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1796U - 전자제품의 콘트롤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콘트롤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1796U
KR19990001796U KR2019970015286U KR19970015286U KR19990001796U KR 19990001796 U KR19990001796 U KR 19990001796U KR 2019970015286 U KR2019970015286 U KR 2019970015286U KR 19970015286 U KR19970015286 U KR 19970015286U KR 19990001796 U KR19990001796 U KR 199900017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oor
cabinet
control
electronic product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5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선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5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1796U/ko
Publication of KR199900017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796U/ko

Link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모니터와 같은 전자제품에 채용되고 있는 캐비네트가 수평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전자제품에서 수직방향으로 콘트롤도어가 동작 가능하도록 개선된 전자제품의 콘트롤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캐비네트에 기능콘트롤부가 있고 상기 기능콘트롤부에 수직방향으로 개폐동작되는 콘트롤도어를 갖는 것에 있어 상기 캐비네트가 기울기를 가지므로서 형성되는 곡면부에 기능콘트롤부가 있고, 상기 콘트롤부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진 콘트롤도어 양측에는 길이가 서로 다른 회전축부가 있고, 상기 회전축부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기능콘트롤부 양측에 형성되는 힌지축이 수평축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시키는 한편, 상기 콘트롤도어에서 외측방향에 있는 회전축부가 단길이를 형성하고 내측방향에 있는 회전축부는 상대적으로 장길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제품의 콘트롤도어장치
본 고안은 예컨데 모니터와 같은 전자제품에 채용되고 있는 콘트롤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콘트롤도어가 개폐동작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캐비네트가 수평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전자제품에서 수직방향으로 콘트롤도어가 동작 가능하도록 개선된 전자제품의 콘트롤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와 같은 전자제품은 화면이나 여러 가지 기능 조절을 위한 기능키를 가진 기능콘트롤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콘트롤부는 조절이 필요로 될 때만 사용하는 것이므로 평상시에는 닫혀 있고 사용할 때에만 열고 사용되는 콘트롤도어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콘트롤도어는 보통 손으로 눌러서 오픈시키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대개 위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개폐되는 동작성을 갖도록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콘트롤도어는 캐비네트에 형성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하여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동작구조는 상기 캐비네트가 직선면을 이루는 상태의 구조에서 원만한 동작이 가능하다.
즉, 이것을 역으로 설명하면 상기 콘트롤도어는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동작성 때문에 콘트롤도어가 설치되는 캐비네트가 기울기를 가지는 곡선면을 이루는 경우 걸림 또는 간섭이 발생되므로서 종래의 콘트롤도어구조에 있어서는 곡선면의 기울기를 가지는 캐비네트에 채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에 전자제품의 디자인 개선을 위하여 캐비네트가 기울기를 가지도록 할 때에 기울기가 있는 지점에 콘트롤도어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그에따라 캐비네트의 최하측 부분에 부득이 직선적인 면을 형성하게 하고 이곳에 기능콘트롤부와 콘트롤도어를 설치하는 방법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채용방법은 제품 디자인을 변경하는데 한계를 주게 되므로 디자인 개선에 제약을 주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하고, 또한 기능콘트롤부가 제품의 최하단부에 설치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기능콘트롤부를 조작하는데 불편을 주는 문제점 및 그로인한 제품 신뢰성 저하가 초래되는 문제점으로 야기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기능콘트롤부가 설치되는 캐비네트가 수평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전자제품에서 수직방향으로 콘트롤도어가 개폐동작 가능하도록 개선된 전자제품의 콘트롤도어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목적은, 콘트롤도어를 가진 기능콘트롤부가 수평방향의 기울기를 가진 캐비네트에 설치 가능하게 하므로서 사용 편리성을 도모하고 제품 디자인 개선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캐비네트의 기능콘트롤부의 양측에 구비하는 힌지축을 수평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콘트롤도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부의 길이를 상호 다르게 구성시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콘트롤도어의 개폐동작시 캐비네트에 간섭됨이 없이 원만한 수직방향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캐비네트에 기능콘트롤부가 있고 상기 기능콘트롤부에 수직방향으로 개폐동작되는 콘트롤도어를 가진 것으로서, 상기 캐비네트가 기울기를 가지므로서 형성되는 곡면부에 기능콘트롤부가 있고, 상기 콘트롤부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진 콘트롤도어 양측에는 길이가 서로 다른 회전축부가 있고, 상기 회전축부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기능콘트롤부 양측에 형성되는 힌지축이 수평축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콘트롤도어에서 외측방향에 있는 회전축부가 단길이를 형성하고 내측방향에 있는 회전축부는 상대적으로 장길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부수적인 특징으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이 실시되는 모니터제품을 보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도어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도어가 열린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도어가 열린 상태의 일측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도어가 닫힌 상태의 평단면도,
도 6은 본고안 에 따른 콘트롤도어가 닫힌 상태의 일측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모니터 2 : 캐비네트
2a : 곡면부 3 : 기능키
10 : 기능콘트롤부 11 : 콘트롤도어
12,12' : 회전축부 13,13' : 힌지축
15 : 푸쉬캐처 16 : 훅크
S : 수평축선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제품의 콘트롤도어장치를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실시되는 전자제품으로서 도 1A에 도시된 모니터(1)를 하나의 실시제품으로하여 설명한다.
