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824Y1 - 누전 차단기 - Google Patents

누전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824Y1
KR0134824Y1 KR2019960003198U KR19960003198U KR0134824Y1 KR 0134824 Y1 KR0134824 Y1 KR 0134824Y1 KR 2019960003198 U KR2019960003198 U KR 2019960003198U KR 19960003198 U KR19960003198 U KR 19960003198U KR 0134824 Y1 KR0134824 Y1 KR 0134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ransformer
trip rod
opening
leakage
magnetic fl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31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2759U (ko
Inventor
손진우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600031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824Y1/ko
Publication of KR9700527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27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8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전 차단기에 설치되는 영상 변류기의 유도 자기력을 직접 개폐 기구부의 트립 동작에 활용할수 있도록 하므로써 누전 차단기로서 직류와 교류 전류의 누전을 동시에 검출하여 차단시킬수 있으므로 인해 기기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도체(1)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부하측 전로에서 지각 누설 전류가 발생시 검출하여 자속을 발생시키며 공간 누설 자속을 발생시키기 위한 개방부(3)가 형성되는 영상 변류기(2)와, 상기 개방부(3)와 대향되어 설치되며 개폐 기구부(4)를 석방시키기 위해 이동하는 트립봉(5)과, 상기 트립봉(5)에 고정되어 영상 변류기(2)에서 발생되는 자기 흡인력에 의해 개방부(3)쪽으로 흡인되는 가동철편(6)으로 구성된 누전 차단기이다.

Description

누전 차단기
제1도는 종래의 누전 차단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체 2 : 영상 변류기
3 : 개방부 4 : 개폐 기구부
5 : 트립봉 6 : 가동 철편
7 : 지지편 8 : 스프링
본 고안은 누전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누전 차단기로서 직류와 교류 전류의 누전을 동시에 검출하여 차단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누전 차단기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도체(1)를 관통하여 설치된 영상 변류기(ZCT)(2a)로서 누설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 전압을 증폭하여 전자석(11)에 인가하므로써 전자석(11)이 여자되어 자기력을 발생하게 되며,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서 개폐 기구부(4)를 석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동작됨에 따라 교류 회로에서는 영상 변류기(2a)의 신호 전압이 유기되지만 직류 회로에서는 누설 전류가 발생하여도 영상 변류기(2a)에서 교변 자속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인해 신호 전압이 발생하지 않아 사용할수 없게 된다.
즉, 누전 차단기를 적용한 전로에서 지각 누설 전류가 발생하면 영상 변류기(2a)를 관통하고 있는 도체(1)의 주위에는 자장이 발생하게 되고, 이 자장은 상기 영상 변류기(2a)의 코어(도시는 생략함)에 자속을 형성하게 되며, 교류의 전로이므로 이 자속은 크기와 방향이 변함에 따라 2차 유기 전압을 발생시켜 영상 변류기(2a)의 출력단에 교류전압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같은 신호 전압은 전로의 전압에 의해 바이어스된 전자 회로부(증폭부)(12)에 인가되어 증폭되고, 증폭된 신호 전압이 전자석(11)에 인가되어 흡인력을 발생시키며, 이 흡인력으로 개폐 기구부(4)를 석방시켜 전로를 차단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누전 차단기는 누설 전류를 검출한 영상 변류기(2a)의 2차 유기 전압에 의해 동작하므로 교류 회로에서는 사용 가능하지만 직류 회로에서는 2차 유기 전압을 발생시킬수가 없으므로 인해 사용이 불가능하여 기기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안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누전 차단기에 설치되는 영상 변류기의 유도 자기력을 직접 개폐 기구부의 트립 동작에 활용하여 직류와 교류 전류의 누전을 동시에 검출하여 차단시킬수 있어서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누전 차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체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부하측 전로에서 지각 누설 전류가 발생시 검출하여 자속을 발생시키며 공간 누설 자속을 발생시키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는 영상 변류기와, 상기 개방부와 대향되어 설치되며 개폐 기구부를 석방시키기 위해 이동하는 트립봉과, 상기 트립봉에 고정되어 영상 변류기에서 발생되는 자기 흡인력에 의해 개방부쪽으로 흡인되는 가동 철편으로 구성된 누전 차단기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로서, 누전 차단기의 도체(1)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부하측 전로에서 지각 누설 전류가 검출하여 자속을 발생시키는 영상 변류기(2)의 일단에 공간 누설 자속을 발생시키기 위한 개방부(3)가 형성되고, 개방부(3)와 대향되어 개폐 기구부(4)를 석방시키기 위해 이동하는 트립(Trip)봉(5)이 설치되며, 트립봉(5)의 일단에는 영상 변류기(2)에서 발생되는 자기 흡인력에 의해 개방부(3)쪽으로 흡인되는 가동 철편(6)이 고정된다.
또한, 트립봉(5)의 타단과 지지편(7)의 사이에는 트립봉(5)의 동작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8)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같이 고성된 본 고안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누전 차단기를 교류 및 직류 회로에 적용하고 누전 차단기의 부하측 전로에서 지각 전류가 발생하면 도체(1)의 주위에는 지각 전류에 상응하는 자장이 발생되며, 이 자장은 영상 변류기(2)의 내부에 설치된 코어(도시는 생략함)에 자속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때 교류 회로에서는 교번 자속이 발생되고, 직류 회로에서는 자속이 발생된다.
상기 자속은 영상 변류기(2) 일단의 개방부(3)에서 공간 누설 자속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개방부(3)와 대향되어 설치된 트립봉(5)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는 가동 철편(6)을 흡인하는 자기 흡인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기 흡인력에 의해 가동 철편(6)이 영상 변류기(2) 일단의 개방부(3)쪽으로 흡인됨과 동시에 트립봉(5)이 이동하게 됨에 따라 개폐 기구부(4)의 랫치(도시는 생략함)를 움직여 개폐 기구부(4)를 석방시키므로 인하여 고정 접촉자(9)와 가동 접촉자(10)의 접촉을 개리시켜 주 전로를 차단시킬수 있게 된다.
한편, 트립봉(5)의 타단과 지지편(7)의 사이에는 스프링(8)이 설치되므로 트립봉(5)의 동작시 탄성력을 부여할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누전 차단기에 설치되는 영상 변류기(2)의 유도 자기력을 직접 개폐 기구부(4)의 트립 동작에 활용할수 있도록 하므로써 누전 차단기로서 직류와 교류 전류의 누전을 동시에 검출하여 차단시킬수 있으므로 인해 기기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도체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부하측 전로에서 지각 누설 전류가 발생기시 검출하여 자속을 발생시키며 공간 누설 자속을 발생시키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는 영상 변류기와, 상기 개방부와 대향되어 설치되며 개폐 기구부를 석방시키기 위해 이동하는 트립봉과, 상기 트립봉에 고정되어 영상 변류기에서 발생되는 자기 흡인력에 의해 개방부쪽으로 흡인되는 가동 철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누전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봉의 타단과 지지편의 사이에는 트립봉의 동작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이 설치된 누전 차단기.
KR2019960003198U 1996-02-27 1996-02-27 누전 차단기 KR0134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3198U KR0134824Y1 (ko) 1996-02-27 1996-02-27 누전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3198U KR0134824Y1 (ko) 1996-02-27 1996-02-27 누전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759U KR970052759U (ko) 1997-09-08
KR0134824Y1 true KR0134824Y1 (ko) 1999-01-15

