유사한 형태의 수증기를 언제어디서나 자유롭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하여 물을 마시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어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에 이웃된 위치에서 상기 바디 프레임 내에 마련되며, 초음파 방식으로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PCB 메인보드;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되며, 초음파 진동에 의해 액체를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상기 바디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수증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수증기 흡입 통로관; 및 상기 바디 프레임의 외측에 마련되며, 입력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온/오프(ON/OFF) 전원버튼 및 작동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초음파 진동자는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의해 상기 PCB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 가능하며,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들어오는 공기와 함께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서 초음파로 진동화되어 만들어진 수증기를 들여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 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의 단부는 드립 팁을 형성하며, 상기 드립 팁은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과 일체로 제작되거나 별개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의 외측에서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을 보호하는 경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과 상기 경통 사이에 상기 액체가 충전되며,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의 일측에는 상기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액체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과 상기 경통은 살균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액체의 충전을 위해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탑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CB 메인보드는 정압을 제공하는 정압기와, 직류를 교류로 변조하는 변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일측에는 충전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일측에 에어 홀이 형성되는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어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에 이웃된 위치에서 상기 바디 프레임 내에 마련되며, 초음파 방식으로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PCB 메인보드;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되며, 초음파 진동에 의해 액체를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상기 바디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수증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사용자의 입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 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된 드립 팁을 구비하는 수증기 흡입 통로관;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의 외측에서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을 보호하는 경통; 상기 바디 프레임의 외측에 마련되며, 입력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온/오프(ON/OFF) 전원버튼 및 작동버튼; 상기 바디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는 물통 결합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생수통; 및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과 상기 생수통을 연결하는 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습관적, 환경적 혹은 질병적인 이유로 인해 물을 잘 마시지 않는 사람일지라도 물과 유사한 형태의 수증기를 언제어디서나 자유롭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하여 물을 마시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체내의 불순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100)는 습관적, 환경적 혹은 질병적인 이유로 인해 물을 잘 마시지 않는 사람일지라도 물과 유사한 형태의 수증기를 언제어디서나 자유롭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하여 물을 마시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바디 프레임(110), 배터리 모듈(120), PCB 메인보드(130), 초음파 진동자(140), 수증기 흡입 통로관(150), 경통(160), 탑 캡(170), 그리고, 컨트롤러(19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100)가 봉 타입으로 도시되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100)는 휴대용일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100)는 정수기와 같은 거치식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100)를 이루는 각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바디 프레임(1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바디 프레임(110)의 사이즈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100)는 휴대용일 수도 있고, 아니면 정수기처럼 일정한 장소에 놓아두고 사용하는 거치식일 수도 있다.
바디 프레임(110)이 방수 구조를 가질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100)는 물 속에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배터리 모듈(120)은 바디 프레임(110)의 일측에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100)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제공한다.
이때, 배터리 모듈(120)은 일회용 건전지일 수도 있으나 리튬이온, 자가 발진용 배터리 혹은 그 외의 다른 어떤 종류의 형식으로 된 배터리가 적용되더라도 관계는 없다. 특히, 전력을 충전 혹은 발생시키는 기능에 있어서는 다른 것들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배터리 모듈(120)의 일측에는 충전단자(12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충전단자(121)는 마이크로 5핀 USB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단자이나 반드시 이러한 단자가 마련될 필요는 없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배터리 모듈(120)의 단부에는 충전 상태 또는 초음파 진동 상태 등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로서의 다양한 램프가 적용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표시부가 적용되면 흥미를 끌기에 유리할 수 있다.
PCB 메인보드(130)는 배터리 모듈(120)에 이웃된 위치에서 바디 프레임(110) 내에 마련된다.
PCB 메인보드(130)에는 초음파 방식으로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190, 도 2 참조)가 마련된다. 컨트롤러(19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러한 PCB 메인보드(130)에는 정압기(131)와 변조기(132)가 마련된다. 정압을 제공하는 것이 정압기(131)이고, 직류를 교류로 변조하는 것을 변조기(132)이다.
수만 내지 수십만 헤르츠의 열을 발생시켜야 초음파 진동자(140)가 진동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직류를 교류로 바꿔주기 위해 변조기(132)가 마련되는 것이다. 물론, 상황에 따라 정압기(131)만 설치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초음파 강약 조절모듈(미도시)이 더 적용될 수 있다. 초음파 강약 조절모듈로 인해 수증기의 발생량을 컨트롤할 수도 있다.
