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714Y1 - 캠코더에 있어서 동력전달계의 과부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캠코더에 있어서 동력전달계의 과부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714Y1
KR0135714Y1 KR2019930000269U KR930000269U KR0135714Y1 KR 0135714 Y1 KR0135714 Y1 KR 0135714Y1 KR 2019930000269 U KR2019930000269 U KR 2019930000269U KR 930000269 U KR930000269 U KR 930000269U KR 0135714 Y1 KR0135714 Y1 KR 01357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load
gear
gears
camcorder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0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809U (ko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30000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714Y1/ko
Publication of KR9400198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8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7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7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32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motion-picture projection
    • G03B21/43Driving mechanis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8Book-keeping or econom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ㆍ박판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치차들을 연동되게 하는 동력전달계의 과부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이 해결하기 위한 과제는 다수의 치차를 연동시켜 주는 구동모터의 접점을 끊어줄 경우 회로적인 문제로 말미암아 일시에 정지되지 않게 될 때 발생되는 과부하로 인한 충격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마찰판에 일체로 부설된 관축에 상측치차는 부동상태로 고정하고 하측치차는 과부하 상태의 토오크에 의해 공회전되게 결합하며, 이들 치차를 그 상면으로 압입ㆍ고정시킨 와셔스프링과 고정판으로 구속되게 구성한 클러치부재를 다수의 치차들중 가장 취약한 부위 이전에 설치하여 줌으로써, 과부하가 발생될 때 상기 클러치부재가 마찰클러치기능을 제공하게 되어 충격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캠코더에 있어서 동력전달계의 과부하 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실시예가 적용되는 캠코더 데크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확대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기술을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과부하시 토오크 증가 곡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데크 11 : 구동모터
20 : 캠홈 30 : 클러치부재
40 : 마찰판 41 : 관축
50,60 : 상ㆍ하측치차 70 : 고정판
80 : 와셔스프링
본 고안은 캠코더에 있어서 동력전달계의 과부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콤팩트화된 캠코더에 적용되는 작고 얇은 형태로 된 일련의 연동기구들이 작동될 때 받게될 수 있는 과부하로 인한 충격을 방지하여 주게되도록 한 캠코더에 있어서 동력전달계의 과부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코더는 작고 가벼운 형태로 제작되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그 구동부품들도 더욱 소형화되고 얇게 성형되었으며, 특히 각종기능을 수행하여 주는 다수의 치차들도 소형ㆍ박판형태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이렇게 제작된 치차들을 서로 연동되게 구동시켜 줄 때, 어느 한 곳에서 설계치보다 높은 과부하가 작용될 경우 치차들중에서 제일 취약한 부분에서 순간적인 충격이 가해지게 됨으로써,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되어 동력전달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제1도에서와 같이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연동되게 구성한 다수의 치차들중 어느 일부분에 제3도와 같이 제작된 2단기어(100)를 설치하여 구동시킬 때, 데크의 우하부측 기어에 부설된 파형상의 캠홈상에서 슬라이딩되는 레버가 캠홈의 끝단에 도달한 시점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접점이 끊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회로적인 문제에 의해 일시에 정지되지 않게될 경우에는 과부하가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과부하는 치차열중에서 제일 취약한 부분에 충격을 주게되므로 이 취약한 부품에 변형을 유발시키게 됨은 물론 심한 경우 파손을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결합부위를 찾아 수리를 해야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일련의 장치가 설치된 데크 전체를 교체해 주어야 되는 등의 비경제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과부하로 인한 충격발생시 연관된 부품들의 파손을 방지하여 주는 캠코더에 있어서, 동력전달계의 과부하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과부하 작용을 방지하여 주는 동력전달계의 과부하 제어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제어장치는 마찰클러치 원리를 이용한 치차(이하 클러치부재라고 약칭함)를 설치하여 된 구성이다.
클러치부재는, 마찰판이 접합된 관축에 동축상으로 결합된 상ㆍ하측치차들을 구비하며, 이들은 하측치차의 저면으로 밀착되는 마찰판과 상측치차 상면으로 개재시켜 준 와셔스프링의 사이에 구속되어 있다.
