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525Y1 - 지분 제거 클리너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 - Google Patents

지분 제거 클리너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525Y1
KR0133525Y1 KR2019960026566U KR19960026566U KR0133525Y1 KR 0133525 Y1 KR0133525 Y1 KR 0133525Y1 KR 2019960026566 U KR2019960026566 U KR 2019960026566U KR 19960026566 U KR19960026566 U KR 19960026566U KR 0133525 Y1 KR0133525 Y1 KR 0133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cleaner
s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6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2977U (ko
Inventor
권대섭
안병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26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525Y1/ko
Publication of KR199800129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29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5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5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roller or a polygonal rotating cleaning member; Details thereof, e.g. surface struc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0026Cleaning of foreign matter, e.g. paper powder, from imaging member
    • G03G2221/0068Cleaning mechanism
    • G03G2221/0094S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분 제거 클리너(cleaner)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사진 장치에 용지의 지분 또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너를 설치하여 용지의 오염이 제거된 상태에서 전사공정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용지의 오염으로 인한 인쇄불량을 방지하여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지분 제거 클리너(cleaner)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에 의하면 피이드 롤러에 의해 피이드되는 용지가 서로 접촉된 두 개의 롤러로 구성된 클리너를 통과하면, 롤러가 용지의 오염물질을 흡착함으로써 제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분 제거 클리너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에 의하면 용지에 전사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용지 표면의 지분,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여 용지와 직접 접촉해야 하는 감광드럼 및 전사롤러가 용지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인쇄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분 제거 클리너(cleaner)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
본 고안은 지분 제거 클리너(cleaner)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사진 장치의 감광드럼과 전사 롤러가 인쇄되는 용지의 지분 등에 의해 오염되어 인쇄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분 제거 클리너를 장착한 전자사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 레이져 프린터 등에 사용되는 전자사진 장치는 대전장치에 의해 감광드럼 표면이 일정한 전위로 대전되면, 노광장치에 의해 대전된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이 잠상은 현상장치에 의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되며, 가시상은 전사장치를 거치면서 용지로 전사되고, 전사된 상은 정착장치의 열과 압력으로 용지에 융착됨으로써 인쇄를 완료한다.
이때, 전사장치를 지나면서 감광드럼의 표면에 잔여분의 토너인 잔류 토너와 잠상이 존재하는데, 토너는 클리너에 의해 제거되고 잠상은 잠상제거 램프에 의해 제거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사진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감광드럼(1) 주위에 감광드럼(1) 표면에 접촉하도록 현상 롤러(2), 대전 롤러(3), 전사 롤러(4)가 설치되어 있고, 그 외에 용지카세트(5)로부터 한 장의 용지(6)를 픽업(pick up)하기 위한 픽업 롤러(7), 픽업된 용지(6)를 피이드(feed)하기 위한 피이드 롤러(8), 노광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LSU(Laser Scanning Unit ; 9), 정착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정착기(10) 등이 설치되어 있다.
용지카세트(5)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6) 한 장이 픽업되어 피이드 롤러(8)로 이송되면, 용지(6)는 피이드 롤러(8)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피이드되면서 감광드럼(1)과 전사 롤러(4) 사이를 통과하고, 다시 정착기(1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인쇄를 완료하게 된다.
전자사진 장치의 작동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재질이 도전성 고무인 대전 롤러(3)에 음(-)의 전원이 인가되고, 감광드럼(1)은 대전 롤러(3)와 맞붙어 일정한 방향과 속도로 회전함으로써 감광드럼(1) 표면이 일정한 대전전위로 골고루 대전된다.
대전 롤러(3)에 의해 대전된 감광드럼(1)의 표면에 컴퓨터의 신호에 따라 LSU(9)로부터 빛이 주사되면, 감광드럼(1) 표면에는 잠상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전원장치(도시 안됨)에 의해 도전성 고무로 형성된 현상 롤러(2)로 대전전위보다는 낮고 노광전위보다는 높은 현상전위가 공급되면, 공급 롤러(11)로부터 공급되어 현상 롤러(2)에 붙어 있는 새 토너는 감광드럼(1) 표면에 형성된 잠상으로 이동하고, 감광드럼(1) 표면의 잠상에 달라 붙어 있는 현상된 토너는 전사 롤러(4)에 의하여 용지(6)로 이동된다.
