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421Y1 -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 - Google Patents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421Y1
KR0137421Y1 KR2019940008812U KR19940008812U KR0137421Y1 KR 0137421 Y1 KR0137421 Y1 KR 0137421Y1 KR 2019940008812 U KR2019940008812 U KR 2019940008812U KR 19940008812 U KR19940008812 U KR 19940008812U KR 0137421 Y1 KR0137421 Y1 KR 01374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uminance
camcorder
color
vt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8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699U (ko
Inventor
이재국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08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421Y1/ko
Publication of KR9500316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6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4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4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캠코더의 VTR부분에 있는 지연소자를 없애고, 카메라부분의 DSP내부에 있는 1H지연소자를 이용하여 CCD출력신호나 외부영상신호로부터 휘도/색신호를 분리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캠코더의 VTR부분에서 다시 Y/C분리용 지연소자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형화시킬 수 있고, 경제적인 면에서도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A/D변환부 23 : DSP
25 : D/A변환부
본 고안은 두 라인간의 상관성을 이용하여 복합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캠코더의 동작모드에 상관없이 하나의 디지털신호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이하 DSP라함)를 통해 휘도/색신호를 분리할 수 있는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휘도신호와 색신호가 혼합되어 있는 복합영상신호(Composite Signal)로부터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하는 방법에는 두종류가 있다. 하나는 간이형인 트랩(trap)방식으로서, 영상신호로부터 색신호가 특히 집중되어 있는 색부반송파 주파수(fsc)부근만을 밴드패스필터(band pass filter)(또는 일정한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하는 회로)로 끄집어 내는 방법을 말한다. 다른 하나는 빗모양필터(고무필터, comb filter)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최근에 주로 이용된다. 빗형필터는 색신호의 위상이 수평주사선단위(1H)마다 반전된다는 점에서 착안된 것이다. 원신호와 수평주사선단위(1H)로 지연된 신호의 수직상관성을 이용하여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한다. 즉, 1수평주사선지연소자를 사용하여 두 개 라인간의 상관성으로부터 휘도와 색신호를 분리하였다. 이처럼 두라인상관을 통해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할 수 있는 종래의 캠코더를 제1도에 도시하였다.
제1도는 일반적인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캠코더(Camcorder)는 카메라부분과 VTR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카메라 모드와 VTR모드로 동작한다. 우선 캠코더가 피사체를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신호를 녹화하는 카메라모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캠코더의 카메라부분에서 고체촬상소자(Charge Coupled Device; 이하 CCD라 함)(11)는 렌즈를 통해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입력받아 광전변환신호를 구한다. CCD(11)로부터 구해진 광전변환신호는 상관이중샘플링부(Correlated Double Sampling; 이하 CDS라 함)(12)에서 이중상관샘플링되어 노이즈가 제거된다.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는 자동이득제어부(Automatic gain control; 이하 AGC라 함)(13)로 입력되어 일정한 진폭으로 자동제어된다. AGC(13)의 출력신호는 Y/C분리부(14)로 입력된다. Y/C분리부(14)는 1수평주사선지연소자(1H DL)를 구비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1수평주사선단위(1H)로 지연한다. 그런 다음, Y/C분리부(14)는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1H만큼 지연된 영상신호를 서로 가·감산하고 ½로 분주시켜 휘도신호(Y)와 색신호(C)를 분리한다. 즉, 인접한 두라인영상신호를 가산하면 휘도신호(Luminance; Y)가 되고, 인접한 두라인영상신호를 감산하면 색신호(Chroma; C)가 만들어진다. 영상신호로부터 분리된 휘도신호(Y)와 색신호(C)는 신호처리부(15)로 입력되어 각각 신호처리과정을 거친 후 인코더부(16)로 입력되어 복합영상신호로 출력된다. 이 복합영상신호는 캠코더의 VTR부분으로 전달된다.
한편, 캠코더의 VTR부분에서는 캠코더가 카메라모드이면 카메라부분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VTR모드이면 외부로부터 녹화하기 위한 영상신호(VIDEO)를 입력받는다. VTR부분에서는 카메라부분과 별도로 구비된 Y/C분리부(17)로 영상신호를 입력받는다. Y/C분리부(17)는 카메라부분의 Y/C분리부(14)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휘도신호(Y)와 색신호(C)를 분리한다. 즉, 1수평주사선지연소자(1H DL)를 통해 영상신호를 1수평주사선단위(1H)로 지연시키고, 입력영상신호와 1H지연된 영상신호를 가·감산하여 분리한다. 이 분리된 휘도신호(Y)와 색신호(C)는 신호처리부(18)에서 신호처리된다. 그런 다음 증폭부(19)에서 일정크기로 증폭된 후 헤드를 통해 소정 기록매체상에 기록된다.
하지만, 캠코더는 카메라부분과 VTR부분 각각에 대해 복합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1H지연소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품의 소형화추세에 뒤떨어질 뿐만아니라 경제적인 면에서도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캠코더의 카메라부분에만 Y/C분리부를 구비시켜 동작모드에 상관없이 하나의 1H 지연소자를 통해 휘도/색신호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현한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분과 촬영된 영상신호 내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동작모드에 따라 선택하여 녹화하기 위한 VTR부분으로 이루어진 캠코더에 있어서, 캠코더의 카메라부분에 위치하며, 카메라모드에서는 촬영된 영상신호를 인가받고 VTR모드에서는 외부영상신호를 인가받아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하는 Y/C분리부단, 및 카메라의 VTR부분에서는 상기 Y/C분리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소정 기록매체상에 기록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는 캠코더의 카메라부분(Camera Part)에서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렌즈(LENS)로부터 입사된 화상은 CCD(11)촬상면에 화상이 맺힌다. CCD(11)촬상면에 결상된 화상은 광량에 따라 전하량으로 변환되어 CCD(11)출력으로 전송된다. CCD(11)출력은 CDS(12)에서 이중상관샘플링되어 노이즈가 제거되고, AGC(13)에서 일정레벨로 조절된다. AGC(13)의 출력단에 연결된 A/D변환부(21)는 캠코더가 카메라모드인 경우 AGC(13)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캠코더가 VTR모드인 경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VIDEO)를 디지털형태로 변환한다. A/D변환부(21)의 출력단에는 캠코더의 모드에 상관없이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해 낼 수 있는 Y/C분리수단을 구비한 DSP(Digital Signal Processor)(23)가 연결된다. DPS(23)의 Y/C분리수단은 A/D변환부(21)로부터 인가되는 영상데이타를 1수평주사선지연소자(1H DL)를 통해 1H만큼 지연시키고, 1H지연된 영상데이타와 현재 입력영상데이타를 서로 가·감산시킨다. 그런 다음, ½ 분주시켜 휘도와 색신호를 분리해낸다. 이 두신호(Dd, Yd)는 D/A변환부(25)로 입력되어 아날로그형태로 변환된다. 휘도신호(Ya)와 색신호(Ca)는 캠코더의 VTR부분의 신호처리부(18)로 입력된다. 신호처리부(18)는 휘도신호(Ya)와 색신호(Ca)를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는 형태로 신호처리한다. 신호처리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는 증폭부(19)에서 일정크기로 증폭된 후 소정 기록매체상에 기록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캠코더의 카메라부분과 VTR부분에 별도의 Y/C분리부를 구비하던 종래에 비해서 카메라부분의 DSP내에 Y/C분리부를 장착시켜 동작모드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캠코더의 소형화추세에 동조할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효과가 크리라 기대된다.