상기 모니터(1)는 디자인 개선을 위해 전면부가 기울기를 가지는 곡면부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프런트캐비네트(이하 캐비네트라고 약칭함)(2)는 전면부가 수평상으로 볼 때 도 1B에 보인바와 같이 기울기를 갖는 곡면부(2a)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곡면부(2a)를 가진 캐비네트(2)에 도 2에 도시한바와 같이 다수의 기능키(3)가 설치되는 기능콘트롤부(10)를 형성하도록 하고, 이러한 기능콘트롤부(10)에서 수직방향으로 콘트롤도어(11)가 개폐동작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 콘트롤도어(11) 자체가 캐비네트(2)의 곡면부(2a)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는 기능콘트롤부(10)의 기울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곡면상태의 콘트롤도어(11)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콘트롤도어(11)의 양측에는 이것 자체를 수직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게 하는 회전수단의 하나가 되는 회전축부(12)(12')가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콘트롤도어(11)가 구비하는 회전축부(12)(12')는 상호 다른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며, 좀더 상세하게는 외측방향의 회전축부(12)는 단길이의 회전축부를 이루고 그 반대쪽인 내측방향의 회전축부(12')는 장길이의 회전축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부(12)(12')가 회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축(13)(13')은, 도 5에 보인바와 같이 기능콘트롤부(10) 양측에서 동일 수평축선(s)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13)(13')은 기능콘트롤부(10) 양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나 조립 용이성을 위하여 도면 도시와 같이 하나는 일측 회전축부(12)에, 그리고 다른 하나는 캐비네트(2) 자체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위해 기능콘트롤부(10) 일측과 다른 일측 회전축부(12')에는 힌지축(13)(13')이 각각 삽입되는 축공(14)(14')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한 힌지축(13)(13')이 어느 부분에 형성되든지간에 상기 기능콘트롤부(10)에 조립 완료된 상태에서 수평축선(s)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힌지축(13)(13')을 중심으로 회전운동되는 콘트롤도어(11)의 양측 회전축부(12)(12')는 회전운동시 상기 콘트롤도어(11)가 캐비네트(2)의 곡면부(2a)에 걸리거나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단길이 및 장길이의 회전축부(12)(12')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특징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기능콘트롤부(1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푸쉬캐처(15)와, 상기 푸쉬캐처(15)에 걸림되어 구속되거나 또는 해제되는 훅크(16)가 콘트롤도어(11)의 내측 중간부에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푸쉬캐처(15)는 이미 알려진 부품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기능콘트롤부(10)를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콘트롤도어(11)가 닫힌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는 훅크(16)가 푸쉬캐처(15)에 물림되어 구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저절로 열리지 않는 상태에 있다.
따라서, 기능콘트롤부(10)의 기능키(3)를 조작하여 기능 조절을 도모하려고 할 때에는 손으로 콘트롤도어(11)의 훅크(16)가 있는 부분을 누르게 되면 푸쉬캐처(15)가 훅크(16)를 밀어 내어 해제되게 되며, 이러한 해제동작과 동시에 작용되는 푸쉬캐처(15)가 해제시키는 탄성력에 의해 콘트롤도어(11)는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어 열리게 된다.
