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496B1 - 페녹시카르복실산 아미드 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농업용 살균제 - Google Patents

페녹시카르복실산 아미드 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농업용 살균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496B1
KR0135496B1 KR1019930019053A KR930019053A KR0135496B1 KR 0135496 B1 KR0135496 B1 KR 0135496B1 KR 1019930019053 A KR1019930019053 A KR 1019930019053A KR 930019053 A KR930019053 A KR 930019053A KR 0135496 B1 KR0135496 B1 KR 0135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reaction
acid
m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9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오 사사끼
마사히또 이또
즁 다께하라
노부미쓰 사와이
요시히로 다까야마
Original Assignee
미우라 아끼리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우라 아끼리,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우라 아끼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496B1/ko

Links

Landscapes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녹시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 [예를들어 2-(2-시아노-4-2-메틸프로필)-N-(1-메톡시카르보닐-1-디플루오로메틸-2-메틸프로필)프로피온아미드] 및 그것을 함유하는 농업용 살균제, 및 그의 합성중간체를 제공한다. 이 화합물은 페톡시카르복실산 할라이드 유도체와 아미노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페톡시카르복실산 아미드 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농업용 살균제
본 발명은 신규한 페녹시카르복실만 아미드 유도체 및 그것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농업용 살균제에 관한 것이다.
특개소 63-132867호 공보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신규한 아릴옥시카르복실산 유도체로서 다음 일반식(A)로 나타내지는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식중 아릴은 미치환이거나, C1-5알킬, C1-5알콕시, C1-5알킬-SOn(n=0, 1 또는 2), 할로겐, -NO2, -CF3, -CN, -CH3OCH2, -(CH3)2NCH2, -COO 알킬, -CONH2또는 페닐에 의하여 모노- 또는 트리-치환된 페닐기이거나, 1- 또는 2-나프틸기이거나, 경우에 따라 염소 치환딘 2-, 3- 또는 4-피리딜기이거나, 피리미딜기이거나, 또는 퀴놀리기를 나타내며, Q는 -(R5)C(R6)-(CH2)m (m=0, 1 또는 2)를 나타내며, R1은 H, C1-6알킬 또는 알릴을 나타내고, R2와 R3은, C1-6알킬(이것은 사슬속에 0 또는 S원자를 포함할 수 있음), C3-7시클로알킬, CH2-COO-(C1-5알킬), 페닐을 나타내거나, R2와 R3는 둘이서 -(CH2)4-, -(CH2)5- 또는 -(CH3)CH-(CH2)4-를 나타내며, R4는 CN, CONH2를 나타내고, R5는 H, CH3, C2H5를 나타내며, R6은 H, CH3를 나타내고, X는 0 또는 S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는 R2와 R3이 할로알킬기 또는 할로알케닐기인 화합물에 관해서는 아 무런 언급이 없다.
농업용 살균제로서 이제까지 많은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으나 같은 약제를 여러해 사용함으로써 약제에 대한 내성을 얻은 균이 출현하는 등 살균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생겼다. 따라서 농원예용 살균제에 관하여는 강력한 살균효과를 가진 신규한 구조의 화합물의 창제가 기대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망을 충족하는 신규한 농원예용 살규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한 결과 어떤 종의 페녹시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가 뛰어난 살균작용을 하는 것을 알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신규한 페녹시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된다.
[단 식중, X는 할로겐 원자, 저급 알킬기, 저급 할로알킬기,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를 나타내고, n은 0∼5의 정수를 뜻하며, R1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를, R2는 저급 알킬기, 저급 알케닐기, 벤질기, 시클로알킬기, 저급 할로알킬기 또는 저급 할로알케닐기를 나타내며, R3은 저급 할로알킬기 또는 저급 할로알케닐기를 나타내고, Y는 시아노기, -CONH2또는 -CO2R4(단 R4는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또는 저급알케닐기를 나타냄)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페녹시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의 합성 중간체로서 유용한 다음 일반식(2)로 표시되는 a-아미노유도체, 즉 a-아미노트릴 유도체 및 a-아미노산 에스테르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단 식중, R2는 저급 알킬기, 저급 알케닐기, 벤질기, 시클로알킬기, 저급 할로알킬기 또는 저급 할로알케닐기를 나타내고, R3은 저급 할로알킬기 또는 할로알케닐기를 나타내며, Y는 시아노기, -CONH2또는 -CO2R4(단 R4는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또는 저급 알케닐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신규한 페녹시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는 아래 일반식(1-a)
[단 상기 R1, R2, R3, X, Y 및 n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R' 이 수소의 경우 및 R2과 R3이 동일한 경우는 제외함)과 *2가 나타내는 위치에 부제탄소(不齊炭素)를 갖기 때문에, R1가 수소가 아니고 R2와 R3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4종의 광학이성체가, 그리고 R1이 수소이며 R2와 R3이 서로 다른 경우 및 R1가 수소가 아니고 R2와 R3이 동일한 경우는 2종의 광학이성체가 존재 하지만, 본 발명은 그 라세미체 또는 광학이성체 혼합물의 형태, 또는 순수한 에난티오머 혹은 디아스테레오머의 형태를 가진 유도체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는 특기하지 않는 한 라세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상기한 일반식(1)의 정의에 있어서의 각 기와 원자의 구체적 예는 다음과 같다.
