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253Y1 - 흡수식 냉동기의 증발기와 흡수기의 엘리미네이트 - Google Patents

흡수식 냉동기의 증발기와 흡수기의 엘리미네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253Y1
KR0135253Y1 KR2019960014264U KR19960014264U KR0135253Y1 KR 0135253 Y1 KR0135253 Y1 KR 0135253Y1 KR 2019960014264 U KR2019960014264 U KR 2019960014264U KR 19960014264 U KR19960014264 U KR 19960014264U KR 0135253 Y1 KR0135253 Y1 KR 0135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r
evaporator
fixing plate
side fixing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4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441U (ko
Inventor
신기부
김현기
Original Assignee
유상부
삼성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부, 삼성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상부
Priority to KR2019960014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253Y1/ko
Publication of KR9700634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4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2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7/00Absorbers; Ad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6Evaporators specially adapted for sorption ty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증기통과구멍(19)을 형성하며 상기 증기통과구멍의 상단에 빗살모양의 증기가이드 날개(20)를 형성한 증발기측 고정판(17)과, 상기 증발기측 고정판(17)파 같은 구조의 흡수기측 고정판(18)으로 구성된 흡수식 냉동기의 증발기와 흡수기의 엘리미네미트로서,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냉매증기의 통과저항을 줄이므로 흡수냉동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엘리미네이트의 구성 부품수를 대폭 줄이고 기존의 용접에 의한 가공을 금형에 의해 가공하므로 가공시간이 대폭 줄어 들어 기존의 엘리미네이트에 비해 원가를 절반 정도로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흡수식 냉동기의 증발기와 흡수기의 엘리미네이트
제1도는 흡수식냉동기의 흡수기와 증발기의 배치구조도.
제2도는 종래의 엘리미네이트의 구조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미네이트의 구조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미네이트의 측단면도.
제5도는 제4도 A부분의 상세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증기가이드 날개의 각도에 대한 증기통과속도를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흡수기 3 : 증발기
4 : 엘리미네이터 5 : 흡수기내 전열관
6 : 증발기내 전열관 13 : 수직 가이드
14 : 수평 가이드 15 : 수직 가이드 고정판
16 : 수평 가이드 고정판 19 : 증기통과 구멍
20 : 증발기측 증기 가이드 날개 21 : 흡수기측 증기 가이드 날개
본 고안은 냉난방 열원기기로 이용되고 있는 흡수식 냉동기의 증발기와 흡수기의 엘리미네이트에 관한 것이며, 흡수식 냉동기, 흡수식 냉온수기, 흡수식 히트펌프, 및 흡수식 응용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흡수식 냉동기는 흡수기와 증발기, 응축기, 저온재생기, 고온 재생기, 및 이들을 연결하는 펌프와 열교환기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에서와 같이 흡수식 냉동기의 흡수기와 증발기는 서로 접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흡수기와 증발기는 그 사이에 엘리미네이트가 설치되어 서로 통하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은 통상의 흡수식 냉동기의 작동원리를 제1도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증발기(3)내의 압력은 진공상태이며 전열관군(6)의 관내에는 물이 흐르고, 관외에는 냉매로서 증류수가 산포되어 냉매는 증발하고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하여 관내의 물을 냉각하여 냉수를 만들어 공기조화기등으로 공급한다. 증발기(3)에서 증발한 냉매증기는 흡수기(2)로 유입되며, 흡수기(2)내의 전열관군(5)의 관외면에 산포된 흡수기에 흡수되며, 흡수기내 전열관(5)의 관내에는 냉각수가 공급되어 흡수기(2)내에서의 흡수열이 제거된다. 흡수기에서 냉매증기를 흡수한 흡수기는 농도가 저하하여 흡수력이 약해져 희용액이 되어, 열교환기를 거쳐 예열되어 고온재생기 및 저온재생기로 보내져 가열농축된다.
