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667Y1 - 접이식 도어 - Google Patents

접이식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667Y1
KR0114667Y1 KR2019940036133U KR19940036133U KR0114667Y1 KR 0114667 Y1 KR0114667 Y1 KR 0114667Y1 KR 2019940036133 U KR2019940036133 U KR 2019940036133U KR 19940036133 U KR19940036133 U KR 19940036133U KR 0114667 Y1 KR0114667 Y1 KR 0114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fixing
protrusions
coupl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6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6167U (ko
Inventor
류명현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40036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667Y1/ko
Publication of KR9600261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61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6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Abstract

본 고안은 텔레비젼 수상기 등의 전면 하부에 위치한 색상 및 미세채널조정 노브 등의 전방에 설치 되는 접이식 도어에 관한 것으로, 일단의 상하면에 고정돌기(21a,21b)가 형성된 일측도어(22)의 타단으로는 상부 및 하부 일측에 가이드 돌기(25a,25b)를 갖는 타측도어(24)의 일단이 결합축(23)에 의하여 힌지결합되고, 상기한 타측도어(24)의 정면에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손잡이(26)를 수직으로 형성하였으며, 상기한 결합축(23)으로는 일측도어(22)와 타측도어(24)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밀착하는 비틀림스프링(28)을 결합하고, 수상기 본체(1)에 형성된 조정수단 설치부의 전방 상하면으로는 타측도어(24)의 가이드 돌기(25a,25b)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말단에 걸림부(5)를 갖는 가이드홈(4)를 형성하였으며, 상기한 가이드홈(4)의 대향면으로는 일측도어(22)의 고정돌기(21a,21b)가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고정홈(3)을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어의 개폐작동이 수월하고, 조정 노브의 조작시 도어가 간섭을 주지 않게 되어 조정 노브 조작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도어
제1도는 종래 텔레비젼의 조절부 전면도어의 예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도어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도어가 설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텔레비젼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상기 본체 3 : 고정홈
4 : 가이드홈 5 : 걸림부
10 : 도어 20 : 접이식 도어
21a, 21b : 고정돌기 22 : 일측도어
23 : 결합축 24 : 타측도어
25a, 25b : 가이드돌기 26 : 손잡이
28 : 비틀림 스프링 K : 조정노브
L : 괘지부
본 고안은 텔레비젼 수상기 등의 전면 하부에 위치한 색상 및 미세채널 조정 노브 전방에 설치되는 도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어의 내측에 위치한 노브의 조작시 도어에 의한 간섭을 배제할 수 있고, 도어 개폐시 공간적인 제한을 받지 않도록 좌우 2단으로 구성되어 힌지 결합된 도어가 일측면으로 접혀지면서 열리도록한 접이식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수상기의 일측에는 시청자의 취향에 맞도록 음색 및 색상이나 명암 등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조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음색 및 색상이나 명암 등의 조정수단은 통상적으로 수상기의 전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는데, 주로 수상기의 전면 하부에 다수의 조정수단이 집합적으로 구성된다. 또한, 근래에는 원격 조정기등이 많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반복적인 변환을 요구하는 조정수단은 수상기 본체와 원격조정기에 동시에 구비되어 있으며, 비교적 사용빈도가 낮은 색상조정수단이나 미세채널 조정수단 등은 수상기 본체에만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빈도가 낮은 조정수단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상기 본체(1)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며, 이러한 조정수단의 외부에는 방진 및 외관의 향상을 위한 도어(1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도어(10)는 그 하부의 양측이 수상기 본체(1)에 힌지결합되어 힌지결합부를 축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도어(10)의 열림동작시 도어(10)가 완전히 열리지 않아 도어(10) 내측의 조정노브(K)를 손으로 조작할 경우에 사용자의 손의 일부가 도어(10)에 접촉하게 되어 노브(K)의 조작에 많은 불편이 따르게 된다. 