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735Y1 -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735Y1
KR0135735Y1 KR2019950050270U KR19950050270U KR0135735Y1 KR 0135735 Y1 KR0135735 Y1 KR 0135735Y1 KR 2019950050270 U KR2019950050270 U KR 2019950050270U KR 19950050270 U KR19950050270 U KR 19950050270U KR 0135735 Y1 KR0135735 Y1 KR 0135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assette
roll paper
roller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0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5390U (ko
Inventor
황승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50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735Y1/ko
Publication of KR9700453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53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7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88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 G03G15/6594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format or the thickness, e.g. endless for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443Copy medium
    • G03G2215/00451Paper
    • G03G2215/00455Continuous web, i.e. ro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레이져 방식 및 열전사 방식의 프린트부에서 기록지를 카드리지화 하므로서 일반용지 뿐만 아니라 롤용지 및 전산용지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사용 가능한 기록지를 다양화시킬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카세트용지를 장착할 수 있는 카세트와, 롤용지를 장착할 수 있는 용지함과, 상기 카세트용지 및 롤용지를 급지시키는 픽업롤러와, 일정한 주속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 표면의 토너 화상을 카세트용지 및 롤용지 상에 전사시키는 전사기와, 상기 전사된 카세트용지 및 롤용지 상의 토너 화상을 정착 및 압축시키는 히팅롤러와 압축롤러와, 상기 카세트용지 및 롤용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지롤러와, 상기 화상이 형성된 롤용지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오토-커트로 구성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팩시밀리, 복사기, 프린터 등에서 프린팅(printing)시에 사용되는 기록지로서 카세트용지(sheet)와 롤용지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용지를 다양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기기본체 내부에서 카세트용지(sheet)는 카세트에 장착하고, 롤용지는 용지함에 장착하여 사용하므로서 하나의 단일화된 모듈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프린팅(printing)의 편리성을 도모하였으며,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에서 카세트 용지만 장착된 상태에서 레이져 방식을 이용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서 롤 용지만 장착된 상태에서 열전사 방식을 이용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용지와 롤 용지가 동시에 장착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제4도는 제3도에서 카세트 용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레이져 방식을 이용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제5도는 제3도에서 롤 용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레이져 방식을 이용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용지와 롤 용지가 동시에 장착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제7도는 제6도에서 카세트 용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열전사 방식을 이용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제8도는 제6도에서 롤 용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열전사 방식을 이용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0 : 원고 12,42 : 카세트
14,44 : 카세트용지(sheet) 16,46 : 롤
18,48 : 롤용지 20,50 : 용지함
22,52 : 픽업롤러(pick-up roller) 24 : 감광드럼
26 : 전사기 28 : 히팅롤러(heating roller)
30 : 압축롤러 32,64 : 배지롤러
34,66 : 오터-커터(auto-cutter) 54 : 제1 롤러
56 : 잉크리본 58 : 열전사헤드
60 : 플라텐롤러(platen roller) 62 : 제2 롤러
본 고안은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의 전자사진 프로세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이져 방식 및 열전사 방식의 프린트부에서 기록지를 카드리지화 하므로서 일반용지 뿐만 아니라 롤 용지 및 전산용지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기술로서 카세트용지만 장착된 상태에서 레이겨 방식을 이용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사진 프로세서의 하단부에는 카세트용지(84)를 장착할 수 있는 카세트(82)가 설치되며, 상기 카세트(82)의 일측 상단부에는 상기 카세트(82)에 장착된 카세트용지(84)를 전사기(90) 측으로 공급하는 픽업롤러(86)가 설치되며, 상기 픽업롤러(86)의 일측은 일정한 주속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8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감광드럼(88)의 주위에는 상기 감광드럼(88) 표면에 전기적으로 전하층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대전롤러와, 전기적으로 대전된 감광드림(88)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노광부와, 상기 감광드럼(88)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현상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현상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광드럼(88)의 하단부에는 감광드럼(88) 표면의 토너 화상을 카세트용지(84) 상에 전사시키는 전사기(90)가 설치되며, 상기 감광드럼(88)의 일측은 전사된 카세트용지(84)상의 토너 화상을 정착 및 압축시키는 히팅롤러(92)와 압축롤러(94)가 설치되며, 상기 히팅롤러(92)의 일측은 카세트용지(84)를 받침대(외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배지롤러(96)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인쇄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하지 않은 대전롤러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88)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고, 상기 감광드럼(88)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은 도시하지 않은 노광부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상기 감광 드럼(88) 표면을 노광시키면,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토너는 교반기에 의해 일정 전하를 가지도록 교반되어져 도시하지 않은 공급롤러에 의해 현상롤러 측으로 이동 되어진다.
