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335Y1 - 트렁크공간을 이용한 소음저감장치 - Google Patents

트렁크공간을 이용한 소음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335Y1
KR0137335Y1 KR2019940029414U KR19940029414U KR0137335Y1 KR 0137335 Y1 KR0137335 Y1 KR 0137335Y1 KR 2019940029414 U KR2019940029414 U KR 2019940029414U KR 19940029414 U KR19940029414 U KR 19940029414U KR 0137335 Y1 KR0137335 Y1 KR 01373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trunk space
reduction device
engin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94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165U (ko
Inventor
김태정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294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335Y1/ko
Publication of KR9600171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1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3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3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Abstract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자동으로 소음발생을 저감시키는 소음 저감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트렁크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공간의 패키지트레이상에 성형된 감음구와, 상기 감음구를 개폐하는 감음구도어와, 양단의 구동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감음구도어를 섭동시키는 양방향전동기와,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알피엠센서와, 상기 알피엠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양방향전동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공간을 이용한 소음저감장치.

Description

트렁크공간을 이용한 소음저감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내의 소음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공간을 이용한 소음저감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 공간을 이용한 소음저감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 : 차내 30 : 트렁크 공간
40 : 소음경계면 50 : 배기관
60 : 엔진 70 : 감음구
80 : 페키지트레이 90 : 감음구도어
100 : 구동기어 110 : 양방향 전동기
120 : 제어기 130 : 알피엠센서
본 고안은 자동차용 소음저감장치(noise reduction de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기시동 및 공회전시 차내에 발생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하는 소음을 트렁크공간(trunk volume)을 이용하여 저감시키는 트렁크공간을 이용한 소음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내의 소음발생은 여러가지 인자에 의하여 발생 하지만 특히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시동시 엔진(60)의 진동에 따라 차체(10)로 구성된 공간인 차내(20)의 소음발생이 운전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하는바, 이는 보통 엔진(60)의 초기시동회전수가 1000-1200 r.p.m이 되면 엔진(60)의 가진 주파수가 30-40 ㎐가 되므로 배기관을 통해 차체에 전달되고, 약 37 ㎐가 되는 차내(20)의 기주공명주파수와 중첩되어 공진에 따른 불쾌한 소음이 발생되며,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뒷좌석등받이(25)상에 소음경계면(nodac surface)(40)즉, 소음 및 진동을 느끼지 못하는 3차원상의 공간면이 위치하는 소음상태를 지닌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초기 시동시 엔진의 가진주파수와 차내의 기주공명주파수의 영역을 서로 이격시켜 소음경계면의 위치를 변경하고, 공진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내와 트렁크공간의 경계면인 패키지트레이(package tray)상에 감음구(noise reduction hole)를 구비하여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시켜 차량의 주행조건에 따른 소음발생을 저감시키는 트렁크공간을 이용한 소음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트렁크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공간의 패키지트레이상에 성형된 감음구와, 상기 감음구를 개폐하는 감음구도어와, 양단의 구동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감음구도어를 섭동시키는 양방향 전동기와,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알피엠센서와, 상기 알피엠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양방향전동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공간을 이용한 소음저감장치에 의해 달성되어 질수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공간을 이용한 소음저감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공간을 이용한 소음저감장치의 구성도로써, 트렁크공간(30)을 구비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공간(30)의 패키지트레이(80)상에 성형된 감음구(70)와, 상기 감음구(70)를 개폐하는 감음구도어(90)와, 양단의 구동기어(100)를 회전시켜 상기 감음구도어(70)를 섭동시키는 양방향 전동기(110)와, 엔진(6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알피엠센서(130)와, 상기 알피엠센서(130)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양방향전동기(110)를 제어하는 제어기(1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공간(30)을 이용한 소음저감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트레이(80)상에 일정한 형상의 감음구(70)를 성형하여 엔진(60)의 초기시동시 및 공회전시와 같은 저속회전시(1000-1200 rpm) 차내(20)의 기주공명주파수(약 37 ㎐)와의 중첩에 따른 소음발생을 방지하게 되는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경계면이 앞좌석등받이(26)와, 뒷좌석등받이(25)사이에 위치이동되고, 상기 감음구(70)의 개통으로 차내의 공간이 넓어지므로 기주공명주파수가 약 45 ㎐ 이상으로 높아져 엔진(60)의 가진주파수 약 30-40Hz의 영역과 이격되므로 상호 공진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불쾌한 소음발생을 줄일수 있게 된다. 또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6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알피엠센서(130)에 의해 엔진회수가 2000rpm 이상이 되는 주행시에는 상기 제어기(120)가 자동적으로 상기 양방향전동기(110)를 제어하여 구동기어(100)를 통해 상기 감음구(70)를 개폐하는 상기 감음구도어(90)를 닫으므로 차내(20)의 기주공명주파수를 37 ㎐이하로 떨어 뜨림으로 엔진(60) 및 배기관(50)의 주파수 영역과 이격시켜 소음을 저감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공간을 이용한 소음저감장치는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자동으로 소음발생을 방지하도록 페키지트레이상의 감음구를 개폐시켜줌으로써, 불쾌한 소음으로 부터 운전자를 안락한 주행상태로 전환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트렁크공간(30)을 구비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공간(30)의 패키지트레이(80)상에 성형된 감음구(70)와, 상기 감음구(70)를 개폐하는 감음구도어(90)와, 양단의 구동기어(100)를 회전시켜 상기 감음구도어(70)를 섭동시키는 양방향전동기(110)와, 엔진(6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알피엠센서(130)와, 상기 알피엠센서(130)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양방향전동기(110)를 제어하는 제어기(1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공간을 이용한 소음저감장치.
KR2019940029414U 1994-11-07 1994-11-07 트렁크공간을 이용한 소음저감장치 KR01373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9414U KR0137335Y1 (ko) 1994-11-07 1994-11-07 트렁크공간을 이용한 소음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9414U KR0137335Y1 (ko) 1994-11-07 1994-11-07 트렁크공간을 이용한 소음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165U KR960017165U (ko) 1996-06-17
KR0137335Y1 true KR0137335Y1 (ko) 1999-03-20

