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581B1 - 교환가능 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 - Google Patents
교환가능 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5581B1 KR0135581B1 KR1019940007416A KR19940007416A KR0135581B1 KR 0135581 B1 KR0135581 B1 KR 0135581B1 KR 1019940007416 A KR1019940007416 A KR 1019940007416A KR 19940007416 A KR19940007416 A KR 19940007416A KR 0135581 B1 KR0135581 B1 KR 01355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ction
- file
- rom
- file management
- area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06F3/0607—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by facilitating the process of upgrading existing storage systems, e.g. for improving compatibility between host and storage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3—Management of fil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4—Disk device
- G06F3/0677—Optical disk device, e.g. CD-ROM, DVD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9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1/10597—Adaptations for transducing various formats on the same or different carri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2003/0697—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device management, e.g. handlers, drivers, I/O schedul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59—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ith ROM/RAM area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1—Discs having both read-only and rewritable or recordable areas containing application data; Partial ROM media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ROM영역과 RAM영역이 독립한 섹숀으로 되어 있는 교환가능기억매체를 ROM·RAM혼합섹숀의 기억매체로 변환한다.
조작부(41)로부터의 혼합섹숀화요구에 의해서 호스트시스템(31)은 광디스크드라이브(21), I/O콘트롤러(71)를 거쳐서 ROM섹숀(11a)의 파일관리영역(11a-1)에서 파일정보를 독출하고, 이 파일관리정보를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파일관리정보에 포함되는 디렉토리, 스페이스할당관리테이블의 클러스터번호를 혼합섹숀의 클러스터번호로 변환한다. 이어서, 호스트시스템(31)은 광디스크드라이브(21), I/O콘트롤러(71)를 거쳐서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영역(11c-1)에 기입하고, ROM영역과 RAM.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일반적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전기적 블록도.
제4도는 혼합섹숀을 형성하기 위한 처리의 플로우챠트.
제5도는 혼합섹숀을 형성하기 위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제5a도는 ROM섹숀을 파일영역개시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제5b도는 혼합섹숀의 파일영역개시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제5c도는 혼합섹숀을 형성하기 전후에 파일개시의 클러스터번호를 설명하는 도면.
제6도는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제6a도는 디렉토리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제6b도는 스페이스할당 관리테이블을 설명하는 도면.
제7도는 혼합섹숀이 형성된 경우의 파일관리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제7a도는 디렉토리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제7b도는 스페이스할당 관리테이블을 설명하는 도면.
제8도는 단일섹숀을 형성하는 처리의 플로우챠트.
제9a,9b,9c 및 9d도는 단일섹숀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
제10도는 RAM영역을 설명하는 도면.
제11도는 단일섹숀이 형성된 경우의 파일관리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제11a도는 혼합섹숀 디스크의 디렉토리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제11b도는 혼합섹숀 디스크의 스페이스할당 관리테이블을 설명하는 도면.
제12a,12b도는 ROM디스크를 설명하는 도면.
제13a,13b,13c도는 광자기디스크의 기입/독출을 설명하는 도면.
제14a,14b,14c도는 파셜 ROM광자기디스크 매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15도는 디스크정의 섹터를 설명하는 도면.
제16도는 섹숀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제17도는 디렉토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제18도는 파일관리를 설명하는 도면.
제19a,19b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파셜 ROM이 갖는 분재들을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은 교환가능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RAM영역과 ROM영역을 갖는 교환가능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들 영역은 상호 독립적인 RAM과 ROM섹숀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섹숀은 파일관리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파일관리영역과 파일을 기억하기 위한 파일영역을 갖는다.
광디스크에서는 직경이 약 1μm인 미소빔스포트로 레이저빔을 집중시켜 정보신호의 기록과 재생을 위한다.
이러한 방법은 기록밀도가 높고 비트당 메모리 비용이 낮다. 또 고속억세스가 가능하고 비접촉으로 기록/재생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광디스크가 고밀도 대용량메모리로써 실용화되고 있다.
광디스크는 미리 정보를 기억시켜 두고 재생만 가능한 광디스크(ROM디스크)와, 정보의 기록, 재생이 모두 가능한 광디스크(RAM디스크)와, 단일 광디스크가 상기한 양자의 특징을 갖는 파셜 ROM디스크로 대별할 수 있다.
제1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ROM디스크는 투명한 플라스틱층(1)에 정보를 피트(2)로써 기록하고, 금속막(즉, 알루미늄)(3)을 증기증착하여 피트면에 형성하고, 보호막(4)을 금속막(3) 위에 구비한다. 이러한 종류의 ROM디스크에서는 신호층(피트와 금속막)에 제1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물렌즈(OL)를 거쳐서 레이저빔(LB)을 조사한다. 이때, 피트가 없는 위치로부터 거의 모든 광이 그대로 반사되고 반면에, 상기 피트가 존재하는 위치에서는 피트에 의해 광이 회절된다. 상기 반산된 광이 대물렌즈의 시야밖으로 벗어나기 때문에 실제로 반사광의 일부만이 상기 대물렌즈(OL)로 복귀한다.
따라서 반사광을 검출하기 위해서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이렇게 ROM디스크에서는 정보를 피트형태로 기록한다. 이러한 것은 정보가 자기기록과 비교하여 덜 손상되고 대규모의 정보를 스테핑에 의해서 대량으로 디스크상에 손쉽게 재생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러한 광디스크는 전자출판용 기억매체로써 효과적이다.
그러나 ROM디스크상에서는 유저가 문서 등의 정보를 기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RAM디스크(광자기디스크)는 TbFeCo의 박막과 같은 자기막으로 디스크표면을 피복하여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디스크는 자성막의 자화반전에 필요한 보자력이 온도의 상승과 일치하여 감소되는 특성(보자력이 큐리점에서 제로)을 이용한다. 특히 레이저빔을 상기 디스크에 조사하여 디스크매체의 온도를 200℃ 부근까지 상승시켜 보자력을 약화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약자계를 걸여 자화방향을 제어하여 기록, 소거를 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3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성막(5)의 자화방향이 하방향상태에서 상방향자계가 기입코일(6)에 의해서 인가된다. 제13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하고자 소망하는 자화방향부분에 레이저빔(LB)을 대물렌즈(OL)를 거쳐서 조사하면, 즉, 이 반전부의 자화방향이 상방향으로 된다. 이렇게 하여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정보를 독취할 때 제13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Y축을 따라 편광면을 갖는 레이저빔(LB)으로 상기 자성막(5)에 조사한다. 이때 자기커어(kerr) 효과 때문에 편광면이 시계방향으로 θK만큼 회전된 반사광(LB0)을 자화가 하방향인 부분에서 얻을 수 있다. 자화가 상방향인 부분에서는 커어효과 때문에 편광면이 반시계 방향으로 θK만큼 회전된 반사광(LB1)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자화방향 즉, 정보를 반사광의 편광상태를 검출하여 독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RAM디스크를 재기입할 수 있기 때문에, ROM와는 달리 유저는 자기가 작성한 문서 등의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RAM디스크에서는 상기 디스크의 소정영역에 시스템 프로그램과 분자폰트 등의 고정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이 영역은 기입금지 영역이고 다른 영역은 유저작성문서나 추가정보 및 버젼엎그레이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으로써 사용된다.
그러나 RAM디스크는 고정정보를 항목마다 열자기적으로 기입할 것이 요구된다. 그 결과 제작시간이 걸리고 비용이 증가된다.
파셜 ROM(파셜 ROM광자기디스크)은 그 구조가 ROM디스크의 구조와 동일한 ROM영역과 그 구조가 RAM디스크의 구조와 동일한 RAM영역을 갖는다. 그 결과 시스템 프로그램과 문자폰트 등의 고정정보를 스태핑에 의해 ROM영역에 기록할 수 있어 항목마다 정보를 기입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 유저는 자기의지대로 RAM영역에 문자를 기입할 수 있다. 환언하면 파셜 ROM은 1매의 디스크 및 동일 디스크상에 고정정보를 기록하는 영역(ROM영역)과 재기입영역(RAM영역)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 이상적이다.
제14도는 대표적인 파셜 ROM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4a도는 개략평면도이고, 제14b도는 파셜ROM의 부분확대설명도이고, 제14c도는 상기 파셜 ROM의 부분단면도이다. 제14a도∼제14c도에 있어서 파셜 ROM(11)은 일측면당 10,000트랙을 갖고 이 트랙은 동심원상 또는 나선상이다. 전 트랙은 25섹터(25블록)(ST)로 분할되고 각 섹터(ST)는 512바이트로 구성된다.
