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410B1 -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7410B1 KR0137410B1 KR1019940027833A KR19940027833A KR0137410B1 KR 0137410 B1 KR0137410 B1 KR 0137410B1 KR 1019940027833 A KR1019940027833 A KR 1019940027833A KR 19940027833 A KR19940027833 A KR 19940027833A KR 0137410 B1 KR0137410 B1 KR 01374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t spring
- contact
- locking projection
- common terminal
- movable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3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flexing of blade sp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Snap-action arrangements, i.e. in which during a single opening operation or a single closing operation energy is first stored and then released to produce or assist the contact movement
- H01H5/0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5/18—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flexing of blade spr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lide Switches (AREA)
Abstract
[목적]
접점간을 이간하는 큰 바운스가 발생하지 않도록 배려하면서 슬라이드부재 이외의 부재를 당접시켜 속동기구의 자주를 정지시킴으로서 압입 조작하는 속도가 빨라도 부하수명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또한 동일한 접점구조로 장·단 각종의 스트로크 다양성에 대응할 수 있는 스위치장치를 제공한다.
[구성]
평스프링(6)에 코먼단자(3)의 제1 계지용 돌기(3a)를 관통시켜 일단면(6d)이 상기 계지용 돌기(3a)에 당접가능한 계지용 절결을 개설하고, 가동접점(4a)이 고정접점(2a)에 접촉한 직후에 상기 계지용 절결의 단면(6d)이 제1 계지용 돌기(3a)에 당접하여 상기 평스프링(6)이 위치규제되도록 구성했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의 요부단면도.
제2도는 동 실시예에서 사용한 평스프링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의 요부단면도.
제4도는 종래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의 비조작시의 단면도.
제5도는 동종래예에서 속동기구가 자주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제7도는 동종래예에서 속동기구가 자주동작을 정지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제8도는 동종래예에서 속동기구를 최대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제9도는 다른 종래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에서 속동기구가 자주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고정단자22a:고정접점
3:코먼단자3a:제1 계지용 돌기
3b:제2 계지용 돌기 4:도체판
4a:가동접점4b:개구부
5:지지판6:평스프링
6a:각부6c:계지용 절결
6d:단면7:슬라이드부재
7a, 7b:캠부
본 발명은 텔레비젼등 전자기기의 푸시전원 스위치등으로서 이용되고, 슬라이드부재를 압입하면 평스프링이 굴신(屈伸)하면서도 도체판을 구동하여 온·오프의 접점변환이 행하여지는 속동식(速動式)의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속동식 스위치장치는 고러시(高 rush) 대응으로 세로 길이가 억제되는 푸시스위치로서 알려져 있으나, 이중, 슬라이드부재의 조작력을 가볍게하여 조작성을 높힌 것으로서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이 일본국 실공평 4-55388호로서 제안한 고안이 있다.
이 종래예에 관한 고안의 개략을 제4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를 도면에 나나낸 종래의 속동식 스위치장치는 케이스(1)와, 상단부에 고정접점(2a)을 설치하여 케이스(1)에 설치된 고정단자(3)와 제1 계지용 돌기(3a) 및 제2 계지용 돌기(3b)를 가지고 케이스(1)에 설치되어 당업자간에서 중앙단자라고도 불리우는 코먼(common)단자(3)와 일단부에 고정접점(2a)에 접리(接離)시키기 위한 가동접점(4a)을 설치하여 중앙부에 개구부(4b)가 개설되어 있는 도체판(4)과 일단부가 상기 개구부(4b)의 가동접점(4a)측의 개구연에 계지되어 타단부가 코먼단자(3)의 제1 계지용 돌기(3a)에 계지되어 도체판(4)을 지지하는 지지판(5)과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관을 드러내어 각부(6a) 및 슬릿상의 절결(6b)을 가지고, 지지판(5)의 상기 타단부를 걸친 상태로 상기 개구부(4b)의 반가동접점(4a)측의 개구연과 코먼단자(3)의 제2 계지용 돌기(3b) 사이에 굴설된 평스프링(6)과 이 평스프링(6)의 각부(6a)를 압압하기 위한 캠부(7a, 7b)를 가지고, 케이스(1)를 상단면을 따라 제4도의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7)와 이 슬라이드부재(7)를 항시 가세하는 자동복귀용 압축스프링(8)과 슬라이드부재((6)를 슬라이드 자유롭게 지지하는 프레임체(9)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체판(4)과 지지판(5)과 평스프링(6)의 3자는 유니트화된 속동기구를 구성하고 있고, 지지판(5) 및 평스프링(6)을 거쳐 코먼단자(3)의 양계지용 돌기(3a, 3b)에 가동하게 지지되어 있는 도체판(4)이 이들 지지판(5) 및 평스프링(6)에 의하여 구동됨과 함께 이 도체판(4)의 가동접점(4a)과 코먼단자(3)의 도통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코먼단자(3)의 제1 계지용 돌기(3a)와 교차하는 평스프링(6)은 그 절결(6b)내에 상기 게지용 돌기(3a)를 여유를 가지고 관통시키고 있기 때문에 평스프링(6)의 동작이 상기 계지용 돌기(3a)에 규제되는 것은 없다.