할고겐 원자 : 불소, 브롭, 요오드이다.
저급 알킬기 : 탄소수 1∼6의 알킬기이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S-부틸, t-부틸, n-펜틸, i-펜틸 및 n-헥실 등의 기이다.
저급 알케닐기 : 탄소수 3∼6의 알케닐기이며, 예를들어 프로페닐, 부테닐, 펜테닐 및 헥세닐기와 그것들의 이성체 등의 기이다.
저급 할로알킬기 : 상기의 저급알킬기의 수소원자의 적어도 1개가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기이며, 예를들어 모노클로로메틸, 디클로로메틸, 트리클로로메틸, 모노클로로에틸, 디클로로에틸, 트리클롤에틸, 모노클로로프로필, 모노플루오로메틸, 디프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모노플루오로에틸, 디플루오로에틸, 트리플루오로에틸, 모노브로모메틸, 모노브로모에틸, 모노요오드메틸, 모노요오도에틸 등의 기이다.
저급 시클로알킬기 : 탄소수 3∼6의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들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의 기이다.
저급 할로알케닐기 : 저급 알케닐기의 수소원자의 적어도 1개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기이며, 예를들어 모노크로로프로페닐, 디클로로프로페닐, 트리클로로프로페닐기 및 이것들의 이성체 등의 기이다.
상수술한 기에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은 기는 상술한 원자 및 기로부터 임으로 조합하여 또는 일반적 상식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X로서는 염소, 메틸기,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가 바람직하고, X의 치환위치로서는 2,3,4,5 위치가 좋고, 특히 좋기로는 2,4-치환, 2,3,4-치환, 2,4,5-치환이다. 그 구체적 예를들면, 2,4-Cl2, 2,4-Cl2-3-CH3, 2,3,4-Cl3, 4-Cl-2-CN, 4-Cl-3-CH3-2-NO2, 3,4-Cl2-2-NO2등이다.
R1으로서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1) 및 (2)에 있어서의 R2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i-부틸기, 벤질기, 모노클로로메틸기, 모노클로로에틸기, 모노콜로로프로필기, 모노클로로프로페닐기, 디클로로메틸기, 디클로로에틸기, 디클로로프로페닐기, 트리클로로메틸기, 트리클로로에틸기, 트리클로로프로페닐기, 모노플루오로메틸기, 모노플루오로에킬기, 모노플루오로프로페닐기, 디플루오로메틸기, 디플루오로에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에틸기 등이 바람직하고, R3으로서는 모노클로로메틸기, 모노클로로에틸기, 모노클로로프로필기, 모노클로로프로페닐기, 디클로로메틸기, 디클로로에틸기, 디클로로프로페닐기, 트리클로로메틸기, 트리클로로에틸기, 트리클로로프로페닐기, 모노플루오로메틸기, 모노플루오로에틸기, 모노플루오로프로페닐기, 디플루오로메틸기, 디플루오로에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에틸기 등이 바람직하다.
Y로서는 시아노기, -COOH, -COOCH3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다음 표 1에 기재된 화합물을 예시할 수가 있다. 또, 표중의 [Ph]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표 1]
상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구체적 예로서는 다음 표 2에 기재된 화합물을 예시할 수가 있다.
[표 2]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들어 페녹시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다음 화합물(3)]와 아미노유도체[다음 화합물(2)]를 바람직하기로는 탈산제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위의 반응식에서, X, R1, R2, R3, Y 및 n은 위 일반식(1)에서 말한 바와 같은 뜻이다.
반응에 주어지는 시약의 양은, 엄밀히 제함되지는 않으나 통상 식(3)의 화합물 1당량에 대하여 식(2)의 화합물은 0.1∼10당량, 특히 0.5∼2당량, 탈산제는 1∼10당량, 특히 1∼2당량의 범위가 좋다.
이 반응에 있어서 사용되는 탈산제로서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중탄산나트륨 등의 무기염기,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의 유기염기를 들 수 있다.
이 반응은 용매의 존재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사용하는 용매로서는 반응에 관여하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약은 없고, 예를 들어 디에틸에텔,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소화수소류;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4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류; 아세트니트릴, 대메틸설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물등 및 이것들의 혼합용매를 들 수 있다.
반응온도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적절히 선택되지만, 예를 들어 -20℃ 내지 용매의 환류온도에 행할 수 있다.
반응시간은 반응온도, 사용되는 시약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어 약 1내지 약 수시간 정도의 반응시간을 예시할 수 있다.
