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868B1 - 오디오신호의 레벨조절회로 - Google Patents

오디오신호의 레벨조절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868B1
KR0133868B1 KR1019880012085A KR880012085A KR0133868B1 KR 0133868 B1 KR0133868 B1 KR 0133868B1 KR 1019880012085 A KR1019880012085 A KR 1019880012085A KR 880012085 A KR880012085 A KR 880012085A KR 0133868 B1 KR0133868 B1 KR 0133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erminal
circuit
mos
input
differential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981A (ko
Inventor
쉬미트 프리드리히
Original Assignee
롤프-디이터 베르거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배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롤프-디이터 베르거,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배하 filed Critical 롤프-디이터 베르거
Publication of KR890005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1/00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 H03H11/02Multiple-port networks
    • H03H11/24Frequency-independent attenu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2Manually-operated control
    • H03G3/04Manually-operated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01Digital control of analog signals

Landscapes

  • Amplifier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오디오신호의 레벨조절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K1,CK2,CK3,CK4 : 결합 콘덴서OP1,OP2,OP3 : 연산 증폭기
OP4 : 차동 증폭기
본 발명은 오디오 증폭기에 공급되는 입력 전압을 분배하는 저항 체인 및 C-MOS 스위치의 출력에서 저항 체인의 탭을 단계적으로 도통시키는 디지털 제어 가능한 입력을 가진 C-MOS 스위치를 사용해서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MOS-FET 스위치 또는 C-MOS-FET 스위치로 구성된 상기와 같은 회로는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오디오 증폭기에서 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회로의 체인형 직렬 접속에 의해 개략적인 그리고 미세한 단계로 조절, 예를 들면 0 내지 110db의 레벨을 임의의 폭 예를들면 2db의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C-MOS 스위치는 레벨 변경동안 잡음신호를 발생시킨다는 불리한 특성을 가진다. 상기 잡음신호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 집적회로 기술로 설치된 C-MOS 스위치는 예를 들면 BCD- 코드로 제어 가능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F)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제어된 게이트와 소오스-드레인 구간 사이에서 불가피한 용량 결합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이 스위치는 논리 회로 사이에서도 용량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논리 회로는 제어 코드를 10진 코드로 디코딩한다. 3개의 입력은 예를 들면 1 : 8논리 회로일 수 있으며 2개의 입력은 1 : 4논리 회로일 수 있다. 또한, 동작 전압과 접지 사이의 신호 통로에도 용량성 결합이 나타난다. 단계적인 레벨 조절시 스파이크 펄스는 스위치의 동작 전압 크기로 발생한다. 