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170Y1 - 블로워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블로워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170Y1
KR0134170Y1 KR2019930023988U KR930023988U KR0134170Y1 KR 0134170 Y1 KR0134170 Y1 KR 0134170Y1 KR 2019930023988 U KR2019930023988 U KR 2019930023988U KR 930023988 U KR930023988 U KR 930023988U KR 0134170 Y1 KR0134170 Y1 KR 0134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forth
blower
blower switch
switch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3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467U (ko
Inventor
김무용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23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170Y1/ko
Publication of KR9500154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4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1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1Thumb wheel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25Light-emitting indicators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블로워 스위치 장치, 특히 노브가 전후이동 가능한 블로워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전후이동이 불가능한 노브를 이동가능하게 구성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파지력을 좋게하고 노브형상의 제작상 자유도를 향상 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블로워 스위치 하우징상에서 전후위치변경될 수 있는 안축과 이 안축에 의하여 임의로 전후위치이동시킬 수 있는 노브를 광학적으로 단수표시가능하게 콘트롤 베이스상에 설치하고 블로워 전원연결기판의 단자에 단계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전원연결단자판을 상기 안축상에서 전후유동가능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로워 스위치 장치
제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결합 종단면도.
제2 도는 그 분해 단면도.
제3 도는 노브와 플레이트 부분의 정면도.
제4 도는 전원연결단자판의 좌측면도.
제5 도는 블로워 전원연결기판의 우측면도.
제6 도는 제1 도에서 노브가 내측으로 들어가 상태의 결합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노브 2 : 안축
4 : 전원연결단자판 5 : 블로워 전원연결기판
6 : 콘트롤 베이스 9 : 키
11 : 돌기부 12,12' : 요홈
13 : 렌즈 14 : 베어링
19 : 유동단자 21 : 단자
22 : 기본면
본 고안은 차량의 블로워 스위치장치, 특히 노브가 전후 이동가능한 블로워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블로워 스위치장치에 있어서는 임의의 회전에 의하여 광학적으로 단수표시 가능하게 단수 조절될 수 있는 노브를 기본면과 일치될 수 있도록 낮추어 설치하고 이 노브의 단계적 전환에 의하여 내부의 고정단자판 상에서 노브에 고정된 회전단자판이 회전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블로워의 송풍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의 노브는 기본면과 일치시키기 위하여 납작하게 형성시켜야 하기 때문에 형태의 변화를 가하기 힘들고 이에 따라 파지력이 좋은 노브로 구성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상기 노브는 안전성 때문에 기본면 보다 더 돌출되게 고정시킬 수 없는 제약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노브의 사용시에는 기본면보다 더 돌출시켜 파지력을 좋게 하고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기본면으로 낮출 수 있게 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며 노브의 형상을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는 블로워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블로워 스위치 하우징상에서 전후위치변경될 수 있는 안축과 이 안축에 의하여 임의로 전후위치이동시킬 수 있는 노브를 광학적으로 단수표시가능하게 콘트롤 베이스상에 설치하고 블로워 전원연결기판의 단계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전원연결단자판을 상기 안축상에서 전후유동가능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용시에는 노브를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사용치 않을 때에는 노브를 후방으로 밀어 넣을 수 있는 것으로 상기의 전후위치이동에 무관하게 노브의 단계적 절환과 단수표시가 행해진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르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도 내지 제 6도에 있어서 부호1은 노브이고, 2는 안축, 3은 블로워 스위치 하우징, 4는 전원연결단자판, 5는 블로워 전원연결기판, 6은 콘트롤 베이스이다. 노브(1)는 단수의 위치표시를 할 수 있는 발광렌즈(7)가 전면일측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고 외면에는 손잡이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의 중앙에 형성된 보스에는 안축(2)의 일단이 끼워져 고정된다. 안축(2)은 일측이 상기 노브(1)에 고정되고 타측이 전원연결단자판(4)내에 전후유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타측의 몸통(8) 양측에는 키(9)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돌기부(11)가 형성되며 이 돌기부(11)의 양쪽에는 하방으로 각각 5개의 요홈(12,12')이 30°의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블로워 스위치 하우징(3)은 그 내부에 상기한 안축(2)을 비롯하여 전원연결단자판(4)과 블로워 전원연결기판(5) 및 렌즈(13)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안축(2)의 중앙부위는 이 블로워스위치 하우징(3)내에 설치된 베어링(14)에 의하여 구속되면서 전후위치변경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베어링(14)은 베어링 설치홈(15)에 스프링(16)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설치되어있다. 전원연결단자판(4)은 상기 블로워스위치 하우징(3)내에서 안축(2)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편심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 중앙에는 상기 안축(2)의 몸통(8)이 전후 유동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는 바 이 구멍의 양측에는 안축(2)의 키(9)가 끼워질 수 있는 키홈(16)이 제 4도와 같이 형성되고 그 하방에는 단자설치홈(17)이 형성되어 이 단자설치홈(17)내에 베어링(18)과 유동단자(19)가 스프링(2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블로워 전원연결기판(5)은 안축(2)의 타측단부가 중앙에 끼워지고 블로워 스위치 하우징(3)내에 스냅결합하여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 5도와 같이 5개의 단자(21)가 형성되어 내부를 관통하는 또 다른 단자가 밧테리 및 블로워 모터에 연결된다.