각 섹터(ST)의 헤더에는 어드레스필드(AF)가 구비되고, 섹터의 나머지 부분은 데이타필드(DF)이다. 어드레스 정보는 어드레스필드(AF)에 기록되고 데이타는 상기 데이타필드(DF)에 기억된다. 상기 어드레서정보는 섹터마크, 트랙어드레스, 섹터어드레스 및 동기신호 재생용프리앰블을 포함한다.
상기 파셜 ROM(11)의 기억영역의 최외주밴드 및 최내주밴드에는 결합관리영역(DM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함관리영역(DMA)에는 디스크 정의 섹터(DDS)가 구비되어 있다. 매체타입(즉 상기 매체가 ROM인지 여부), RAM영역정보 및 ROM영역정보가 상기 디스크정의 섹터(DDS)에 기입되어 있다.
상기 파셜 ROM광자기디스크(11)는 상기한 물리포맷트를 갖는다. 상기 디스크의 외측은 ROM영역(ROM섹숀)(11a)이고 내측은 RAM영역(RAM섹숀)(11b)이다. 제14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셜 ROM(11)은 투명플라스틱층(PLS)으로 되고 피트(PT)가 스태핑에 의해서 ROM영역의 일부에 형성되고 자성막(MGF)이 상기 플라스틱층(PLS)상에 피착되고 보호막(PRF)이 상기 자성막(MGF)위에 형성된다. 상기 ROM영역(11a)과 어드레스필드(AF)는 스테핑에 의해서 형성되고 시스템 프로그램과 분자폰트 등의 고정정보가 ROM영역(11a)에 피트(T)형태로 기록되고, 어드레스정보가 어드레스필드(AF) 내에 피트형태로 기록된다. 또한 트랙킹서보에 사용된 트랙안내홈(TRG)(제14b도 참조)이 스태핑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RAM영역(11b)과 결함관리영역(DMA)은 광자기막(MGF)으로 상기 플라스틱층(PLS)의 전표면을 피복함으로써 형성된다. 이경우에, 자성막이 이 ROM영역에도 형성되나 ROM영역이외의 내주부의 RAM영역으로 사용된다. ROM영역(11a)으로부터의 정보독취는 레이저빔(LB)을 대물렌즈(OL)를 가져 이 영역에 조사하여 복귀광을 검출함으로써 행해진다. 상기 RAM영역(11b)의 정보독취는 기입코일에 자계(도시하지 않음)를 인가하고, 레이저빔(LB)을 대물렌즈(OL)를 가져서 정보가 기입되는 부분을 조사함으로써 행해진다.
RAM영역(11b)으로부터의 정보독취는 자기커어 효과때문에 자화방향과 일치하여 편광면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사실을 이용함으로써 행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관리여역(DMA)에는 디스크정의섹터(DDS)가 구비되고 매체 타입(즉 상기 매체가 ROM인지 여부), RAM영역정보와 ROM영역정보 등이 기입된다.
제15도는 디스크정의섹터(DDS)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섹터에는 DDS식별자 스페이스(12a), 매체가 ROM디스크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스페이스(매체타입)(12b), RAM영역정보 스페이스(12c), ROM영역정보 스페이스(12d)와 결합관리영역이 선두어드레스를 표시하는 스페이스(12e)가 구비되어 있다. RAM영역정보 스페이스(12c)에는 다음 사항이 기입되어 있다 :
① 그룹수(12c-1) 즉 RAM영역이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된 때 얻은 RAM그룹수; ② 데이타섹터수(유저블록수)(12c-2) 즉, 각 RAM그룹 내의 데이타섹터수 ; 및 ③ 스페어섹터수(스페어블록수)(12c-3) 즉, 유저블록내에 장해가 있는 경우에 대체로써 사용되는 스페어섹터수 등이다. 각 ROM그룹 내에는 ROM그룹의 수(12d-1)와 데이타섹터의 수(유저블록수)(12d-2)가 ROM영역 정보스페이스(12d)내에 기입되어 있다.
섹숀에는 파일관리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파일관리영역과 파일을 기억하기 위한 파일영역이 구비되어 있다. 제16도는 섹숀의 구조를 설명한 도면이다. 부호 13은 섹숀을 표시하며, 13a는 파일관리영역, 13b는 파일영역이다. 파일관리영역(13a)에 기억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 디스크기술자(13a-1) ; 여분의 제1 및 제2 스페이스할당테이블(파일할당테이블 이하 FAT라 함)(13a-2, 13a-3) ; 각 파일의 제1클러스터 번호를 지정하는 디렉토리(목차테이블의 정보)(13a-4) 등이다.
디스크기술자(13a-1)은 디스크의 볼륨구조 파라메타, 즉 섹터사이즈(섹터당 바이트수)(SS), 클러스터당 섹터블록의 수(SC), FAT의 수(FN)(=2), 루트디렉토리 내의 엔트리의 수(RDE), 섹터의 총스(TS), FAT당 섹터수(SF), 및 트랙당 섹터수(SPT)를 기술한다.
FAT(13a-2, 13a-3)은 각각 포멧트 식별자(FI)(14a)와 FAT엔트리부(14b)로 구성된다. 포맷트식별자(14a)의 내용이 FDH일때(여기서 H는 16진수 표현을 의미한다), 디스크 ISO7487에 의해 규정된 볼륨구조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포맷트 식별자(14a)가 F9H일때 상기 볼륨구조 파라메타는 디스크기술자(13a-1)로 특정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FAT엔트리부(14b)는 섹숀내의 클러스터의 수와 동등한 수의 FAT엔트리를 갖는다. 상기 FAT엔트리는 각각 0000, 0002∼MAX, FFF7, FFFF의 값을 취하고 여기서 0000은 클러스터가 미사용임을 의미한다. 또, 0002∼MAX는 클러스터가 사용중임을 의미하고 이 특정값에 의해서 파일의 다음 기억장소가 지정된다. 또한 FFF7은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섹터내에 결함이 있는 것을 의미하고 FFFF는 파일의 종료를 의미한다.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디렉토리(13a-4)의 각 디렉토리엔트리(32바이트)는 파일명용 스페이스(15a), 파일명확장용 스페이스(15b), 속성표시용 스페이스(15c), 예약필드용 스페이스(15d), 파일변경시간용 스페이스(15e), 파일변경일자용 스페이스(15f) 파일의 선두클러스터번호용 스페이스(15g) 및 파일길이용 스페이스(15g) 등을 갖는다.
제18도는 파일명 FILE와 FAT엔트리의 기억위치를 나타내는 디렉토리엔트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파일 FILE은 클러스터번호 0004H→0005H→0006H→000AH에 기억된다. 파일의 선두클러스터번호 4는 파일명 FILE에 대응시켜 디렉토리엔트리에 기억된다. 파일의 다음 기억위치를 나타내는 클러스터번호 4는 클러스터번호 0005의 FAT엔트리에 기억되고, 파일의 다음 기억위치를 나타내는 클러스터번호 5는 클러스터번호 0006의 FAT엔트리에 기억되고, 파일의 최종기억위치를 나타내는 클러스터번호 6은 클러스터번호 000A의 FAT엔트리에 기억되고 파일의 종료를 나타내는 클러스터번호 FFFF는 클러스터번호 000A의 FAT엔트리에 기억된다.
제19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셜 ROM은 ROM영역(11a)과 RAM영역(11b)을 갖는다. 이들 영역들은 독립섹숀(ROM섹숀 및 RAM섹숀)으로써 취급되는 경우가 있다. ROM영역과 RAM영역이 서로 독립적인 섹숀일때, ROM섹숀용 파일관리정보를 스탬핑에 의해서 간단하게 기록할 수 있으므로 제작시간에 잇점이 있다. 또 파일을 섹숀마다 독립적으로 정리가 가능한 잇점이 있다.