전사된 용지(6)는 정착기(10)를 거치면서 정착기(10)의 열과 압력에 의하여 토너가 용지(6)에 융착됨으로써 인쇄가 완료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전자사진 장치에 공급되는 용지(6)에는 먼지 등과 같은 지분이 제조시부터 이미 존재하고 있거나, 취급하는 과정에서 오염물질 등이 달라붙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용지(6)가 용지카세트(5)로부터 픽업되어 전사 롤러(4)와 감광드럼(1) 사이를 통과할 때, 전사 롤러(4)는 스프링(도시 안됨)에 의해 가압되어 용지(4)를 압착하게 된다.
이때, 용지(6)가 전사 롤러(4)와 감광드럼(1) 사이를 통과하여 전사되는 과정에서 용지(6)가 가압되기 때문에 용지(6)의 지분 또는 오염물질 등이 전사 롤러(4)와 감광드럼(1)에 옮겨 붙어 오염이 되면, 전사불량 또는 감광드럼(1) 표면에 옮겨 붙은 지분 등에 의해 백색점(white spots)과 같이 인쇄가 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거나 오염된 감광드럼(1)이 다시 대전 롤러(3)를 오염시켜 대전불량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전자사진 장치에 용지의 지분 또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너를 설치하여 용지의 오염이 제거된 상태에서 전사공정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용지의 오염으로 인한 인쇄불량을 방지하여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사진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분 제거 클리너(cleaner)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분 제거 클리너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1 : 감광드럼 2 : 현상 롤러 3 : 대전 롤러
4 : 전사 롤러 5 : 용지 카세트 6 : 용지
7 : 픽업 롤러 8 : 피이드 롤러 9 : LSU
10 : 정착기 11 : 공급 롤러 12 : 지분 제거 클리너
13 : 가압 롤러 14 : 클리닝 롤러 15 : 스프링
16 : 클리닝 펠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지분 제거 클리너(cleaner)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에 의하면 피이드 롤러에 의해 피이드되는 용지가 서로 접촉된 두 개의 롤러로 구성된 클리너를 통과하면, 롤러가 용지의 오염물질을 흡착함으로써 제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분 제거 클리너(cleaner)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지분 제거 클리너(12)가 장착되는 것 이외에는 종래의 전자사진 장치와 동일한 구조와 동일한 작동원리로 동작하며, 지분 제거 클리너(12)는 최소한 용지(6)의 폭보다 긴 두 개의 롤러(13, 14)가 상하로 접촉해 있는 형태로 피이드 롤러(8)와 전사 롤러(4) 사이에 설치된다.
지분 제거 클리너(12)를 구성하는 가압 롤러(13)는 용지(6)를 가압할 수 있도록 스프링(15)이 장착되어 토너통(16) 하부에 설치되고, 클리닝 롤러(14)는 가압 롤러(13)에 접촉된 상태로 전자사진 장치의 몸체에 고정 설치되며, 모터와 같은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용지(6)의 지분 또는 오염물질을 가압 롤러(13)와 함께 제거한다.
가압 롤러(13)와 클리닝 롤러(14)의 재료로는 용지(6)의 지분 또는 오염물질을 용지(6)로부터 분리시켜 흡착이 용이하도록 스폰지(sponge) 형태의 우레탄과 같은 재질을 사용한다.
용지(6)가 피이드 롤러(8)에 의해 피이드되어 가압 롤러(13)와 클리닝 롤러(14) 사이로 이송되면 클리닝 롤러(14)가 회전하면서 용지(6)를 두 롤러(13, 14) 사이로 통과시키게 되는데, 가압 롤러(13)는 스프링(15)에 의해 용지(6)에 가압되어 접촉되는 용지(6)와의 마찰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가압 롤러(13)와 클리닝 롤러(14)는 용지(6)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용지(6) 표면의 지분이나 오염물질을 닦아낸다.
클리닝 롤러(14)의 회전에 의한 선속도가 피이드 롤러(8)의 선속도보다 작게 되면 용지(6)가 구겨지게 되므로, 클리닝 롤러(14)의 회전속도는 피이드 롤러(8)의 선속도와 같게 설정하고, 가압 롤러(13)와 클리닝 롤러(14)는 소모품으로써 두 롤러(13, 14) 모두 교체가 용이한 설치구조를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가압 롤러(13)와 클리닝 롤러(14)로 구성된 지분 제거 클리너(12)에서 용지(6) 양면의 오염이 제거된 상태로 전사 롤러(4) 및 감광드럼(1)과 접촉하여 전사공정이 수행되므로 감광드럼(1)과 전사 롤러(4)의 오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분 제거 클리너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지분 제거 클리너(12)이외의 구성은 도 2의 전자사진 장치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지분 제거 클리너(12)는 가압 롤러(13)와, 가압 롤러(13)의 상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된 클리닝 롤러(14)와, 클리닝 롤러(14)에 접촉하도록 고정설치되는 클리닝 펠트(cleaning felt ; 16)로 구성되고, 클리닝 롤러(14)와 가압 롤러(13)에는 양(+)의 전압이 인가되며, 또한 지분 제거 클리너(12)는 용지(6)가 피이드 롤러(8)에 의해 피이드 되면서 두 롤러(13, 14) 사이를 통과하여 전사공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피이드 롤러(8)와 전사 롤러(4) 사이에 설치된다.