그리고, 슬라이드부재(7)를 왕복이동시키면 캠부(7a 또는 7b)가 평스프링(6)압압하여 이것을 압축시키고, 소정량 압축된 상기 평스프링(6)이 신장시에 자주(自走)하기 때문에, 이때 속동기구 전체가 자주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4도중의 부호 10은 양단을 각각 케이스(1)와 슬라이드부재(7)에 계합시켜 상기 슬라이드부재(7)의 로크 및 언로크를 행하는 단핀, 11은 단핀푸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4도에 나타낸 초기상태에서 케이스(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슬라이드부재(7)의 조작부(7c)를 동도 우방향으로 압입(押入)하여 가면, 먼저 캠부(7a)를 평스프링(6)의 각부(6a)를 압압하여 제6도의 상태가 되고, 이어서 압축된 상기 평스프링(6)이 반전포인트에 달하여 신장하기 때문에 속동기구가 자주하고, 자주 개시후 즉시 가동접점(4a)이 고정접점(2a)에 당접하여 스위치 온 상태로 변환되고, 즉 직후에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스프링(6)의 각부(6a)가 캠부(7b)에 당접하여 속동기구의 자주동작이 정지된다.
또한, 이렇게 왕동시킨 슬라이드부재(7)의 조작부(7c)를 다시 약간량 압입하면 캠부(7b)가 평스프링(6)의 각부(6a)로부터 이간하여 도체판(4)이 가동접점(4a)과 고정접점(2a)의 당접점(P)을 중심으로 제7도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체판(4)의 후단부가 코먼단자(5)의 단부(3c)에 당접하고, 상기 도체판(4)은 로크상태가 된다.
이때, 슬라이드부재(7)로 단핀(10)의 작용으로 로크상태가 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왕복시켜 온 상태에서 로크된 슬라이드부재(7)의 조작부(7c)를 아이들 스트로크를 이용하여 다시 약간량 압입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7)는 단핀(10)의 작용으로 로크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압축스프링(8)의 탄발력에 의하여 압입방향과는 반대쪽으로 이동하여 간다.
그리고, 이 복동시에 캠부(7b)가 평스프링(6)의 각부(6a)를 제8도의 좌방향으로 압압하기 때문에 상기 평스프링(6)의 변위에 따라 도체판(4)이 제4도에 나타낸 초기위치까지 복귀하고, 이 복귀과정에서 가동접점(4a)이 고정접점(2a)으로부터 이간하여 스위치오프상태가 된다.
그래서, 상기한 종래의 속동식 스위치장치에서는 슬라이드부재(7)의 조작부(7c)에 대하여 강한 압입조작력이 가하여져 상기 슬라이드부재(7)의 이동속도가 평스프링(6)의 각부(6a)의 자주속도(약 1m/초)보다도 클 때 각부(6a)가 캠부(7b)에 따라 붙지 않아 속동기구의 자주동작을 슬라이드부재(7)로 정지시킬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결국 제7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부(6a)를 캠부(7b)에 당접시킬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도체판(4)의 후단부가 코먼단자(3)의 단부(3c)에 당접한 시점(제8도 참조)에서 보로소 속동기구의 자주가 정지되게 된다.