파일관리상 유저가 ROM섹숀의 파일(ROM파일)과 RAM섹숀의 파일(RAM파일)을 동일 레벨계층에서 통일된 방법으로 취급할 경우가 있다. 특히 제19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파일(ROM파일과 RAM파일)을 RAM-ROM혼합의 단일섹숀 파일로써 취급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ROM영역과 RAM영역이 독립섹숀인 종래의 파셜 ROM에서는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가 ROM영역(11a)에 기억되고 RA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는 RAM영역(11b)에 기억된다. 이것은 ROM파일과 RAM파일을 동일레벨계층에서 취급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ROM파일의 파일관리정보와 ROM파일이 ROM영역에 스탬핑에 의해서 기록되어, 제조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전 파셜 ROM을 ROM-RAM혼합으로 된 단일섹숀으로 구성된 파셜 ROM으로 만들고자 희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단일섹숀으로의 전환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ROM영역과 RAM영역이 독립섹숀인 교환가능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가능기억매체를 ROM-RAM혼합의 혼합섹숀을 갖는 기억매체로 변환할 수 있는 교환가능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교환가능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에 있어서, RAM영역의 파일과 ROM영역의 파일을 동일섹숀의 파일로써 관리할 수 있는 교환가능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ROM영역과 RAM영역이 독립섹숀인 교환가능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가능기억매체를 ROM파일의 제1블록이 단일섹숀의 소정클러스터의 선두블록이 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ROM-RAM혼합의 혼합섹숀을 갖는 기억매체로 변환할 수 있는 교환가능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목적은 RAM영역과 ROM영역의 혼합된 섹숀을 고정하기 위한 요구에 응답하여 ROM섹숀의 파일관리영역에서 파일관리정보를 독취하는 스텝과,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혼합 RAM-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변환하는 스텝과,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영역에 기입하는 스텝과, 혼합섹숀의 파일로써 ROM파일과 RAM파일을 관리하는 스텝을 갖는 파일관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3목적은 ROM섹숀이 파일개시위치(A)와 혼합섹숀의 파일개시위치(B)의 논리 블록수(D)를 클러스터당블록수(S)로 분할하는 방법으로 혼합섹숀의 파일개시위치를 결정하는 스텝과 오프셋클러스터수(C)(=D/S)를 디렉토리정보의 클러스터번호와 디렉토리정보의 클러스터번호에 가산하고, 이것이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에 포함되고,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변환하는 스텝을 갖는 파일관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목적은 전체 RAM영역과 전체 ROM영역을 혼합한 단일섹숀을 고정하기 위한 요구에 응답하여 ROM섹숀의 파일관리영역에서 파일관리정보를 독취하는 스텝과,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단일 혼합 RAM-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변환하는 스텝과, 단일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단일섹숀의 파일관리영역에 기입하는 스텝과, 단일섹숀파일로써 ROM파일과 RAM파일을 관리하는 스텝을 제공하여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3목적은 ROM섹숀의 파일영역개시위치(A)와 단일섹숀의 파일영역개시위치(고정)(B)간의 논리블록수(D)를 클러스터당 블럭수(S)에 의해 분할할 수 없는 경우에, 논리블록수(D)를 클러스터당 블록수(S)에 의해 분할할 수 있는 식으로 RAM영역의 유저블록수(논리블록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ROM섹숀의 파일영역개시위치의 논리블록번호를 조정하는 단계와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내에 함유된 스페이스할당관리테이블의 클러스터수에 그리고 디렉토리정보의 클러스터번호에 오프세트 클러스터수(C=D/S)를 가산하는 단계로 된 조정단계를 가짐으로써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변환하는 파일관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과 함께 다음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a) 본 발명의 일반적 특징의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특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호 11은 ROM섹숀과 RAM섹숀을 독립섹숀으로 갖는 파셜 ROM이다. 부호 11'은 ROM-RAM혼합된 섹숀으로 변환된 파셜 ROM이다.
상기 파셜 ROM(11)은 ROM영역(11a)과 RAM영역(11b)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ROM영역(11a)은 ROM섹숀을 형성하고, 상기 RAM영역(11b)은 RAM섹숀을 형성한다. 상기 ROM영역(11a)은 파일관리영역(11a-1)과 파일영역(11a-2)을 갖고, 상기 RAM영역(11b)은 파일관리영역(11b-1)과 파일영역(11b-2)을 갖는다. 파셜 ROM(11')은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영역(11c-1)과 혼합섹숀의 파일영역(11c-2)을 포함한다.
부호 21은 광디스크상의 지정위치에 데이타를 기입하고, 광디스크의 그 지정위치로부터 데이타를 독출하기 위한 광디스크드라이브이다. 부호 31은 호스트시스템으로 데이타입력장치(콘트롤판넬)와 광디스크드라이브와 호스트시스템간의 데이타 변환을 감시하는 I/O콘트롤러이다. 독립섹숀으로서 RAM섹숀과 ROM섹숀을 갖는 파셜 ROM(11)을 ROM과 RAM이 혼합된 섹숀을 갖는 파셜 ROM(11')을 변환하기 위해 콘트롤판넬(41)로 혼합섹숀변환 요구를 입력한다. 이 요구에 응하여, 상기 호스트시스템(31)은 I/O콘트롤러(71)를 거쳐서 ROM섹숀(11a)의 파일관리영역(11a-1)중에서 파일관리정보를 독출하고 이러한 파일관리정보를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파일관리정보에 포함되는 디렉토리 내의 클러스터번호(목차번호)와 스페이스할당관리테이블을 혼합섹숀의 클러스터번호로 변환한다. 다음에 호스트시스템(31)은 I/O콘트롤러(71)을 거쳐서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영역(11c-1)의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기입한다. 그 결과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영역(11c-1)과 혼합 ROM-RAM파일영역(11c-2)을 갖는 파셜 ROM(11')을 ROM섹숀과 RAM섹숀을 독립섹숀으로써 갖는 파셜 ROM(11)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환언하면, ROM영역과 RAM영역을 독립섹숀으로써 갖는 교환가능기억매체를 혼합 ROM-RAM섹숀을 갖는 기억매체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ROM영역과 RAM영역의 파일들을 동일영역의 파일로써 관리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ROM섹숀과 RAM섹숀을 독립섹숀으로 갖는 파셜 ROM(11')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혼합 ROM-RAM섹숀을 갖는 파셜 ROM(11')으로 변환할 수 있다. 단일 디스크에 복수의 섹숀이 배치되도록 광디스크가 논리적으로 포맷트되어 있다.
환언하면, 섹숀위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논리포맷팀이 행해진다. 또 혼합 ROM-RAM영역은 ROM영역과 RAM영역부로 형성되어 있다.
먼저 목표로 하는 혼합섹숀의 기억용량 또는 혼합섹숀의 기억용량과 ROM섹숀의 기억용량간의 차이(D)가 입력된다.
다음에 ROM섹숀(11a)의 파일영역(11a-2)의 개시위치(A)를 논리블록번호에 의해서 얻을 수 있고, 혼합섹숀의 기억용량과 ROM섹숀의 기억용량간의 차이(D)를 블록수의 형태로 얻을 수 있고 ROM섹숀의 파일개시위치(A)에서 상기 차이(D)만큼 오프셋된 위치를 상기 혼합섹숀의 파일개시위치(B)로써 구할 수 있다.
그후 ROM섹숀의 파일개시위치(A)와 단일섹숀의 파일개시위치(B)간의 논리블록수(D)를 1클러스터당의 블록수에서 제산하여 상기 양 이치간의 오프셋클러스터수(C)를 얻고, ROM섹숀(11a)의 파일관리정보에 포함되는 디렉토리의 클러스터번호와 스페이스할당관리테이블의 클러스터번호에 포맷트클러스터수(C)를 가산하여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변환하고 이 파일관리정보를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영역(11c-1)에 기입한다.
그 결과 ROM섹숀과 RAM섹숀을 독립섹숀으로 갖는 파셜 ROM(11)으로부터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영역(11c-1)과 혼합 RAM-ROM파일영역(11c-2)을 갖는 파셜 ROM(11')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논리블록수(D)를 1클러스터당 블록수에서 제산할 때에 분할할 수 없으면, 허용차(D)를 클러스터당 블록수로 분할할 수 있는 D'로 보정하고, 상기 ROM섹숀의 파일개시위치(A)에서 보정허용차(D')만큼 포맷트된 위치를 혼합섹숀의 파일개시위치(B)로 한다.
이와 같은 배치를 채용하면 혼합섹숀이 변환된다 할지라도 ROM파일의 제1블록을 클러스터의 제1블록으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것은 ROM 파일을 확실하게 억세스할 수 있게 한다. 파일의 선두블록이 클러스터으 제1블록에 없으면, 파일을 억세스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ROM영역을 ROM섹숀으로 사용하고 ROM섹숀에 파일관리영역과 파일영역이 구비된 RAM영역과 ROM영역을 갖는 교환가능기억매체 전체를 ROM-RAM혼합의 단일섹숀으로 변환한다. 특히 RAM영역과 ROM영역이 혼합된 단일섹숀을 구성하기 위해 요구를 발생시킨다.