Claims (3)

  1.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분과 촬영된 영상신호 내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동작모드에 따라 선택하여 녹화하기 위한 VTR부분으로 이루어진 캠코더에 있어서, 캠코더의 카메라부분에 위치하며, 카메라모드에서는 촬영된 영상신호를 인가받고 VTR모드에서는 외부영상신호를 인가받아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하는 Y/C분리부단; 및 카메라의 VTR부분에서는 상기 Y/C분리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소정 기록매체상에 기록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C분리수단은 촬영된 영상신호 내지는 외부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형태로 변환하는 A/D변환부; A/D변환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데이타에서 휘도와 색신호를 분리시키는 DSP; 및 DPS로부터 인가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아날로그형태로 변환하는 D/A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SP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타를 1수평주사선단위로 지연시키는 지연소자와, 지연된 영상데이타와 입력영상데이타를 서로 가·감산하여 휘도와 색신호를 분리해 내는 가·감산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
KR2019940008812U 1994-04-25 1994-04-25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 KR01374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8812U KR0137421Y1 (ko) 1994-04-25 1994-04-25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8812U KR0137421Y1 (ko) 1994-04-25 1994-04-25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699U KR950031699U (ko) 1995-11-22
KR0137421Y1 true KR0137421Y1 (ko) 1999-05-01

Family

ID=19381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8812U KR0137421Y1 (ko) 1994-04-25 1994-04-25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4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699U (ko)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4227A (ko) 클램핑 장치 및 클램핑 방법
US4754323A (en) Color image pickup device in which the level of a sequential color-difference signal is controlled on the basis of the level of the luminance signal
US8102434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program
KR960016443B1 (ko) 촬상 신호 처리 회로
US4992854A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of a video camera
KR0137421Y1 (ko) 캠코더의 휘도/색신호분리회로
JP3101393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3045394B2 (ja) ビデオカメラ
KR100213223B1 (ko) 고체 촬상 소자를 이용한 카메라 시스템의 신호 처리 장치
KR100387454B1 (ko) 비디오신호처리장치
JP3101374B2 (ja) 映像信号記録装置
JP3337962B2 (ja) 映像信号処理方法及び映像信号処理装置
JP3505864B2 (ja) ビデオカメラ
JP3406938B2 (ja) カメラ一体型記録再生装置
JP3231133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カメラ装置
JP3525445B2 (ja) ディジタル信号処理カメラ
JP3057279B2 (ja) カラーカメラ装置
JP2524009B2 (ja) ノイズ低減装置とノイズ低減撮像装置
JP3066195B2 (ja) 映像信号磁気記録再生装置
JP3631283B2 (ja) 単板カラー撮像装置の信号処理回路
KR930011979B1 (ko) 영상신호의 휘도 및 색신호 분리회로
JP3159311B2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H06205429A (ja) ビデオカメラ装置
JPH06141330A (ja) ディジタル電子カメラ用ad変換装置
JPH07162761A (ja) 固体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