이 스파이크 펄스의 지속 시간이 마이크로초 범위에 놓이면, 이것은 오디오 증폭기의 저역 필터 작용에 의해 그리고 인간의 귀의 생리학에 의해 변화의 각 단계마다 하나의 클릭으로 통합되어 가청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회로에서 상기 방해 잡음을 제거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오디오 증폭기에 공급된 입력전압을 감쇠시키는 하나의 저항기 체인과 각각의 제어 입력단이 병렬로 접속되며 각각의 출력단이 차동 증폭기의 두 개의 입력단에 각각 접속되는 제 1 및 제 2C-MOS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차동증폭기의 출력단에서 유효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저항기 체인이 단계적으로 상기 제 1 C-MOS스위치의 출력단에 접속될 수 있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 조절회로에서, 상기 제 2 C-MOS스위치의 입력단이 상기 차동 증폭기의 출력단에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됩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증폭되고 조절되어야 할 입력 신호(Ue)는 연산증폭기(OP1)의 입력단(E)에 공급되고, 연산 증폭기(OP1)의 출력단에 있는 저항 체인(PK1)은 결합콘덴서(CK1)를 통해 접지로 접속된다. 저항 체인(PK1)의 탭은 C-MOS 회로(IC1)의 입력단(e1.1 내지 e1.8)에 접속된다. 이 C-MOS회로(IC1)는 예를 들면 BCD- 코드에서 입력단(e1.1 내지 e1.8)을 출력단(a1)에 차례로 접속시키는 3개의 제어 입력단 (A,B,C)를 가진다. 출력단(a1)에서 출력된 신호는 결합 콘덴서(CK2) 및 연산증폭기(OP2)를 통해 연산 증폭기(OP2)의 출력단(02)에 전달된다. 지금까지 기술된 회로는 공지되어 있다. 전술한 용량 결합에 의해 연산 증폭기(OP2)의 출력단(02)에는 유효 신호외에 방해 스파이크 펄스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회로의 개선 부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MOS 회로(IC1)와 병렬로 제 2 의 C-MOS스위치(IC2)를 설치한다. 이 제 2C-MOS 회로의 입력단(e2.1 내지 e2.8)에도 마찬가지로 RK2로 표시된 저항 체인이 접속된다. 연산 증폭기(OP1)의 출력단(01)의 신호는 인버터(INV) 및 결합 콘덴서(CK3)를 통해 C-MOS 스위치(IC2)의 입력(e2.1)에 전달된다. 출력단(a2)의 신호는 결합 콘덴서(CK4)를 통해 연산증폭기(OP3)의 입력에 전달된다. C-MOS 스위치(IC2)의 제어 입력단(A,B,C)은 C-MOS 스위치(IC1)의 제어 입력단(A,B,C)가 병렬로 놓인다. 연산 증폭기(OP2)의 출력단(02) 및 연산 증폭기(OP3)의 출력단(03)은 차동 증폭기(OP4)의 각 입력단에 접속되며, 차동 증폭기(OP4)의 출력단(04)에서는 간섭없는 유효 신호(Ua)가 출력될 수 있다. 기술된 회로의 작용은 회로(IC1,IC2)로부터의 간섭 펄스가 입력(A,B,C)에서 동시적이고 동일한 디지털 제어에 의해, 동기적으로 그리고 동일한 위상으로 발생됨으로써 설명된다. 이러한 간섭 펄스는 차동 증폭기(OP4)에 의해 보상되어 출력단(04)에 나타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유효 신호는 차동증폭기(OP4)의 입력단에 역 위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차동증폭기(OP4)는 유효 신호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2개의 증폭기를 병렬로 접속함으로써 최소한 3dB의 신호/잡음비가 개선된다.
간섭의 보상은 회로(IC1,IC2)가 정확히 동일한 크기의 간섭을 발생시킬 때 최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제조회사가 다른 경우에는 이것이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2개의 회로(IC1,IC2)를 동일한 칩에 설치하면 본 발명이 개선된다. 제2도에는 이러한 회로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제1도 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예로써 회로(IC3)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IC3)는 2개의 제어 입력(A,B)을 가진다. 입력(e1.1 내지 e1.4)과 입력(e2.1 내지 e2.4)사이의 저항 체인(RK1,RK2)은 각각 4개의 저항으로 구성된다. 이 회로의 체인형 직렬 접속에 의해 레벨이 동일한 크기로 조절될 수 있다.
제3도에는 전술한 간섭 펄스를 제거하기 위한 다른 회로가 되시되어 있다. 제3도의 상부 절반은 제2도와 일치하지만 하부 절반에서 입력(e2.1 내지 e2.4)은 출력단(a2)을 통해 차동 증폭기(OP4)의 출력단(04)을 그 반전입력과 연결시킨다. 이때, 유효 신호는 더 나은 신호/잡음비를 포기하고 증폭기(OP2,OP3) 및 인버터(INV)없이 단지 차동 증폭기(OP4)의 입력단에만 전달된다.
IC1, IC2 및 IC3으로 표시된 C-MOS 스위치는 예를 들면 여러 제조회사에서 제조한 MC 4051,4052M 14052 및 14097일 수 있다.

