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741Y1 -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741Y1
KR0133741Y1 KR2019920027048U KR920027048U KR0133741Y1 KR 0133741 Y1 KR0133741 Y1 KR 0133741Y1 KR 2019920027048 U KR2019920027048 U KR 2019920027048U KR 920027048 U KR920027048 U KR 920027048U KR 0133741 Y1 KR0133741 Y1 KR 01337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assette
guide
guide ho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27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330U (ko
Inventor
김인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20027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741Y1/ko
Publication of KR9400173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3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7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7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7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81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pivoting movement of the cassette holder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세트와 부품간의 간섭현상이 방지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본 고안 오픈장치는 프레임(30)에 형성된 안내장공이, 직선부(31)와 그 직선부(31'')와 연결되는 곡선부(31')를 가지는 제1안내장공(31)과, 제1안내장공(32)의 직선부(31)와 평행한 직선부만을 가지는 제2안내장공(32)으로 형성되어, 상기 홀더 하우징(10)이 힌지(11)를 중심으로 회전될 때, 상기 각 가이드 핀(50)(50')이 상기 제1, 2안내장공(31)(32)의 각 직선부(31)(32)에 각각 슬라이딩되어 상기홀더(20)가 프레임(30)으로부터 평행이동되고, 이어서 제2안내장공(32)에 결합된 가이드 핀(50')을 중심으로 제1안내장공(31)에 결합된 가이드 핀(50)이 제1안내장공(31)의 곡선부(31')에 슬라이딩되어 상기 홀더(20)와 홀더 하우징(10)이 회전되어 오픈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장치내부의 부품과 카세트(40)가 간섭되는 현상없이 카스테 홀더(20)를 오픈시키게 되므로 카세트(40) 및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홀더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3도 및 제4도는 제2도의 개폐장치의 홀더가 열리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5도는 가이드 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6도는 홀더와 홀더 하우징의 개략 사시도.
제7도는 가이드 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홀더 하우징 11 : 힌지
12, 13, 21, 22 : 결합공 20 : 홀더
30 : 프레임 31, 32 : 안내장공
50, 50' : 가이드 핀
본 고안은 캠코더(camcorder)등 카세트 플레이어에 사용되는 도어형 카세트 홀더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카세트가 수납되는 홀더를 오픈시킬시 카세트가 플레이어 내부의 부품과 간섭되는 일 없이 열리고 닫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카세트 홀더 오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가 제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1)에는 테이프를 압착하여 이송시키는 캡스턴 모터축(6)과 미도시된 핀치롤러 및 헤드드럼과 테이프 가이드 기구등이 설치되는 데크가 조립된다. 그리고 프레임(1)에는 원호형의 안내장공(1')(1)이 형성되어 있고, 홀더(2)는 프레임(1)에 일단이 힌지(5) 결합된다. 그리고 홀더(2)와 프레임(1)과는 스프링(4)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는, 상기 홀더(2)를 오픈스킬시 홀더(2)는 프레임(1)에 대해 상기 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오픈되게 되는 바, 이때 홀더(2)는 그 가이드 핀(2')(2)이 프레임(1)의 안내장공(1')(1)에 슬라이딩되어 홀더(2)의 회전을 안내하며, 가이드 핀(2')(2)이 안내장공(1)(1)의 단부에 스토핑되어 홀더(2)의 오픈각도를 유지시킨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는, 상기 홀더(2)의 회전중심인 힌지(5)와 카세트(3)와의 최단거리가 비교적 짧은 경우, 홀더(2)가 프레임(1)에 회전될 때 카세트(3)의 단부가 상기 캡스턴 모터 축(6)과 접촉되는 간섭현상이 발생되어, 홀더(2)로부터 카세트(3)를 빼내기 번거롭고 또한 카세트(3) 및 이와 간섭되는 캡스턴 모터 