Family

ID=1945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3198U KR0134824Y1 (ko) 1996-02-27 1996-02-27 누전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8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759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4720A (en) Automatic protective circuit breaker
US3295023A (en) Circuit-breaker devices, especially for semi-conductor circuits
ATE82087T1 (de) Schuetz.
BG104551A (en) Electromagnetic switch
ES2147991T3 (es) Interruptor electrico con un accionamiento magnetico.
US4731692A (en) Circuit breaker trip solenoid assembly
NL8002470A (nl) Laagspanningstransformatorrelais.
FI68934C (fi) Felsstroemsskyddskoplare som reagerar aeven foer likstroemsfeltstroemmar
KR0134824Y1 (ko) 누전 차단기
US6906605B2 (en) Electromagnet system for a switch
US5886606A (en) Circuit breaker
JPS587724A (ja) 電気開閉器
JP4859575B2 (ja) 遮断器
JP2002524817A (ja) 電力変成器機能及び即時引外し機能を果す装置
JPS6367304B2 (ko)
JPH11507757A (ja) 開閉器の開閉接点の過負荷保護装置
US2283697A (en) Electroresponsive device
ES2066112T3 (es) Un dispositivo de disparo para un interruptor electrico.
JPH07326273A (ja) 回路遮断器の過電流引外し装置
JP3106977B2 (ja) 回路遮断器
JPH065189A (ja) 回路遮断器
JPH0142256Y2 (ko)
KR0119778Y1 (ko) 역접속 가능한 누전차단기
KR970060271A (ko) 사고전류 억제장치
JPS61271730A (ja) 回路しや断器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