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018Y1 - 루프드레인 - Google Patents

루프드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018Y1
KR0134018Y1 KR2019960020328U KR19960020328U KR0134018Y1 KR 0134018 Y1 KR0134018 Y1 KR 0134018Y1 KR 2019960020328 U KR2019960020328 U KR 2019960020328U KR 19960020328 U KR19960020328 U KR 19960020328U KR 0134018 Y1 KR0134018 Y1 KR 0134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late
drain
finishing
waterproof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0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309U (ko
Inventor
서만복
정명수
Original Assignee
최훈
삼성물산주식회사
정명수
일석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 삼성물산주식회사, 정명수, 일석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훈
Priority to KR2019960020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018Y1/ko
Publication of KR9800083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3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0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E04D2013/0436Drainage outlets, e.g. gullies with sealing means
    • E04D2013/044Drainage outlets, e.g. gullies with sealing means on multipl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고안은 콘크리트슬라브층·방수층·단열층 및 마감층으로 시공되는 옥상구조의 배수공에 설치되어 빗물을 배수하여 주며, 특히 단열층의 끝부분들을 깔끔하게 마감하여 주면서도 방수층의 빗물이 고이지 아니하면서 견고하게 압지하여 주는 루프드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중간도수판(15) 상면 테두리쪽에 원형상으로 단열층마감편(16)들이 상부로 돌출되면서 그 마감편(16)들 사이사이마다 상부배수유도통로(17)들이 형성되며, 그 하면에 원형상으로 방수층압지편(18)들이 하부로 돌출형성되면서 그 사이사이마다 하부배수유도통로(19)들이 형성되는 루프드레인이다.