반응이 끝난후, 목적 화합물(1)은 재결정 또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등의 방법에 의하여 반응혼합물에서 단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반응에 사용되는 a-아미노유체(2)는 예를 들어 하기의 2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A법
상기 반응식에 있어서 Y, R2및 R3은 전술한 일반식(1)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의미를 가지며, A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일반식(2)로 표시되는 a-아미노 유도체는 벤질리덴아미노 유도체(7)와 알칼할라이드(8)을 탈산제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서 쉽게 제조할 수 있는 화합물(9)를 산의 존재하에 가수분해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때 반응에서 사용되는 시약의 양은 엄밀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통상 식(7)의 화합물 1당량에 대하여 식(8)의 화합물은 1∼10당량, 특히 1∼3당량, 탈산제는 1∼10당량, 특히 1∼3당량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화합물(9)의 제조에 사용되는 탈산제로서는 예를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중탄산나트륨, 등의 무기염기;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의 유기염기; 나트륨메톡시드, 칼륨 t-부톡시드 등의 금속 알콜레이트;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 반응은 용매중에서 행하는 것이 좋고 사용할 용매로서는 반응에 관여하지 않는한 제약이 없으며, 예를들어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4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초산에틸 같은 에스테르류; 아세토니트릴, 디메틸설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물 등과 이것들의 혼합용매가 예시될 수 있다.
반응온도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예를들어 -78℃ 내지 용매의 환류온도를 들 수 있다. 또 반응시간은 반응시약,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들어 약 1~수 시간의 반응시간일 수 있다.
화합물(9)의 가수분해에 의해서 화합물(2)를 제조하는 경우 사용되는 산으로서는 예를들어 염산,황산 등의 광산류, 초산, 구연산 등의 유기산류를 들 수 있다. 가수분해반응은 용매의 존재하에 실시하는 것이 좋고,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을 등의 알콜류; 초산, 프로피온산 등의 저급 지방산류 등을 들 수 있다.
가수분해반응의 온도에는 특별한 제약은 없으나 실온 내지 용매의 환류온도를 말할 수 있다. 특히 용매의 환류온도 또는 그 근처에서 행하는 것이 좋다. 반응시간은 사용되는 산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예를들어 약 10시간의 반응온도를 들 수 있다.
반응 종료후 화합물(2)는 증류, 재결정 또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등의 방법에 의해 반응혼합물로부터 단리할 수 있다.
B법
상기 반응식에 있어서, R2,R3,R4및 Y는 상기 일반식(1)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a-아미노트릴 유도체(2-a)는 할로알킬케톤(10)에 시아노화합물과 암모늄화합물을 반응시켜 시아노화 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고 a-아미노산 에스테르 유도체(2-b)는 a-아미노트릴 유도체(2-a)를 산 또는 염기의 존재하에 가수분해하여 다시 산성하에 에스테르화 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반응에 사용되는 시약의 양은 엄밀한 제한은 없으나 통상 식(10)의 화합물 1당량에 대하여 시아노화합물은 1~10당량, 특히 1~2당량, 암모늄화합물은 1~10당량,특히 1~3당량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좋다. 또 가수분해에 있어서는 통상식(2-a)의 화합물 1당량에 의하여 산은 1~10당량, 특히1~5당량, 염기는 1~10당량, 특히 1~2당량의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좋다. 또 에스테르화에 있어서는 통상 식(2-a)의 화합물 1당량에 대하여 산은 1~10당량, 특히 2~5당량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아노화에 사용되는 시아노화합물로서는 예를들어 시안화나트륨, 시안화칼륨 등을, 또 암모늄화합물로서는, 예를들어 염화암모늄, 황산암모늄, 암모니아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반응에 관여하지 않은 것이라면 특별한 제약은 없고 예를들어 메틸알콜,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등의 알콜류;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헥산 등의 탄화수소류; 물 등과 이들의 혼합용매를 들 수 있다.
반응시간은 반응온도 등에 따라서도 다르나 예를 들어 1~10시간을 예시할 수 있다.
가수분해반응에 사용되는 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인산 등의 광산을 예시할 수 있고, 염기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바륨 등의 무기염기를 들 수 있다.
이 반응은 통상 용매 부재하에 또는 수용매 중에서 행해지지만 예를들어 메틸알콜,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등의 알콜류,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반응온도는 특별한 제약은 없으나 예를들어 0~180℃를 예시할 수 있다. 반응시간은 반응 시약,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나 예를들어 0.5~24시간을 예시할 수 있다.
에스테르화는 소망하는 에스테르에 대응하는 알콜을 용매로 하여 행하는 것이 보통이나 용매로서는 예를들어 디클로로메탄, 디플로로에탄,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톨루엔, 크실렌, 헥산 등의 탄화수소류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하는 산으로서는, 예를들어 염산, 황산, 인산 등의 광산을 예시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특별한 제약은 없으나 예를들어 실온 내지 용매의 환류온도의 범위이며, 반응시간은 반응시약, 반응온도 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예를들어 5~72시간을 예시거할 수 있다.
반응이 끝난 후 화합물(2-a)와 (2-b)는 각기 증류, 재결정 또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등의 통상의 방법에 따라 반응 혼합물로부터 단리할 수 있다.
