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816Y1 - 다기능 전자렌지의 컨벡션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전자렌지의 컨벡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816Y1
KR200183816Y1 KR2019990027806U KR19990027806U KR200183816Y1 KR 200183816 Y1 KR200183816 Y1 KR 200183816Y1 KR 2019990027806 U KR2019990027806 U KR 2019990027806U KR 19990027806 U KR19990027806 U KR 19990027806U KR 200183816 Y1 KR200183816 Y1 KR 200183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hamber
microwave oven
pan
food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회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7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8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8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73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0Feed lines

Abstract

본 고안은 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조리실의 전체에 공급하여 음식물을 양호하게 조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조리실(50)의 후방에 설치된 컨벡션용 팬(62)과, 일단이 팬(62)과 연통되고 타단이 조리실(50)의 상방과, 양측방과, 하방으로 연결된 각각의 덕트(70) 및 각 덕트(70)와 조리실(50)의 내부가 연통되게 조리실(50)의 각 외벽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배기공(54)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자렌지의 컨벡션 장치로서, 팬(62)으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이 팬(62)에 연결된 덕트(70)를 통하여 조리실(50)의 상방과 양측방 및 하방으로부터 조리실(50) 내에 공급되어 음식물을 사방에서 고르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전자렌지의 컨벡션 장치{A CONVECTION APPARATUS IN MULTIFUNCTIONAL MICROWAVE OVEN}
본 고안은 다기능 전자렌지의 컨벡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조리실의 전체에 공급할 수 있도록 턱트를 조리실의 사방에 배치하여 음식물을 양호하게 조리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고주파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로서 조리실과 전장실로 구분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전장실에는 마그네트론과 고압트랜스, 냉각팬 등이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에는 저판에 트레이가 놓여지며 상기 트레이 위에 얹혀지는 음식물에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되는 고주파가 조사된다.
또한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되는 고주파가 일정방향으로만 반사되고 조사되기 때문에 조리실 내의 음식물에 고주파가 고르게 조사되지 않아 음식물이 일부분은 과조리되고 일부분은 미조리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레이 하부에 트레이 모터를 설치하여 트레이가 회전됨에 따라 트레이 위에 놓인 음식물을 회동시켜 음식물에 고주파가 골고루 조사되도록 하는 트레이 회동방식과, 조리실 일측에 스터러팬을 설치하여 회전하는 스터러팬에 고주파가 부딪쳐 난반사된 후 음식물에 조사되도록 하는 스터러팬 회동방식을 채택하여 조리실 내에 고주파가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전자렌지는 상기와 같이 고주파만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단기능 전자렌지와 고주파 외에도, 조리실의 상부나 하부에 설치되는 히터의 복사열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그릴조리 기능이나, 조리실 일측에 설치되는 컨벡션팬의 회동에 의해 열풍을 대류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오븐조리 기능을 갖춘 다기능 전자렌지로 구분된다.
이러한 다기능 전자렌지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한 예를 도 1에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실(10)의 후방 외벽(12)에는 모터(20)에 의해 회전하는 컨벡션용 팬(22)이 브라켓에 설치되며, 이 팬(22)의 주위에 히터(26)가 원형으로 감겨져 설치된다.
그리고 외벽(12)에는 팬(22)의 중심영역으로 조리실(10)의 내부로부터 팬(22)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다수의 흡기공(14)이 형성되고, 히터(26)의 주위에는 가열된 공기가 조리실(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배기공(16)이 형성된다.
이 도면에서 주가열원인 고주파의 공급에 대한 구성은 생략하였다.
이러한 전자렌지는 히터(26)가 가열되어 가열공기를 발생시키고, 모터(20)에 의해 팬(22)이 회전하면, 조리실(10) 내의 공기가 흡기공(14)을 통하여 팬(22)으로 유입되고, 팬(22)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히터(26)에 의해 가열된 후 배기공(16)을 통하여 조리실(10) 내로 송풍되어 음식물(30)을 조리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조리실(10)의 후면에 히터(26)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가열공기를 직접적으로 받는 음식물(30)의 후면만이 양호하게 조리될 뿐, 가열공기가 조리실(10) 내를 순환한 후 접촉되는 음식물(30)의 전방과 상방 및 측방은 열전달이 미흡하여 조리가 늦고 골고루 조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조리실의 전체에 공급할 수 있도록 턱트를 조리실의 사방에 배치하여 음식물을 양호하게 조리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렌지의 컨벡션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의 평단면도.
도 3의 도 2에 도시한 전자렌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조리실 52: 흡기공
54: 배기공 60: 모터
62: 팬 70: 덕트
80: 히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리실의 후방에 설치된 컨벡션용 팬; 일단이 상기 팬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조리실의 상방과, 양측방과, 하방으로 연결된 각각의 덕트; 및 상기 각 덕트와 상기 조리실의 내부가 연통되게 상기 조리실의 각 외벽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자렌지의 컨벡션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컨벡션 장치는 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이 팬에 연결된 덕트를 통하여 조리실의 상방과 양측방 및 하방으로부터 조리실 내에 송풍되어 조리물을 사방에서 고르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여 본 고안의 실시를 용이하게 한다. 도 2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의 평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에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실(50) 후방에는 모터(60)에 의해 회전하는 팬(62)이 설치되고, 이 팬(62)의 둘레에는 히터(80)가 원형으로 감겨져 배설된다. 그리고 팬(62)의 전방 조리실(50)의 외벽에는 흡기공(52)이 형성되어 조리실(50) 내의 공기가 팬(62)의 중심영역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팬(62)으로부터 조리실(50)의 상방과, 양측방과, 하방으로 다수의 덕트(70)가 연결되고, 각 덕트(70)와 조리실(50)의 내부가 연통되게 조리실(50)의 외벽에 각각 배기공(54)이 형성된다. 따라서 팬(62)에서 발생되는 열풍은 덕트(70) 및 배기공(54)을 통하여 조리실(50)의 사방에서 음식물(30)에 공급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주가열원인 고주파의 공급에 대한 구성은 일반적인 전자렌지와 동일하므로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전자렌지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두께나 부피가 작은 음식물(30)을 조리할 때에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간단히 음식물(30)을 조리할 수 있다.
그리고 통닭 등 부피가 큰 육류를 조리할 때에는 고주파를 이용할 뿐만 아니라, 히터(80)를 가동시켜 열을 발생시키고, 모터(60)를 구동하여 팬(62)으로 열풍을 일으켜 조리실(50)의 내부에서 순환시킨다.
이때 조리실(50) 내의 공기는 흡기공(52)을 통하여 팬(62)의 중심영역으로 공급되고, 팬(62)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히터(80)에 의해 가열되어 덕트(70) 및 배기공(54)을 통하여 음식물(30)의 사방에서 공급되어 음식물(30)을 전체적으로 고르고 신속하게 조리시킨다.
한편, 쿠키와 같이 부피가 작으며 오븐의 기능이 필요한 과자류 등을 조리할 경우, 고주파를 이용하지 않고 히터(80)의 열만을 이용하여 조리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조리실(50)의 후방에 설치된 컨벡션용 팬(62)과, 일단이 팬(62)과 연통되고 타단이 조리실(50)의 상방과, 양측방과, 하방으로 연결된 각각의 덕트(70) 및 각 덕트(70)와 조리실(50)의 내부가 연통되게 조리실(50)의 각 외벽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배기공(54)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자렌지의 컨벡션 장치로서, 팬(62)으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이 팬(62)에 연결된 덕트(70)를 통하여 조리실(50)의 상방과 양측방 및 하방으로부터 조리실(50) 내에 공급되어 음식물을 사방에서 고르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조리실(50)의 후방에 설치된 컨벡션용 팬(62);
    일단이 상기 팬(62)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조리실(50)의 상방과, 양측방과, 하방으로 연결된 각각의 덕트(70); 및
    상기 각 덕트(70)와 상기 조리실(50)의 내부가 연통되게 상기 조리실(50)의 각 외벽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배기공(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렌지의 컨벡션 장치.
KR2019990027806U 1999-12-10 1999-12-10 다기능 전자렌지의 컨벡션 장치 KR200183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806U KR200183816Y1 (ko) 1999-12-10 1999-12-10 다기능 전자렌지의 컨벡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806U KR200183816Y1 (ko) 1999-12-10 1999-12-10 다기능 전자렌지의 컨벡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816Y1 true KR200183816Y1 (ko) 2000-06-01