또한, 상측치차는 마찰판에 접합된 관축에 고정되어 있고, 하측치차는 와셔스프링과 마찰판의 구속력을 상쇄시키는 과부하가 작용될 경우에 한하여 회동될 수 있게 관축상에 결합하였다.
따라서, 다수를 일체로 연동되게 한 치차들중 가장 취약한 부분 이전에 상기 클러치부재를 설치하여 구동시켜 줌으로써, 예기치 않게 작용되는 과부하를 상기 클러치부재의 동작에 의하여 흡수 또는 완화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캠코더 데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데크(10)에는 구동모터(11)로부터 일체로 연동되게 다수의 치차(G1~G9)들이 착설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데크(10)의 우하부로 착설된 치차(G9)의 상면에는, 캠코더의 어느 한 동작을 담당하여 주는 작동레버(도시하지 않았음)가 유도되는 파형상의 캠홈(20)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캠홈(20)에 안내되며 슬라이딩되는 작동레버가 캠홈의 양측단부중 어느 일측단에 도달될 경우에는 구동모터로의 전원이 차단되어 치차열의 동작이 중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회로적인 문제로 인해 정시점에서 중지가 되지 않게 됨으로써, 과부하가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부하를 상쇄시켜 주기 위한 본 고안 실시예의 기술에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다수의 치차(G1~G9)들중 과부하에 취약한 부위 이전에 설치되는 클러치부재(30)는, 마찰판(40)의 상면으로 접합된 관축(41)에 동축형상으로 끼워 결합된 상ㆍ하측치차(50)(60)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은 관축(41)의 상단으로 결합된 고정판(70)과 상측치차(50)의 상부면 사이로 개재시켜 준 와셔스프링(80)에 의해 일체로 구속된다.
이때, 상측치차(50)는 관축(41)의 외주면으로 형성한 키홈에 키를 압입시켜 부동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하측치차(60)는 와셔스프링(80)과 마찰판(40)에 과부하로 인한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 한하여 공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즉, 마찰력에 의해 상ㆍ하측치차(50)(60)들을 구속되게 한 설정토오크(Tg)가 정상적인 구동상태에서는 정격토오크(Tn) 보다 큰 값을 가지게 되어 원활히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지만, 과부하가 걸리게 되면서 정격토오크(Tn)가 설정토오크(Tg) 보다 크게 될 경우에만 상기 하부치차(60)가 회동되면서 공회전하게 되어 과부하로 인한 충격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
한편, 마찰판(40)이 밀착되는 하측치차(60)의 저면에 상기 마찰판(40)을 수용하게 되는 요입부(61)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부품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판(70)과 상측치차(50) 사이에 개재된 와셔스프링(80)의 탄성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관축(41)에 고정판(70)을 나사결합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클러치부재(30)는, 다수를 연동되게 설치한 치차(G1~G9)들중 과부하가 작용될 때 충격에 취약한 부위 이전에 설치하여 구동시켜 주게 된다.
이렇게 하여 된 클러치부재(30)는, 구동력을 전달하여 주는 구동치차(90)는, 하측치차(60)에, 구동력을 받게 되는 종동치차(91)는 상측치차(50)에 각각 이맞물려져 구동된다.
따라서, 상ㆍ하측치차(50)(60)는 마찰력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하여 주게 된다.
이때, 마찰력에 의해 구속력을 받게 되는 클러치부재(30)가 견딜수 있는 토오크를 설정토오크(Tg), 정상적인 구동상태의 토오크를 정격토오크(Tn), 취약부의 치차가 영구변형되기 이전의 토오크를 최대토오크(Ty), 그리고 과부하가 발생될 때 가지는 토오크를 과부하토오크(Tu)로 가정할 경우 이들은 : Tu Ty Tg Tn 의 관계가 성립되며, 이들의 상관관계가 제4도에서와 같이 도시되어 있다.
즉, 클러치부재(30)의 설정토오크(Tg)는 정격토오크(Tn) 보다 그 값이 크므로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상ㆍ하측치차(50)(60)는 일체로 구동된다.