축(6)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홀더를 오픈시킬 때 카세트가 장치내부의 다른 부품과 접촉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개선된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테이프 카세트를 수납하는 홀더와 이 홀더가 수납되는 홀더 하우징과 이 홀더 하우징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프레임을 구비한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측면에 2개의 가이드 핀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홀더 하우징에는 그 가이드 핀이 결합되는 2개의 원호형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호 나란한 직선부를 가지며, 그 하나가 연장된 원호부를 가지는 2개의 안내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홀더 하우징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될대 회전초기에는 각 가이드 핀이 안내장공의 각 직선부에 슬라이딩 된다. 따라서 홀더는 프에임에 대해 평행이동되며 홀더 하우징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된다. 각 가이드 핀이 각 안내장공의 직선부에 슬라이딩이 완료되면 이후 안내장공에 결합된 하나의 가이드 핀을 중심으로 안내장공에 결합된 다른 가이드 핀은 곡선부를 따라 슬라이딩 된다. 이대 홀더와 홀더 하우징은 동시에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어 오픈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는 오픈초기에 홀더를 프레임에 대해 평행이동 시킴으로써 장치내부의 부품과 카세트가 간섭되는 현상없이 카세트 홀더를 오픈시키게 되므로 카세트 및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홀더(20)가 닫힌상태를 나타내고, 제3도 및 제4도는 홀더(20)가 오픈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2도 내지 제4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 홀더(20)에는 카세트(40)가 수납되며, 그 홀더(20)는 홀더 하우징(10)에 결합된다. 그리고 홀더 하우징(10)은 프레임(30)에 힌지(11)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20)에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두 개의 결합공(2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더 하우징(10)에는 상기 홀더(20)의 각 결합공(21)(22)에 대응하여 원호형의 결합공(1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30)에는 테이프를 압착하여 이송시키는 캡스턴 모터축(80)과 미도시된 핀치롤러 및 헤드드럼과 테이프 가이드 기구등이 설치되는 데크가 조립되며, 상기 홀더(20) 및 홀더 하우징(10)의 결합공에 대응하여 제1, 2안내장공(31)(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안내장공(31)은 직선부(31)와 그 직선부(31)와 연결되는 곡선부(31')를 가지며, 제2안내장공(32)은 제1안내장공(31)의 직선부(31)와 평행한 직선부만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1안내장공(31)의 곡선부(31')는 상기 홀더 하우징(10)이 힌지(11)을 중심으로 회전될때의 회전곡률과 같은 곡률을 가진다.
그리고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0)와 홀더 하우징(10)은 그 결합공들을 통하여 가이드 핀(50)(50')으로 결합되며, 각 가이드 핀(50)(50')은 프레임(30)의 안내장공(31)(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6도를 참조하면, 홀더(20)단부에 형성된 돌출력(24)과 홀더 하우징(10)의 걸림턱(14)을 스프링(23)으로 연결하여, 홀더(20)는 홀더 하우징(10)에 탄성바이어스 설치된다.
그리고 제2도를 참조하면, 홀더 하우징(10)과 프레임(30)은 스프링(60)으로 연결되어서 홀더 하우징(10)이 탄력적으로 오픈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홀더(20)에는 이에 카세트(40)가 수납되었을시 카세트(40)의 수납상태를 안정하게 잡아주는 판스프링(70)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제2도를 참조하면, 홀더 하우징(10)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각 가이드 핀(50)(50')은 제1, 2안내장공(31)(32)의 직선부(31)(32) 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는 캠코더 등의 플레이어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카세트(40)에는 캡스턴 모터축(80)이 진입되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도록 작동된다.
그리고 플레이어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카세트(40)를 이젝팅시키고자 할시에 도시되지 않은 이젝팅 버튼을 조작하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하우징(10)은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오픈되게 된다.