이 요구에 응해서 ROM섹숀의 파일관리영역에서 파일관리정보를 독출하고, 이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단일 ROM-RA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변환하고, 이 단일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단일섹숀의 파일관리영역에 기입하고 ROM파일과 RAM파일을 단일섹숀의 파일로써 관리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ROM섹숀(11a)의 파일영역(11a-2)의 제1개시위치(A)와 단일섹숀의 파일영역의 개시위치(B)를 각각 논리블록번호에서 구하고 그 차를 클러스터당 블록수(SC)로 제산하여 개시위치 A와 B간의 오프셋클러스터수(C)를 구한다. 다음에 오프셋클러스터수(C)를 ROM섹션(11a)의 파일관리정보내에 포함되어 있는 디렉토리의 클러스터번호와 스페이스할당관리테이블의 클러스터번호에 가산하여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단일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변환한다. 이 파일관리정보를 단일섹숀의 파일관리영역(11c-1)에 기입한다.
이 경우에, 상기 차를 1클러스터당의 블록수로 제산했을때 분할되지 않으면, 분할되도록 RAM영역(11b)의 논리블록수를 증감하여 ROM섹숀(11a)의 파일영역개시위치(A)의 논리블록번호를 증감한다. 예를 들면, RAM영역은 데이타를 기억하는 유저블록과 유저블록에 장해가 있었던 경우의 대체로써 사용되는 스페어블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유저블록수(논리블록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동시에 RAM영역의 토탈블록이 변화되지 않도록 스페어블록수를 감소 또는 증가한다. 이에 의해서 ROM섹숀의 파일개시위치가 증감되고, 상기 차가 1클러스터당의 블록수(SC)로 분할되도록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단일섹숀으로 하여도 ROM파일의 선두블록을 클러스터의 선두블록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ROM파일을 확실하게 억세스할 수 있다.
(b) 발명의 시스템 구성
제2도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외관도이고, 11은 파셜 ROM광자기디스크(파셜 ROM이라함), 21은 광자기디스크드라이브, 31은 호스트시스템(컴퓨터본체부), 41은 데이타입력부(조작부)이고, 키보드(41a)는 마우스(41b)를 갖고 있다.
51은 CRT나 액정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 61은 프린터이다. 파셜 ROM(11)은 ROM영역(ROM부)(11a)과 RAM영역(RAM부)(11b)을 갖고 각각의 영역은 독립된 섹숀(ROM섹숀, RAM섹숀)으로써 구획화되어 있다.
제3도는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도이고, 제2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21은 광자기디스크드라이브, 22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23은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 31은 호스트시스템, 41은 조작부, 51은 표시부, 61은 프린터, 71a∼71d는 I/O콘트롤러, 81은 SCSI(스커지)비스이고, 최대 8대의 I/O콘트롤러를 접속할 수 있다. I/O콘트롤러(71a∼71c)에는 각각 광자기디스크드라이브(21), 하드디스크드라이브(22),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23)가 접속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각 I/O콘트롤러에 1대의 드라이브만 접속되어 있지만 2대 이상의 드라이브를 접속할 수 있다. 호스트시스템(31)에 있어서, 31a는 중앙처리장치, 31b는 메모리, 31c는 DMA콘트롤러, 31d는 호스트·오댑터이고 각부는 호스트버스(31e)에 접속되어 있다. 호스트시스템(31)과 각 I/O콘트롤러(71a∼71d)간은 스커지인터페이스로 결합되고, 각 I/O콘트롤러와 각 드라이브간은 예를 들면 ESDI인터페이스로 결합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주변장치를 호스트버스(31e)에서 절리하고, 호스트버스와는 별도로 스커지버스(81)을 설비하고, 이 스커지버스에 각 주변장치용의 I/O콘트롤러(71a∼71d)를 접속하고, 각 I/O콘트롤러에 의해서 주변장치를 제어하도록 해서 호스트버스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있다.
(c) 혼합섹숀화의 제1처리
제4도는 복수의 섹숀을 배치할 수 있도록 파셜 ROM(11)이 논리포매팅되어 있는 경우(섹숀위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혼합섹숀화처리의 플로우챠트이다.
파셜 ROM(11)의 총디스크용량(Md)은 120MB, ROM용량(Mr)은 20MB이고, ROM부(ROM섹숀)(11a)의 파일영역(11a-1)의 개시위치는 논리블록번호 LBN=205127이다(제5a도 참조). 또, ROM섹숀(11a)의 파일관리영역(11a-1)에는 제6도에 나타낸 파일관리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파일관리정보는 목차정보(디렉토리)와 스페이스할당관리테이블(FAT)을 구비하고 있고, 디렉토리는 파일명과 선두 클러스터번호의 대응을 나타내고, 스페이스할당 관리테이블은 ROM파일이 기억되어 있는 위치를 클러스터번호에 의해서 지시한다.
제6a도는 디렉토리의 예이고, ROM파일명 ABCD. 111의 선두클러스터번호는 429, ROM파일명 EFGH, 222의 선두클러스터번호는 842, ROM파일명 IJKL, 333의 선두클러스터번호는 899이다. 제6b도는 스페이스할당관리테이블의 예이고, ROM파일 ABCD, 111은 클러스터번호
429→430→431→433→434→435
에 기억되어 있고 ROM파일 EFGH, 222는 클러스터번호
842→843→844→845→870→871→872→873
에 기억되어 있고, ROM파일 IJKL, 333은 클러스터번호
899→900→951→952→953
에 기억되어 있다.
그런데, ROM영역과 RAM영역이 독립된 섹숀으로 되어 있는 파셜 ROM(11)을 ROM·RAM혼합섹숀의 파셜 ROM으로 변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작부(41)에서 혼합섹숀화요구를 입력한다(스텝 101).
이어서, 희망하는 혼합섹숀의 기억용량(M)을 입력한다. 예를 들면 혼합섹숀의 기억용량으로써 120MB를 입력한다(스텝 102).
호스트시스템(31)은 입력된 혼합섹숀의 기억용량(M=120MB)와 디스크용량(Md=120MB)의 대소를 비교한다. 즉, 희망하는 혼합섹숀의 용량이 디스크 1매에 들어가는지를 판단한다(스텝 103).
M>Md의 경우에는, 환언하면 디스크 1매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102로 되돌아와서 새로운 혼합섹숀 용량의 입력을 기다린다. 한편, M≤Md의 경우에는, 환언하면 디스크 1매에 들어가는 경우에는, ROM영역(ROM섹숀)(11a)의 파일영역(11a-2)의 개시위치(A)를 논리블록번호로 구한다(스텝 104). 또 개시위치는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조사함으로써 구할 수 있고, A(논리블록번호)=205127을 얻을 수 있다(제5a도).
이어서, 혼합섹숀의 용량(M)과 ROM섹숀의 기억용량(Mr)의 차(=M-Mr=100MB)를 논리블록수로 구하고, ROM섹숀의 파일개시위치(A)에서 상기 차분(D)만큼 오프세트한 위치를 혼합섹숀파일개시위치(B)로서 구한다(스텝 105). 또, 1MB=1024KB, 1KB=1024바이트, 1블록=512바이트로 하면, D는
D=(120-20)MB/512
=100·1024·1024/512
=204800블록
으로 된다. 따라서, 혼합섹숀의 파일개시위치(B)는 205127-204800=327(논리블록번호)로 된다(제5b도 참조).
그후에, ROM섹숀의 파일개시위치(A)와 혼합섹숀의 파일개시위치(B)간의 논리블록수(D=204800블록)을 1클러스터당의 블록수(SC)로 제산하여 양위치간의 오프세트클러스터수(C)를 구한다(스텝 106).
1클러스터당의 블록수를 8블록으로 하면, 오프세트클러스터수(C)는 204800/8=25600(클러스터)으로 된다.
오프세트클러스터수(C)가 구해지면, ROM섹숀(11a)의 파일관리정보에 포함되는 스페이스할당관리테이블(FAT)의 클러스터번호(E), 디렉토리의 클러스터번호(F)를 독출한다(스텝 107).
이어서, FAT의 클러스터번호(E)에 오프세트클러스터수(C)를 가산하여 혼합섹숀의 클러스터번호(G)를 계산한다(G=E+C, 스텝 108).
