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711Y1 - 도어 오픈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오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711Y1
KR0133711Y1 KR2019950010408U KR19950010408U KR0133711Y1 KR 0133711 Y1 KR0133711 Y1 KR 0133711Y1 KR 2019950010408 U KR2019950010408 U KR 2019950010408U KR 19950010408 U KR19950010408 U KR 19950010408U KR 0133711 Y1 KR0133711 Y1 KR 0133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device
present
protrusion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0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959U (ko
Inventor
김병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10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711Y1/ko
Publication of KR9600389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9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7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02Detai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향/영상기기 등에 설치되는 콘트롤러 도어의 자동 오픈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자동 오픈 장치는 유무선 신호처리 조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제1도어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이 돌기부가 제1도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도록 구성하고, 제1도어와 나란하게 설치된 제2도어가 돌기부의 회동운동으로 인한 간섭에 의해 자동적으로 오픈되도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오픈 장치의 적용에 의해 보다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도어를 오픈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오픈 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가정용 텔레비젼 세트의 외관을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일반적인 비디오 텔레비젼 세트의 일예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외관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비디오 텔레비젼 세트에 마련되는 종래의 콘트롤러 도어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단면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오픈 장치가 구비된 콘트롤러 도어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단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0 : 도어
11 : 특수 기능 스위치 20, 20 : 카세트 출입 도어
21, 21 : 콘트롤러 도어 22, 32 : 잠금장치
201, 211, 311 : 힌지 40 : 돌기부
본 고안은 다양한 기능 조작 스위치가 구비된 기계장치 등에 개폐가능하게 마련되어 그 조작 스위치 등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의 역할을 하도록 된 콘트롤러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디오 텔레비젼 세트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등과 같은 음향/영상기기에 적용되는 콘트롤러 도어의 자동 오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기능이 부여된 기계장치는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용 스위치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 조작 스위치는 통상 기계장치의 가동 시작과 중단을 결정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 등과 같이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되는 조작 스위치와, 조절 및 조정등과 같이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되는 조작 스위치 등이 있다.
가장 일반적인 예로서, 비디오 텔레비젼 세트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등과 같은 음향/영상기기에는 온-오프 스위치, 음량 조절 스위치 및 채널 선택 스위치 등과 같이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와, 화면밝기의 조정이나 콘트라스트의 조정 및 화면의 상하좌우 이동 등과 같이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조작 스위치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조작 스위치들은 종래의 음향/영상기기에 있어서는 거의 대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케이스 외부에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였다. 이러한 외부 노출형의 경우 스위치의 보호기능이 떨어짐은 물론, 외관미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상기한 조작 스위치들의 사용 빈도를 고려해 볼 때, 특수 기능 조작 스위치가 기본 기능 조작 스위치보다 훨씬 사용빈도가 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 것으로서,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개선한 것이 제1도에 예시한 텔레비젼 세트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 빈도가 낮은 특수 기능 조작 스위치(11)를 개폐가능한 도어(10)의 내부 공간에 설치하고, 필요시에만 도어를 오픈하여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제2도는 제1도에 예시한 텔레비젼에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를 장착시킨 소위 비디오 텔레비젼을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최초에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출입을 위한 도어(20)만 장착한 것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이 경우 어린이들이 비디오 카세트 출입 도어(20)에 손을 넣는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제1도에 예시한 것과 같은 보호용 콘트롤러 도어(21)를 본체(1)에 추가로 설치한 것이 제안 출시되고 있다.
첨부 도면 중,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비디오 텔레비젼에 마련되는 종래의 콘트롤러 도어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단면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면 비디오 카세트 출입도어(20)는 통상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자동 개폐되도록 조작되며, 이때 비디오 카세트가 장착되는 데크가 마련된 본체 내측 상방으로 회동하도록 상단부가 힌지(201)에 의해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용 콘트롤러 도어(21)는 상기 비디오 카세트 출입도어(20)와는 반대로 하방 회동되도록 하단부가 힌지(211)에 의해 결합된 구조를 이루며, 상단부에는 자석 등으로 이루어진 잠금장치(22)가 마련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를 장착 또는 취출할 경우에 상기 잠금장치(22)를 수동으로 해제하여 도어(21)를 개폐하여야만 하므로 상당한 번거로움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의해 상기 카세트 출입 도어(20)가 자동 오픈되어 카세트 테이프가 취출될 경우에 상기 콘트롤러 도어(21)의 내벽과 부딪히는 현상이 발생하여 테이프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보호용 콘트롤러 도어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향/영상기기용 콘트롤러 도어를 자동적으로 오픈시키는 도어 자동 오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자동 오픈 장치는, 음향/영상기기 등의 본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유무선 신호처리 조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제1도어와, 상기 제1도어의 회동에 따라 연동하여 회동하도록 상기 제1도어의 힌지결합부에 마련되는 돌기부 및 상기 돌기부의 회동에 따른 간섭에 의해 오픈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제2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한 도어 오픈 장치에 있어서, 특히 상기 돌기부는 힌지결합부에서 상기 제1도어의 길이 반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제1도어의 평면과 평행한 위치의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의 회동에 따른 간섭에 의해 자동으로 오픈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오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오픈 장치가 구비된 콘트롤러 도어를 비디오 텔레비젼에 적용한 경우의 예를 들어 나타내보인 개략적 단면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오픈 장치는 제1도어로서 통상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자동 개폐되도록 조작되는 비디오 카세트 출입 도어(30)가 비디오 텔레비젼 본체(1)에 마련되며, 이 비디오 카세트 출입 도어(30)는 비디오 카세트가 장착되는 데크가 마련된 본체(1) 내측 상방으로 회동하도록 상단부가 힌지(201)에 의해 본체(1) 일측에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카세트 출입 도어(30)의 외면과 평행한 본체 외측부에는 제2도어로서 보호용 콘트롤러 도어(31)가 마련되는데, 상기 비디오 카세트 출입 도어(30)와는 반대로 하방 회동되도록 하단부가 힌지(311)에 의해 결합된 구조를 이루며, 상단부에는 자석 등으로 이루어진 잠금장치(32)가 마련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편, 상기 비디오 카세트 출입 도어(30)의 힌지(201)에는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요소를 이루는 돌기부(4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기부(40)는 상기 비디오 카세트 출입 도어(30)의 길이 반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비디오 카세트 출입 도어(30)의 회동에 따라 연동하여 회동하게 되어 있는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사용자가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를 취출하기 위해서 리모트 콘트롤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비디오 카세트 출입 도어(30)가 자동적으로 오픈되면서 상기 돌기부(40)가 연동하여 회동함에 따라 이돌기부(40)가 상기 보호용 콘트롤러 도어(31)를 밀어내게 되어 자동적으로 오픈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자동 오픈 장치는 유무선 신호처리 조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제1도어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 돌기부가 제1도어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도어와 나란하게 설치된 제2도어가 돌기부의 회동운동으로 인한 간섭에 의해 자동적으로 오픈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오픈 장치의 적용을 통하여 보다 간단한 조작에 의해 도어를 오픈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받을 수 있다.