콘트롤 베이스(6)는 상기한 블로워 스위치 하우징(3)과 노브(1)가 설치되며 히터 콘트롤 패널의 기본면(22) 내측에 고정되는 바 전면에는 제 3도와 같이 단수를 표시하고 그 표시되는 부분이 투광 될 수 있는 플레이트(23)가 부착되고 내측에는 단수표시램프(24)가 설치되며 이 단수표시램프(24)와 노브(1)의 발광렌즈(7) 간에는 렌즈(13)가 설치되어 단수표시램프(24)의 빛은 플레이트(23)면 뿐만 아니라 발광렌즈(7) 쪽으로 보내져 노브(1)조작시 광학적인 단수표시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제 1 도는 노브(1)가 전방으로 돌출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제 6도는 노브(1)가 후방으로 들어간(이동한)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시에는 제 6도의상태에서 제 1도의 상태로 노브(1)가 이동하고 사용치 않을 때에는 제 1도의 상태에서 제 6도의 상태로 노브(1)가 이동한다. 제 6도에서 제 1 도로 전환되는 과정을 보면, 먼저 노브(1) 외면을 잡고 전방으로 잡아당긴다. 이렇게 되면 안축(2)이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베어링(14)은 요홈(12)내에 있다가 돌기부(11)를 타고 넘어 요홈(12')내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의 운동은 안축(2)이 이동하는 것으러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안축(2)은 전원연결단자판(4)에 일부가 그대로 끼워져 있다. 이와같이 노브(1)가 돌출한 상태에서 노브(1)를 돌리면 발광렌즈(7)가OFF 지점을 떠난후 다음의 단수표시지점에서 전원이 연결되어 플레이트(23)의 표시단수와 발광렌즈(7)가 일치되는 빛을 발한다. 이때 안축(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이므로 이 회전에 의하여 베어링(14)은 요홈(12')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타고 넘게 되고 전원연결단자판(4)은 안축(2)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유동단자(19)가 블로워 전원연결기판(5)의 OFF에서 다음의 단자(21)에 접속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들은 노브(1)의 조작에 의하여 좌 또는 우로 단계적으로 전환되면서 같은 동작을 반복할 수 있는 것이다. 블로워 작동이 필요없을 때, 즉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노브(1)를 후방(안쪽)으로 밀어 넣는다. 이 때 안축(2)은 전기한 동작의 반대로 베어링(14)을 타고 넘게 된다. 이렇게 노브(1)가 밀어 넣어진 상태에서도 노브(1)를 회전시키면 노브(1)가 전방으로 돌출했을때와 마찬가지로 전기적인 접속은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노브를 임의대로 돌출시킬 수 있어 파지력을 좋게 할 수 있고 비사용시에는 기본면으로 낮출수 있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돌출이 가능함에 따라 노브의 형상을 자유롭게 변화시켜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블로워 스위치 하우징상에서 전후위치변경될 수 있는 안축과 이 안축에 의하여 임의로 전후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노브를 광학적으로 단수표시 가능하게 콘트롤 베이스상에 설치하고 블로워 전원연결기판의 단자에 단계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전원연결단자판을 상기 안축상에서 전후유동가능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한 블로워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안축의 일측은 노브에 고정되게 하고 타측에는 키를 형성시켜 전원연결단자판에 전후유동가능하게 끼워지게 하며 중앙에는 블로워 스위치 하우징의 베어링에 구속되어 전후위치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있도록 돌기부와 그 양쪽에 요홈을 등간격 형성시킨 블로워 스위치 장치.
KR2019930023988U 1993-11-16 1993-11-16 블로워 스위치 장치 KR0134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988U KR0134170Y1 (ko) 1993-11-16 1993-11-16 블로워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988U KR0134170Y1 (ko) 1993-11-16 1993-11-16 블로워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467U KR950015467U (ko) 1995-06-19
KR0134170Y1 true KR0134170Y1 (ko) 1999-01-15

Family

ID=19367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3988U KR0134170Y1 (ko) 1993-11-16 1993-11-16 블로워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1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467U (ko) 199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1128B2 (en) Operat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EP1518728B1 (en) Operat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6948824B2 (en) Illuminated electric part capable of efficiently receiving incident light from light source in light-transmissive manipulating shaft
KR100353292B1 (ko) 이중광원을갖는전기조명램프
KR0134170Y1 (ko) 블로워 스위치 장치
US20080120854A1 (en) Laser leveling device
KR100691765B1 (ko)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
US6325526B1 (en) Automotive internal light
JPH11154437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スイッチ装置
US6888080B2 (en) Switching device
US6087601A (en) Modular multi-purpose switch
JP2615476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KR200235471Y1 (ko) 발광램프를 구비한 안전콘센트
KR100319214B1 (ko) 스위치
EP0153898A2 (en) Multiple push button switch with latch members
KR200155159Y1 (ko) 스위치 작동을 위한 자동 온/오프 장치
KR20050018328A (ko) 리미트 스위치를 이용한 회전식 입력장치
JPH11345530A (ja) スイッチ取付構造
KR920000869Y1 (ko) 조광식 회전조작형 전기부품
JP3826650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H0235156Y2 (ko)
JPH0680236U (ja) イルミネーション付きスイッチ装置
JPH039221Y2 (ko)
JP2607560Y2 (ja) スイッチ装置
JPH021931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