즉, 콘트롤도어(11)의 회전축부(12)(12')는 힌지축(13)(13')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서 콘트롤도어(11)의 열림 동작이 실행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13)(13')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회전축부(12)(12')를 포함한 콘트롤도어(11) 전체가 회동운동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회전축부(12)(12')가 기능콘트롤부(10)를 포함한 캐비네트(2)의 곡면부(2a)에 따라 적합한 길이의 단,장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콘트롤도어(11)가 회전운동할 때 그것의 하단부(11a) 캐비네트(2)에 걸리거나 간섭되지 않고 원활한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도 4 참조)
그리고 상기 콘트롤도어(11)의 닫힘은 콘트롤도어(11)를 손으로 회전시켜 훅크(16)가 푸쉬캐처(15)에 구속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고, 아울러서 이때의 콘트롤도어(11)의 닫힘 회전운동시에도 열림 회전운동시와 동일한 작용을 하므로 수직방향으로의 원만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동작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해 기울기를 가지는 캐비네트에서의 콘트롤도어의 수직방향 개폐동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캐비네트의 곡선면에 기능콘트롤부의 채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한 캐비네트 위치에 기능콘트롤부를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 편리성이 도모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품의 전면부가 디자인을 살릴 수 있는 곡선면으로 형성시킬 수 있고 어느 지점이든지간에 기능콘트롤부의 채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품 디자인을 개선시키는데 제약을 주지 않게 되고 폭넓은 디자인 개선을 도모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일실시예로 도시된 모니터 제품뿐만 아니라 콘트롤도어를 구비하는 기능콘트롤부를 가지는 모든 전자제품에도 실시 가능한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한 폭넓게 적용되고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Claims (2)

  1. 캐비네트에 기능콘트롤부가 있고 상기 기능콘트롤부에 수직방향으로 개폐동작되는 콘트롤도어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캐비네트가 기울기를 가지므로서 형성되는 곡면부에 기능콘트롤부가 있고, 상기 기능콘트롤부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진 콘트롤도어 양측에는 길이가 서로 다른 회전축부가 있고, 상기 회전축부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축이 가능콘트롤부에서 동일 수평축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콘트롤도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도어에서 외측방향에 있는 회전축부가 단길이를 형성하고 내측방향에 있는 회전축부는 상대적으로 장길이를 형성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콘트롤도어장치.
KR2019970015286U 1997-06-23 1997-06-23 전자제품의 콘트롤도어장치 KR199900017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286U KR19990001796U (ko) 1997-06-23 1997-06-23 전자제품의 콘트롤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286U KR19990001796U (ko) 1997-06-23 1997-06-23 전자제품의 콘트롤도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796U true KR19990001796U (ko) 1999-01-15

Family

ID=69686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5286U KR19990001796U (ko) 1997-06-23 1997-06-23 전자제품의 콘트롤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179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5379A (en) Pivotable computer access door structure having concealed, break-away hinge mechanism
US6466154B1 (en) Remote controller integrated with wireless mouse
US6308376B1 (en) Hinge with a safety shield plate unit
KR960000682B1 (ko) 도어 개폐장치
KR19990001796U (ko) 전자제품의 콘트롤도어장치
KR100999403B1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KR200340543Y1 (ko) 도어프레임과 도어간 간극커버장치
KR100479006B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KR101079600B1 (ko) 휴대용 컴퓨터
KR0133711Y1 (ko) 도어 오픈 장치
KR200162400Y1 (ko) 전자제품의 콘트롤부도어 떨림방지 구조
KR0119158Y1 (ko) 전자제품용문지지장치
JPH10102878A (ja) ヒンジ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キャビネット
KR200272733Y1 (ko) 누름방지부재가 장착된 회전식 문손잡이
KR930001160Y1 (ko) 냉장고의 전면제어 판넬용 커버
KR880000317Y1 (ko) Tv수상기용 도어완충 개폐장치
KR970000139Y1 (ko) 컴퓨터 콘트롤 판넬의 도어 개폐장치
KR19990003568U (ko) 모니터의 도어 개폐 구조
KR960006829Y1 (ko) 전자제품의 프론트 도어 개폐장치
JP2000073641A (ja) 扉装置
KR19980014049U (ko) 모니터의 도어 개폐 구조
KR200141274Y1 (ko) 리모트 콘트롤러의 도어 개폐 장치
KR0119841Y1 (ko) 냉장고의 도어 닫힘 방지장치
JP2824562B2 (ja) 合成樹脂製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KR940005657Y1 (ko) 가전제품의 카버 도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