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778Y1 - 역접속 가능한 누전차단기 - Google Patents

역접속 가능한 누전차단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778Y1
KR0119778Y1 KR2019940035664U KR19940035664U KR0119778Y1 KR 0119778 Y1 KR0119778 Y1 KR 0119778Y1 KR 2019940035664 U KR2019940035664 U KR 2019940035664U KR 19940035664 U KR19940035664 U KR 19940035664U KR 0119778 Y1 KR0119778 Y1 KR 0119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fault
circuit breaker
unit
voltage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5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079U (ko
Inventor
김종구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40035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778Y1/ko
Publication of KR9600250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0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7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14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imbalance of two or more currents or voltages, e.g. for differential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역접속 가능한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누전차단기는 이를 역접속시 지락전류로 인해 계속 온상태에 있음으로 해서 트립코일에 계속 전류를 흐르게 하여 단시간 정격인 트립코일이 단선되거나 열화되어 누전차단기의 기능을 상실하거나, 열화가스로 인해 상간 단락을 일으켜 누전차단기 내부소자가 파괴되기 때문에 누전차단기를 역접속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부하전원차단부와 아울러 전원전압차단부를 추가 설치하여 누전차단기를 역접속하더라도 지락전류로 인해 내부소자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 역접속 가능한 누전차단기를 안출한 것이다.

Description

역접속 가능한 누전차단기
제1도는 종래 누전차단기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누전검출부의 상세회로도.
제3도는 제1도에 있어서, 누전검출부 역접속시 전원차단경로를 나타낸 도.
제4도는 본 고안 역접속 가능한 누전차단기의 회로도.
제5도는 제4도에 있어서, 누전검출부 역접속시 전원차단경로를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정전압부 200:증폭부
300:누전검출부 400:부하전원차단부
500:전원전압차단부 TC:트립코일
본 고안은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전차단기를 역접속한 상태에서 지락사고가 발생하면 전원전압을 차단함과 아울러 부하측 전원도 차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부하측으로부터의 유입되는 지락전류로부터 내부소자를 보호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역접속 가능한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누전차단기의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항(R1)과 이이오드(D1)와 콘덴서(C1)와 제너다이오드(ZD1)로 이루어져 전원전압이 입력되면 이를 정류하고 일정전압으로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부(1)와, 상기 정전압부(1)의 출력전압에 의해 구동되고 지락전류 발생시 이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2)와, 지락전류 발생시 지락전류에 의한 전압을 상기 증폭부(2)에 출력하는 누전검출부(3)와, 에스씨알(SCR)과 트립코일(TC)로 이루어져 상기 증폭부(2)의 출력을 입력받아 구동되어 부하측 전원을 차단하는 부하전원차단부(4)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누전차단기의 작용에 관하여 첨부한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단자(S1, S2)를 통해 전원전압이 입력되면 이는 다이오드(D1)에 의해 정류되고 콘덴서(C1)에 의해 평활된 후, 제너다이오드(ZD1)에 의해 일정한 전압으로 증폭부(2)에 입력된다.
이때, 부하측에 지락사고가 발생하여 지락전류가 흐르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누전검출부(3)내의 영상변류기(3-1)를 통한 왕로전류(Ig+IL)와 귀로전류(IL)에 지락전류(Ig)분의 차이가 생긴다.
따라서, 철심(3-2)에 지락전류에 상당하는 자속이 발생하여 철심(3-2)의 2차측에 지락전류에 비례하는 전압이 나타난다.
상기 지락전류에 비례하는 전압은 증폭부(2)에 의해 증폭되어 에스씨알(SCR)의 게이트단자에 입력되어 에스씨알(SCR)을 도통시킨다. 이로인해 트립코일(TC)이 동작하여 누전차단기가 트립된다. 이에따라 부하측전압이 차단된다.
그런데,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누전차단기를 역접속 하였을 경우에는 부하측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전원전압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누전차단기의 부하측에서 발생한 지락전류에 의한 전압이 에스씨알(SCR)에 계속 인가되어 에스씨알(SCR)은 계속하여 온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같이 종래의 누전차단기는 이를 역접속시 지락전류로 인해 계속 온상태에 있음으로 해서 트립코일에 계속 전류를 흐르게 하여 단시간 정격인 트립코일이 단선되거나 열화되어 누전차단기의 기능을 상실하거나, 열화가스로 인해 상간 단락을 일으켜 누전차단기 내부소자가 파괴되기 때문에 누전차단기를 역접속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부하전원차단부와 아울러 전원전압차단부를 추가 설치하여 누전차단기를 역접속하더라도 지락전류로 인해 내부소자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 역접속 가능한 누전차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누전차단기는 지락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누전검출부와, 상기 누전검출부의 출력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어 부하측 전원을 차단하는 부하전원차단부와, 상기 부하전원차단부가 구동되면 그 출력전류를 입력받아 구동되어 소정시간 후에 전원전압의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전압차단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전압차단부는 상기 부하전원차단부의 출력전류를 소정시간 지연하는 지연부와, 상기 지연부의 출력전류에 의해 도통되는 제2 에스씨알과 상기 제2 에스씨알이 도통되면 구동되어 전원전압을 차단하는 릴레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연부의 지연시간은 저항과 콘덴서의 시정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일실시예를 도시한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항(R1)과 다이오드(D1)와 콘덴서(C1)와 제너다이오드(ZD1)로 이루어져 전원단자(S1,S2)를 통해 전원전압이 입력되면 이를 정류하고 평활한 후, 일정한 전압으로 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부(100)와, 상기 정전압부(100)의 출력전압을 입력받아 구동하고 지락전류 발생시 그에따른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200)와, 지락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여 그에따른 전압을 상기 증폭부(200)에 출력하는 누전검출부(300)와, 제1 에스씨알(SCR1)과 트립코일(TC)로 이루어져 상기 증폭부(200)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어 부하측 전원을 차단하는 부하전원차단부(400)와, 저항(R2,R3)과 다이오드(D2)와 콘덴서(C2)와 제2 에스씨알(SCR2)과 릴레이(RY1)로 이루어져 상기 부하전원차단부(400)가 구동되면 소정시간 후에 전원전압의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전압차단부(500)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단자(S1,S2)를 통해 전원전압이 입력되면 이는 릴레이스위치(RY11)와 저항(R1)을 통해 다이오드(D1)에 인가되어 그 다이오드에(d1)에 의해 정류되고 콘덴서(C1)에 의해 평활된 후, 제너다이오드(ZD1)에 의해 일정전압으로 되어 릴레이(RY1)와 증폭부(200)에 인가된다.
이때, 부하측에서 지락사고가 발생되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누전검출부(300)내의 영상변류기(3-1)를 통한 왕로전류(IL+Ig)와 귀로전류(IL)에 지락전류분(Ig)의 차가 생긴다.
이로인해 철심(3-2)에 지락전류에 상당하는 자속이 발생하여 철심(3-2)의 2차측에 지락전류에 비례하는 전압이 발생한다.
상기 발생한 지락전류에 비례하는 전압은 증폭부(200)에 의해 증폭되어 제1 에스씨알(SCR1)의 게이트단자에 인가된다.
이로인해 제1에스씨알(SCR1)은 도통되고 트립코일(TC)이 동작하여 누전차단기의 접점부를 개리시켜 부하측 전원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에스씨알(SCR1)의 캐소드측에 흐르는 전류가 저항(R3,R2)과 다이오드(D2) 그리고 콘덴서(C2)를 통해 시정수 만큼 소정시간 지연된 후 제2에스씨알(SCR2)의 게이트에 인가된다.
이로인해 제2에스씨알(SCR2)이 도통되고 릴레이(RY1)가 구동되어 릴레이스위치(RY11)가 온된다. 그 릴레이스위치(RY11)가 온됨으로 인해 접점(a)과 (b)이 개방되어 전원전압이 차단된다. 그 결과 트립코일(TC) 및 릴레이(RY1)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된다.
따라서, 만약 누전차단기를 역접속한 상태에서 지락사고 발생하더라도 전원전압이 차단된 후 소정시간 후에 부하측 전원도 차단하여 주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지락전류에 의해 제1에스씨알(SCR1)이 계속 온상태로 있어 트립코일등 내부소자가 파괴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전원전압을 차단한 후 소정시간 후에 부하측 전원도 차단하게 함으로써 누전차단기 역접속시 부하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지락전류에 의해 내부소자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누전차단기의 역접속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지락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여 그에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누전검출부와, 상기 누전검출부의 출력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어 부하측 전원을 차단하는 부하전원차단부와, 상기 부하전원차단부가 구동되면 그 출력전류를 입력받아 구동되어 소정시간 후에 전원전압의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전압차단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접속 가능한 누전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원전압차단부는 상기 부하전원차단부의 출력전류를 소정시간 지연하는 지연부와, 상기 지연부의 출력전류에 의해 도통되는 제2에스씨알과 상기 제2에스씨알이 도통되면 구동되어 전원전압을 차단하는 릴레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접속 가능한 누전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지연부의 지연시간은 저항과 콘덴서의 시정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접속 가능한 누전차단기.
KR2019940035664U 1994-12-24 1994-12-24 역접속 가능한 누전차단기 KR0119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664U KR0119778Y1 (ko) 1994-12-24 1994-12-24 역접속 가능한 누전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664U KR0119778Y1 (ko) 1994-12-24 1994-12-24 역접속 가능한 누전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079U KR960025079U (ko) 1996-07-22
KR0119778Y1 true KR0119778Y1 (ko) 1998-07-15