온/오프(ON/OFF) 전원버튼 및 작동버튼(135)은 바디 프레임(110)의 외측에 설치되는 버튼으로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버튼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온/오프 전원버튼 및 작동버튼(135)이 두 개의 버튼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단일의 버튼일 수도 있다. 효율을 고려할 때, 온/오프 전원버튼 및 작동버튼(135)은 PCB 메인보드(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음파 진동자(140)는 초음파 진동에 의해 액체, 즉 물을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소자로서, 베이스 프레임(14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연성인쇄회로기판(145)에 의해 PCB 메인보드(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 진동자(140)는 PCB 메인보드(130)를 통해 전달받은 전압에 의해 기계적인 변형을 일으키면서 기계적인 진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기에너지를 기계적인 진동에너지로 변환시키며, 이로 인해 수증기를 유도한다.
본 실시예에서 초음파 진동자(140)를 압전 세라믹 재료(PVDF)로 사용하고 있으나 다른 종류의 진동소자가 사용될 수도 있다.
수증기 흡입 통로관(150)은 실질적으로 수증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한 통로이다.
즉 수증기 흡입 통로관(150)은 베이스 프레임(141)에서 들어오는 공기와 함께 초음파 진동자(140)에서 초음파로 진동화되어 만들어진 수증기를 들여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이다. 수증기 흡입 통로관(150)의 단부는 바디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입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의 입이 배치될 수 있도록 바디 프레임(1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수증기 흡입 통로관(150)의 단부는 드립 팁(150a)을 이룰 수 있다. 이때, 드립 팁(150a)은 별도의 부재로 만들어져 수증기 흡입 통로관(150)에 연결될 수도 있고, 아니면 수증기 흡입 통로관(150)의 단부 그 자체가 드립 팁(150a)이 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드립 팁(150a)을 입에 대고 흡입함으로써 수증기를 흡입할 수 있다.
수증기 흡입 통로관(150)의 일측에는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액체 유입구(151)가 형성된다. 이때, 액체 유입구(151)는 직경이 0.5cm 내지 0.7cm일 수 있으나 이의 수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수증기 흡입 통로관(150) 내에는 심지가 들어갈 수도 있고 들어가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심지가 들어가는 경우에는 심지가 초음파 진동자(140)에 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증기 흡입 통로관(150)에 세균이 발생되지 않도록 수증기 흡입 통로관(150)은 은나노 및 살균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경통(160)은 수증기 흡입 통로관(150)의 외측에서 수증기 흡입 통로관(150)을 보호한다.
수증기 흡입 통로관(150)과 경통(160) 사이에 액체, 예컨대 물이 충전될 수 있다. 이때, 액체는 통상적인 생수일 수도 있고, 생수에 민트 오일 허브 등의 향 재료를 섞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생수 대신에 은이온수, 증류수 등이 사용될 수도 있는데, 찌꺼기가 발생될 소지가 높은 액체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수증기 흡입 통로관(150)과 경통(160) 사이에 액체를 충전시키기 위해 탑 캡(170)이 적용될 수도 있다.
탑 캡(170)은 드립 팁(150a)과 경통(160)을 연결할 수 있는데, 액체의 충전 시 탑 캡(170)을 제거하여 액체를 충전하고 다시 탑 캡(170)을 제자리에 끼울 수 있다.
물론, 탑 캡(170)이 있는 것이 하나의 예가 될 수는 있으나 탑 캡(170)이 없는 상태에서도 충분히 액체의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탑 캡(170)의 존재 여부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못한다.