Description

루프드레인
제1도는 옥상배수구에 종래기술의 루프드레인이 설치된 단면도.
제2도는 본고안 루프드레인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본고안 루프드레인의 중간도수판에 관한 사시도.
제4도는 본고안 루프드레인의 중간도수판에 관한 단면도.
제5도는 본고안 루프드레인의 중간도수판에 관한 평면도.
제6도는 본고안 루프드레인의 중간도수판에 관한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크리트슬라브층 2 : 방수층
3 : 마감층 4 : 공간부
5 : 배수관결합구 6 : 하부도수판
7 : 중간도수판 8 : 상부도수판
9 : 콘크리트슬라브층 10 : 방수층
11 : 단열층 12 : 마감층
13 : 배수관 14 : 하부도수판
15 : 중간도수판 16 : 단열층마감편
17 : 상부배수유도통로 18 : 방수층압지편
19 : 하부배수유도통로 20 : 내부압지편
21 : 외부압지편 22 : 배수공
23 : 하부너트 24 : 상부도수판
25 : 체결볼트 26 : 볼트구멍
[산업상 이용분야]
본고안은 옥상바닥에 떨어지는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슬라브층·방수층·단열층 및 마감층으로 시공되는 옥상바닥구조의 배수공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히 루프드레인의 상부도수판을 설치하여 방수층 포설작업과 동시에 시공함으로써 공사기간의 단축과 공사비용을 절감시켜 주고, 또한 깔끔하게 마감처리하여 주면서도 방수층의 빗물이 고이지 아니하면서 견고하게 압지하여 주며, 단열층과 방수층사이에 생성되는 물을 원활히 배수시켜 주는 루프드레인의 상부도수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의 루프드레인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본국 실개평5-38151호에 공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슬라브층(1)의 통공에 설치되어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배수관결합구(5)를 통하여 배수관으로 낙사시켜 주되, 상기 배수관결합구(5) 외주면에 배수관이 끼워지는 하부도수판(6)과, 상기 하부도수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그 외주단부가 상기 콘크리트슬라브층 상면에 깔려지는 방수층(2)의 끝부분들을 지지하여 주는 중간도수판(7)과, 상기 중간도수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그 외주단부가 마감층(3)의 끝부분들을 지지하여 주며 마감층의 빗물을 하부로 배수시켜 주는 상부도수판(8)으로 구성되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이와 같이 공개된 종래의 것을 중간도수판(7) 외주단부에 방수층(2)의 단부가 단순히 연접되어 있는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중간도수판(7) 외주단부와 방수층(2)간에 약간의 틈새가 형성되기 때문에 방수층(2)의 빗물이 그 틈새를 통항 하부도수판(6)으로 침투되면서 일부는 방수층(2) 하면을 통하여 콘크리트슬라브층(1)에까지 스며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중간도수판(7) 상면에 단열층(41)의 끝부분을 마감하여 주는 구조부들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단열층의 끝부분이 중간도수판(7) 상면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방수층(2) 끝부분과 거의 일치되게 마감되었다.
따라서 단열층의 끝부분이 방수층(2)의 끝부분과 거의 동일하게 마감처리되기 때문에 단열층의 빗물도 방수층의 빗물과 함께 상기 틈새를 통하여 하부도수판(6)으로 침투되면서 일부는 방수층(2) 하면을 통하여 콘크리트슬라브층(1)에까지 스며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하부도수판(6) 상면에 방수층(2) 끝부분을 진입시켜서 중간도수판(7)으로 압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방수층의 빗물이 중간도수판(7)에 의해 차단됨으로 방수층의 빗물은 배수가 되지 못하고 고임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고안의 목적]
본고안의 목적은 첫째, 단열층의 끝부분을 마감처리하기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단열층의 빗물을 원활하게 중간도수판을 통하여 배수시켜 주며, 둘째, 방수층이 중간도수판으로 압착되면서도 방수층의 빗물이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하여 주는 루프드레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고안의 구성]
이하, 본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 루프드레인도 콘크리트슬글라브층(9)에 매립되어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배수관(13)으로 낙하시켜 주는 하부도수판(14)과, 상기 하부도수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슬라브 상면에 깔려지는 방수층(10)의 끝부분을 압착하여 주는 중간도수판(15)과, 상기 중간도수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마감층의 빗물을 하부로 배수하여 주는 상부도수판(24)과, 상기 하부도수판·중간도수판 및 상부도수판들에 수직하게 뚫려진 볼트구멍(26)들을 통하여 상호 체결하여 주면서도 상부도수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주는 체결볼트(25)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별 다를 바가 없다.
그러나, 본고안은 제2도 및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도수판(15)이 그 상면 테두리쪽에 원형상으로 단열층마감편(16)들이 상부로 돌출되면서 그 마감편(16)들 사이사이마다 상부배수유도통로(17)들이 형성되며, 그 하면에 원형상으로 방수층압지편(18)들이 하부로 돌출형성되면서 그 압지편(18)들 사이사이마다 하부배수유도통로(19)들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고안은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간도수판(15)을 하부도수판(14)과 상부도수판(24) 사이에 체결볼트(25)로써 고정설치하게 된다.
즉, 방수층(10)의 끝부분들을 하부도수판(14) 상면에 형성된 방수층마감편(16)까지 진입시킨 후, 중간도수판(15)을 하부도수판(14) 상부에 설치한 후 방수층(10) 끝부분이 중간도수판(15)으로 견고히 압착될 때까지 하부너트(23)로 체결하여 주게 된다.
그리고 중간도수판(15) 상부에 단열층(11) 및 마감층(12)을 깔면서 상부도수판(24)을 설치함으로써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도수판(15)의 상면 테두리쪽에 원형상으로 단열층마감편(16)들은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열층(11) 끝부분이 마감처리되는 구조부이다.
이와 같은 단열층마감편(16)들이 형성됨으로써 작업자들이 단열층(11) 끝부분을 마감편(16) 외측까지 연장시킨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으면서 단열층 끝부분을 일률적으로 마감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열층마감편(16)들 사이사이마다 형성된 상부배수유도통로(17)들은 단열층(11) 하부로 침투된 빗물을 배수관(13)쪽으로 유도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여 준다.
제4도 및 제6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도수판(15) 하면에 돌출형성된 방수층압지편(18)들은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도수판(14) 상면으로 진입한 방수층(10)의 끝부분을 견고하게 눌러주게 되며, 그 압지편(18)들 사이사이로 형성된 하부배수유도통로(19)를 통하여 방수층(10)의 빗물을 배수관(13)쪽으로 원활히 배수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방수층압지편(18)들은 제6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는 내부압지편(20) 및 외부압지편(21)으로 형성하되 그 내,외부압지편(20), (21)들이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외부압지편(20), (21)들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됨으로써 방수층(10)의 빗물을 배수하여 주면서도 방수층(10) 끝부분을 전반적으로 골고루 압착하여 주기 위함이다.
그리고 중간도수판(15)의 전체적인 형상은 가운데에 배수공(22)이 뚫려지는 원판형으로 만들어지되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갈수록 약간 상향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하부도수판(14) 및 상부도수판(24)과 마찬가지로 중간도수판(15)에도 3개의 볼트구멍(26)들이 120。간격으로 뚫려져서 체결볼트(25)로 체결된다.
한편, 하부도수판 및 상부도수판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고안과 더불어 출원되는 명세서에 상세히 예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효과]
이와 같이 본고안은 첫째, 중간도수판(15) 상면 테두리쪽에 원형상으로 단열층마감편(16)들이 상부로 돌출되면서 그 마감편(16)들 사이사이마다 상부배수유도통로(17)들이 형성되기 때문에 단열층의 끝부분 마감처리가 용이하면서도 단열층의 빗물이 상부배수유도통로(17)들을 통하여 원활하게 배수되는 효과를 가지며, 둘째, 중간도수판(15) 하면에 원형상으로 방수층압지편(18)들이 상호 어긋나게 2중으로 돌출형성되면서그 압지편(18)들 사이사이마다 하부배수유도통로(19)들이 형성되기 때문에 압지편(18)들이 방수층(10)을 견고하게 압착하여 주면서도 방수층(10)의 빗물이 하부배수유도통로(19)들을 통하여 원활하게 배수관(13)을 배수되도록 하여 주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고안 루프드레인은 중간도수판의 상하면에 각각 단열층마감편 및 방수층압지편들이 돌출형성됨으로써 단열층 마감이 용이하면서 방수층을 견고하게 압착하여 주게 되며, 그 마감편 및 압지편들 사이사이마다 배수유도통로들이 형성됨으로써 단열층 및 방수층의 빗물을 원활히 배수하여 주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콘크리트슬라브층(9)에 매립되어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배수관(13)으로 낙하시켜 주는 하부도수판(14)과, 상기 하부도수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슬라브 상면에 깔려지는 방수층(10) 끝부분을 압착하여 주는 중간도수판(15)과, 상기 중간도수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마감층의 빗물을 하부로 배수하여 주는 상부도수판(24)과, 상기 하부도수판·중간도수판 및 상부도수판들에 수직하게 뚫려진 볼트구멍(26)들을 통하여 상호 체결하여 주면서도 상부도수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주는 체결볼트(25)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중간도수판(15)은 그 상면 테두리쪽에 원형상으로 단열층마감편(16)들이 상부로 돌출되면서 그 마감편(16)들 사이사이마다 상부배수유도통로(17)들이 형성되며, 그 하면에 원형상으로 방수층압지편(18)들이 하부로 돌출형성되면서 그 사이사이마다 하부배수유도통로(19)들이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드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압지편(18)들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는 내부압지편(20) 및 외부압지편(21)으로 형성하되 그 내,외부압지편(20),(21)들이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루프드레인.
KR2019960020328U 1996-07-09 1996-07-09 루프드레인 KR0134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328U KR0134018Y1 (ko) 1996-07-09 1996-07-09 루프드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328U KR0134018Y1 (ko) 1996-07-09 1996-07-09 루프드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309U KR980008309U (ko) 1998-04-30
KR0134018Y1 true KR0134018Y1 (ko) 1999-02-18

