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652Y1 - 공냉흡수식 냉난방기 - Google Patents

공냉흡수식 냉난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652Y1
KR0136652Y1 KR2019930029047U KR930029047U KR0136652Y1 KR 0136652 Y1 KR0136652 Y1 KR 0136652Y1 KR 2019930029047 U KR2019930029047 U KR 2019930029047U KR 930029047 U KR930029047 U KR 930029047U KR 0136652 Y1 KR0136652 Y1 KR 01366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r
air
heat
generated
temperature re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90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148U (ko
Inventor
오창석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20199300290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652Y1/ko
Publication of KR9500201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1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6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6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7/00Absorbers; Ad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being formed of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1Geometry problems, e.g. for reducing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40/00Spac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냉흡수식 냉난방기에 관한 것으로, 농용액이 증기를 흡수하기 위한 적정길이(L)를 유지해야 하는데 이 길이를 확보하지 못하면 농용액이 증기를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열교환효율이 저하되며, 또한 흡수기의 상부에서 열이 많이 발생되므로 흡수기에 핀을 등간격으로 설치하게 되면 하부에 설치되는 핀은 상부에 설치되는 핀에 비해 방출되는 열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방열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커다란 제약으로 작용되는 것이었는 바, 흡수기에 설치되는 핀을 열이 많이 발생되는 부분에서는 조밀하게 배치하고 열이 적게 발생되는 부분에서는 넓은 간격으로 배치하여 구성함으로써 가장 열이 많이 발생되는 부분에서의 방열을 효과적으로 실현하여 흡수기의 성능을 향상하도록 하였으며, 흡수기의 수직흡수관의 길이도 단축할 수 있어 공냉흡수식 냉난방기의 소형화가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냉흡수식 냉난방기
제1도는 일반적인 공냉흡수식 냉난방기의 구성도.
제2도는 종래 공냉흡수식 냉난방기의 흡수기의 구조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공냉흡수식 냉난방기의 흡수기의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핀 22 : 분사노즐부
23 : 증기유로 24 : 수직전열관
본 고안은 공냉흡수식 냉난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수열이 가장 많이 발생되는 상부에서 효과적인 방열을 실시하도록 하여 흡수기의 성능이 향상되고, 흡수기의 수직 흡수관의 길이가 단축되어 전체 냉난방기의 크기를 소형화하도록 한 공냉흡수식 냉난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냉흡수식 냉난방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1)와, 공냉응축기(2), 공냉흡수기(3)와, 저온재생기(4)와, 고온재상기(5)와, 용액열교환기(6)와, 용액펌프(7)와, 냉매 펌프(8) 및 이들을 연결하는 배관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공냉흡수식 냉난방기는 응축기(2)에서 응축된 냉매가 증발기(1)에서 진공압력에 의해 증발되고, 냉매증기는 증기유로를 따라 공냉흡수기(3)에 들어가 증기가 헙수되어 희용액으로 되며, 이 희용액은 용액열교환기(6)을 거치면서 일부는 저온재생기(4)로 들어가고 나머지는 고온재생기(5)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고온재생기(5)에 들어온 희용액은 흡수가 가능한 농용액으로 재생되고, 상기저온재생기(4)의 희용액은 증기에 의해 가열되어 중간농용액으로 변하게 되어 상기 두 종류의 농용액이 흡수기(3)로 유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냉흡수기는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용액이 증기를 흡수하기 위한 적정 길이(L)을유지해야 하는데 이 길이를 확보하지 못하면 농용액이 증기를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열교환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흡수기의 상부에서 열이 많이 발생되므로 흡수기에 핀(11)을 등간격으로 설치하게 되면, 하부에 설치되는 핀(11)은 상부에 설치된 핀(11)에 비해 방출되는 열이 상대적으로 작게 되어 방열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커다란 제약으로 작용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는 분사노즐부, 13은 수직전열관, 14는 희용액저장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흡수열이 가장 많이 발생되는 상부에서 효과적인 방열을 실시하도록 하여 흡수기의 성능이 향상되고, 흡수기의 수직 흡수관의 길이가 단축되어 전체 냉난방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공냉흡수식 냉난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증발기에서 증발되고 이 냉매증기가 공냉흡수기에서 흡수되어 희용액으로 되며 이 희용액이 용액열교환기를 거치면서 일부는 저온재생기로, 나머지는 고온재생기로 들어가고 고온재생기에서는 희용액을 흡수 가능한 농용액으로, 저온재생기에서는 희용액을 증기에 의해 가열하여 중간농용액으로 재생하여 이들 두 종류의 농용액이 흡수기로 유입되도록 한 농냉흡수식 냉난방기에 있어서, 상기 흡수기의 수직전열관에 설치되는 핀을 열이 많이 발생되는 부분에서는 조밀하게 배치하고 열이 적게 발생되는 부분에서는 넓은 간격으로 배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흡수식 냉난방기가 제공된다.
상기 핀의 간격은 흡수기의 상측에서 조밀하게 하고 하측에서 갈수록 점차 넓게 배치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한 공냉흡수식 냉난방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공냉흡수식 냉난방기의 흡수기의 구조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냉흡수식 냉난방기는 흡수기(20)의 수직전열관(24)에 설치되는 핀(21)을 부등간격으로 배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즉, 흡수기(20)중 열이 많이 발생되는 부분에는 핀(21)을조밀하게 배치하고 열이 적게 발생되는 부분에는 핀(21)을 넓은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실제로는, 흡수기(20)의 상측에서 열이 많이 발생되고 하측에서는 열이 적게 발생되므로 상측에는 핀(21)을 조밀하게 배치하고 하측에는 핀(21)을 넓은 간격으로 배치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공냉흡수식 냉난방기는 흡수기(20)를 제외한 증발기, 응축기, 저온재생기, 고온재생기, 용액열교환기, 용액펌프, 냉매펌프 및 이들을 연결하는 배관 등의 구성은 종래 기술과 동일한 것이므로 도시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공냉흡수식 냉난방기에서 공냉흡수기는 농용액이 분사노즐(22)에서 분사되어 증기유로(23)에 있는 냉매증기를 흡수하면서 하부로 흘러내려가게 되고, 이 때 흡수기(20)의 상부에서 냉내증기를 흡수하는 순간에 흡수열이 발생되는데 본 고안은 상부측의 핀(21)이 하부측보다 조밀하게 설치되어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방열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등간격으로 핀이 설치된 흡수기보다 열이 많이 발생되는 상부에 핀을 조밀하게 형성함으로써 흡수기의 수직전열관(24)의 길이(L')를 단축시킬 수 있고, 방열효과도 향상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5는 희용액 저장소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냉흡수식 냉난방기는 흡수기의 구조상 흡수열이 가장 많이 발생되는 상부측에서의 방열을 효과적으로 실현하여 흡수기의 성능을 향상하도록 하였으며, 흡수기의 수직흡수관의 길이도 단축할 수 있어 공냉흡수식 냉난방기의 소형화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Claims (2)