전기한 반응에서 사용되는 페녹시카복실산 클로라이드(3)은 예를들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중, R1, X 및 n은 전한 일반식(1)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고, R5는 저급알킬기를 보여준다.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페녹시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 페놀 유도체(4)와 2-클로로카르복실산(5)를 탈산제의 존재하에 반응시켜 얻게 되는 페녹시카르복실산 에스테르(6)을, 산 또는 염기의 존재하에 가수분해하고 얻어진 페녹시카르복실산 유도체(7)을 할로겐화제로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반응에 사용되는 시약의 양은 얼밀한 제한은 없으나 통상 식(4)의 화합물 1당량에 대하여 식(5)의 화합물은 0.1~10당량, 특히 0.5~2당량, 탈산제는 1~10당량, 특히 0.5~2당량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식(6)의 화합물 1당량에 대하여 산은 촉매량~2당량, 염기는 1~10당량, 특히 1~2당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통상 식(7)의 화합물 1당량에 대하여는 할로겐화제는 1~20당량, 특히 1~5당량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화합물(6)의 제조에 사용되는 탈산제로서는 예를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중탄산나트륨 등의 무기염기;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아미노 피리딘 등의 유기염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반응은 용매중에서 행하는 것이 좋고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반응에 관여하지 않는다면 특별한 제약이 없고 예를들어 디에틸에테르, 터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이 에테르류; 벤젠,틀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클로로메탄, 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4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초산에틸과 같은 에스테르류; 메틸알콜,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등의 알콜류; 아세토니트릴,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물 등과 이것들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반응온도에서는 특별한 제약은 없으나 예를들어 -20℃내지 용매의 환류온도를 예시할 수 있다. 또 반등시간은 반응시약, 반응온도 등에 따라 다르나 예를들어 약 1~수시간의 반응시간을 예시할 수 있다.
화합물(6)의 가수분해에 의하여 화합물(7)을 제조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산으로서는 예를들어 염산, 황산 등의 광산류를 예시할 수가 있다. 알칼리로서는 예를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카리 금속의 수산화물을 예시할 수 있다.
가수분해반응은 용매의 존재하에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콜류; 초산, 프로피온산 등의 저급 지방산류, 물 및 이것들의 혼합용매를 예시할 수 있다.
가수분해반응의 온도에는 특별한 제약이 없으나 실온 내지 용매의 환류온도를 들 수 있다. 특히 용매의환류온도 또는 그 근처에서 하는 것이 좋다. 반응시간은 사용되는 산의 종류 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예를들어 약 1~10시간의 반응온도를 들 수 있다.
이와같이 해서 페녹시카르복실산 유도체(7)을 얻을 수 있지만, 페놀 유도체(4)와 할로겐화 카르복실산류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금속의 수산화물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써 직접 화합물(7)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합물(7)을 할로겐화하여 화합물(3)을 제조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할로겐화제로서는 염화티오닐, 5염화인, 옥시염화인 등을 들 수 있다.
이 반응은 용매 부재하 또는 용매의 존재하에 행해지며,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는 예를들어 톨루엔, 4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헥산,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온도는 특별한 제약은 없으나 예를들어 0℃~용매의 환류온도를 들 수 있다.
반응이 끝난 후 화합물(3)은 증류, 재결정 또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등의 방법으로 반응 혼합물로부터 단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균제는 전기한 일반식(1)의 신규한 페녹시카르복실산 아미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전기한 화물을 살균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담체 또는 희석제, 첨가제 및 보조제 등과 공지의 수단으로 혼합하여, 통상 농약으로서 사용되는 제제 형태, 예를 들어 분제, 입제, 수화제, 유제, 수화제, 분제(粉劑) 등으로 조제하여 사용된다. 또 그외 농약, 예를들어 살균제, 살충제, 살진디제, 제초제, 식물생장조절제 등, 비료 및 토양개량제 등과 혼합 또는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그의 살균제와 혼합사용함으로써 사용 농약을 감소시키고, 또 노동력을 덜고, 뿐만 아니라 두약제의 공동작용으로서 살균 스펙트럼의 확대 및 상승작용에 의한 한층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제를 조제할때에 사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로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체 또는 액체의 담체를 들 수 있다.
고체 담체로서는 예를들어 카올리나이트, 몬모리로나이트군, 이라이트군 또는 폴리그로스카이트군 등으로 대표되는 클레이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파이로프라이트, 아타팔자이트, 세피오라이트, 카오리나이트, 벤토나이트, 바미큐라이트, 운모나 탈크 등; 석고, 탄산칼슘, 돌로마이트, 규조토, 마그네슘석회, 인석회, 제오라이트, 무수규산, 합성규산칼슘 등과 기타 무기물질; 대부분, 담배가루, 호두분, 소맥분, 목분, 전분, 결정성 셀룰로스 등의 식물성 유기물질; 쿠마론수지, 석유수지, 알키드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알킬렌글리콜, 케톤수지, 에스틸고무, 코발고무, 담마르 고무 등의 합성 또는 천연 고분자 화합물; 카르나우바 왁스, 밀납 등 왁스류 또는 요소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적당한 액체 담체로서는 예를 들어 케로신, 광유, 스핀들유, 화이트 오일 등의 파라핀계 또는 나프텐계 탄화수소; 크실렌, 에틸벤젠, 쿠멘, 메티나프탈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트리클로로에틸렌, 모노클로로벤젠, 오르토클로로톨루엔 등의 염소화 탄화수소;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에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게론, 디이소부틸케론, 시클로헥사논, 아세토페논, 이소포론 등의 케톤류; 초산에틸, 초산아밀, 에틸렌클리콜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아세테이트, 말레인산디부틸, 호박산디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메탄올, n-헥산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시클로헥산올, 벤질알콜 등의 알콜류; 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페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에텔렌글리콜부틸에테르 등의 에테르알콜류; 디메틸포름아니드, 디메틸설폭시드 등의 극성용매 또는 물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화, 분산, 습윤, 전착, 확전, 결합, 붕괴성 조절, 유효성 분안전화, 유동성개량, 방청(방록), 동결방지 등의 목적으로 계면활성제, 기타의 보조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들어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성이온성의 어느 화합물도 사용되지만 통상은 비이온성 및(또는) 음온성의 화합물이 사용된다.