또, 디렉토리의 클러스터번호(F)에 오프세트 클러스터수(C)를 가산하여 혼합섹숀의 클러스터번호(H)를 계산한다(H=F+C, 스텝 109). 파일 ABCD. 111를 예로 하면, 이 파일의 혼합섹숀에 있어서의 선두 클러스터번호는 25600+429=25029로 된다(제5c도 참조). 또, 논리포매트의 섹숀관리정보로 동시에 변경된다.
이어서, 호스트시스템(31)은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정보(G,H)를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영역(11c-1)에 기입한다(스텝 110).
이후, 스텝 107∼110의 동작을 반복하고, ROM섹숀의 전체 파일관리정보를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변환하여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영역(11c-1)에 기입한다.
이상에 의해서, 혼합섹숀의 파일영역(11c-1)과 RAM·ROM혼합의 파일영역(11c-2)을 갖는 파셜 ROM을 얻을 수 있다(제5b도).
제7도는 ROM·RAM혼합섹숀의 파일관리정보 설명도이고, (a)는 목차정보(디렉토리), (b)는 스페이스 할당관리테이블이고, 각각의 클러스터번호는 제6a,b도에 비해서 오프세트클러스터수 C(=25600) 증가되어 있다.
또, 이상에서는 혼합섹숀의 기억용량을 입력했으나, 혼합섹숀의 용량과 ROM용량의 차를 입력할 수도 있다.
또, 혼합섹숀의 용량(M)과 ROM섹숀의 용량(Mr)의 차를 논리블록수로 표현한 것을 D(용량차 D)로 했을때, 용량차(D)가 1클러스터당의 블록수(SC)로 분할될 수 없을 경우에는 분할되도록 용량차(D)를 D'로 보정하고, ROM섹숀의 파일개시위치(A)에서 보정용량차(D')만큼 오프세트한 위치를 혼합섹숀의 파일개시위치(B)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RAM·ROM혼합섹숀에 있어서 RAM부와 ROM부의 논리기록단위(클러스터)는 연속해서 ROM파일의 선두블록을 클서스터의 선두블록으로 할 수 있어, 혼합섹숀으로서도 ROM파일을 확실하게 억세스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는 RAM섹숀과 ROM섹숀에 있어서의 1클러스터당의 블록수(SC=8)가 동일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상이한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RAM섹숀의 1클러스터당의 블록수(SC1=4), ROM섹숀의 1클러스터당의 블록수(SC2=8)일 경우에는, 혼합섹숀의 1클러스터당의 블록수는. RAM섹숀과 동일한 블록수(=4)로 할 필요가 있다. 이같은 경우에는, 이하와 같이 해서 ROM섹숀의 디렉토리, 스페이스할당관리테이블에 있어서의 클러스터번호를 혼합섹숀의 클러스터번호로 변환된다. 즉, 전술의 스텝 106에 있어서, SC=4로 하여 오프세트클러스터수(C)를 구한다. 이어서, 디렉토리의 클러스터번호(F)에 대해서는 다음 식
H=2·F+C
에 의해서 혼합섹숀의 클러스터번호(H)로 변환된다. 또, 2배로 한 것은 SC2/SC1=2이기 때문이다. 또, 스페이스할당관리테이블(FAT)의 클러스터번호(E)는 다음 식
G1=2·E+C
G2=(2·E+C)+1
에 의해서, 혼합섹숀의 연속되는 2개의 클러스터번호 G1·G2로 변환된다.
(d) 단일섹숀화의 제2처리
제8도는 RAM영역과 ROM영역을 구비하고, ROM영역을 ROM섹숀으로 하고, 이 ROM섹숀에 파일관리영역과 파일영역이 설비된 파셜 ROM(11)을 ROM·RAM혼합단일섹숀의 파셜 ROM으로 변환되는 경우의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하나의 섹숀만을 만드는 논리포매트로는, 디스크위에 1섹숀만을 만들기 때문에, 파일영역선두위치는 논리포매트측에서 결정된다. 이 상황에서는, 단일섹숀의 파일영역선두위치(B)와 ROM섹숀의 파일영역선두위치(A)가 고정이기 때문에, 그 사이에 있는 오프세트 RAM부분의 블록수는 결정된다. 예를 들면, 단일섹숀의 파일영역(11c-2)의 선두위치는 제9a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논리블록번호 LBN(Logical Block Number)=519로써 고정되어 있고, ROM섹숀(11a)에 있어서의 파일관리영역(11a-1)의 선두위치는 논리블록번호 LBN=120826, 파일영역(11a-2)의 선두위치는 논리블록번호 LBN=120886로써 고정된다.
ROM섹숀(11a)의 파일관리영역(11a-1)에는 제6도와 동일 파일관리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또, RAM부(11b)는 제10도 ①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변경전에는, 유저블록수=120826, 스페어 블록수=1024, 나머지 블록수=0이다.
또, ROM·RAM혼합 단일섹숀의 파셜 ROM으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조작부(41)에서 단일섹숀화요구를 입력한다(스텝 201).
단일화요구가 입력되면, 호스트시스템(31)은 ROM섹숀(11a)의 파일영역(11a-2)의 개시위치(A)와 단일섹숀의 파일영역(11c-2)개시위치(B)를 각각 논리블록번호로 구한다(스텝 202).
또, 이들 개시위치(A,B)는 파일관리정보에서 구할 수 있으며,
A(논리블록번호)=120886
B(논리블록번호)=519
로 된다(제9a도 참조).
이어서, 개시위치(A,B)간의 오프세트 RAM부분의 논리블록수(A-B)를 1클러스터당의 블록수(예를 들면 SC=4)로 제산하고, 몫(商)을 C(=30091), 나머지를 S(=3)로 한다(스텝 203).
연후에, S=0인지를 조사하고(스텝 204), S=0이면, C를 개시위치(A,B)간의 오프세트 클러스터수로 한다(스텝 205).
그러나, S=0이 아니면, 환언하며 오프세트 RAM부분의 논리블록수(A-B)가 SC로 분할되지 않으면(실예에서는 S=3으로 분할되지 않는다), 분할될 수 있도록 RAM영역(11b)의 논리블록수를 증감시켜 ROM영역(11a)의 파일영역(11a-2)의 개시위치(A)의 논리블록번호를 증감한다(스텝 206). 이와 같이, 오프세트 RAM부분(A-B)의 논리블록수가 SC로 분할되도록 하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RAM·ROM혼합단일섹숀으로 파셜 ROM을 사용하는 경우에, RAM부와 ROM부의 논리기록단위는 연속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광디스크의 파일구조에 관한 규격(ISO 9293)에서는 논리기록단위는 클러스터라 불리고, 디스크상의 예를 들면 4물리블록(SC=4)으로 되어 있다(1블록=512바이트). 여기서, ROM부의 선두파일이 선두블록이, 단일 섹숀에 있어서의 소정 클러스터의 선두블록으로 되기 위해서는, 오프세트 RAM부분의 블록수가 SC(=4)로 분할될 필요가 있다. 만일 SC(=4)로 분할되지 않으면, ROM부의 선두파일의 선두블록은 클러스터의 선두블록이 아니고 도중에 위치하게 되고, 이 경우에, 그 파일에 억세스할 수 없게 된다. 이상의 이유에서, 오프세트 RAM부분의 논리블록은 SC(=4)로 분할할 필요가 있다.
RAM영역(11b)의 논리블록수의 조정은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즉 RAM영역(11b)은, 데이타를 기억하는 유저블록과 유저블록에 장해가 있을 경우의 대체로써 사용되는 스페어블록과 이 이외의 나머지 블록으로 나누어진다. 유저는 유저블록을 사용하고, 스페어블록, 나머지 블록은 유저에는 보이지 않는다. 유저블록과 스페어블록과 나머지 블록의 총합계가 RAM영역으로 되어, 이 총블록수는 디스크마다 결정되고 있으나, 각각의 크기는 변경가능하다. 따라서, 유저블록수를 증감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페어블록수나 나머지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유저블록수와 스페어블록수는 각각 디스크정의 섹터(DDS)에 가입되어 있으므로, DDS의 유저블록수 및 스페어블록수의 표기를 변경하면 유저블록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블록수는 120826, 스페어블록수는 1024, 나머지수는 0으로 되어 있다(제9b도, 제10도의 ① 참조).