Family

ID=19402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5664U KR0119778Y1 (ko) 1994-12-24 1994-12-24 역접속 가능한 누전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7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161B1 (ko) 2021-04-19 2021-11-17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핸들 일방향 정렬형 분전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161B1 (ko) 2021-04-19 2021-11-17 동아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핸들 일방향 정렬형 분전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079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01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ervisory circuit for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 device
KR100299014B1 (ko) 광대역노이즈면역성을갖는접지고장회로차단기
EP25456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ervisory circuit for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 device
EP0634826B1 (en) Earth fault circuit breaker
US4216515A (en) Ground fault interrupter
CA2064027C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US4020394A (en) Ground fault detector
KR0119778Y1 (ko) 역접속 가능한 누전차단기
US3976918A (en) False triggering protection for ground fault sensor
AU2019447727B2 (en) Electric line (L) protection device for detecting a leakage fault, a short-circuit, fault, an overcurrent fault and an arc fault
KR200430868Y1 (ko) 전자식 누전차단기
KR0129938Y1 (ko) 소자열화에 의한 단락방지기능을 갖는 누전차단기
JPH0522840A (ja) 漏電遮断器
KR100439890B1 (ko) 결상시도 지락보호가 가능한 누전차단기
JPH1169605A (ja) 過電圧保護機能付漏電遮断器
SU168311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трехфазн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 от повреждени
GB2036476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s
JPS58209029A (ja) 漏電しや断器
JPS6240924B2 (ko)
JPH0793782B2 (ja) 回路遮断器
JPS6237838A (ja) 漏電遮断器
JPS6247353B2 (ko)
JPS6059917A (ja) 漏電しゃ断器
JPH10208615A (ja) 分離形漏電保護リレー
IE67968B1 (en) A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