또,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와 마찬가지의 접점구조를 채용하면서 슬라이드부재(7)의 풀스프로크를 길게 설정했던 때에는 캠부(7b)의 위치가 각부(6a)로부터 지나치게 이간되어 버리기 때문에 슬라이드부재(7)를 천천히 압입하여도 자주한 평스프링(6)을 상기 캠부(7b)로 정지시킬 수 없어 역시 도체판(4)의 후단부를 코먼단자(3)의 단부(3c)에 계지시킴으로서 속동기구의 자주동작을 정지시키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각부(6a)를 캠부(7b)에 계지시키는 경우와 달리 도체판(4)의 반가동접점(4a)측의 단부를 코먼단자(3)의 단부(3c)에 계지시켜 속동기구의 자주동작을 정지시킬 경우에는 접촉상태에 있는 양접점(2a,4a)간이나 다른 도전접촉부간을 이간하는 비교적 큰 바운스가 발생하여 소손등을 초래하기 때문에 부하수명에 중대한 악영향을 미쳐 버린다.
즉, 종래구조는 슬파이드부재(7)를 항상 신중하게 조작하고 있지 않으면 부하수명이 단축되기 쉽고, 또, 부하수명을 고려하면 동일 접점구조로 풀스트로크를 길게하는 것도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압입 조작하는 속도가 빨라도 부하수명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또한 동일접점 구조로 장·단 가공의 스트로크 다양성에 대응할 수 있는 속동식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고정접점을 설치한 고정단자와 개구부를 가지고 일단부에 상기 고정접점에 접리시키기 위한 가동접점을 설치한 도체판과, 제1 계지용 돌기 및 제2 계지용 돌기를 가지고, 이들 양돌기로 상기 도체판을 가동하게 지지하여 상기 가동접점과의 도통을 유지하는 코먼단자와 일단부가 상기 개구부의 상기 가동접점측의 개구연에 계지되어 타단부가 상기 코먼단자의 제1 계지용 돌기에 계지되어 상기 도체판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의 상기 타단부를 걸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의 반가동 접점측의 개구연과 상기 코먼단자의 제2 계지용 돌기 사이에 굴설되고, 상기 지지판과 협동하여 상기 도체판을 구동하는 평스프링과, 이 평스프링의 일부를 압압하기 위한 캠부를 가지고, 왕복동작에 따라 상기 캠부를 거쳐 상기 평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슬라이드부재를 구비하고, 소정량 압축된 상기 평스프링이 신장시에 자주하는 속동식의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스프링에 상기 코먼단자의 제1계지용 돌기를 관통시켜 일단면이 상기 계지용 돌기에 당접 가능한 계지용 절결을 개설하고,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한 직후에 상기 계지용 절결의 상기 단면이 상기 제1 계지용 돌기에 덩접하여 상기 평스프링이 위치규제되도록 구성함으로서 달성된다.
