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224Y1 - 전자렌지의 캐비티의 고주파 분산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의 캐비티의 고주파 분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224Y1
KR0134224Y1 KR2019950031719U KR19950031719U KR0134224Y1 KR 0134224 Y1 KR0134224 Y1 KR 0134224Y1 KR 2019950031719 U KR2019950031719 U KR 2019950031719U KR 19950031719 U KR19950031719 U KR 19950031719U KR 0134224 Y1 KR0134224 Y1 KR 0134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high frequency
food
dispersion
microwav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1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8782U (ko
Inventor
김재수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31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224Y1/ko
Publication of KR9700187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87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2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4Mode transformers or mode stirr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렌지의 캐비티의 고주파 분산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 트레이나 스터리팬에 의한 고주파 분산방식이 있지만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도 국부가열이 완벽히 방지되지 않아 음식물이 각 부위가 골고루 가열되지는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고안은 전자렌지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각각의 판에 복수개의 볼록부와 오목부를 캐비티내로 돌출형성하여 볼록부와 오목부에 의해 고주파의 분산효율을 향상시켜 음식물의 조리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렌지의 캐비티의 고주파 분산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나타낸 전자렌지의 정단면 개략도.
제2도 (a)(b)는 본 고안의 기술구성에 의한 고주파 분산작용을 나타낸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티 11 : 볼록부
본 고안은 전자렌지의 캐비티의 고주파 분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비티를 이루는 각 판의 현상을 변경하여 캐비티에 의해 고주파를 분산시킴으로써 고주파의 분산효율을 더욱 향상시킨 전자렌지의 캐비티의 고주파 분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되는 고주파를 분산시키기위해서 2가지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한가지 방식은 도파관을 통해 캐비티로 유입되는 고주파를 음식물에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해서 캐비티 저면에 트레이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트레이를 설치하여 음식물이 국부가열되지 않고 골고루 균일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고주파 간접분산방식인 트레이 회동방식이 있고, 다른 한가지는 고주파를 회전팬을 사용하여 캐비티로 조사되는 고주파를 난반사키는 고주파 직접분산 방식인 스터리팬 회동방식이 있다.
이밖에도 상기한 트레이 회동방식과 스터리팬 회동방식을 겸용한 방식도 있지만 주로 트레이 회동방식을 많이 채택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고주파 분산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전자렌지의 캐비티는 좌/우측판, 상판, 저판, 후판으로 나누어져 있는 개별적인 구성부품들을 결합조립하여 구성하는 전자렌지의 5-피스(PIECE) 캐비티와 상판과 측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내판과 저판과 후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외판을 결합조립하여 구성하는 2-피스 캐비티로 구분된다.
상술했듯이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된 고주파는 도파관을 통하여 캐비티로 유입되어 캐비티의 좌/우측판, 상판, 저판, 후판에 먼저 부딪힌후, 음식물이 놓여져 회동되는 트레이에 의해 간접적으로 분산되거나 또는 회전되는 스터리팬에 직접 부딪혀 분산되어 음식물을 가열하게 되는데, 이렇게 분산되는 고주파에 의해 음식물의 국부가열이 방지되는 효과는 있지만 국부가열이 완벽히 방지되지 않아 음식물이 각 부위가 골고루 가열되지는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고주파의 분산효율을 최대한으로 높여 음식물의 국부가열을 최소화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효율을 종래보다 더욱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렌지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각각의 판에 복수개의 볼록부를 또는 볼록부와 오목부를 함께 캐비티내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며, 상기 볼록부및 오목부에 고주파가 부딪혀 임의의 방향으로 반사되어 보다 불규칙하게 분산되므로 조리의 효율성을 높일수가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기술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캐비티를 이루는 각각의 판에 볼록부를 방사상으로 점점 크게 형성하여 나타낸 전자렌지의 정단면 개략도이고, 제2도(a)는 캐비티의 볼록부에 의한 고주파의 분산작용을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며, (b)는 볼록부와 오목부에 의한 고주파 분산작용을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전자렌지의 캐비티(10)를 이루는 각각의 판에 복수개의 반원형 볼록부(11)를 캐비티(10)내로 돌출되게 형성하되, 상기 볼록부(11)가 판 중심에서 둘레로 뻗어갈수록 방사상으로 점점 크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때 볼록부(11)는 상기와 같이 방사상으로 점점 크게 형성할 수도 있지만 점점 작게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또한 미관을 위해 방사상으로 형성하되, 방사상 모양을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외에 상기 캐비티(10)의 각각의 판에 복수개의 볼록부(11) 및 오목부(12)를 형성하되, 서로 번갈아 가면서 형성하고, 캐비티(10)의 각각의 판 중심에서 둘레로 방사상으로 점점 크게 또는 작게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상기 볼록부(11)와 오목부(12)는 사각형 또는 삼각형 그밖에 여러가지 형태로 형성할 수 있지만 고주파가 부딪혀 다양한 각도로 분산되게 하기 위해서 반원형으로 형성함이 좋다.