이 유저블록수(=120826)가 SC-S(=1)만큼 증가되는 동시에, RAM영역의 토탈블록수는 변화되지 않도록 스페어블록수(=1024)를 SC-S만큼 감소시키고, 디스크정의섹터(DDS)의 유저블록수와 스페어블록수는 각각 변경된다. 이에 의해서, 유저블록수는 120827, 스페어블록수는 1023으로 되고(제10도의 ② 참조), ROM영역(11a)의 파일관리영역(11a-1) 및 파일영역(11a-2)의 개시위치는 각각 1만 증가되어 120827, 120887(A=120887)로 된다(제9c도 참조). 즉, 오프세트 RAM부분의 논리블록수(A-B)는 SC로 분할되게 된다.
이에 의해서 RAM부와 ROM부의 논리기록단위(클러스터)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고, ROM·RAM혼합단일섹숀으로 했을때, ROM파일의 선두블록을 클러스터의 선두블록으로 할 수 있어, ROM파일을 확실하게 억세스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C+1→C로 하고, C(=30092)를 오프세트 클러스터수로 한다(스텝 207).
또, 새로운 A를 사용하여, 재차, (A-B)/SC를 계산하여 오프세트 클러스터수(C)를 구하여도 좋다. 또, 스텝 106에서는 유저블록수를 증가시키고, 스페어블록수를 감소시켰으나, 유저블록수를 S만큼 감소시키고, 스페어블록수를 S만큼 증가하도록 변경시키고, C-1→C에 의해서 오프세트블록수를 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유저블록수를 증가/감소, 스페어블록수를 감소/증가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유저블록수를 증가/감소, 나머지 블록수를 감소/증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오프세트 클러스터수(C)가 구해지면, ROM섹숀(11a)의 파일관리정보에 포함되는 스페이스할당관리테이블(FAT)의 클러스터번호(E), 디렉토리의 클러스터번호(F)를 독출한다(스텝 208).
이어서, FAT의 클러스터번호(E)에 오프세트클러스터수(C)를 가산하여 단일섹숀의 클러스터번호(G)를 계산한다(G=E+C, 스텝 209).
또, 디렉토리의 클러스터번호(F)에 오프세트수(C)를 가산하여 단일섹숀의 클러스터번호(H)를 계산한다(H=F+C, 스텝 210).
연후에, 호스트시스템(31)은 단일섹숀의 파일관리정보(클러스터번호)(G,H)를 단일섹숀의 파일관리영역(11c-1)에 기입한다(스텝 211).
이후, 스펩 208∼211의 동작을 반복하고, ROM섹숀의 전체 파일관리정보를 단일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변환하여 파일관리영역(11c-1)에 기입하면, ROM영역과 RAM영역을 갖는 파셜 ROM을 ROM·RAM혼합단일섹숀의 파셜 ROM으로 할 수 있다.
즉, 파일관리영역(11c-1)의 외측이 RAM·ROM혼합의 파일영역(11c-2)으로 된 단일섹숀(11c)의 파셜 ROM이 얻어진다(제9d도 참조).
제11도는 ROM·RAM혼합단일섹숀의 파일관리정보 설명도이고, (a)는 목차정보(디렉토리), (b)는 스페이스할당관리테이블이고, 각각의 클러스터번호는 제6a, b도에 비해서 오프세트클러스터수 C(=300929)증가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파셜 ROM광자기디스크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같은 파셜 ROM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운반교환가능한 기억매체,즉 교환가능기억매체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서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이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RAM섹숀과 ROM섹숀이 혼합된 섹숀으로 하기 위한 요구에 의해서, ROM섹숀의 파일관리영역에서 파일관리정보를 독출하고, 이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RAM·ROM혼합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환산하고, 이 파일관리정보를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영역에 기입하도록 했으므로, ROM영역과 RAM영역이 독립된 섹숀으로 되어 있는 교환가능기억매체를 ROM·RAM혼합섹숀의 기억매체로 변환할 수 있고, 또한 ROM영역의 파일과 RAM영역의 파일을 갖는 섹숀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혼합섹숀의 기억용량, 또는 혼합섹숀의 기억용량과 ROM섹숀의 기억용량의 차를 입력하고, 이어서, ROM섹숀의 파일영역의 개시위치(A)를 논리블록번호로 구하고, 혼합섹숀의 기억용량과 ROM섹숀의 기억용량의 차(D)를 논리블록수로 구하고, ROM섹숀의 파일개시위치(A)보다 상기 차(D)만큼 오프세트한 위치를 혼합섹숀의 파일위치(B)로써 구하고, 연후에, ROM섹숀의 파일개시위치(A)와 혼합섹숀의 파일개시위치(B)간의 논리블록수(D)를 1클러스터당의 블록수로 계산하여 양위치간의 오프세트클러스터수(C)를 구하고,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디렉토리, 스페이스할당관리테이블)의 클러스터번호에 오프세트 클러스터수(C)를 가산하여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변환하고, 이 파일관리 정보를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영역에 기입하도록 했으므로 1매의 파셜 ROM에서 ① RAM·ROM별 섹숀 ② RAM·ROM혼합 80MB, ③ RAM·ROM혼합 100MB, …등, 적어도 2종류 이상 타입의 파셜 ROM광자기 디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논리블록수(D)를 1클러스터당의 블록의 블록수로 제산했을 때에, 분할되지 않을 경우에는, 분할되도록 용량(D)을 D'로 보정하고, 상기 ROM섹숀의 파일개시위치(A)에서 상기 보정용량차(D')만큼 오프세트된 위치를 혼합섹숀의 파일개시위치(B)로 하도록 했으므로, 혼합섹숀으로 하여도 ROM파일의 선두블록이 클러스터의 선두블록으로 할 수 있어, ROM파일을 확실하게 억세스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RAM영영과 ROM영역을 구비하고, ROM영역을 ROM섹숀으로 하고, 이 ROM섹숀에 파일관리영역과 파일영역이 설비된 교환가능기억매체를 RAM영역과 ROM영역이 혼합된 단일섹숀의 교환가능기억매체로 변환할 수 있다. 즉, ROM섹숀의 파일관리영역에서 파일관리정보를 독출하고, 이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RAM·ROM혼합단일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변환하고, 이 단일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단일섹숀의 파일관리영역에 기입함으로써, ROM파일, RAM파일을 단일섹숀의 파일로써 관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ROM섹숀의 파일영역의 개시위치(A)와 단일섹숀의 파일영역개시위치(B)를 각각 논리블록번호로 구하고 그 차를 1클러스터당의 블록수(SC)로 제산하여 양개시위치(A,B)간의 오프세트클러스터수(C)를 구하고,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디렉토리, 스페이스할당관리테이블)의 클러스터번호에 오프세트클러스터수(C)를 가산하여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단일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변환하고, 단일섹숀의 파일관리영역에 기입하도록 했으므로, 간단하게 단일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차를 1클러스터당의 블록수로 제산했을 때에 분할되지 않으면, 분할되도록 RAM영역의 논리블록수를 증감하여 ROM섹숀의 파일영역개시위치(A)의 논리블록번호를 증감하도록 했으므로, 단일섹숀으로 하여도 ROM파일의 선두블록을 클러스터의 선두블록으로 할 수 있어, ROM파일을 확실하게 엑세스할 수 있다.