적당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들어 라우릴알콜, 스테아릴알콜, 올레일알콜등의 고급알콜에 에틸렌옥시드를 중합부가시킨 화합물; 이소옥틸페놀, 노닐페놀 등의 알킬페놀에 에틸렌옥시드를 중합부가시킨 화합물; 부틸나프톨, 옥틸나프톨 등의 알킬나프톨에 에틸렌옥시드를 중합 부가시킨 화합물;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등의 고급지방산에 에틸렌옥시드를 중합부가시킨 화합물; 솔비탄 등에 다가알콜의 고급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것에 에틸렌옥시드를 중합부가시킨 화합물,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블록 중합부가시킨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적당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들어 라우릴 황산나트륨, 올레일알콜황산에스테르아민염, 설포호박산디옥틸에스테르나트륨, 2-에틸헥센설폰산나트륨 등의 알킬선폰산염, 이소프로필나프탈렌설폰산나트륨, 메틸렌비스나프탈렌설폰산나트륨, 리그닌설폰산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등의 아릴설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살균제에는 제제의 성상을 개선하여 살균효과를 높이는 목적으로 카제인, 제라틴, 알부민, 아교, 알간산 소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메릴셀롤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폴리비닐알콜등의 고분자 화합물과 기타 보조제를 병용할 수 있다.
상기한 담체 및 여러가지의 보조제는 제제의 제형, 적용 장면 등을 고려하여 목적에 따라 각기 단독 또는 조합으로 적절히 사용된다.
이와같이 해서 얻는 각종 제제형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 유효성분 함유율은 제제형에 따라 여러가지로 변화하지만 통상 01%~99중량%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기로는 1~60중량%가 가장 적당하다.
수화제의 경우는 예를들어 유효성분 화합물을 통상 10~90중량% 함유하고 나머지는 고체, 담체 및 분산 습윤제이며 필요에 따라서 보호 콜로이드제, 소포제 등이 첨가된다.
입제의 경우는 예를들어 유효성분 화합물을 통상 1~35중량% 함유하고 나머지는 고체, 담체 및 계면활성제 등이다. 유효성분 화합물은 고체 담체와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을 수도 있거나 혹은 고체 담체의 표면에 균일하게 고착 또는 흡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입경은 약 0.2~1.5㎜이다.
유제의 경우, 예를들어 유효성분화합물을 통상 5~30중량% 함유하고 있으며, 여기에 약 5~20중량%의 유화제가 포함되고 나머지는 액체 담체이고 필요에 따라 전착제 또는 방청제 등이 첨가된다.
분제(粉劑)의 경우 예를들어 유효성분 화합물을 통상 5~50중량% 함유하고 있으며, 여기에 3~10중량%의 분산습윤제가 포함되고 잔부는 물이며 필요에 따라 콜로이드제, 방부제, 소포제 등이 보태어진다.
본 발명의 페녹시카르복실산 아미드 유도체는 전기한 일반식(1)의 화합물 그대로 또는 상술한 임의의 제제형태로 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사용농도는 대상 직물, 사용방법, 제제형태, 시용량 등의 차이에 따라 다르며 일율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경엽(줄기와 잎) 처리의 경우 유효성분 당 0.1~10,000ppm, 바람직하게는, 1~500ppm이다. 토양처리의경우는10~100,000g/ha, 바람직하게는 200~20,000g/ha이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Ⅰ] 일반식(2)로 표시되는 a-아미노 유도체의 제조예
제조예 1
2-아미노-2-(클로로메틸)-3-메틸부티르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 번호 591)의 제조(전기한 A법에 의거하여)
2-벤질리덴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에스테르 7g(32mmol), 브로모클로로메탄 8.3g(64mmol), 데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0.3g(1mmol)의 200㎖ 디클로로메탄 용액에, 수산화칼륨 분말 21.06g(320mmol), 탄산칼륨분말 44.1g(320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고형물을 여과하고 용매를 증류제거한 후에 디에틸에테르에 용해시키고 15%의 염산 10㎖와 함께 30분간 교반하였다. 수층을 디에틸에테르로 2번 세척하고 중조수로 중화했다. 이것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건조한 후 용매를 제거하고 2-아미노-2(클로로메틸)-3-메틸부티르산 메틸에스테르 3.4g(19mmol)을 얻었다.