이때, 경통(160)은 길수록 효과가 좋지만 그 길이는 설계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경통(160) 역시, 세균이 발생되지 않도록 은나노 및 살균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만약, 경통(160)이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경우라면 경통(160)의 내벽에 은 나노식 코팅재를 도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흡입 통로관(150)과 경통(160) 사이에 교체식 필터를 내재시켜 액체를 필터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교체식 필터는 예컨대 은나노 복합체 코팅 에어필터일 수 있는데, 이러한 은나노 복합체 코팅 에어필터에 병원균이 닿으면 즉시 제거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컨트롤러(190)는 온/오프 전원버튼 및 작동버튼(135)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초음파 진동자(140)를 컨트롤함으로써, 수증기 흡입 통로관(150)을 통해 수증기가 분사되도록 하거나 그 발생량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컨트롤러(190)는 중앙처리장치(191, CPU), 메모리(192, MEMORY),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91)는 본 실시예에서 온/오프 전원버튼 및 작동버튼(135)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초음파 진동자(140)를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9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91)와 연결된다. 메모리(19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9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9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90)는 온/오프 전원버튼 및 작동버튼(135)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초음파 진동자(140)를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90)가 온/오프 전원버튼 및 작동버튼(135)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초음파 진동자(140)를 컨트롤함으로써, 수증기 흡입 통로관(150)을 통해 수증기가 분사되도록 하거나 그 발생량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액체를 충전한 후, 온/오프 전원버튼 및 작동버튼(135)을 누르면 이의 신호를 받은 컨트롤러(190)가 정압기(131)를 통해 정압의 전류가 초음파 진동자(140)로 흐르도록 하여 초음파 진동자(140)가 진동하도록 한다.
초음파 진동자(140)가 진동하면 물분자들의 활발한 운동으로 인해 수증기가 발생되는데, 이 상태에서 드립 팁(150a)에 입을 대고 흡입을 하면 베이스 프레임(141)에서 들어오는 공기와 함께 초음파 진동자(140)에서 초음파로 진동화되어 만들어진 수증기를 들여 마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습관적, 환경적 혹은 질병적인 이유로 인해 물을 잘 마시지 않는 사람일지라도 물과 유사한 형태의 수증기를 언제어디서나 자유롭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하여 물을 마시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체내의 불순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100)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는 살균된 것이기 때문에 물을 잘 섭취하지 않는 사람들 혹은 물을 섭취하더라도 깨끗한 물 즉 세균 없는 물을 마시지 못하는 현시대에서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일반 물이 아닌 비타민이 첨가된 물, 피톤치드가 섞인 물, 세균 바이러스 미생물 박테리아가 없는 초순수물, 은이온수 등 부족한 영양소가 담신 혹은 건강한 양분이 들어간 물을 살균시켜 수증기로 호흡하도록 함으로써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100)는 대기 오염이 심각해 원천적인 물을 섭취하기 꺼려하는 이들에게도 차세대 에너지적 대안 호홉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산 정상이라든지 혹은 그 외 산소가 부족한 곳에서도 산소 호흡기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담당할 수 있으며, 차량용 가습기 혹은 일반가습기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목이 아픈 환자의 경우, 생리식염수를 넣어 이를 수증기로 하여 목에 수시로 분사할 경우, 치료의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200) 역시, 습관적, 환경적 혹은 질병적인 이유로 인해 물을 잘 마시지 않는 사람일지라도 물과 유사한 형태의 수증기를 언제어디서나 자유롭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하여 물을 마시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바디 프레임(210), 배터리 모듈(220), PCB 메인보드(230), 초음파 진동자(240), 수증기 흡입 통로관(250), 그리고 경통(26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증기 흡입 통로관(250)과 경통(260) 등의 부품들이 살균에 강한 재질로 제작되거나 도료로 코팅되거나 혹은 필터가 내재되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바디 프레임(210)과 수증기 흡입 통로관(250)에는 에어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 모듈(220)은 착탈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200)에는 바디 프레임(210)의 일측에 생수통(28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생수통(280)은 바디 프레임(210)의 일측에 마련되는 물통 결합구(288)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수증기 흡입 통로관(250)과 생수통(280)은 심지(255)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생수통(280)은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용량은 500미리일 수 있으나 그 이상이 되어도 무방하다.
생수통(280)의 입구부분(280a)은 전 세계 표준이기 때문에 어떠한 종류의 생수통이 적용되더라도 관계는 없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는 크게,
1. 작은 부피를 가져 휴대할 수도 있고(도 1 및 도 3 적용),
2. 대용량으로 크게 만들어 거치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3. 생수통(280)을 끼워 사용할 수도 있고(도 3 적용).