이와같이 형성한 본 고안에 의해 마그네트론(20)에서 발진된 고주파는 도파관(30)을 통하여 캐비티(20)로 조사되면서 상기 반원형 볼록부(11)나 오목부(12)에 부딪혀 캐비티(10)내에서 임의의 다양한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분산되면서 음식물을 가열시키므로 보다 균일하면서 효율적인 조리가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트레이 또는 스터리팬에 의한 분산방식에다 캐비티(10)에 형성한 볼록부(11) 및 오목부(12)에 의한 분산방식이 첨가되기 때문에 고주파의 분산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캐비티를 형성하는 각각의 내면에 볼록부 및 오목부를 선택적으로 형성한후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에 의해 고주파의 분산효율이 향상되어 음식물의 국부가열이 방지됨에 따라 음식물이 골고루 가열되어 조리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효율이 더욱 향상되어 결국은 음식물의 맛도 그 만큼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전자렌지의 캐비티를 구성함에 있어서, 캐비티(10)의 표면에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다수개의 볼록부(11) 및 오목부(12)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캐비티 고주파 분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캐비티(10)에 구성되는 볼록부(11) 또는 오목부(12)가 한 지점에서 방사상으로 점점 크게 또는 점점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캐비티 고주파 분산구조.
KR2019950031719U 1995-10-31 1995-10-31 전자렌지의 캐비티의 고주파 분산구조 KR0134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719U KR0134224Y1 (ko) 1995-10-31 1995-10-31 전자렌지의 캐비티의 고주파 분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719U KR0134224Y1 (ko) 1995-10-31 1995-10-31 전자렌지의 캐비티의 고주파 분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782U KR970018782U (ko) 1997-05-26
KR0134224Y1 true KR0134224Y1 (ko) 1999-03-20

Family

ID=1942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1719U KR0134224Y1 (ko) 1995-10-31 1995-10-31 전자렌지의 캐비티의 고주파 분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2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950A (ko) * 2000-04-19 2001-11-08 구자홍 전자렌지용 캐비티의 광집중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782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6151A (en) Grooved baking pan
US4749581A (en) Method for baking a food product
US5747781A (en) Microwave oven with turntable and swingable electrical heater
US3746823A (en) Electronic cooking appliance
US4092513A (en) Stirrer hub assembly
KR0134224Y1 (ko) 전자렌지의 캐비티의 고주파 분산구조
JP2533896B2 (ja) マイクロ波調理器具
EP1478888B1 (en) Ove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US4501945A (en) Microwave oven provided with turntable
KR200269395Y1 (ko) 전자레인지
KR0171332B1 (ko) 전자레인지의 고주파 분산장치
KR870003975Y1 (ko) 전자레인지의 고주파 분산장치
KR870004070Y1 (ko) 전자레인지의 고주파 분산장치
KR19990017331U (ko) 전자렌지의 고주파 분산구조
KR0128565B1 (ko) 전자렌지용 투윈 스터리팬 설치구조
JPH06103099B2 (ja) 熱風循環式調理器
KR200150285Y1 (ko) 전자렌지의 사절판 구조
KR200183816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컨벡션 장치
KR920003120Y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구조
KR200178151Y1 (ko) 전자렌지의 스터러팬 설치구조
JPS62268921A (ja) 熱風循環式調理器
JPS5830708B2 (ja) 高周波加熱装置
KR970003077Y1 (ko) 컨벡션 및 스터러겸용 팬이 구비된 전자렌지
KR960010565Y1 (ko) 전자렌지 스터리팬 회전용 냉각공기 유통구조
JPH06213462A (ja) 高周波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