Claims (15)
- 독립한 RAM섹숀을 한정하는 RAM영역과 독립한 ROM섹숀을 한정하는 ROM영역을 구비하되, 각각의 섹숀이 파일관리정보를 기억하는 파일관리영역과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영역을 갖는, 교환가능 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에 있어서, RAM영역과 ROM영역이 혼합된 섹숀을 설정하기 위한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ROM섹숀의 파일관리영역에서 파일관리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ROM섹숀의 상기 파일관리정보를 혼합 RAM-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혼합 RAM-ROM섹숀의 상기 파일관리정보를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영역에 기입하는 단계; 및 ROM파일, RAM파일을 혼합섹숀의 파일로서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가능 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가능 저장매체는 파셜-ROM광자기디스크이고, 상기 파일관리정보는 파일명과 파일 선두 클러스터번호의 상호관계를 나타내는 목차 정보와, 클러스터 번호의 연결에 의해 파일의 저장위치를 나타내는 스페이스-할당 관리 테이블을 갖고, 상기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 내에 포함되어 있는 목차 정보와 스페이스-할당 관리 테이블의 클러스터 번호를 혼합섹숀의 클러스터번호로 함으로서,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가능 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
- 독립한 RAM섹숀을 한정하는 RAM영역과 독립한 ROM섹숀을 한정하는 ROM영역을 구비하되, 각각의 섹숀이 파일관리정보를 기억하는 파일관리영역과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영역을 갖는, 교환가능 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에 있어서, RAM영역과 ROM영역이 혼합되는 섹숀과, 혼합영역의 기억용량 또는 상기 혼합용량의 기억용량과 ROM섹숀의 기억용량과 차이를 설정하기 위한 요구를 입력하는 단계; 논리블록 번호의 형태로 상기 ROM섹숀의 상기 파일영역의 개시위치(A)를 결정하는 단계; 논리 블록수의 형태로 상기 혼합섹숀의 상기 기억용량과 상기 ROM섹숀의 기억용량의 차(D)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ROM섹숀의 파일개시위치(A)에서 논리 블록수로 표현한 상기 차(D)만큼 오프세트된 위치를 혼합섹숀의 파일개시위치(B)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ROM섹숀의 상기 파일개시위치(A)와 상기 혼합섹숀의 상기 파일개시위치(B)간의 논리블록수(D)를 클러스터당 블록수로 나누어 양 위치간의 오프세트클러스터수(C)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ROM섹숀의 상기 파일관리정보에 포함되는 목차정보 및 스페이스-할당테이블의 클러스터 번호에 오프세트클러스터수(C)를 가산하여, 상기 ROM섹숀의 상기 파일관리정보를 상기 혼합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관리정보를 상기 혼합섹숀의 상기 파일관리영역에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가능 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블록수(D)를 클러스터당의 블록수로 나누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논리블록수가 상기 클러스터당 블록수로 나누어지도록 용량차(D)를 D'로 정정하는 단계; 및 상기 ROM섹숀의 상기 파일개시위치(A)에서 상기 보정 용량차(D')만큼 오프세트된 위치를, 상기 혼합섹숀의 파일개시위치(B)로 채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가능 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
- RAM영역과 ROM영역을 구비하고, ROM영역을 ROM섹숀으로 하고, 이 ROM섹숀에 파일관리정보를 기억하는 파일관리영역과 파일을 기억하는 파일영역이 설비되는, 교환가능 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에 있어서, 전체 RAM영역과 ROM영역이 혼합되는 단일 혼합 RAM-ROM섹숀을 설립하기 위한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ROM섹숀의 상기 파일관리영역에서 파일관리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ROM섹숀의 상기 파일관리정보를 상기 단일 혼합 RAM-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단일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상기 단일섹숀의 파일관리영역에 기입하는 단계; 및 ROM파일들, RAM파일들을 단일섹숀의 파일들로서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가능 기억매체 파일관리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관리정보는 파일명과 파일의 선두 클러스터 번호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목차 정보와, 파일의 저장 위치를 클러스터 번호의 연결에 의해서 나타내는 스페이스-할당관리테이블을 갖고; 상기 ROM섹숀의 상기 파일관리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목차정보 및 스페이스-할당관리테이블의 클러스터 번호를 단일섹숀의 클러스터 번호로 함으로써, 상기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가 상기 단일 혼합 RAM-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가능 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관리정보를 변환하는 단계는; 각각의 논리블로번호의 형태로 상기 ROM섹숀의 파일영역의 개시위치와 상기 단일섹숀의 파일영역개시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이들 논리블록번호의 차를 클러스터당 블록수로 나누어 상기 2개의 개시위치간의 오프세트클러스터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ROM섹숀의 상기 파일관리정보에 포함되는 목차정보 및 스페이스-할당관리테이블의 클러스터번호에 오프세트 클러스터수를 가산함으로써, 상기 ROM섹숀의 상기 파일관리정보를 상기 단일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가능 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관리정보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차를 클러스터당의 블록수로 나누었을 때 나누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차가 나누어질 수 있도록 상기 RAM영역을 상기 논리 블록수를 증가 또는 감소함으로써 상기 ROM섹숀의 상기 파일개시위치의 상기 논리블록번호를 조정하는 조정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가능 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RAM영역은 데이타를 격납하는 유저블록과 유저블록에 장해가 있을 경우의 대체물로서 사용되는 스페어블록을 갖고, 상기 차를 클러스터당의 블록수로 나누었을 때에 나누어지지 않을 경우에, 상기 차가 나누어지도록 상기 유저블록의 수(논리블록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상기 RAM영역의 총 블록수가 변화되지 않도록 스페어블록수를 감소 또는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가능 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RAM영역을 데이타를 격납하는 유저블록과, 유저블록에 장해가 있을 경우의 대체물로서 사용되는 스페어블록과, 사용되지 않는 다른 블록을 갖고, 상기 차를 클러스터당의 블록수로 나누었을 때 나누어지지 않을 경우에, 상기 차가 나누어지도록 유저블록의 수(논리블록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RAM영역의 총 블록수가 변환되지 않도록 다른 블록의 수를 감소 또는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가능 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가능 기억매체 파셜 ROM광자기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가능 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
- 원래 RAM섹숀으로 사용되는 RAM영역과 원래 ROM섹숀으로 사용되는 ROM영역을 갖는 광저장 매체를 혼합 RAM-ROM섹숀을 갖는 저장매체로 변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각 원래 섹숀은 파일관리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파일관리영역과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파일영역을 갖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정보를 독출 및 기입하고 상기 광디스크 매체의 재-기입 가능 부분으로부터 정보를 독출 및 기입하는 광디스크드라이브; 및 상기 디스크드라이버에 의한 정보의 독출 및 기입을 제어하기 위한 호스트를 구비하며, 상기 호스트는; 상기 디스크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상기 원래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원래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혼합 RAM-ROM섹숀 파일관리정보를 변환하고; 상기 디스크드라이버를 사용하여 혼합 RAM-ROM섹숀 파일관리영역에 혼합 RAM-ROM섹숀 파일관리정보 및 RA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기입하고; ROM파일들 및 RAM파일들을 혼합 RAM-ROM섹숀의 파일들로서 관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RAM-ROM섹숀 파일관리정보는, 파일명과 파일의 선두 클러스터 번호와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목차와, 클러스터 번호의 연결에 의해 파일의 저장위치를 나타내는 스페이스-할당관리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원래 RAM섹숀으로 사용되는 RAM영역과 원래 ROM섹숀으로 사용되는 ROM영역을 갖는 변경가능한 광저장 매체를 변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각 원래 섹숀은 파일관리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파일관리영역과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파일영역을 갖고, 상기 파일관리정보는 파일명과 파일의 선두 클러스터 번호와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목차정보와 클러스터 번호의 연결에 의한 선두저장위치를 나타내는 스페이스-할당관리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정보를 독출 및 기입하고 상기 광디스크 매체의 재-기입 가능 부분으로 정보를 기입하는 광디스크드라이브; 및 상기 디스크드라이버에 의한 정보의 독출 및 기입을 제어하는 호스트를 구비하며, 상기 호스트는; 상기 디스크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상기 원래 ROM 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원래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혼합 RAM-ROM섹숀 파일관리정보로 변환하는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변환은 논리블록수의 형태로 원래 ROM섹숀의 파일영역의 개시위치(A)를 결정하고; 논리블록수의 형태로 혼합 RAM-ROM섹숀의 기억용량과 원래 ROM섹숀의 기억용량의 차(D)를 결정하고, 원래 ROM섹숀의 파일개시위치(A)로부터 상기 차(D)만큼 오프세트되고, 논리블록수에 의해 표시되는 위치를 혼합 RAM-ROM섹숀의 파일개시위치(B)로 결정하고; 원래 ROM섹숀의 파일개시위치(A)와 혼합 RAM-ROM섹숀의 파일개시위치(B) 사이는 논리블록수(D)를 클러스터당 블록의 수로 나누어 위치 A 및 B 사이의 오프세트클러스터수(C)를 결정하고; 원래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목차 정보 및 상기 스페이스-할당관리파일의 클러수터스에 오프세트클러스터수(C)를 가산하여, 원래 RO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혼합 RAM-ROM 섹숀의 파일관리정보로 변환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호스트는; 상기 디스크드라이버를 사용하여 혼합 RAM-ROM섹숀 파일관리영역에 혼합 RAM-ROM 섹숀 파일관리정보 및 RAM섹숀의 파일관리정보를 기입하고; ROM파일들 및 RAM파일들을 혼합 RAM-ROM섹숀의 파일들로서 관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논리블록수(D)를 상기 클러스터당 블록의 수로 나누었을 때 나누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변환과정은; 상기 논리블록수가 상기 클러스터당 블록수로 나누어지도록 상기 차(D)를 D'로 정정하고; 상기 ROM섹숀의 파일개시위치(A)로부터 상기 정정된 허용가능한 차(D')만큼 오프세트된 위치를 혼합 RAM-ROM섹숀의 파일개시위치(B)로 채택함으로써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122572A JP2881092B2 (ja) | 1993-05-25 | 1993-05-25 | 可換記憶媒体のファイル管理方法 |
