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271Y1 - 컵 홀더 - Google Patents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271Y1
KR0135271Y1 KR2019940010836U KR19940010836U KR0135271Y1 KR 0135271 Y1 KR0135271 Y1 KR 0135271Y1 KR 2019940010836 U KR2019940010836 U KR 2019940010836U KR 19940010836 U KR19940010836 U KR 19940010836U KR 0135271 Y1 KR0135271 Y1 KR 0135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main body
cover
holder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08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812U (ko
Inventor
김재관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108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271Y1/ko
Publication of KR9500328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8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2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콘솔에 부착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홀더의 하부에 석숀 컵(suction cups)을 형성하여 컵의 둘레와 하부의 받침상태를 안정되게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컵 홀더의 본체 저면에 석숀 컵을 형성하여 컵의 밑면이 진공상태로 고정되게 하고,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커버에 토션스프링을 형성하고 토션스프링에 의해 커버가 항상 닫힘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며, 본체와 커버에 형성된 컵파지부의 둘레에 고무편을 부착하여 컵의 수납시 컵파지부와 석숀 컵에 의해 컵의 밑면과 둘레부를 동시에 고정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컵 홀더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제3도는 제2도를 위에서 본 사용상태도.
본 고안은 자동차의 콘솔에 부착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홀더의 하부에 석숀 컵(suction cups)을 형성하여 컵의 둘레와 하부의 받침상태를 안정되게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에 적용되는 컵 홀더는 홀더내에 컵을 넣어두는 일반적인 형태의 것과, 홀더의 양측이 가변되어 컵의 크기에 관계없이 잡아주는 컵 홀더 등이 제안된 것인 바 있다. 그러나 컵의 밑면을 완벽히 고정시켜주는 컵 홀더는 아직 제안된 바 없다. 컵의 밑면을 확실히 고정시켜준다면 컵의 둘레를 잡아주지 않는다 하더라도 컵을 안전하게 고정되어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 컵의 둘레를 동시에 지지되게 하는 컵 홀더를 제안하여 컵 홀더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컵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컵 홀더의 본체 저면에 석숀 컵을 형성하여 컵의 밑면이 진공상태로 고정되게 하고,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커버에 토션스프링을 형성하고 토션스프링에 의해 커버가 항상 닫힘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며, 본체와 커버에 형성된 컵파지부의 둘레에 고무편을 부착하여 컵의 수납시 컵파지부와 석숀 컵에 의해 컵의 밑면과 둘레부를 동시에 고정되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며, 제3도는 제2도를 위에서 본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솔 케이스(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컵 홀더(12)의 본체(14) 저면에 석숀 컵(16)을 형성하여 컵(18)의 밑면이 진공상태로 고정되게 하고, 본체(14)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핀(20)으로 연결된 커버(22)에 토션스프링(24)을 형성하고 토션스프링(24)에 의해 커버(22)가 닫힘방향으로 작용되게 하며, 본체(14)와 커버(22)에 형성된 컵파지부(26)(28)의 둘레에 고무편(30)(32)을 각각 부착하고 본체(14)의 일측에 형성된 버튼(34)에 의해 커버(22)가 록킹되게 구성하여 컵(18)의 수납시 컵파지부(26)(28)와 석숀 컵(16)에 의해 컵(18)의 밑면과 둘레부를 동시에 고정되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커버(22)가 토션스프링(24)의 작용에 의해 본체(14)의 컵파지부(26)에 위치되어 컵 홀더(12)를 콘솔케이스(10)에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컵(18)을 사용하려면 컵 홀더(12)를 콘솔케이스(10)에서 꺼내어 커버(22)를 열고 컵(18)을 본체(14) 저면에 올려놓되, 컵(18)을 약간 누르면서 올려놓아 컵(18)의 밑면이 석숀 컵(16)에 눌려 진공상태가 되게 고정시킨다. 이같은 상태에서 컵(18)의 둘레는 컵파지부(26)(28)의 의해 함께 고정된다. 따라서 컵(18)은 컵 홀더(12)에서 양호한 상태로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컵 홀더에 의하면 컵의 고정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컵을 확실히 고정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콘솔 케이스(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컵 홀더(12)의 본체(14) 저면에 석숀 컵(16)을 형성하여 컵(18)의 밑면이 진공상태로 고정되게 하고, 본체(14)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핀(20)으로 연결된 커버(22)에 토션스프링(24)을 형성하고 토션스프링(24)에 의해 커버(22)가 항상 닫힘방향으로 작용되게 하며, 본체(14)와 커버(22)에 형성된 컵파지부(26)(28)의 둘레에 고무편(30)(32)을 각각 부착하고 본체(14)의 일측에 형성된 버튼(34)에 의해 커버(22)가 록킹되게 구성하여 컵(18)의 수납시 컵파지부(26)(28)와 석숀 컵(16)에 의해 컵(18)의 밑면과 둘레부를 동시에 고정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KR2019940010836U 1994-05-16 1994-05-16 컵 홀더 KR0135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836U KR0135271Y1 (ko) 1994-05-16 1994-05-16 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836U KR0135271Y1 (ko) 1994-05-16 1994-05-16 컵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812U KR950032812U (ko) 1995-12-16
KR0135271Y1 true KR0135271Y1 (ko) 1999-01-15

Family

ID=1938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0836U KR0135271Y1 (ko) 1994-05-16 1994-05-16 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2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812U (ko) 199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5575A (en) Eyeglass holder
US4299341A (en) Bicycle carrier rack for automobiles
US20030132234A1 (en) Lid opening device
US6092776A (en) Multi-purpose holder, having a recess with an open circular upper end, a rectangular middle portion and a funnel shaped cavity lower end
KR0135271Y1 (ko) 컵 홀더
USD338556S (en) Automotive cup holder
JPH0221106B2 (ko)
USD366356S (en) Automobile accessory
KR0143110B1 (ko) 자동차의 컵홀더구조
USD328973S (en) Car console
CN219619009U (zh) 座椅储物盒及车辆
KR0131405B1 (ko) 트레이 겸용 컵 홀더
KR0138516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암레스트 결합구조
KR100431983B1 (ko) 차량의 컵홀더장치
JP2588452Y2 (ja) シートベルト装着用の小物入れ
KR0113794Y1 (ko) 수납식 드링크홀더
KR0132163Y1 (ko) 받침대가 부설된 차량용 암 레스트
KR200206472Y1 (ko) 글로브박스의 물품 유동방지 장치
KR200146752Y1 (ko) 도어 아암 레스트 내장형 컵 호울더
KR100203041B1 (ko) 자동차용 동전수납함
KR100228126B1 (ko) 시트 벨트 버클 포켓 구조
JPS5843259Y2 (ja) 把手装置
KR880002596Y1 (ko) 오토바이용 뒷발판
JPS6012422Y2 (ja) ショルダ−バッグ等のバンドのすべり止具
KR200212349Y1 (ko) 절첩식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