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272Y1 - 파이프의 선단 마무리용 부재 - Google Patents

파이프의 선단 마무리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272Y1
KR0137272Y1 KR2019950048012U KR19950048012U KR0137272Y1 KR 0137272 Y1 KR0137272 Y1 KR 0137272Y1 KR 2019950048012 U KR2019950048012 U KR 2019950048012U KR 19950048012 U KR19950048012 U KR 19950048012U KR 0137272 Y1 KR0137272 Y1 KR 0137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esent
tip
finishing
en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8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507U (ko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8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272Y1/ko
Publication of KR9700435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5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2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의 선단 마무리용 부재(10)에 관한 것으로, 선단에는 원호형상의 만곡부(1)를 형성하고, 파이프(P)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 삽입부(5)의 외주면으로는 톱니형상을 갖는 걸림턱(3)을 연속형성하였으며, 상기한 삽입부(5)의 내측으로는 십자형상의 절개부(4)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써 파이프(P) 선단의 마무리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의 선단 마무리용 부대
제1도는 종래의 파이프의 선단 마무리용 부재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만곡부 3 : 걸림턱
4 : 절개부 5 : 삽입부
P : 파이프
본 고안은 파이프의 선단 마무리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선단에 부착함으로써 파이프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도록 하여 마무리작업을 신속하교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버스의 실내에 설치되는 파이프와 같이 표면에 수지재의 피복층이 형성됨으로써 용접에 의한 접합이 불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의 선단의 마무리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형단면을 갖는 파이프는 장방형의 판체를 원형으로 권취시킨 다음 각 접촉면을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접합시킴으로써 양 단부가 그대로 노출된 구조를 갖게 되므로, 상기한 파이프의 선단에는 별도의 부재를 부착시켜 파이프의 내부로 이물질이 인입되거나 날카로운 엣지에 의한 신체의 손상을 방지하는 한편,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하게 된는 데,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파이프 선단의 마루리 부재로써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부재(30)를 파이프(P)의 선단에 밀착시킨 후 용접에 의해 일체로 부착시키고, 상기한 과정후에는 접합면을 연마시킴으로써 파이프(P)의 선단을 마무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파이프(P) 선단의 마무리를 위해 별도의 부재(30)를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접합시키는 경우에는 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한편, 파이프(P)의 소재에 따라 용접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으며, 특히 버스와 같은 차량의 살내에 설치되는 파이프이 경우에는 표면에 PVC와 같은 수지재로 이루어진 피복층이 형성됨으로써 용접이 불가능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다.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의 선단 마무리용 부재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이프 선단의 마무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한편, 파이프의 소재나 피복층의 형성여부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선단에는 원호형상의 만곡부를 형성하고, 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 삽입부의 외주면으로는 톱니형상을 갖는 걸림턱을 연속형성하였으며, 상기한 삽입부의 내측으로는 십자형상의 절개부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의 선단 마무리용 부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의 선단 마무리용 부재(10)는 선단에는 원호형상의 만곡부(1)를 형성하고, 원형단면으로 이루어져 파이프(P)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 삽입부(5)의 외주면으로는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톱니형상을 갖는 걸림턱(3)을 연속형성하였으며, 상기한 삽입부(5)의 내측으로는 십자형으로 절개부(4)를 형성함으로써 파이프(P)와의 결합시 파이프(P)의 내경이 삽입부(5)의 직경보다 다소 작을 경우에도 상기한 절개부(4)의 탄성에 의해 삽입부(5)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이에 따라 걸림턱(3)이 파이프(P)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파이프(P)로부터 본 고안의 외부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므로써 파이프(P)와의 결합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본 고안이 강한 고정력에 의해 파이프(P)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의 선단 마무리용 부재(10)는 버스의 실내에 설치되어 손잡이가 부착되도록 한 파이프의 단부와 같이 외부로부터 쉽게 노출되거나 신체와의 잦은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위의 파이프(P) 선단에 부착시키며,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의 선단 마무리용 부재(10)를 파이프(P)의 선단에 부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삽입부(5)를 파이프(P)의 주연과 밀착시킨 후 본 고안의 선단을 가압시킴으로써 파이프(P)와 일체로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파이프(P)의 내경이 삽입부(5)의 직경보다 다소 작을 경우에도 삽입부(5)에 형성된 십자형상의 절개부(4)에 의해 삽입부(5)의 직경이 축소됨으로써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P)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한 과정에 의해 삽입부(5)의 결합이 완료되면 절개부(4)에 의한 탄성에 의해 직경이 축소되었던 삽입부(5)는 초기의 상태로 복귀되어지는 한편,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형상의 걸림턱이 파이프(P)의 내주면과 단단히 밀착하게 되므로 외부로의 안출없이 강한 고정력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의 선단 마무리용 부재(10)는, 파이프(P) 선단의 마무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한편, 용접작업이 불필요하며 파이프(P)의 소재나 파이프(P) 표면의 피복층 형성여부에 관계없이 결합할 수 있고, 연삭과 같은 별도의 후처리 공정이 불필요하여 작업효율을 대폭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강한 고정력에 의해 파이프(P)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선단에는 원호형상의 만곡부(1)를 형성하고, 파이프(P)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 삽입부(5)의 외주면으로는 톱니형상을 갖는 걸림턱(3)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되, 상기 삽입부(5)의 내측으로는 십자형상의 절개부(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선단 마무리용 부재.
KR2019950048012U 1995-12-27 1995-12-27 파이프의 선단 마무리용 부재 KR01372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8012U KR0137272Y1 (ko) 1995-12-27 1995-12-27 파이프의 선단 마무리용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8012U KR0137272Y1 (ko) 1995-12-27 1995-12-27 파이프의 선단 마무리용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507U KR970043507U (ko) 1997-07-31
KR0137272Y1 true KR0137272Y1 (ko) 1999-02-18