증발기(3)와 흡수기(2)는 엘리미네이트(4)에 의해 분리되며 엘리미네이트의 역할은 흡수냉동기에서 매우 중요하다. 증발기(3)에서 증발한 냉매증기는 유동저항을 적게하여 흡수기(4)로 이송하여야 하는데 냉매증기의 이송이 원활하지 못하면 증발기(3)의 압력이 상승하여 증발잠열의 감소로 냉수온도차가 적어져 흡수냉동기의 성능이 저하된다.
흡수기(2)에서는 흡수용기가 냉매증기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흡수용액을 분사시키는데 이 때 분사된 용액이 증발기(3)로 침입하면 냉매가 오염되어 증발능력이 급격하게 감소된다.
따라서 엘리미네이트(4)는 냉매증기의 이동이 용이하고 흡수용액이 증발기로 침입하지 못하는 구조이어야 한다.
제2도는 종래의 엘리미네이트(4)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다수의 수직가이드(13)와 수평가이드(14)를 여러개의 수직가이드 고정판(15)과 수평가이드 고정판(16)으로 용접한 구조이다. 수직가이드(13)는 S자 형상을 한 것으로 수직가이드(13)를 고정하기 위해 여러개의 수직가이드 고정판(15)을 수직가이드와 용접으로 고정한 구조이다.
수평가이드(14)는 빗살모양을 한 것으로 수평가이드(14)를 고정하기 위해 양쪽에 수평가이드 고정판(16)을 용접한 후 수직가이드 고정판(15)에 다시 용접한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의 엘리미네이트(4)의 구조는 흡수용액이 증발기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역점을 둔 것으로 냉매증기가 수직가이드(13)와 수평가이드(14)를 교차하므로 냉매증기의 이송이 원활하지 못하다. 또한, 수직가이드(13)와 수평가이드(14)를 여러개의 가이드 고정판으로 용접하므로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제작원가가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미네이트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증발기에서 증발한 냉매증기의 유동저항을 적게하여 냉매증기의 이송이 용이하면서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공정이 대폭 줄어든 엘리미네이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빗살모양의 증기가이드 날개가 다수 형성된 증발기측 고정판과 흡수기측 고정판으로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엘리미네이트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바,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엘리미네이트는 제3도에서와 같이 증발기측 고정판(17)과 흡수기측 고정판(18)을 연결한 구조를 취하되, 증발기측 고정판(17)과 흡수기측 고정판(18)에는 모두 수평방향으로 빗살모양의 증기가이드 날개(20, 21)가 다수의 증기통과구멍(19, 19')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증발기측 고정판(17)과 흡수기측 고정판(18)은 모두 금속판을 금형에 의해 루버링 가공한 것으로 가공공정은 1회 가공만 하면 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미네이트에서의 증기의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 제3도 내지 제4도를 통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증발기(3)에서 증발한 냉매증기는 증발기측 고정판(17)의 증기통과구멍(19)을 통과하여 증발기측 증기가이드 날개(20)에 의해 유도되며 흡수기측 고정판(18)의 증기통과구멍(19')을 통해 흡수기측 증기가이드 날개(21)에 의해 유도되어 흡수기(2)로 이송된다.
한편 흡수기(2)에서 분사된 흡수용액은 냉매증기를 흡수하는 작용을 하며 흡수용액이 증발기(3)로 침입하면 치명적인 성능 저하를 초래하므로 흡수용액이 증발기로 침입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흡수기측 고정판(18)에 증기 가이드 날개(21)를 부착한 것이고, 증발기측 고정판(15)에도 역시 증기 가이드 날개(20)를 부착하여 흡수용액의 증발기로의 침입을 완전히 방지하도록 하였다.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미네이트의 상세치수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증기가이드 날개의 각도를 θ로 할 때 증발기측 증기가이드 날개(17)와 흡수기측 증기가이드 날개(18)의 날개의 각도는 동일하며, 증기통과구멍의 폭을 h로 할 때 증발기측 고정판(17)과 흡수기측 고정판(18) 사이의 거리(d)는 2htanθ이상을 유지하도록 하여 냉매증기의 원활한 이동을 돕도록 하였다.