4. 물 속에서 흡입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 110 : 바디 프레임
120 : 배터리 모듈 121 : 충전단자
130 : PCB 메인보드 131 : 정압기
132 : 변조기 135 : 온/오프 전원버튼 및 작동버튼
140 : 초음파 진동자 145 : 연성인쇄회로기판
150 : 수증기 흡입 통로관 150a : 드립 팁
151 : 액체 유입구 160 : 경통
170 : 탑 캡 190 : 컨트롤러

Claims (7)

  1.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어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에 이웃된 위치에서 상기 바디 프레임 내에 마련되며, 초음파 방식으로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PCB 메인보드;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되며, 초음파 진동에 의해 액체를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상기 바디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수증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수증기 흡입 통로관; 및
    상기 바디 프레임의 외측에 마련되며, 입력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온/오프(ON/OFF) 전원버튼 및 작동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진동자는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의해 상기 PCB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 가능하며,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들어오는 공기와 함께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서 초음파로 진동화되어 만들어진 수증기를 들여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 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의 단부는 드립 팁을 형성하며,
    상기 드립 팁은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과 일체로 제작되거나 별개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의 외측에서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을 보호하는 경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과 상기 경통 사이에 상기 액체가 충전되며,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의 일측에는 상기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액체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과 상기 경통은 살균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의 충전을 위해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탑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B 메인보드는 정압을 제공하는 정압기와, 직류를 교류로 변조하는 변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일측에는 충전단자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
  7. 일측에 에어 홀이 형성되는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어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에 이웃된 위치에서 상기 바디 프레임 내에 마련되며, 초음파 방식으로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PCB 메인보드;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되며, 초음파 진동에 의해 액체를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상기 바디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수증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사용자의 입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 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된 드립 팁을 구비하는 수증기 흡입 통로관;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의 외측에서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을 보호하는 경통;
    상기 바디 프레임의 외측에 마련되며, 입력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온/오프(ON/OFF) 전원버튼 및 작동버튼;
    상기 바디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는 물통 결합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생수통; 및
    상기 수증기 흡입 통로관과 상기 생수통을 연결하는 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
KR1020150060855A 2015-04-29 2015-04-29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 KR20160128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855A KR20160128837A (ko) 2015-04-29 2015-04-29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855A KR20160128837A (ko) 2015-04-29 2015-04-29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837A true KR20160128837A (ko) 2016-11-08

Family

ID=5752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855A KR20160128837A (ko) 2015-04-29 2015-04-29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883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659A (ko) 1994-09-07 1996-04-20 석진철 코일밴딩장치
KR20000074108A (ko) 1999-05-18 2000-12-05 고종택 어린이용 교습구
KR20110120154A (ko) 2010-04-28 2011-11-03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KR20130035037A (ko) 2011-09-29 2013-04-08 정원 최 멀티 턴테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659A (ko) 1994-09-07 1996-04-20 석진철 코일밴딩장치
KR20000074108A (ko) 1999-05-18 2000-12-05 고종택 어린이용 교습구
KR20110120154A (ko) 2010-04-28 2011-11-03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KR20130035037A (ko) 2011-09-29 2013-04-08 정원 최 멀티 턴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2978C (en) A nebuliser for the production of aerosolized medication
WO2017175218A3 (en) A mobile inhaler and a container for using therewith
US10406569B2 (en) Atomization device and cleaning method thereof
CN103432660A (zh) 便携式医用雾化器
CN108883237B (zh) 鼻腔药物的输送装置
WO2011027135A3 (en) Ozone generator device
CN201658722U (zh) 手持式雾化器
WO2009017272A1 (en) Breathing relief kit
CN205626639U (zh) 便携式喷雾器
CN111420188A (zh) 一种高效振动雾化器
CN201744037U (zh) 智能型超声药物雾化吸入装置
CN206934411U (zh) 一种手持式超声波雾化器
CN212593378U (zh) 一种高性能震动微网孔雾化器
JP6662809B2 (ja) 水素吸引装置
KR20160128837A (ko) 초음파 방식의 미스트 호흡기
CN109793966A (zh) 一种分体式网式雾化器
CN113144398A (zh) 吸入式便携电子杀菌除口臭雾化器
CN202289122U (zh) 一种振动气压式呼吸治疗仪
CN216258226U (zh) 一种患者护理用的鼻腔冲洗装置
TWM589564U (zh) 具殺菌功能的吸鼻器
CN209629901U (zh) 一种大鼠生殖检测用喷烟装置
CN214286067U (zh) 一种自动消毒机器人的雾化消毒机构
KR20180002653U (ko) loT휴대용무선초음파가습기
CN215194169U (zh) 一种呼吸内科用吸痰器
CN209237079U (zh) 一种微网雾化器的雾化头和一种微网雾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