Claims (2)

  1. 음향/영상기기 등의 본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유무선 신호처리 조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제1도어와, 상기 제1도어의 회동에 따라 연동하여 회동하도록 상기 제1도어의 힌지결합부에 마련되는 돌기부 및 상기 돌기부의 회동에 따른 간섭에 의해 오픈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제2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점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오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힌지결합부에서 상기 제1도어의 길이 반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제1도어의 평면과 평행한 위치의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의 회동에 따른 간섭에 의해 자동으로 오픈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오픈 장치.
KR2019950010408U 1995-05-16 1995-05-16 도어 오픈 장치 KR0133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408U KR0133711Y1 (ko) 1995-05-16 1995-05-16 도어 오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408U KR0133711Y1 (ko) 1995-05-16 1995-05-16 도어 오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959U KR960038959U (ko) 1996-12-18
KR0133711Y1 true KR0133711Y1 (ko) 1999-03-20

Family

ID=1941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0408U KR0133711Y1 (ko) 1995-05-16 1995-05-16 도어 오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7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567B1 (ko) * 2006-06-26 2008-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 패널
KR100838568B1 (ko) * 2006-06-26 2008-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567B1 (ko) * 2006-06-26 2008-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 패널
KR100838568B1 (ko) * 2006-06-26 2008-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959U (ko) 199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711Y1 (ko) 도어 오픈 장치
JPH07162785A (ja) テレビのフロントドア開閉装置
JP3336692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3148246A (en) Telephone enclosure panel
KR100358763B1 (ko) 냉장고디스펜서의이슬맺힘방지구조
JPS60150697A (ja) 扉開閉装置
KR200143745Y1 (ko) 텔레비젼 도어개폐장치
KR930001160Y1 (ko) 냉장고의 전면제어 판넬용 커버
KR910008185B1 (ko) 도어 개폐장치
KR0113735Y1 (ko) 비디오카세트 레코더 내장형 텔레비젼
KR100346722B1 (ko) 텔레비젼 세트의 a/v잭 개폐용 도어장치
KR200142346Y1 (ko) 도어 개폐 장치
KR0130266Y1 (ko) Vtr 및 mvcr의 테이프 출입도어 자동개방장치
KR0121486Y1 (ko) 도어댐퍼장치
KR0114667Y1 (ko) 접이식 도어
KR950001102Y1 (ko) 자동차의 도아 과다열림방지장치
KR100255384B1 (ko) 통신장비의도어각도조절장치
KR940005657Y1 (ko) 가전제품의 카버 도어장치
JPH0877437A (ja) 自動販売機の外扉ヒンジ機構
KR960006829Y1 (ko) 전자제품의 프론트 도어 개폐장치
JP3179886B2 (ja) クロスゲート用防滴ガードプレート
KR0147564B1 (ko) 전자제품의 도어 브레이크 장치
KR200306189Y1 (ko) 테이프레코더의도어결합장치
KR960009298Y1 (ko) 도어장치
KR19990001796U (ko) 전자제품의 콘트롤도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