그러나 어느 한 곳에서라도 과부하가 작용할 경우에 토오크는 증가하게 되고, 과부하의 하중이 증가하는 도중에 상기 토오크가 설정토오크(Tg) 보다 커지게 될 때 상측치차(50)와 하측치차(60)의 밀착면에서 미끄럼이 발생되며 최대토오크(Ty)에 이르기전에 공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취약부 치차에 한도 이상의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주고, 회로적인 문제로 인한 정지 지연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하면, 과부하로 인한 부품의 충격 및 손상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부수적으로 부품의 파손을 고려하여 필요이상으로 강도를 높게 설계할 때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잇점등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데크(10)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소형ㆍ박판의 치차(G1~G9)들로 이루어진 캠코더의 동력전달계에 있어서, 마찰판(4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관축(41)에 동축상으로 결합되어 상부로 압입ㆍ고정된 고정판(70)과, 그 저면의 와셔스프링(80)에 의해 마찰판(40)의 관축(41) 상에서 밀착ㆍ구속되는 상ㆍ하측치차(50)(60)를 구비하며, 상기 상측치차(50)는 관축(41)에 고정되고 하측치차(60)는 관축(41)과 일정간격을 갖게 설치되어 과부하상태의 토오크에 의해서만 공회전될 수 있게 구성하여 된 클러치부재(30)를 상기 치차(G1~G9)들중 가장 취약한 부위 이전에 설치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에 있어서 동력전달계의 과부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측치차(60)의 저면에 요입부(61)를 설치하여 마찰판(40)을 수용되게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에 있어서 동력전달계의 과부하 제어장치.
KR2019930000269U 1993-01-11 1993-01-11 캠코더에 있어서 동력전달계의 과부하 제어장치 KR01357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269U KR0135714Y1 (ko) 1993-01-11 1993-01-11 캠코더에 있어서 동력전달계의 과부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269U KR0135714Y1 (ko) 1993-01-11 1993-01-11 캠코더에 있어서 동력전달계의 과부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809U KR940019809U (ko) 1994-08-22
KR0135714Y1 true KR0135714Y1 (ko) 1999-05-01

Family

ID=1934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0269U KR0135714Y1 (ko) 1993-01-11 1993-01-11 캠코더에 있어서 동력전달계의 과부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7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809U (ko) 199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525B1 (ko) 클러치 시스템
US20080185469A1 (en) Governor device for door
US7353930B2 (en) Bi-directional friction clutch or brake assembly for transmissions
KR0135714Y1 (ko) 캠코더에 있어서 동력전달계의 과부하 제어장치
US7938243B2 (en) Thrust washer to take torque converter axial loading
US4318283A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assembly
KR101232423B1 (ko) 자동변속기 케이스와 원웨이 클러치의 결합구조
CA2399904A1 (en) Differential gearbox with locking coupling and distributor gearbox for motor vehicles equipped therewith
EP0155785B1 (en) Friction clutch driven plate
JP3040941B2 (ja) 過負荷保護機構
WO2018002008A1 (en) Overload clutch for medium voltage switchgears and kinematic chain arrangement for medium voltage switchgears
US6059086A (en) Drive device
KR0174237B1 (ko) 자동변속기의 토크 컨버터 조립구조
EP0093287A1 (en) Vibration damper assembly in a clutch disk
US8191442B2 (en) Window lift system and actuator including an internal drive train disconnect
EP3230626B1 (en) Scissor gear assembly with integral isolation mechanism
EP0351999B1 (en) Mechanism for transmitting rotational motion from one shaft to another
JPH0732247U (ja) 捩り振動低減装置
EP1348880A1 (en) Motorised actuator
US20040079179A1 (en) Slip clutch for starter drive
KR100336470B1 (ko) 자동차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용 토오크 리미터
JPH08135692A (ja) トルクリミッタ付きクラッチ
KR102104615B1 (ko) 차량의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
KR20030008469A (ko) 과도 토크에 의한 샤프트 파손 방지를 위한토크전달제한장치
KR200285111Y1 (ko) 클러치의 소음 저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