Family

ID=1939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9414U KR0137335Y1 (ko) 1994-11-07 1994-11-07 트렁크공간을 이용한 소음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33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143B1 (ko) * 2001-09-06 2004-04-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소음 차단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165U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6866B2 (en) Active noise cancellation stability solution
JP3841296B2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制御装置
BRPI0617962A2 (pt) método para desligar um motor de combustão interna em um veìculo hìbrido e sistema para desligar um motor de combustão interna de um veìculo hìbrido
EP1688604A4 (en) ELECTRONIC GAS BUTTON CONTROL SYSTEM, AND TWO-WHEEL MOTOR VEHICLE
CN103867363A (zh) 主动控制声音发生器
KR0137335Y1 (ko) 트렁크공간을 이용한 소음저감장치
US20020039422A1 (en) Driving mode for active noise cancellation
US20040103882A1 (en) Throttle control heat dissipation device
JP2005076619A (ja) 車両用エンジンの吸気音制御装置
JP2527439B2 (ja) 車両用定速走行装置
US5765529A (en) Wireless control system of a throttle valve for automobiles
KR20150104380A (ko) 완가속 주행시 스로틀 밸브 개도 제한 방법
US20180208118A1 (en) Mirror assembly and method of reducing wind noise throb
JPS592926A (ja) パワ−ユニツトの支持装置
JP6949791B2 (ja) スロットル装置
JPH0565398B2 (ko)
KR0172571B1 (ko) 자동차용 머플러의 레저네이터 장치
JPH0735772Y2 (ja) ルーフ着脱式車輌に於けるエンジンマウント制御装置
KR0139757Y1 (ko) 자동차 흡기계통의 가변 리조네이터
JP2560182Y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KR200273133Y1 (ko) 자동차용 선그라스 보관함
JPH0342273Y2 (ko)
KR950003813Y1 (ko) 에어크리너의 흡음장치
JPH03113159A (ja) 歯車式変速機の歯打ち音低減装置
JP2998493B2 (ja) 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