그 후, 상기 감광드럼(88)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도시하지 않은 현상롤러를 지나는 동안 토너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되고, 이어서 카세트(82)에 장착된 카세트용지(84)가 픽업롤러(86)에 의해 전사기(90) 측으로 급지 되어진다.
그 후, 상기 카세트용지(84) 표면에는 전사기(90)의 고압 작용으로 상기 감광드럼(88) 표면의 토너 화상이 전사되며, 그후 상기 카세트용지(84)는 정착부의 히팅롤러(92)와 압축롤러(94)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카세트용지(84) 표면에 상(image)이 정착되어져 배지롤러(96)에 의해 받침대 축으로 이송되어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시 팩시밀리, 복사기, 프린터 등에서 인쇄시에 기록지가 카세트용지(즉, sheet)일 경우에는 카세트를 사용하고, 롤을 사용하는 롤 용지일 경우에는 롤 용지함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카세트용지(즉, sheet)(84)를 사용하고 싶을 때는 카세트(82)에 장착한 후에 사용하면 되지만, 롤 용지를 사용하고 싶을 때는 상기 롤 용지를 장착할 수 있는 롤 용지함이 없기 때문에 롤 용지를 사용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프린팅 시에 용지의 종류에 제약을 받아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2도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용지만 장착된 상태에서 열전사 방식을 이용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상기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하단부 일측에는 롤 용지(104)를 장착할 수 있는 용지함(106)이 설치되며, 상기 용지함(106)의 상단부 일측은 염료가 도포되어 있는 잉크리본(112)이 감겨있는 제1 롤러(110)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롤러(110)의 일측은 상기 잉크리본(112)의 염료를 열에너지에 의해 롤 용지(104) 상으로 승화시키는 열 전사헤드(114)가 설치되며, 상기 열 전사헤드(114)의 하부면 에는 상기 롤 용지(104) 상으로 에너지 인가 및 데이타를 전송하는 도시하지 않은 발열체가 형성되며, 상기 열 전사헤드(114)의 하단부에는 상기 잉크리본(112)과 화상이 형성된 롤용지(104)를 이송시키는 플라텐롤러(116)가 설치되며, 상기 플라텐롤러(116)의 일측은 상기 플라텐롤러(116)에 의해 이송된 잉크리본(112)를 되감는 제2 롤러(118)이 설치되며, 상기 제2 롤러(118)의 일측은 롤 용지(104)를 받침대(외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배지롤러(120)가 설치되며, 상기 배지롤러(120)의 일측은 화상이 형성된 롤용지(104)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오토-커터(122)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동작 상태는 다음과 같다.
프린터가 온(ON)상태가 되면, 메인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플라텐롤러(116)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마찰력에 의해 잉크리본(112)과 롤 용지(104)를 접촉한 상태로 이송시킨다. 이때, 롤 용지(104)가 감겨 있는 롤(102)은 플라텐롤러(116)의 구동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롤 용지(104)를 서서히 풀어 준다.
그 후, 열 전사헤드(114)에 전기에너지를 인가함으로서 상기 열 전사헤드(114)는 열에너지를 발생시킨다.
그 후, 상기 잉크리본(112)에 부착되어 있는 염료는 열 전사헤드(114)의 열에너지로 인해 롤용지(104) 상으로 승화되어 스며들게 되므로서 롤 용지(104) 상에 화상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롤 용지(104) 상에 형성되는 화상의 농도는 열에너지의 양으로서 결정되어 진다.