또한, 이와 함께 도어(10)를 괘지하는 괘지부(L)가 잦은 사용이나 불량 등의 원인으로 인해 재기능을 다하지 못할 경우에는 도어(10)가 닫혀 있지 못하게 되고 항상 하부 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갖게 됨으로써 먼지 및 이물질이 도어(10) 내측으로 유입되어 내부를 오염시키고, 수상기 본체(1)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텔레비젼 수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색상조정 및 미세채널조정 수단과 같이 잦은 사용을 요구하지 않는 조정수단의 설치부 전방에 부착되는 도어가 방진 및 디자인 향상 등의 제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도어 내부에 구비한 조정노브의 조작시 도어와의 접촉에 의한 장애를 방지하여 노브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일단의 상하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일측도어의 타단으로는 상부 및 하부 일측에 가이드 돌기를 갖는 타측도어의 일단이 결합축에 의하여 힌지결합되고, 상기한 타측도어의 정면에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손잡이를 수직으로 형성하였으며, 상기한 결합축으로는 일측도어의 타측도어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밀착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결합하고 수상기 본체에 형성된 조정수단 설치부의 전방 상하면으로는 타측도어의 가이드 돌기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말단에 걸림부를 갖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였으며, 상기한 가이드홈의 대향면으로는 일측도어의 고정돌기가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고정홈(3)을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도어(20)의 분리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일단의 상하면으로 고정돌기(21a,21b)가 돌설된 일측도어(22)의 타단에 타측도어(24)의 일단이 결합축(23)에 의하여 힌지결합되고, 상기 타측도어(24)의 일단 힌지결합부 전면에는 손잡이(26)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결합축(23)의 외부에는 비틀림 스프링(28)을 결합하여 상기한 비틀림 스프링(28)의 양단이 일측도어(22)와 타측도어(24)의 내면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므로서 양측도어(22,24)가 전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한 양측도어(22)의 길이는 고정돌기(21a,21b)의 형성위치로부터 힌지 결합부까지의 길이와 타측도어(24)의 힌지결합부로부터 가이드 돌기(25a,25b)까지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접이식 도어(20)가 설치되는 수상기 본체(1)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수단 설치부의 전방 상하면으로는 상기한 일측도어(22)의 고정돌기(21a,21b)가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 고정홈(3)을 형성시키고, 계속해서 조정수단 설치부의 전방 상하면에는 상기 타측도어(24)의 가이드 돌기(25a,25b)가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가이드홈(4)를 형성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가이드홈(4)의 좌측 말단부에는 타측도어(24)의 가이드돌기(25a,25b)가 걸려 열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걸림부(5)를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색상조절 수단 또는 미세 채널조정수단의 조정노브(K)를 조작하기 위하여 접이식도어(20)를 구성하는 타측도어(24)의 정면에 형성한 손잡이(26)를 전방으로 잡아 당기면, 타측도어(24)의 타단 상하면에 돌설된 가이드돌기(25a,25b)가 가이드홈(4)을 따라 이동되며, 가이드홈(4)의 말단에 형성된 걸림부(5)에 상기 가이드돌기(25a,25b)가 걸리도록 손잡이(26)를 내측으로 밀면, 가이드 돌기(25a,25b)가 걸림부(5)에 걸리게 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접이식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조정노브(K)를 조작한 후에는 다시 가이드돌기(25a,25b)를 걸림부(5)로부터 걸림상태가 해제되도록 타측도어(24)의 손잡이(26)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가이드돌기(25a,25b)의 걸림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접이식도어(20)의 힌지결합부에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2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일측도어(22)와 타측도어(24)가 전개되면서 타측도어(24)의 가이드돌기(25a,25b)가 다시 가이드홈(4)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되어 도어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접이식 