상기와 같이 속동기구가 자주하여 스위치 온한 직후에 평스프링의 계지용 절결을 관통하는 코먼단자의 제1계지용 돌기에 상기 절결의 일단면이 당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당접으로 속동기구의 자주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이 당접시에 속동기구가 받는 충격을 상기 평스프링을 코먼단자의 제2 계지용 돌기를 향하여 압압하는 외력이라 할 수 있고, 따라서 접점간이나 다른 도전접촉부간을 이간하는 원치않는 바운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슬라이드부재의 캠부 대신 코먼단자의 제1 계지용 돌기를 이용하여 속동기구의 자주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으면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속도가 속동기구의 자주속도보다 빠른 경우에도 또 슬라이드부재의 풀스트로크를 길게 설정한 경우에도 부하수명에의 악영향이 적은 상태에서 상기 속동기구의 자주동작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의 요부단면도, 제2도는 동 실시예에서 사용한 평스프링의 사시도이고, 종래예의 설명에 이용된 제4도 내지 제9도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가 붙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낸 속동식 스위치장치는 케이스(1)와 상단부에 고정접점(2a)을 설치하여 케이스(1)에 설치된 고정단자(2)와 제1 계지용 돌기(3a) 및 제2 계지용 돌기(3b)를 가지고 케이스(1)에 설치된 코먼단자(3)와 일단부에 고정접점(2a)에 접리시키기 위한 가동접점(4a)을 설치하여 중앙부에 개구부(4b)가 개설되어 있는 도체판(4)과 일단부가 상기 개구부(4b)의 가동접점(4b)측의 개구연에 계지되어 타단부가 코먼단자(3)의 제1 계지용 돌기(3a)에 계지되어 도체판(4)을 지지하는 지지판(5)과,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관을 드러내어 각부(6a) 및 슬릿상의 계지용 절결(6c)을 가지고, 지지판(5)의 상기 타단부를 걸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4b)의 빈가동접점(4a)측의 개구연과 코먼단자(3)의 제2 계지용 돌기(3b) 사이에 굴설된 평스프링(6)과 이 평스프링(6)의 각부(6a)를 압압하기 위한 캠부(7a, 7b)를 가지고, 케이스(1)의 상단면을 따라 제1도의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7)와, 이 슬라이드부재(7)를 항시 가세하는 자동복귀용의 도시생략한 압축스프링과, 슬라이드부재(7)를 슬라이드 자유롭게 유지하는 프레임체(9)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체판(4)과 지지판(5)과 평스프링(6) 3자는 유니트화된 속동기구를 구성하고 있고, 지지판(5) 및 평스프링(6)를 거쳐 코먼단자(3)의 양계지용 돌기(3a, 3b)에 가동하게 지지되어 있는 도체판(4)이 이들 지지판(5) 및 평스프링(6)에 의하여 구동됨과 동시에 이 도체판(4)의 가동접점(4a)과 코먼단자(3)의 도통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부재(7)를 왕복이동시키면 캠부(7a 또는 7b)가 평스프링(6)을 압압하여 이것을 압축시키고, 소정량 압축된 상기 평스프링(6)이 신장시에 자주하기 때문에 이때 속동기구 전체가 자주하도록 되어 있다.
또 코먼단자(3)의 제1 계지용 돌기(3a)와 교차하는 평스피링(6)은 그 계지용 절결(6c)내에 상기 계지용 돌기(3a)를 관통시키고 있으나 상기 절결(6c)은 그 일단면(6d)을 각부(6a) 근방의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평스프링(6)이 변위하여 가동접점(4a)이 고정접점(2a)에 접촉된 직후에 상기 단면(6d)이 제1 계지용 돌기(3a)에 당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 오프상태에서 슬라이드부재(7)에 압입되어 반전 포인트까지 압축된 평스프링(6)이 신장하여 속동기구가 자주하면 스위치 온 상태로 변환된 직후에 평스프링(6)이 제1 계지용 돌기(3a)에 당접하여 계지되고, 이로서 속동기구의 자주동작이 계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케이스(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슬라이드부재(7)의 도시생략한 조작부를 압입하여 가면 먼저 캠부(7a)가 평스프링(6)의 각부(6a)를 압압하고, 이어서 압축된 상기 평스프링(6)이 반전포인트에 달하여 신장하기 때문에 속동기구가 자주하고, 자주 개시후 즉시 가동접점(4a)이 고정접점(2a)에 당접하여 스위치 온 상태로 변환되고, 그 직후에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스프링(6)의 계지용 절결(6c)의 단면(6d)이 코먼단자(3)의 제1 계지용 돌기(3a)에 당접하여 계지되기 때문에 속동기구의 자주동작은 정지되어 도체판(4)은 로크상태가 되고, 이때 슬라이드부재(7)도 도시생략한 단핀작용으로 로크상태가 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왕동시켜 온 상태에서 로크된 슬라이드부재(7)의 조작부를 아이들 스트로크를 이용하여 다시 약간량 