그 후, 상기 롤 용지(104)는 배지롤러(120)에 의해 프린터의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잉크리본(112)은 제2 롤러(118)에 되감기게 되므로서 인쇄가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시 팩시밀리, 복사기, 프린터 등에서 인쇄시에 기록지가 카세트용지(즉, sheet)일 경우에는 카세트를 사용하고, 롤을 사용하는 롤 용지일 경우에는 롤 용지함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사진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롤 용지(104)를 사용하고 싶을 때는 상기 롤 용지(104)를 장착할 수 있는 롤 용지함(106)에 장착한 후에 사용하면 되지만, 카세트용지(즉, sheet)를 사용하고 싶을때는 상기 카세트용지를 장착할 수 있는 카세트가 없기 때문에 카세트용지를 사용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프린팅 시에 용지의 종류에 제약을 받아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 가능한 기록지를 다양화시킬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프린팅(printing)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카세트용지(sheet)와 롤용지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프린팅(printing)시, 기록지의 제약을 받지 않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카세트용지를 장착할 수 있는 카세트와, 롤용지를 장착할 수 있는 용지함과, 상기 카세트용지 및 롤 용지를 급지시키는 픽업롤러와, 일정한 주속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 표면의 토너 화상을 카세트용지 및 롤 용지 상에 전사시키는 전사기와, 상기 전사된 카세트용지 및 롤 용지 상의 토너 화상을 정착 및 압축시키는 히팅롤러와 압축롤러와, 상기 카세트용지 및 롤 용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지 롤러와, 상기 화상이 형성된 롤 용지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오토-커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카세트용지를 장착할 수 있는 카세트와, 롤 용지를 장착할 수 있는 용지함과, 상기 카세트용지 및 롤 용지를 급지시키는 픽업롤러와, 염료가 도포되어 있는 잉크리본과, 상기 잉크리본이 감겨있는 제1 롤러와, 상기 잉크리본의 염료를 열에너지에 의해 카세트 용지 및 롤 용지 상으로 승화시키는 열 전사헤드와, 상기 잉크리본과 화상이 형성된 카세트용지 및 롤 용지를 이송시키는 플라텐롤러와, 상기 이송된 잉코리본을 되감는 제2 롤러와, 상기 카세트용지 및 롤 용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지롤러와, 상기 화상이 형성된 롤 용지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오토-커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용지와 롤용지가 동시에 장착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져 방식을 이용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하단부 일측은 카세트용지(14)를 장착할 수 있는 카세트(12)가 설치되며, 상기 카세트(12)의 끝단부로부터 일측에는 롤 용지(18)를 장착할 수 있는 용지함(20)이 설치되며, 상기 카세트(12)의 일측 상판부에는 상기 카세트(12)에 장착된 카세트용지(14)를 전사기(26) 측으로 공급하는 픽업롤러(22)가 서로 접촉되어 설치되며, 상기 픽업롤러(22)의 일측은 일정한 주속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2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감광드럼(24)의 주위에는 상기 감광드럼(24) 표면에 전기적으로 전하층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대전롤러와, 전기적으로 대전된 감광드럼(24)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노광부와, 상기 감광드럼(24)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현상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현상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감광드럼(24)의 하단부에는 감광드럼(24) 표면의 토너 화상을 카세트용지(14) 및 롤 용지(18) 상에 전사시키는 전사기(26)가 설치되며, 상기 감광드럼(24)의 일측은 전사된 카세트용지(14) 및 롤 용지(18) 상의 토너 화상을 정착 및 압축시키는 히팅롤러(28)와 압축롤러(30)가 서로 접촉되어 설치되며, 상기 히팅롤러(28)와 압축롤러(30)의 일측은 카세트 용지(14) 및 롤 용지(18)를 받침대(외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배지롤러(32)가 서로 접촉되어 설치되며, 상기 배지롤러(32)의 일측은 화상이 형성된 롤 용지(18)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기 위해 고정날과 가동날로 구성된 오토-커터(34)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카세트용지(sheet)(14)에 프린팅(printing) 하고 싶을 때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함(20)에서 롤 용지(18)를 제거한 후에 상기 카세트용지(14)가 장착된 카세트(12)를 기기본체에 장착시킨다.