Family

ID=1960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806U KR200183816Y1 (ko) 1999-12-10 1999-12-10 다기능 전자렌지의 컨벡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8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2495B1 (ko) 전자레인지의 히터시스템
WO2018113039A1 (zh) 一种烤箱微波炉一体机
KR100395559B1 (ko) 히터를 가지는 전자렌지
KR20020036600A (ko) 전자레인지의 대류장치
KR200183816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컨벡션 장치
KR200327739Y1 (ko) 컨벡션형 전자렌지
KR100278387B1 (ko) 전자레인지의 동시조리 가열장치
KR100367584B1 (ko) 전자 레인지의 히팅장치
CN220713699U (zh) 烹饪设备
CN212573020U (zh) 一种微波蒸烤箱
KR200229356Y1 (ko) 전자레인지의 단열구조
KR100533273B1 (ko) 전자레인지의 컨벡션 및 그릴 겸용히터 시스템
KR100209809B1 (ko) 전자렌지
KR200217977Y1 (ko) 전자렌지의 컨벡션 모터 조립장치
KR20080005014U (ko) 조리장치
KR20070053566A (ko) 전자레인지 일체형 피자오븐의 가열구조
KR200182329Y1 (ko) 컨벡션형 전자렌지의 전열히터 결합구조
KR20000013727U (ko) 컨벡션 기능을 갖는 전자렌지의 열풍 순환구조
JP2007010163A (ja) 加熱調理器
KR200182324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열반사 장치
JP2002089849A (ja) 熱風およびマイクロ波加熱装置
KR200327751Y1 (ko) 컨벡션형 전자렌지의 전열히터 결합구조
KR200327740Y1 (ko) 컨벡션형 전자렌지
KR200349518Y1 (ko) 전기오븐의 챔버커버 구조
KR100396764B1 (ko) 2단 조리가 가능한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