압입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7)는 상기 단핀작용으로 언로크되기 때문에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압입방향과는 반대쪽으로 이동하여 가고, 이 복동시에 캠부(7b)가 평스프링(6)의 각부(6a)를 도시좌방향으로 압압하기 때문에 상기 평스프링(6)의 변위에 따라 도체판(4)이 초기위치까지 복귀하고, 이 복귀과정에서 가동접점(4a)이 고정접점(2a)으로부터 이간하여 스위치 오프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는 속동기구가 자주하여 스위치 온한 직후에 평스프링(6)의 계지용 절결(6c)의 일단면(6d)을 코먼단자(3)의 제1 계지용 돌기(3a)에 당접시켜 자주동작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당접시에 속동기구가 받는 충격은 평스프링(6)을 코먼단자(3)의 제2 계지용 돌기(3b)를 압압하는 외력으로서, 따라서 접점(2a, 4a) 간이나 다른 도전접촉부간을 이간하는 큰 바운스가 발생할 위험성이 적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왕동시에 평스프링(6)을 코먼단자(3)의 제1 계지용 돌기(3a)에 계지시켜 속동기구의 자주동작이 정지하도록 되어 있으면, 슬라이드부재(7)의 이동속도가 속동기구의 자주속도 보다 늦은 경우는 물론, 강하게 압입조작되어 슬라이드부재(7)의 이동속도가 속동기구의 자주속도 보다 빠른 경우에도 부하수명에의 악영향이 적은 상태에서 상기 속동기구의 자주동작은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하수명의 안정화나 장수명화를 실현할 수 있어 품질의 향상이 도모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의 요부단면도로서 제1도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가 붙어 있다.
제3도에 나타낸 스위치장치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접점구조를 채용하면서 슬라이드부재(7)의 풀스트로크를 길게 설정한 경우의 예로서 상기 슬라이드부재(7)의 캠부(7a)와 캠부(7b)의 간격이 넓어지고 있으나 왕동시에 자주하는 평스프링(6)의 단면(6d)을 코먼단자(3)의 제1 계지용 돌기(3a)에 계지시키는 점은 상기 실시예와 같고, 따라서 속동기구의 자주동작은 부하수명에의 악영향이 적은 상태에서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결국, 이 실시예나 상기 실시예에서 채용한 접점구조는 부하수명을 고려하는 일 없이 장·단 각종의 스트로크 다양성에 대응시킬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속동식의 스위치장치는 속동기구가 자주하여 스위치 온한 직후에 코먼단자의 제1 계지용 돌기에 평스프링의 계지용 절결의 일단면에 당접하여 자주동작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당접시에 접점간이나 다른 도전접촉부간을 이간하는 큰 바운스가 발생하기 어렵고, 또, 종래와 같이 평스프링의 자주를 슬라이드부재로 위치규제하여 정지시킬 수는 없기 때문에, 슬라이드부재를 압입 조작하는 속도가 빨라도 부하수명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또한 동일접점 구조로 장·단 각종의 스트로크 다양성에 대응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 고정접점을 설치한 고정단자와, 개구부를 가지고 일단부에 상기 고정접점에 접리시키기 위한 가동접점을 설치한 도체판과, 제1 계지용 돌기 및 제2 계지용 돌기를 가지고, 이들 양돌기로 상기 도체판을 가동되게 지지하여 상기 가동접점과의 도통을 유지하는 코먼단자와, 일단부가 상기 개구부의 상기 가동접점측의 개구연에 계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코먼단자의 제1 계지용 돌기에 게지되어 상기 도체판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의 상기 타단부를 걸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의 반가동 접점측의 개구연과 상기 코먼단자의 제2 계지용 돌기 사이에 굴설되고, 상기 지지판과 협동하여 상기 도체판을 구동하는 평스프링과 이 평스프링의 일부를 압압하기 위한 캠부를 가지고, 왕복동작에 따라 상기 캠부를 거쳐 상기 평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슬라이드부재를 구비하고, 소정량 압축된 상기 평스프링이 신장시에 자주하는 속동식의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스프링에 상기 코먼단자의 제1 계지용 돌기를 관통시켜 일단면이 상기 계지용 돌기에 당접가능한 계지용 절결을 개설하고,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한 직후에 상기 계지용 절결의 상기 단면이 상기 제1 계지용 돌기에 당접하여 상기 평스프링이 위치 규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278386A JP3008751B2 (ja) | 1993-11-08 | 1993-11-08 | スイッチ装置 |
JP93-278386 | 1993-11-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15440A KR950015440A (ko) | 1995-06-16 |