한편, 홀더 하우징(10)의 오픈초기에는 상기 각 가이드 핀(50)(50')이 상기 제1, 2 안내장공(31)(32)의 직선부(31)(32)에 각각 슬라이딩되는데, 이대 상기 홀더(20)는 프레임(30)에 대해 평행이동(상기 캡스턴 모터 축의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홀더 하우징(10)은 힌지(11)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0)가 프레임(30)에 대해 평행이동 됨으로써 프레임(30)에 설치되는 캡스턴 모터 축(80)과 같은 부품에 카세트(40)가 접촉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홀더 하우징(10)의 회전은 그에 형성된 결합공(12)(13)이 원호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각 가이드 핀(50)(50')이 제1, 2 안내장공(31)(32)의 직선부(31)(32)에서의 슬라이딩이 완료되면, 제2안내장공(32)에 결합된 가이드 핀(50')은 정지되고 제1안내장공(31)에 결합된 가이드 핀(50)만이 가이드 핀(50')을 중심으로 곡선부(31')를 따라 슬라이딩 된다. 이때 홀더(20)와 홀더 하우징(10)은 동시에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어 오픈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는 오픈초기에 홀더(20)를 프레임(30)에 대해 평행이동 시킴으로써 장치내부의 부품과 카세트(40)가 간섭되는 현상없이 카세트 홀더(20)를 오픈시키게 되므로 카세트(40) 및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는 카세트와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원할하게 작동되므로 이를 채용한 플레이어의 상품적 가치를 높이는 효과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테이프 카세트(40)를 수납하는 홀더(20)와 이 홀더(20)가 수납되는 홀더 하우징(10)과, 이 홀더 하우징(10)의 일단이 힌지(11)결합되는 프레임(30)을 구비한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20)의 측면에 2개의 가이드 핀(50)(5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홀더 하우징(10)에는 그 가이드 핀(50)(50')이 결합되는 2개의 원호형 결합공(12)(13)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30)에는 상호 나란한 직선부(31)(32')를 가지며, 그 하나가 연장된 원호부(31')를 가지는 2개의 안내장공(31)(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
KR2019920027048U 1992-12-29 1992-12-29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 KR01337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27048U KR0133741Y1 (ko) 1992-12-29 1992-12-29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27048U KR0133741Y1 (ko) 1992-12-29 1992-12-29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330U KR940017330U (ko) 1994-07-28
KR0133741Y1 true KR0133741Y1 (ko) 1999-03-20

Family

ID=1934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27048U KR0133741Y1 (ko) 1992-12-29 1992-12-29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7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330U (ko) 199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4991A (en) Cassette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0133741Y1 (ko) 카세트 도어 개폐장치
KR870002579A (ko) 자기 테이프 레코오더용 테이프 카세트, 그 도어작동기구 및 도어 작동방법
US6604701B2 (en) Single reel tape cartridge sliding door with auxiliary leader retractor
JPH041715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50004258A (ko) 테이프 레코더의 도어장치
KR950004192A (ko)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 개폐장치
US6667942B2 (en) Loading device for optical disk medium
JP3365157B2 (ja) カートリッジ磁気テープ駆動装置
JPS5843831B2 (ja) テ−プカセツト
KR970003700Y1 (ko) 카세트 테이프 인출장치
JP2621540B2 (ja)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搬送機構
KR100439668B1 (ko) 테이프카세트덮개장치
EP1100082A2 (en) Cassette holder
JP2570696B2 (ja) 小型テ−プカセツト
US7612962B2 (en) Housing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DVD camcorder
KR940000856Y1 (ko) 테이프 카세트의 로딩장치
JPH04357354A (ja) カム機構
KR200177242Y1 (ko) 비디오 테이프 리코더의 이중도어 개폐장치
JPH0713069Y2 (ja) カセット装着装置
KR920002118Y1 (ko) 레코더의 테이프 카세트 착탈장치
JPS63255865A (ja) ビデオテ−プレコ−ダ
JP3118399B2 (ja) カセット装着装置
JPS60185275A (ja) 磁気テ−プカセツト
KR100320750B1 (ko) 카세트 테이프 취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