도어는, 수상기 본체(1)의 전면 일측을 중심으로 2단의 도어(22,24)가 절첩되어 가이드홈(4) 일단의 걸림부(5)에 타측도어(24)의 가이드 돌기(25a,25b)가 걸려 도어의 열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도어를 닫을 경우에는 타측도어(24)의 손잡이(26)를 전방으로 잡아당겨 상기 가이드돌기(25a,25b)를 걸림부(5)로부터 이탈시키면 양측 도어(22,24)의 사이에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2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어가 닫히게 됨으로써 조정노브(K)를 조정할 때에는 상기 도어(22,24)가 겹쳐진 상태로 수상기본체(1)의 일측에 위치하므로 간섭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며, 개폐동작이 수월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양측의 도어가 힌지결합되고 일측도어의 일단은 수상기본체에 고정되며 타측도어의 일단은 좌우로 이동되어 상기 양측 도어가 절첩되는 상태로 개폐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개폐동작이 수월할 뿐만아니라, 도어 내측의 노브조정시 간섭을 주지 않게 되어 노브의 조작을 원활히 할 수 있으며, 단순한 도어 구성으로 인하여 개폐작동의 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항상 제품의 수려한 미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일단의 상하면에 고정돌기(21a,21b)가 형성된 일측도어(22)의 타단으로는 상부 및 하부 일측에 가이드돌기(25a,25b)를 갖는 타측도어(24)의 일단이 결합축(23)에 의하여 힌지결합되고, 상기한 타측도어(24)의 정면에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손잡이(26)를 수직으로 형성하였으며, 상기한 결합축(23)으로는 일측도어(22)와 타측도어(24)의 내면에 탄성적으로 밀착하는 비틀림스프링(28)을 결합하고, 수상기 본체(1)에 형성된 조정수단 설치부의 전방 상하면으로는 타측도어(24)의 가이드돌기(25a,25b)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말단에 걸림부(5)를 갖는 가이드홈(4)을 형성하였으며, 상기한 가이드홈(4)의 대향면으로는 일측도어(22)의 고정돌기(21a,21b)가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고정홈(3)을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
KR2019940036133U 1994-12-27 1994-12-27 접이식 도어 KR0114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6133U KR0114667Y1 (ko) 1994-12-27 1994-12-27 접이식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6133U KR0114667Y1 (ko) 1994-12-27 1994-12-27 접이식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167U KR960026167U (ko) 1996-07-22
KR0114667Y1 true KR0114667Y1 (ko) 1998-04-16

Family

ID=19403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6133U KR0114667Y1 (ko) 1994-12-27 1994-12-27 접이식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6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167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2153B2 (ja) 窓開閉装置
US6899364B2 (en) Stopper structure in a glove box
KR0114667Y1 (ko) 접이식 도어
KR200405565Y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CA2204938A1 (en) Insulation fastening device
KR200389159Y1 (ko) 립스틱 용기의 여닫이 구조
KR100214968B1 (ko)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 개폐장치
KR100248235B1 (ko) 캠코더의 렌즈 커버 개폐장치
JPH021881Y2 (ko)
KR19980064875U (ko) 모니터의 도어 힌지 구조
JPH029578Y2 (ko)
KR0133711Y1 (ko) 도어 오픈 장치
KR0137209Y1 (ko) 콘트롤부 도어의 좌우 개폐장치
KR200170315Y1 (ko) 콤팩트한 텔레비젼 버튼용 도어장치
KR200235380Y1 (ko) 냉장고핸들의높낮이조절장치
KR200166968Y1 (ko)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KR0132247Y1 (ko) 자동차 어퍼트레이부로 설치된 글러브박스의 도어 개폐장치
KR970005325Y1 (ko)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KR0139915Y1 (ko) 가전제품의 도어 록크장치
KR940004040Y1 (ko) 콤팩트 용기
KR100402586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
KR200362616Y1 (ko) 완구용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JP2575928Y2 (ja) 扉装置
KR20000008087U (ko) 텔레비젼의 버튼개,폐용 도어장치
KR0133349B1 (ko) 야채수납상자 개폐수단을 구비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