그 후, 프린터가 온(ON) 상태가 되면, 도시하지 않은 대전롤러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24)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고, 상기 감광드럼(24)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은 도시하지 않은 노광부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상기 감광드럼(24) 표면을 노광시키면,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토너는 교반기에 의해 일정 전하를 가지도록 교반되어져 도시하지 않은 공급롤러에 의해 현상롤러 측으로 이동 되어진다.
그 후, 상기 감광드럼(24)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도시하지 않은 현상롤러를 지나는 동안 토너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되고, 이어서 카세트(12)에 장착된 카세트용지(14)가 픽업롤러(22)에 의해 전사기(26) 측으로 급지되어 진다.
그 후, 상기 카세트용지(14) 표면에는 전사기(26)의 고압 작용으로 상기 감광드럼(24) 표면의 토너 화상이 전사되며, 그 후 상기 카세트용지(14)는 정착부의 히팅롤러(28)와 압축롤러(32)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카세트용지(14) 표면에 상(image)이 정착되어져 배지롤러(32)에 의해 받침대 측으로 이송되어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반대로, 사용자가 롤용지(18)에 프린팅(printing) 하고 싶을 때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12)에서 카세트용지(14)를 제거한 후에 용지함(20)에 롤 용지(18)를 장착시킨다.
그 후, 프린터가 온(ON) 상태가 되면, 도시하지 않은 대전롤러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24)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고, 상기 감광드럼(24)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은 도시하지 않은 노광부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상기 감광드럼(24) 표면을 노광시키면,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토너는 교반기에 의해 일정 전하를 가지도록 교반되어져 도시하지 않은 공급롤러에 의해 현상롤러 측으로 이동되어 진다.
그 후, 상기 감광드럼(24)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도시하지 않은 현상롤러를 지나는 동안 토너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되고, 이어서 용지함(20)에 장착된 롤 용지(18)가 롤(16)에서 풀리면서 픽업롤러(22)에 의해 전사기(26) 측으로 급지되어 진다
그 후, 상기 롤 용지(18) 표면에는 전사기(26)의 고압 작용으로 상기 감광드럼(24) 표면의 토너 화상이 전사되며, 그후 상기 롤 용지(18)는 정착부의 히팅롤러(28)와 압축롤러(32)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롤 용지(18) 표면에 상(image)이 정착되어져 배지롤러(32)에 의해 오터-커터(34) 측으로 이송되며, 이때 상기 롤용지(18)는 고정날과 가동날로 구성된 오토-커터(34)를 지나는동안 일정 길이로 잘리면서 이송되어져 받침대(외부)에 순차적으로 쌓이게 되므로서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여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는 팩시밀리, 복사기, 프린터 등에서 프린팅(printing)시에 사용되는 기록지로서 카세트용지(sheet)와 롤 용지 두가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용지를 다양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기기본체 내부에서 카세트용지(sheet)는 카세트에 장착하고, 롤용지는 용지함에 장착하여 사용하므로서 하나의 단일화된 모듈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프린팅(printing)의 편리성을 도모하였으며,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용지와 롤용지가 동시에 장착될 수 있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사 방식을 이용하는 전사진 프로세서의 하단부 일측은 카세트용지(44)를 장착할 수 있는 카세트(42)가 설치되며, 상기 카세트(42)의 