Claims (2)

  1. 오디오 증폭기에 공급된 입력전압을 감쇠시키는 하나의 저항기 체인(RK1)과 각각의 제어 입력단(A,B)이 병렬로 접속되며 각각의 출력단(a1,a2)이 차동 증폭기(OP4)의 두 개의 입력단에 각각 접속되는 제1및 제 2 C-MOS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차동증폭기(OP4)의 출력단(04)에서 유효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저항기 체인(RK1)이 단계적으로 상기 제 1C-MOS 스위치의 출력단(a1)에 접속될 수 있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 조절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 2 C-MOS 스위치의 입력단은 상기 차동 증폭기(OP4)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 조절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C-MOS 스위치(IC1,IC2)는 단일 집적회로로 집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 조절 회로.
KR1019880012085A 1987-09-19 1988-09-19 오디오신호의 레벨조절회로 KR0133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731643.5 1987-09-19
DE3731643.5 1987-09-19
DE19873731643 DE3731643A1 (de) 1987-09-19 1987-09-19 Schaltungsanordnung zur pegeleinstellung von audiosigna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981A KR890005981A (ko) 1989-05-18
KR0133868B1 true KR0133868B1 (ko) 1998-04-23

Family

ID=633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085A KR0133868B1 (ko) 1987-09-19 1988-09-19 오디오신호의 레벨조절회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88496A (ko)
EP (1) EP0308628A3 (ko)
JP (1) JP2960422B2 (ko)
KR (1) KR0133868B1 (ko)
DE (1) DE3731643A1 (ko)
DK (1) DK5183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29890A1 (de) * 1989-09-08 1991-03-14 Telefunken Electronic Gmbh Schaltung zur signalverarbeitung symmetrischer signale
DE3930068A1 (de) * 1989-09-09 1991-03-21 Rheydt Kabelwerk Ag Informationsuebertragungssystem
IT1249299B (it) * 1991-04-30 1995-02-22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Circuito integrato con componenti passivi trimmabili
US5233309A (en) * 1992-01-09 1993-08-03 Analog Devices, Inc. Programmable gain amplifier
JPH05315868A (ja) * 1992-05-14 1993-11-26 Pioneer Electron Corp ボリューム装置
US5742204A (en) * 1996-02-29 1998-04-21 Harris Corporation Digitally programmable differential attenuator with tracking common mode reference
DE19639216A1 (de) * 1996-09-25 1998-03-26 Thomson Brandt Gmbh Wiedergabe- oder Aufzeichnungsgerät zum Lesen oder Bespielen eines optischen Aufzeichnungsträgers mit einer Schaltung zum Unterdrücken von Jaulgeräuschen sowie Verfahren dazu
ID19364A (id) * 1996-09-25 1998-07-02 Thomson Brandt Gmbh Mereproduksi atau alat perekaman untuk mereproduksi, atau perekam, suatu medium perekam optikal
US6876412B2 (en) * 2001-04-06 2005-04-05 Sony Corporation Guest-host liquid crystal element with removable polarizer
ATE386288T1 (de) * 2003-08-04 2008-03-15 Indian Space Res Organisation Steuerschaltung für hf-schaltungen auf diodenbasis
US7519190B2 (en) * 2005-04-18 2009-04-14 Princeton Technology Corporation Circuit for reducing pulse noise caused at switching of an analog audio processing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85410A (en) * 1972-08-10 1975-02-26 Micro Consultants Ltd Signal sampling
US3819953A (en) * 1972-11-22 1974-06-25 Gen Electric Differential bucket-brigade circuit
JPS5711511A (en) * 1980-06-25 1982-01-21 Pioneer Electronic Corp Digital control type variable attenuator
NL8100033A (nl) * 1981-01-07 1982-08-02 Philips Nv Signaaloverdrachtsinrichting met een in stappen instelbare overdrachtskarakteristiek.
JPS6028310A (ja) * 1983-07-26 1985-02-13 Nec Corp 電子ボリユ−ム
IT1215237B (it) * 1985-02-20 1990-01-31 Ates Componenti Elettron Attenuatore a basso rumore ed elevata stabilita'termica,di tipo integrabile
JPS6268311A (ja) * 1985-09-20 1987-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ボリユ−ム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518388A (da) 1989-03-20
KR890005981A (ko) 1989-05-18
JPH01101710A (ja) 1989-04-19
EP0308628A2 (de) 1989-03-29
DE3731643A1 (de) 1989-03-30
JP2960422B2 (ja) 1999-10-06
EP0308628A3 (de) 1991-01-09
DK518388D0 (da) 1988-09-16
US4888496A (en) 198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1838A (en) Clock pulse generating apparatus
US5061900A (en) Self-zeroing amplifier
KR0133868B1 (ko) 오디오신호의 레벨조절회로
US4490682A (en) Instrumentation amplifier having automatic offset adjustment
JPH05243874A (ja) デジタル利得設定を備えたモノリシック集積差動増幅器
US6396934B1 (en) Analog audio filter for high frequencies
KR19980078044A (ko) 트리거 전압 조정이 가능한 슈미트 트리거 회로
US6316927B1 (en) Voltage output driver and filter
EP0374744A3 (en)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US5028893A (en) Switched capacitor filters with continuous time control
US4029972A (en) Ramping circuit
US4853609A (en) Distortion-free, opposite-phase current source
CA2067581A1 (en) Equivalent inductance circuit
KR0142208B1 (ko) 신호의 레벨을 전자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회로 장치
US6313686B1 (en) Waveform output device with EMI noise canceler mechanism
US4466118A (en) Dual range audio level control
ATE50672T1 (de) Schaltungsanordnung zur lautstaerkestellung.
US5402017A (en) Controllable circuit configuration for compensating fluctuations in an amplifier
KR920006132B1 (ko) 다단 신호 전송장치
US4490687A (en) Electronic amplifier
US4547742A (en) Amplifier circuit with surge suppression
US3819957A (en) Two channel balance control device
US4513253A (en) Electronic amplifier having a transmission factor that is variable by means of a controllable voltage, specifically an expander
US4326443A (en) Integrated organ circuit
KR900005654Y1 (ko) 저역통과 필터의 통과 대역 조절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