제조예 2
2-아미노-2-(디클로로메틸) 프로피오니트릴(화합물번호 502)의 제조(B법에 의거함)
시안화 나트륨 7.7g(157.5mmol), 염화암모늄 16.9g(315mmol), 암모니아수 9.9g 물 38㎖의 혼합물에 빙냉하에서 1,1-티클로로아세톤 20g(157.7mmol)의 22㎖ 메탄올 용액을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4시간, 이어서 4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액을 초산에틸로 추출 및 건조시키고, 용매를 유거하고 컬럼 클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2-아미노-2-(디클로로메틸) 프로피오니트릴 9g(59mmol)을 얻었다.
제조예3
2-아미노-2-(디클로로메틸) 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화합물번호 572)의 제조(전기한 B법에 의거함)
2-아미노-2-(디클로로메틸) 프로피오니트릴 9g(59mmol)에 농황산58g(590mmol)을 첨가하여 130℃에서 24시간 교반한 후, 건조 메탄올 59㎖을 첨가하고 24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메탄올을 치운후, 식혀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여 초산에틸로 추출하고, 건조, 농축한 후, 컬럼 클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2-아미노-2-(디클로로메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 7.7g(41mmol)를 얻었다.
제조예 4
2-아미노-2-(클로로메틸) 프로피오니트릴(화합물번호 501)의 제조(전기한 B법에 의거함)
시안화 나트륨 10.6g(216mmol), 염화암모늄 23.1g(432mmol), 암모니아수 13.6g 및 물 52ml의 혼합물에 빙냉하게 클로로아세톤 20g(216mmol)의 30㎖ 메탄올 용액을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4시간, 이어서 40℃에서 5시간 교반한 후, 반응액을 초산에틸로 추출하고 건조한 후 용매를 유거하고 컬럼 클로마토그리피로 정제하여 2-아미노-2-(클로로메틸) 프로피오니트릴 18g(152mmol)을 얻었다.
제조예 5
메틸 1-아미노-1-디플루오르메틸-2-메틸-부틸레이트(화합물번호 597)의 제조(전기한 A법에 의거)
칼륨 t-부톡시드 3.36(30mmo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110㎖ 용액에 아르곤 분위기하에 -78℃의 온도로 메틸 2-벤질리덴아미노-3-메틸부틸레이트 5.9g의 테트라히드로푸란 10㎖과 함께 30분간 교반하였다. 수층을 디에틸에테르로 두번 씻고 중탄산 나트륨으로 중화하였다. 이것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건조후 용매를 유거하고 메틸 1-아미노-1-디플루오로메틸-2-메틸부틸레이트 1.95g(10.8mmol)을 얻었다.
상기한 제조예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화합물을1H-NMR의 피크값을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Ⅱ] 일반식(1)로 표시되는 페녹시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의 제조예
제조예 6
2-(2,4-디클로로-3-메틸페녹시)-N-(1-시아노-1-디플루오로메틸-2-메틸프로필) 프로피온 아미드(화합물번호 315)의 제조
(ⅰ) 2,4-디클로로-3-메틸페놀 1.8g(10.2mmol), 2-클로포프로피온산 메틸 1.25g(10.2mmol)과 탄산칼륨 1.7g(10.2mmol)의 디메틸포름아미드 50㎖ 용액을 80℃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반응액을 빙수 속에 부어 넣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후 용매를 유거 하였다. 얻어진 유상물(油牀物)을 에탄올 40㎖-물 40㎖ 용액에 녹이고 10% 염산을 이용하여 산성으로 만들었다. 석출되어 나온 결정을 여과하여 2-(2,4-디클로로-3-메틸-페녹시) 프로피온산 2.2g를 얻었다.
상기 화합물이 염화티오닐 20㎖용액을 2시간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여분의 염화티오닐을 유거하고, 2-(2,4-디클로로-3-메틸페녹시) 프로피온산 클로라이드 2.1g(7.8mmol)을 얻게 되었다.
(ⅱ)2-(2,4-디클로로-3-메틸페녹시)프로피온산 클로라이드0.8g(3.0mmol)의 테르라히드로푸란 5㎖용액을, 1-아미노-1-디플루오로메틸-2-메틸부티로니트릴 0.49(3.3mmol), 디메틸아미노피리딘 0.4g(3.3mmo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20㎖용액에 0℃에서 적가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이것에 디에틸에테르 50㎖를 가하고 묽은 염산, 중조수, 물 등으로 서첵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유거한 후 컬럼 클로마트그리피로 정제하여 2-(2,4-디클로로-3-메틸페녹시)-N-(1-시아노-1-디플루오로메틸-2-메틸프로필) 프로피온아미드0.84g(2.2mmol)를 얻었다.
제조예 7
2-(2-시아노-4-클롤페녹시)-N-메톡시카르보닐-디플루오르메틸-2-메틸프로필)프로피온아미드(화합물번호 320)의 제조
(ⅰ)2,4-시아노-4-클로로페놀 1.53(10.0mmol), 2-클로로프로피온산메틸 1.25g(10.2mmol)과 탄산칼륨 1.7g(10.2mmol)의 디메틸포름아니드 50㎖ 용액을 8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반응액을 빙수 속에 부어 넣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하여, 무수황산 미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유거하였다. 얻어진 유상물을 에탄올 40㎖-물 40㎖ 용액에 녹이고,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0㎖을 실온에서 적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저은 후 10% 염산으로 산성으로 만들었다. 석출되어 나온 결정을 여과하고 2-(2-시아노클로로페녹시)프로피온산 1.8g을 얻었다.