KR0137410B1 true KR0137410B1 (ko) | 1998-07-01 |
Family
ID=17596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27833A KR0137410B1 (ko) | 1993-11-08 | 1994-10-28 | 스위치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JP (1) | JP3008751B2 (ko) |
KR (1) | KR0137410B1 (ko) |
CN (1) | CN1036363C (ko) |
DE (1) | DE4439933C2 (ko) |
MY (1) | MY112113A (ko) |
TW (1) | TW280919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9965B1 (ko) * | 1997-06-30 | 2006-02-08 | 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 마이크로스위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34857B2 (ja) * | 1995-10-17 | 2001-12-04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スイッチ装置 |
JP5270479B2 (ja) * | 2009-07-10 | 2013-08-21 | 三菱電機株式会社 | 電気機器の取付装置及びその取付装置を備えた回路遮断器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423075C2 (de) * | 1974-05-13 | 1983-10-20 | J.& J. Marquardt, 7201 Rietheim-Weilheim | Elektrischer Schalter |
JPH0455388Y2 (ko) * | 1986-03-12 | 1992-12-25 |
-
1993
- 1993-11-08 JP JP5278386A patent/JP3008751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
- 1994-10-20 TW TW083109731A patent/TW280919B/zh active
- 1994-10-28 KR KR1019940027833A patent/KR013741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11-07 MY MYPI94002948A patent/MY112113A/en unknown
- 1994-11-08 DE DE4439933A patent/DE4439933C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11-08 CN CN94117741A patent/CN1036363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9965B1 (ko) * | 1997-06-30 | 2006-02-08 | 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 마이크로스위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3008751B2 (ja) | 2000-02-14 |
CN1036363C (zh) | 1997-11-05 |
KR950015440A (ko) | 1995-06-16 |
DE4439933C2 (de) | 1996-12-12 |
DE4439933A1 (de) | 1995-05-11 |
MY112113A (en) | 2001-04-30 |
TW280919B (ko) | 1996-07-11 |
CN1107996A (zh) | 1995-09-06 |
JPH07134927A (ja) | 1995-05-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39956C (zh) | 按钮开关 | |
KR101511322B1 (ko) | 푸쉬버튼 스위치 | |
KR0137410B1 (ko) | 스위치장치 | |
US4531026A (en) | Multiple switch assembly having pulsating secondary contacts | |
JPH10149742A (ja) | スイッチ装置 | |
KR890006356Y1 (ko) | 스위치 장치 | |
US11456126B2 (en) | Electric switch | |
US4385214A (en) | Interlock pushbutton assembly | |
KR100322778B1 (ko) | 푸시스위치 | |
KR930001257A (ko) | 스위치 장치 | |
GB2110472A (en) | Electric switch | |
JP2000149710A (ja) | スイッチ装置 | |
JP3104950B2 (ja) | スイッチ装置 | |
KR930006387Y1 (ko) | 슬라이드레버를 이용한 마이크로스위치 구조 | |
JPH0329853Y2 (ko) | ||
JPH0455388Y2 (ko) | ||
JP2533348Y2 (ja) | スイッチ装置 | |
US1158060A (en) | Electric switch. | |
JP2547951Y2 (ja) | レバースイッチの接点切換え機構 | |
JP3113496B2 (ja) | 速動式スイッチ装置 | |
JP3911779B2 (ja) | スイッチ | |
KR910003389Y1 (ko) | 스위치 작동장치 | |
JPH04501Y2 (ko) | ||
JP3821965B2 (ja) | スイッチ装置 | |
JP2023008052A (ja) | プッシュスイッ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113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