끝단부로부터 일측에는 롤 용지(48)를 장착할 수 있는 용지함(50)이 설치되며, 이때 상기 카세트용지(44)와 롤 용지(48)의 일측면은 염료수용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42)의 일측 상단부에는 상기 카세트(42)에 장착된 카세트용지(44)를 제1 롤러(54) 측으로 공급하는 픽업롤러(52)가 서로 접촉되어 설치되며, 이때 사용자가 롤용지(48)를 사용시에는 상기 픽업롤러(52)는 구동모터의 구동을 받지 않고 상기 롤 용지(48)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픽업롤러(52)의 일측은 염료가 도포되어 있는 잉크리본(56)이 감겨있는 제1 롤러(54)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롤러(54)의 일측은 상기 잉크리본(54)의 염료를 열에너지에 의해 카세트용지(44) 및 롤 용지(48) 상으로 승화시키는 열전사헤드(58)가 설치되며, 상기 열 전사헤드(58)의 하부면에는 상기 카세트용지(44) 및 롤 용지(48) 상으로 에너지 인가 및 데이타를 전송하는 도시하지 않은 발열체가 형성되며, 상기 열 전사헤드(58)의 하단부에는 상기 잉크리본(56)과 화상이 형성된 카세트용지(44) 및 롤 용지(48)를 이송시키는 플라텐롤러(60)가 설치되며, 상기 플라텐롤러(60)의 일측은 상기 플라텐롤러(60)에 의해 이송된 잉크리본(56)를 되감는 제2 롤러(62)가 설치되며, 상기 제2 롤러(62)의 일측은 카세트용지(44) 및 롤 용지(48)를 받침대(외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배지롤러(64)가 서로 접촉되어 설치되며, 상기 배지롤러(64)의 일측은 화상이 형성된 카세트용지(44) 및 롤 용지(48)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기 위해 고정날과 가동날로 구성된 오토-커터(66)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카세트용지(sheet)(44)에 프린팅(printing) 하고 싶을 때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함(50)에서 롤 용지(48)를 제거한 후에 상기 카세트용지(44)가 장착된 카세트(42)를 기기 본체에 장착시킨다.
그 후, 프린터가 온(ON)상태가 되면, 메인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픽업롤러(52)는 카세트용지(44)를 플라텐롤러(60) 측으로 이송시킨다.
그 후, 상기 플라텐롤러(6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마찰력에 의해 잉크 리본(56)과 카세트용지(44)를 접촉한 상태로 배지롤러(64) 측으로 이송시킨다.
그 후, 열 전사헤드(58)에 전기에너지를 인가함으로서 상기 열 전사헤드(58)는 열에너지를 발생시킨다.
그 후, 상기 잉크리본(56)에 부착되어 있는 염료는 열 전사헤드(58)의 열에너지로 인해 카세트용지(44) 상으로 승화되어 스며들게 되므로서 카세트용지(44)상에 화상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카세트용지(44) 상에 형성되는 화상의 농도는 열에너지의 양으로서 결정되어 진다.
그 후, 상기 카세트용지(44)는 배지롤러(64)에 의해 프린터의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잉크리본(56)은 제2 롤러(62)에 되감기게 되므로서 인쇄 과정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사용자가 롤용지(48)에 프린팅(Printing) 하고 싶을 때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42)에서 카세트용지(44)를 제거한 후에 용지함(50)에 롤 용지(48)를 장착시킨다.
그 후, 프린터가 온(ON)상태가 되면, 메인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플라텐롤러(6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마찰력에 의해 잉크리본(56)과 롤 용지(48)를 접촉한 상태로 이송시킨다. 이때, 롤 용지(48)가 감겨 있는 롤(46)은 플라텐롤러(60)의 구동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롤용지(48)를 서서히 풀어 준다. 또한, 상기 픽업롤러(52)는 롤 용지(48) 진행 방향으로 공회전 한다.
그 후, 열 전사헤드(58)에 전기에너지를 인가함으로서 상기 열 전사헤드(58)는 열에너지를 발생시킨다.
그 후, 상기 잉크리본(56)에 부착되어 있는 염료는 열 전사헤드(58)의 열에너지로 인해 롤용지(48) 상으로 승화되어 스며들게 되므로서 롤 용지(48) 상에 화상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롤 용지(48) 상에 형성되는 화상의 농도는 열에너지의 양으로서 결정되어진다.