상기 화합물의 염화티오닐 20㎖ 용액을 2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여분의 염화티오닐을 치우고 2-(2-시아노-4-클로로페녹시)프로피온산클로라이드1.9g(7.8mmol)을 얻었다.
(ⅱ)2-(2-시아노-4-클로로페녹시) 프로피온산 클로라이드0.81g(3.0mmol)의 테트라 히드로푸란 5ml용액을, 1-아미노-1-디플루오로메틸-2-메틸낙산메틸 0.49g(3.3mmol), 디메틸아미노피리딘 0.4g(3.3mmol)의 테트리히드로푸란 20㎖ 용액에 0℃로 떨어뜨린 후 실온으로 1시간동안 저었다. 반응이 끝난 후 이것에 디에틸에테르 50m을 가하고 묽은 염산, 중조수, 물로 씻어, 무수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유거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2-(2-시아노-4-클로로페녹시)-N-(1-메톡시카르보닐-1-디플루오메틸-2-메틸프로필) 프로피온아미드 0.81g(2.2mmol)을 얻었다.
상기한 제조예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화합물의1H-NMR의 피크값을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제조예 8
(R)-(2,4-디클로드-3-메틸페녹시)-N-(R,S)-(1-메톡시카르보닐-디플루오로메틸-2-메틸프로필)프로피온아미드(화합물번호 316의 광학이성체)의 제조
(ⅰ) 2,4,-디클로로-3-메틸페놀 1.8g(10.2mmol), (S)-2-클로로프로피온산메틸 1.25g(10.2mmol)와 탄산칼륨 1.7g(10.2mmol)의 디메틸설폭시드 50㎖ 용액을 실온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반응액을 빙수에 넣어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유거하였다. 얻어진 유상물을 초산 9㎖-농염산 3㎖ 용액에 녹여 5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빙수에 넣고, 석출되어 나온 결점을 여과하여, (R)-2-(2,4-디클로로-3-메틸페녹시) 프로피온산 1.78g을 얻었다.
[a]D 22=+6.0°(1%/클로로포름)
이 화합물의 염화티오닐 20㎖ 용액을 1시간 가열 환류시켰다. 여분의 염화 티오닐을 유거하고, (R)-2-(2,4-디클로로-3-메틸페녹시) 프로피온산 클로라이드 1.84(6.9mmol)을 얻었다.
(ⅱ)(R)-2-(2,4-디클로로-3-메틸페녹시) 프로피온산 클로라이드 0.8g(3.0mmol)의 디에틸에테르 5㎖용액을 1-아미노-1-디플루오로메틸-2-메틸부티르산 메틸 0.55g(3.0mmol)의 물 3㎖-디에틸에테르 3㎖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디에틸에테르층을 묽은 염산, 중조수, 물로 씻은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유거한 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R)-2-(2,4-디클로로-3-메틸페녹시)-N-(R,S)-(1-메콕시카르보닐-1-디플루오로메틸-2-메틸프로필) 프로피온아미드 1.01g(2.5mmol)을 얻었다.
[a]D 22=-34.7°(1%/ 클로로포름)
[Ⅲ] 살균제의 제조예 및 그 평가
다음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한 제제예의 몇가지 태양을 나타내었다. 다음 제제증의 「부」는 중량 기준이다.
제제예 1(유제)
화합물번호 : 6710부
크실렌45부
도데실벤젠설폰산칼슘 7부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테르13부
디메틸포름아미드25부
이상을 균일하게 혼합 용해하여 유제 100부를 얻었다.
제제예 2(수화제)
화합물번호 : 7220부
규조토70부
리그닌설폰산칼슘 5부
나프탈린설폰산포르말린축합물 5부
이상을 혼합 분쇄하여 수화제 100부를 얻었다.
제제예 3(입제)
화합물번호 : 86 5부
벤토나이트50부
탈크42부
리그닌설폰산 소다 2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1부
이상을 충분히 혼합한 후 적량의 물을 가하여 혼연하고 압출 조립기를 이용하여 입자를 제조하여 입제 100부를 얻었다.
제제예 4(분제)
화합물번호 : 11630부
셀포호박산디-2-에틸헥실에스테르나트륨 2부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3부
소포제 1부
프로필렌글리콜 5부
물59부
이상을 습식 볼밀로 고르게 분쇄혼합하여 분제 100부를 얻었다.
상기한 조제예에 준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이용한 살균제를 조제할 수 있다.
다음 시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 살균제에 의한 각종 식물병의 예방 및 방제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시험예
(벼병에 대한 방제시험)
논벼(품존 : 고시히까리)를 직경 7㎝의 플라스틱 컵에 7알씩 파종하여 온실내에서 3주간 길렀다. 제제예 1에 따라 유제화인 시약제를 소정농도가 되게끔 물로 희석하여 벼의 잎에 흠뻑 묻게 살포했다. 살표 하루 뒤 벼 도열병균의 포자현탁액을 접종하여 또 25℃의 습기있는 방에 하루 둔 후 온실내에서 발병시켰다. 접종 7일 후, 한 잎에 대하여 평균 병반수를 조사하여 아래의 계산식에 따라 방제가(防除價)를 산출했다.