Family

ID=1943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8012U KR0137272Y1 (ko) 1995-12-27 1995-12-27 파이프의 선단 마무리용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2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157B1 (ko) * 2022-11-24 2024-02-02 주식회사 광운기술 내화성을 가지는 비계파이프용 안전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157B1 (ko) * 2022-11-24 2024-02-02 주식회사 광운기술 내화성을 가지는 비계파이프용 안전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507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8628A (en) Branched hose construction, T-connector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5051541A (en) Plastic electrical connector for liquidtight conduit
JPH0347166B2 (ko)
US20100148496A1 (en) Connecting piece comprising a gripping element on the outer surface for rotating the connecting piece
CA2257780A1 (en) Composite socket with dual inserts and annular reinforcing member
US20060130280A1 (en) Attachment of Metal and Plastic Parts of an Implement Handle
US5039134A (en) Branched hose construction, T-connector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902299A (en) Hose coupling assembly
KR0137272Y1 (ko) 파이프의 선단 마무리용 부재
US4951363A (en) Hose clamp
CA2389612A1 (en) Improved welding socket
US5290137A (en) Pin bushing
KR0137274Y1 (ko) 파이프의선단무무리용부재
US2799520A (en) Screw-fed type hose coupling with wire anchor coil
JP2003269423A (ja) 板の連結用ファスナー
JP3747309B2 (ja) 管継手
US4838315A (en) Handle for a septic system drain hose
JPS61274198A (ja) 収縮材料から成りかつ長手方向分割されたホ−ス形状の外層管とその外層管を閉鎖するための方法
JP2005076760A (ja) ホースクランプ
KR200230313Y1 (ko) 앵커 볼트
JP3682372B2 (ja) 管継手
JPH0113897Y2 (ko)
JP3739627B2 (ja) ゴム輪受口構造
JPH10122461A (ja) ポリオレフィン系管の離脱防止継手
JP2519168B2 (ja) 管継手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