그 후, 상기 롤 용지(48)는 배지롤러(64)에 의해 오터-커터(64) 측으로 이송되며, 이때 상기 롤 용지(48)는 고정날과 가동날로 구성된 오토-커터(66)를 지나는 동안 일정 길이로 잘리면서 이송되어져 받침대(외부)에 순차적으로 쌓이게 되고, 상기 잉크리본(56)은 제2 롤러(62)에 되감기게 되므로서 인쇄 과정이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여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는 팩시밀리, 복사기, 프린터 등에서 프린팅(printing) 시에 사용되는 기록지로서 카세트용지(sheet)와 롤 용지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용지를 다양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기체본체 내부에서 카세트용지(sheet)는 카세트에 장착하고, 롤용지는 용지함에 장착하여 사용하므로서 하나의 단일화된 모듈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프린팅(printing)의 편리성을 도모하였으며,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레이져 방식을 이용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카세트용지(14)를 장착할 수 있는 카세트(12)와, 롤 용지(18)를 장착할 수 있는 용지함(20)과, 상기 카세트용지 (14) 및 롤 용지(18)를 급지시키는 픽업롤러(22)와, 일정한 주속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24)과, 상기 감광드럼(24) 표면의 토너 화상을 카세트용지(14) 및 롤용지(18) 상에 전사시키는 전사기(26)와, 상기 전사된 카세트용지(14) 및 롤 용지(18) 상의 토너 화상을 정착 및 압축시키는 히팅롤러(28)와 압축롤러(32)와, 상기 카세트용지(14) 및 롤 용지(18)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지롤러(32)와, 상기 화상이 형성된 롤용지 (32)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오토-커트(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열전사 방식을 이용한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카세트용지(44)를 장착할 수 있는 카세트(42)와, 롤 용지(48)를 장착할 수 있는 용지함(50)과, 상기 카세트용지(44) 및 롤 용지(48)를 급지시키는 픽업롤러(52)와, 염료가 도포되어 있는 잉크리본(56)과, 상기 잉크리본(56)이 감겨있는 제1 롤러(54)와, 상기 잉크리본(56)의 염료를 열에너지에 의해 카세트용지(44) 및 롤 용지(48) 상으로 승화시키는 열 전사헤드(58)와, 상기 잉크리본(56)과 화상이 형성된 카세트용지(44) 및 롤 용지(48)를 이송시키는 플라텐롤러(60)와, 상기 이송된 잉크리본(56)를 되감는 제2 롤러(62)와, 상기 카세트용지(44) 및 롤용지(48)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지롤러(64)와, 상기 화상이 형성된 롤 용지(48)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오토-커트(6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용지(44)의 일측면은 염료수용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 용지(48)의 일측면은 염료수용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용지(48)를 사용시, 픽업롤러(52)는 구동 모터의 구동을 받지 않고 롤용지(48) 이송방향으로 회전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KR2019950050270U 1995-12-28 1995-12-28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KR0135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270U KR0135735Y1 (ko) 1995-12-28 1995-12-28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270U KR0135735Y1 (ko) 1995-12-28 1995-12-28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390U KR970045390U (ko) 1997-07-31
KR0135735Y1 true KR0135735Y1 (ko) 1999-03-30

Family

ID=19440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0270U KR0135735Y1 (ko) 1995-12-28 1995-12-28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7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390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60254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CN100387500C (zh) 成像装置及其记录介质的传送方法
US5432593A (en) Sheet overheat prevention mechanism for fixing device
JPH10508390A (ja) 多機能の電子写真式のプリンタ
KR0135735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JPH0570596B2 (ko)
JP2790856B2 (ja) シート材排出装置
JP4266541B2 (ja) 画像形成装置
JP2777453B2 (ja) プリンタ
JPS6012123Y2 (ja) 電子印写装置
US5552868A (en) Electrophotographic device
JP2656989B2 (ja) プリンタ装置
JPH08268581A (ja) シート供給装置
JPH05319616A (ja) 画像形成装置
JPS60209772A (ja) 画像形成装置
GB2150885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laminating mechanism
JPH0419559Y2 (ko)
JPH0398946A (ja) 電子写真装置
JP3493953B2 (ja) 画像形成装置
JPH08258269A (ja) 画像形成装置
JPH0378621B2 (ko)
JPH0547115B2 (ko)
JPS63282769A (ja) 静電転写式記録装置の転写ずれ防止装置
JPH0934248A (ja) 現像装置
JPS60263182A (ja) 画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