Family

ID=19461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0328U KR0134018Y1 (ko) 1996-07-09 1996-07-09 루프드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0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309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4018Y1 (ko) 루프드레인
JPH1088741A (ja) 太陽電池付屋根瓦
KR0134017Y1 (ko) 루프드레인
KR200406975Y1 (ko) 루프 드레인
KR0171704B1 (ko) 3중식 루프드레인의 설치방법
JPH0633078Y2 (ja) 屋根の構造
JPS6339305Y2 (ko)
JPS6122099Y2 (ko)
JPH0610026Y2 (ja) 屋根葺き用パネル
JP2003013565A (ja) 住宅の陸屋根
KR0134425Y1 (ko) 루프드레인
JP4068911B2 (ja) 平板瓦
JP3584202B2 (ja) 縦葺外装構造
JPH0135846Y2 (ko)
JPS603222Y2 (ja) 屋根構造
JPS5817060Y2 (ja) 板状屋根瓦
JP2500108Y2 (ja)
JPS5854497Y2 (ja) 板状屋根瓦
CN2432286Y (zh) 平顶刚性防水屋面板
JP2532743Y2 (ja) 防水シート
JPH0354515Y2 (ko)
JP2530563Y2 (ja) けらば用屋根パネル
JPS6143321U (ja) 屋根
JPS5940489Y2 (ja) けらば瓦
JPH04168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