그 결과를 표로 나타낸다.
[표 5]
a : 전기한 일반식(1-a)에서 *1이 R, *2가 R,S인 화합물
본 발명의 상기한 일반식(1)로 표시되는 페녹시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는 문헌에 아직 실리지 않은 화합물이다.
이 페녹시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는 그 골격내에 염소로 치환된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아미노부분을 갖는 것이 특징이며 그 구조 특징에 의하여, 이 페녹시 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살균제가 갖는 뛰어난 특성이 발휘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살균제는 논의 벼농사에서 발생하는 벼 도열병에 대하여 경업(줄기와 잎) 처리 및 수면 살포에 있어 뛰어난 방제효과를 보이며 벼에는 전혀 약해를 보이지 않는다.

Claims (2)

  1. 다음 일반식(1)로 표시되는 페녹시카르복실만 아미드 유도체.
    [상기 식중, X는 할로겐 원자, 저급 알킬기, 저급 할로알킬기,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를 나타내며, n은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R1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를 나타내며, R2는 저급 알킬기, 저급 알케닐기, 벤질기, 시클로알킬기, 저급 할로알킬기, 또는 저급 할로알케닐기를 나타내고, R3은 저급 할로알킬기 또는 저급 할로알케닐기를 나타내며, 및 Y는 시아노기, -CONH2, 또는 -CO2R4(단, R4는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케닐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
  2. 아래 일반식(1)로 표시되는 페녹시카르복실산 아미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농업용 살균제.
    [상기 식중, X는 할로겐 원자, 저급 알킬기, 저급 할로알킬기,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를 나타내며, n은 0~5의 정수를 타나내고, R1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를 나타내며, R2는 저급 알킬기, 저급 알케닐기, 벤질기, 시클로알킬기, 저급 할로알킬기, 또는 저급 할로알케닐기를 나타내고, R3은 저급 할로알킬기 또는 할로알케닐기를 나타내며, 및 Y는 시아노기, -CONH2또는 -CO2R4(단, R4는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케닐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
KR1019930019053A 1992-10-09 1993-09-20 페녹시카르복실산 아미드 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농업용 살균제 KR0135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197992 1992-10-09
JP92-271979 1992-10-09
JP30115492 1992-11-11
JP92-301154 1992-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5496B1 true KR0135496B1 (ko) 1998-04-23

Family

ID=2654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9053A KR0135496B1 (ko) 1992-10-09 1993-09-20 페녹시카르복실산 아미드 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농업용 살균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0135496B1 (ko)
CN (1) CN1085207A (ko)
TW (1) TW243403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43403B (ko) 1995-03-21
CN1085207A (zh) 1994-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0176A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growth of plants
JPS61126071A (ja) 農園芸用殺菌剤
JPH069313A (ja) イソチアゾールカルボン酸アニリド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イネいもち病防除剤
SI9300351A (sl) Fungicidni fenilbenzamidi in postopki za njihovo pripravo
US4094985A (en) Fungicidal isothiazoles
KR0135496B1 (ko) 페녹시카르복실산 아미드 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농업용 살균제
JPH08217763A (ja) トリアジン誘導体
US4596801A (en) 4H-3,1-benzoxazine derivatives,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fungicide containing the same
JPH0768220B2 (ja) 新規ピラゾ−ル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らを含有する農園芸用殺菌剤
JPS63166808A (ja) 2−ニトロ−5−(置換フエノキシ)ベンゾヒドロキシム酸誘導体系除草剤
JPH06199755A (ja) フェノキシカルボン酸アミド誘導体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農業用殺菌剤、並びにその合成中間体
JPS63275566A (ja) N−(2−クロロイソニコチノイル)アミノ酸誘導体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農園芸用殺菌剤
JPS5815965A (ja) ベンゾイソチアゾ−ル誘導体並びにその塩酸塩、その製法、及び農業用殺菌剤
JPH06306050A (ja) 置換ピリジルオキシカルボン酸アミド誘導体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農業用殺菌剤
EP1122238A1 (en) Methyl acetate derivatives and pesticide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s the active ingredient
KR790001458B1 (ko) 2-요오드벤즈아닐리드의 제조법
JPH08277276A (ja) イソチアゾールカルボン酸誘導体およびこれらを有効成分とするイネいもち病防除剤
JPS6129336B2 (ko)
JPH05294914A (ja) トリハロゲン置換フェノキシカルボン酸アミド誘導体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農業用殺菌剤
JPH0346469B2 (ko)
JPS60228451A (ja) ジフエニルエ−テル誘導体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有害生物防除剤
JPH0776202B2 (ja) アシルアミノブテニルニトリル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らを含有する除草剤および農園芸用殺菌剤
JPS62103067A (ja) ピラゾ−ル誘導体、それらの製造法およびそれらを含有する除草剤および農園芸用殺菌剤
JPS627907B2 (ko)
JPH05194344A (ja) 置換フェノキシカルボン酸アミド誘導体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農業用殺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