공급된 용지(6)는 피이드되어 클리닝 롤러(14)와 가압 롤러(13) 사이를 통과하면서 전사 롤러(4)로 이송되는데, 여기에서 전기적으로 음(-)인 특성을 갖고 있으면서 용지(6)의 표면에 달라붙어 있는 지분, 오염물질 등은 전원장치(도시 안됨)에 의해 양(+)의 전압이 인가되는 클리닝 롤러(14)와 가압 롤러(13)의 표면으로 옮겨진다. 이때, 클리닝 롤러(14)는 모터(도시 안됨)와 같은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피이드 롤러(8)와 같은 선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클리닝 펠트(16)는 클리닝 롤러(14) 표면에 접촉되도록 고정설치되어 있으면서 용지(6)로부터 클리닝 롤러(14)로 옮겨져 클리닝 롤러(14)의 표면에 달라붙어 있는 지분, 오염물질 등을 닦아내게 된다.
가압 롤러(13)는 클리닝 롤러(14)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6)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자사진 장치의 몸체에 고정된 스프링(15)에 의해 용지(6)를 가압하도록 하고, 재료로는 스폰지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지분, 오염물질 등의 흡착력을 높이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분 제거 클리너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에 의하면 용지에 전사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용지 표면의 지분,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여 용지와 직접 접촉해야 하는 감광드럼 및 전사롤러가 용지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인쇄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용지(6)를 피이드(feed)하기 위한 피이드 롤러(8)와, 상기 용지(8)에 전사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전사 롤러(4)와, 상기 피이드 롤러(8)와 상기 전사 롤러(4) 사이에 설치되어 공급된 용지(6)에 전사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용지(6) 표면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지분 제거 클리너(cleaner ; 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분 제거 클리너(12)는 가압수단에 의하여 상기 용지(6)를 가압하면서 상기 용지(6)로부터 오염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가압 롤러(13)와, 상기 가압 롤러(13)와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피이드 롤러(8)와 같은 선속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용지(6)로부터 오염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클리닝 롤러(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롤러(14)의 표면에 용지(6)로부터 흡착한 오염물질을 닦아내기 위해 상기 클리닝 롤러(14)에 접촉되도록 고정설치되는 클리닝 펠트(cleaning felt ; 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롤러(14)와 상기 가압 롤러(13)에 전원공급 수단에 의하여 양의 전위로 대전되도록 하여 흡착력을 좀더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장치.
KR2019960026566U 1996-08-29 1996-08-29 지분 제거 클리너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 KR01335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566U KR0133525Y1 (ko) 1996-08-29 1996-08-29 지분 제거 클리너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566U KR0133525Y1 (ko) 1996-08-29 1996-08-29 지분 제거 클리너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2977U KR19980012977U (ko) 1998-06-05
KR0133525Y1 true KR0133525Y1 (ko) 1999-03-30

Family

ID=19465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6566U KR0133525Y1 (ko) 1996-08-29 1996-08-29 지분 제거 클리너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5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2977U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2799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ontact member capable of contacting with image bearing member
KR19990069625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 롤러 클리닝장치
KR0133525Y1 (ko) 지분 제거 클리너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
US571551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residual developer remaining on a photosensitive element
JPH07121003A (ja) 画像形成装置
US5357328A (en) Ground strip brush cleaner
KR100453061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10481515B2 (en) Charg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885843B2 (en)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having subsidiary intermediate transfer unit for improving transfer efficiency
JP4540455B2 (ja) 画像形成装置
KR19980015093U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JPH11258919A (ja) 画像形成装置
KR100341787B1 (ko) 화상형성장치
JPH0683166A (ja) 帯電装置
KR940007804Y1 (ko)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용지 정전하 방지장치
KR200166532Y1 (ko) 대전 롤러의 크리닝 장치
JP2006243001A (ja) 画像形成装置
JP4096530B2 (ja) 画像形成装置
JP3160076B2 (ja) 画像形成装置
JP319652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202115A (ja) 画像形成装置
JP2616485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着脱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200604765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335764A (ja) 画像形成装置
JPH07287476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