JP93-122572 | 1993-05-2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0135581B1 true KR0135581B1 (ko) | 1998-04-22 |
Family
ID=1483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07416A KR0135581B1 (ko) | 1993-05-25 | 1994-04-09 | 교환가능 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6189014B1 (ko) |
EP (1) | EP0626646B1 (ko) |
JP (1) | JP2881092B2 (ko) |
KR (1) | KR0135581B1 (ko) |
DE (1) | DE69430777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681709B2 (en) * | 1993-10-18 | 1997-09-04 | Sony Corporation |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data recording medium, data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retrieving method and information retrieving apparatus |
JPH07182218A (ja) * | 1993-11-12 | 1995-07-21 | Sony Corp |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そのファイル管理方法 |
DE69528636T2 (de) * | 1994-12-19 | 2003-06-26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indhoven | Mehrschichtiger aufzeichnungsträger und vorrichtung zur abtastung dieses trägers |
KR100425386B1 (ko) * | 1995-03-30 | 2004-07-23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원반상기록매체의구동장치,구동방법,및원반상기록매체 |
TW367492B (en) * | 1996-04-11 | 1999-08-2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Optical disk |
JP3867335B2 (ja) * | 1996-05-10 | 2007-01-10 | ソニー株式会社 | 記録媒体、インストール動作管理方法 |
JPH11126186A (ja) | 1997-10-22 | 1999-05-11 | Sony Corp |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
JP3906535B2 (ja) | 1997-11-07 | 2007-04-18 | ソニー株式会社 | 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
JP3454700B2 (ja) * | 1998-01-20 | 2003-10-06 | 富士通株式会社 | 情報記憶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JPH11259980A (ja) * | 1998-03-09 | 1999-09-24 | Pioneer Electron Corp | 情報記録装置 |
JP4081858B2 (ja) | 1998-06-04 | 2008-04-30 | ソニー株式会社 |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端末装置、及び記録媒体 |
JP3968875B2 (ja) | 1998-06-24 | 2007-08-29 | ソニー株式会社 | ダウンロード装置、及び記録媒体 |
JP2000057037A (ja) * | 1998-08-05 | 2000-02-25 | Sony Corp |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並びに記録媒体 |
DE19847393C1 (de) * | 1998-10-14 | 2000-05-04 | Bosch Gmbh Robert | Plattenförmiger Aufzeichnungsträger |
KR100459119B1 (ko) * | 1998-12-02 | 2005-01-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광기록매체및광기록매체의포맷팅방법 |
WO2001048753A1 (fr) | 1999-12-28 | 2001-07-05 |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 Disque optique reinscriptible a changement de phase dote partiellement d'une region rom et procedes d'enregistrement et d'effacement de donnees pour disques optiques |
CN1421854A (zh) * | 2001-11-28 | 2003-06-04 | 劲永国际股份有限公司 | 用于硬盘及固态盘上对资料加密保护资料安全性的方法 |
AU2003201837A1 (en) * | 2002-04-01 | 2003-10-23 | Sony Corporation | Storage medium and storage medium recording method |
US20050018574A1 (en) * | 2003-07-25 | 2005-01-27 | Jenkins Jens C. | Hybrid optical storage media and methods of use |
CN1674138A (zh) * | 2004-03-23 | 2005-09-28 |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 混合光盘的文件系统 |
US20060200414A1 (en) * | 2005-02-14 | 2006-09-07 | Roberts Henry A Jr | Methods of copy protecting software stored on portable memory |
US8275927B2 (en) * | 2007-12-31 | 2012-09-25 | Sandisk 3D Llc | Storage sub-system for a computer comprising write-once memory devices and write-many memory devices and related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53122A (en) * | 1986-10-31 | 1990-08-28 | Laserdrive Ltd. | Pseudo-erasable and rewritable write-once optical disk memory system |
US4833663A (en) * | 1987-01-16 | 1989-05-23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handling defective sectors on an optical disk |
US4811124A (en) * | 1987-07-24 | 1989-03-07 | Advanced Micro Devices, Inc. | Defect skipping mechanism for disk drives |
JPH0223417A (ja) * | 1988-07-13 | 1990-01-2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情報記録方式と情報記録媒体 |
US5075804A (en) * | 1989-03-31 | 1991-12-24 | Alps Electric Co., Ltd. | Management of defect areas in recording media |
US5150339A (en) * | 1989-04-24 | 1992-09-22 | Hitachi, Ltd. | Optical disk medium and its application method and system |
US5216656A (en) * | 1990-06-15 | 1993-06-01 | Sony Corporation | Method for recording a cd-ram which is compatible with a conventional cd recording format while allowing fast accessing |
JPH0467320A (ja) * | 1990-07-02 | 1992-03-03 | Hitachi Ltd | 情報記録ディスク |
JP2888958B2 (ja) | 1990-10-20 | 1999-05-10 | 富士通株式会社 | 部分書き換え可能な記憶媒体におけるファイル管理方式 |
US5241531A (en) * | 1990-11-07 | 1993-08-31 |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 Storage medium having read/write storage region and read-only storage region and a method for managing defective sectors in the storage medium |
JP2781658B2 (ja) * | 1990-11-19 | 1998-07-30 |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 アドレス生成回路とそれを用いたcd―rom装置 |
JP2940208B2 (ja) * | 1991-04-12 | 1999-08-25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記録再生方法、および記録再生装置、光ディスク |
JPH0546624A (ja) * | 1991-08-20 | 1993-02-26 | Sony Corp | 記録媒体および情報読出し装置 |
JP3269097B2 (ja) * | 1991-10-14 | 2002-03-25 | ヤマハ株式会社 | 光ディスクならびにその記録方法およびその記録装置 |
-
1993
- 1993-05-25 JP JP5122572A patent/JP288109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
- 1994-03-16 DE DE69430777T patent/DE69430777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03-16 EP EP94104111A patent/EP062664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04-09 KR KR1019940007416A patent/KR013558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6
- 1996-06-28 US US08/674,611 patent/US618901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6332762A (ja) | 1994-12-02 |
US6189014B1 (en) | 2001-02-13 |
DE69430777D1 (de) | 2002-07-18 |
JP2881092B2 (ja) | 1999-04-12 |
EP0626646B1 (en) | 2002-06-12 |
EP0626646A1 (en) | 1994-11-30 |
DE69430777T2 (de) | 2002-10-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35581B1 (ko) | 교환가능 기억매체의 파일관리방법 | |
DE69715710T2 (de) | Platte zur Informationsaufzeichnung mit Verwaltungszonen | |
US7207051B2 (en) | Optical disk and optical disk drive device | |
JP2883791B2 (ja) | 記憶媒体とその制御方法 | |
JP2000040305A (ja) | 記録媒体及び記憶装置 | |
JPH056891B2 (ko) | ||
US542287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 optical disk having a read-only area and a rewritable area | |
EP1647024A1 (en) | Apparatus for and method of recording digital information signals | |
JPH03217972A (ja) | ファイル検索装置 | |
JP3490079B2 (ja) | 光ディスク駆動装置 | |
WO2005004149A1 (en) |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and method of storing of data sharable by different file systems | |
US20060230327A1 (en) | Apparatus for and method of recording digital information signals | |
JP3562486B2 (ja) | 記録方法、記録装置および記録媒体 | |
KR940011377B1 (ko) | 정보기억용 디스크의 섹터배열방법 | |
JPH07235058A (ja) | 光ディスク装置 | |
US20070130419A1 (en) | Device for and method of recording digital information signals | |
JP2007512648A (ja) | デジタル情報信号記録装置、方法、コンピューター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 |
JPH05114162A (ja) | 情報記録再生装置 | |
JPH11134226A (ja) | 情報記録方法 | |
JP2004047091A (ja) |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駆動装置 | |
JP2004006026A (ja) |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駆動装置 | |
JPH04357538A (ja) | ファイル管理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107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