제6도는 본 고안의 증기가이드 날개의 각도변화에 대한 증기통과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서, 증기가이드 날개와 각도가 클 수록 증기통과속도가 커짐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미네이트는 수평방향으로 루버링 가공에 의한 증기가이드 날개를 가진 증발기측 고정판과 흡수기측 고정판을 연결한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냉매증기의 통과저항을 줄이므로 흡수냉동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엘리미네이트의 구성 부품수를 대폭 줄이고 기존의 용접에 의한 가공을 금형에 의해 가공하므로 가공시간이 대폭 줄어들어 기존의 엘리미네이트에 비해 원가를 절반 정도로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증기통과구멍(19)을 형성하며 상기 증기통과구멍의 상단에 빗살모양의 증기가이드 날개(20)를 형성한 증발기측 고정판(17)과, 상기 증발기측 고정판(17)과 같은 구조의 흡수기측 고정판(1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증발기와 흡수기의 엘리미네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증발기측 증기가이드 날개(20)와 흡수기측 증기가이드 날개(21)의 경사각도(θ)는 동일하며, 증기통과구멍의 폭을 h로 할 때 증발기측 고정판(17)과 흡수기측 고정판(18)사이의 거리(d)는 2htanθ이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증발기와 흡수기의 엘리미네이트.
KR2019960014264U 1996-05-31 1996-05-31 흡수식 냉동기의 증발기와 흡수기의 엘리미네이트 KR01352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4264U KR0135253Y1 (ko) 1996-05-31 1996-05-31 흡수식 냉동기의 증발기와 흡수기의 엘리미네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4264U KR0135253Y1 (ko) 1996-05-31 1996-05-31 흡수식 냉동기의 증발기와 흡수기의 엘리미네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441U KR970063441U (ko) 1997-12-11
KR0135253Y1 true KR0135253Y1 (ko) 1999-05-15

Family

ID=1945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4264U KR0135253Y1 (ko) 1996-05-31 1996-05-31 흡수식 냉동기의 증발기와 흡수기의 엘리미네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2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441U (ko)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8160A (ko) 공냉흡수식 냉난방시스템
KR0135253Y1 (ko) 흡수식 냉동기의 증발기와 흡수기의 엘리미네이트
KR930005664B1 (ko) 흡수식 냉동기
EP0354749A3 (en) Air-cooled absorption air-conditioner
KR200142837Y1 (ko) 흡수식 냉동기의 증발기와 흡수기의 엘리미네이트
JP3935610B2 (ja) 熱交換器及び吸収冷凍機
JP3091071B2 (ja) 熱交換器及び吸収冷暖房機
JPH0349035B2 (ko)
JPH11132683A (ja) 吸収冷温水機
JP2779565B2 (ja) 吸収式冷凍機
KR200251512Y1 (ko) 흡수냉동기
KR0136652Y1 (ko) 공냉흡수식 냉난방기
KR0139349Y1 (ko) 흡수식 냉난방기용 증발기의 증발수 순환장치
KR100518619B1 (ko) 증발기
JP2000111291A (ja) 伝熱管
JP3475003B2 (ja) 吸収式冷凍機のためのプレート型蒸発器
KR200239647Y1 (ko) 흡수식냉온수기
KR200143517Y1 (ko) 흡수식 냉난방기의 흡수 및 증발기
KR100304807B1 (ko) 흡수식냉난방시스템
KR0130652Y1 (ko) 열파이프를 이용한 소형 흡수식 냉 난방기
JP2001041608A (ja) 吸収冷凍機の蒸発器及び吸収器
JPH058424Y2 (ko)
KR950013332B1 (ko) 직접 열회수 흡수식 냉동시스템
KR200229523Y1 (ko) 이중효용 흡수식 냉온수기의 흡수용액 유도장치
KR100608410B1 (ko)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