  1.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증발기에서 증발되고 이 냉매증기가 공냉흡수기에서 흡수되어 희용액으로 되며 이 희용액이 용액열교환기를 거치면서 일부는 저온재생기로, 나머지는 고온 재생기로 들어가고 고온재생기에서는 희용액을 흡수 가능한 농용액으로, 저온재생기에서는 희용액을 증기에 의해 가열하여 중간농용액으로 재생하여 이들 두 종류의 농용액이 흡수기로 유입되도록 한 공냉흡수식 냉난방기에 있어서, 상기 흡수기의 수직전열관에 설치되는 핀을 열이 많이 발생되는 부분에서는 조밀하게 배치하고 열이 적게 발생되는 부분에서는 넓은 간격으로 배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흡수식 냉난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간격은 흡수기의 상측에서 조밀하게 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게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흡수식 냉반방기.
KR2019930029047U 1993-12-22 1993-12-22 공냉흡수식 냉난방기 KR01366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047U KR0136652Y1 (ko) 1993-12-22 1993-12-22 공냉흡수식 냉난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047U KR0136652Y1 (ko) 1993-12-22 1993-12-22 공냉흡수식 냉난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148U KR950020148U (ko) 1995-07-26
KR0136652Y1 true KR0136652Y1 (ko) 1999-03-20

Family

ID=19372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9047U KR0136652Y1 (ko) 1993-12-22 1993-12-22 공냉흡수식 냉난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6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148U (ko) 199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63515A (ja) 吸収冷凍機用蒸発・吸収ユニット
KR0136652Y1 (ko) 공냉흡수식 냉난방기
JPS6135902Y2 (ko)
KR890004392B1 (ko) 공냉 흡수식 냉수기
JP2627381B2 (ja) 吸収式冷凍機
JP3283621B2 (ja) 低温再生器と排熱回収用低温再生器とを併用した吸収冷凍機・冷温水機
US5293759A (en) Direct heat recovery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
JP2877420B2 (ja) 吸収冷凍機
KR200143517Y1 (ko) 흡수식 냉난방기의 흡수 및 증발기
JP2511224Y2 (ja) 蒸発冷却型吸収冷温水機の冷却用伝熱管
JP3141728B2 (ja) 吸収式ヒートポンプの冷媒ユニット及び室外機
JPH058424Y2 (ko)
KR200251512Y1 (ko) 흡수냉동기
KR0184215B1 (ko) 흡수식사이클의 직접접촉흡수기
JPS5922441Y2 (ja) 熱交換器
KR0160866B1 (ko) 흡수 냉동기의 일리미네이터
JP2520946B2 (ja) 空冷吸収式冷凍機
JP2806189B2 (ja) 吸収式冷凍機
KR0139349Y1 (ko) 흡수식 냉난방기용 증발기의 증발수 순환장치
JP2517420B2 (ja) 吸収冷凍機
KR100234062B1 (ko) 암모니아흡수식 사이클
KR200142837Y1 (ko) 흡수식 냉동기의 증발기와 흡수기의 엘리미네이트
JPH047495Y2 (ko)
JP3277349B2 (ja) 吸収冷凍機用蒸発吸収器
KR20040095666A (ko) 흡수식 냉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