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420Y1 - 자동차용 에어백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어백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420Y1
KR0133420Y1 KR2019940017252U KR19940017252U KR0133420Y1 KR 0133420 Y1 KR0133420 Y1 KR 0133420Y1 KR 2019940017252 U KR2019940017252 U KR 2019940017252U KR 19940017252 U KR19940017252 U KR 19940017252U KR 0133420 Y1 KR0133420 Y1 KR 0133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inflator
groove
bracket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7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760U (ko
Inventor
조후택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17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420Y1/ko
Publication of KR9600047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7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4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aring tabs, legs or the like for holding the lid before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백의 커버와 크래쉬패드 사이의 갭으로 인한 단차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돌로 인하여 에어백의 전개시 파단부가 용이하게 찢어지도록 하며, 또한 파단부의 성형작업이 용이한 자동차용 에어백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인플레터(10)에 에어백 커버(20)의 파단부(30)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터(10)의 하부에 요홈(41)이 형성된 브래킷(40)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고정하고, 그 브래킷(40)의 요홈(41)에 스프링(51)의 탄력으로 상부가 인플레터(10)에 접촉하는 걸림구(50)를 탄설시키며, 상기 파단부(30)에 인플레터(10)와 브래킷(40)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구(50)에 고정되는 걸림홈(31)을 천공하되, 그 걸림홈(31)의 일측으로 파단부(30)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충돌시 얇게 형성된 부위가 찢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에어백의 장착구조
제1도는 종래 장착구조를 나타낸 에어백의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플레터 20 : 커버
30 : 파단부 31 : 걸림홈
40 : 브래킷 41 : 요홈
50 : 걸림구 51 : 스프링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승객용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백의 커버와 크래쉬패드 사이의 갭으로 인한 단차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돌로 인하여 에어백의 전개시 파단부가 용이하게 찢어지도록 하며, 또한 파단부의 성형작업이 용이한 자동차용 에어백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객용 에어백은 자동차의 크래쉬패드에 장착되어 차량충돌시 내장된 에어백을 순식간에 팽창시켜 승객의 머리, 가슴부위 등 상반신을 보호하는 것으로, 이러한 에어백은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크래쉬패드(1)에 하우징(2)이 장착되고, 그 하우징(2)의 내부에는 충돌시 팽창되는 에어백(3)이 내장되며, 하우징(2)의 전면에는 스킨(skin)(4)이 부착된 커버(5)가 장착된다.
이때, 커버(5)의 상부에는 리벳, 스크류 등으로 하우징(2)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부(6)가 돌출되며, 커버(5)의 하부에는 하우징(2)의 하부에 부착된 인플레터(inflator)(7)에 연결되어 충돌시 파단되는 파단부(8)가 돌출된다.
한편, 상기 파단부(8)의 선단부에는 인플레터(7)가 연결되는 연결공(8a)이 천공되며, 그 후단부에는 충돌시 파단되는 슬릿홀(slit hool)(8b)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에어백 장착구조는 인플레터(7)의 단부를 파단부(8)의 연결공(8a)에 삽입하여 고정시켰기 때문에, 인플레터(7)와 연결공(8a)의 유격으로 인하여 커버(5)와 크래쉬패드(1) 사이에 제1도의 가상선과 같이, 갭이 발생하여 단차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장착구조는 인플레터(7)에 연결되는 파단부(8)에 연결공(8a)과 슬릿홀(8b)을 각각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성형작업이 불편하였으며, 에어백 전개시 슬롯홀(8b)이 쉽게 찢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에어백의 커버와 크래쉬패드 사이의 갭으로 인한 단차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돌로 인하여 에어백의 전개시 파단부가 용이하게 찢어지도록 하며, 또한 파단부의 성혀작업이 용이한 자동차용 에어백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플레터(10)에 에어백 커버(20)의 파단부(30)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터(10)의 하부에 요홈(41)이 형성된 브래킷(40)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고정하고, 그 브래킷(40)의 요홈(41)에 스프링(51)의 탄력으로 상부가 인플레터(10)에 접촉하는 걸림구(50)를 탄설시키며, 상기 파단부(30)에 인플레터(10)와 브래킷(40)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구(50)에 고정되는 걸림홈(31)을 천공하되, 그 걸림홈(31)의 일측으로 파단부(30)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충돌시 얇게 형성된 부위가 찢어지도록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에서와 같이, 커버(20)의 파단부(30)를 인플레터(10)와 브래킷(40) 사이로 삽입시키면 파단부(30)에 형성된 걸림홈(31)이 스프링(51)으로 탄설된 걸림구(50)에 탄력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걸림구(50)와 걸림홈(31)이 유격되지 않기 때문에, 커버(20)와 크래쉬패드 사이의 갭발생을 방지하여 종래와 같이 단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별도의 슬릿홀을 형성시키지 아니하고, 단지 걸림홈(31)의 일측으로 파단부(30)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충돌시 그 부위가 찢어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파단부(30)의 성형작업이 용이함과 동시에 충돌시 파단부(30)가 용이하게 찢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에어백의 커버와 크래쉬패드 사이의 갭으로 인한 단차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돌로 인하여 에어백의 전개시 파단부가 용이하게 찢어지도록 하며, 또한 파단부의 성형작업이 용이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인플레터(10)에 에어백 커버(20)의 파단부(30)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터(10)의 하부에 요홈(41)이 형성된 브래킷(40)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고정하고, 그 브래킷(40)의 요홈(41)에 스프링(51)의 탄력으로 상부가 인플레터(10)에 접촉하는 걸림구(50)를 탄설시키며, 상기 파단부(30)에 인플레터(10)와 브래킷(40)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구(50)에 고정되는 걸림홈(31)을 천공하되, 그 걸림홈(31)의 일측으로 파단부(30)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충돌시 얇게 형성된 부위가 찢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백의 장착구조.
KR2019940017252U 1994-07-12 1994-07-12 자동차용 에어백의 장착구조 KR0133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252U KR0133420Y1 (ko) 1994-07-12 1994-07-12 자동차용 에어백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252U KR0133420Y1 (ko) 1994-07-12 1994-07-12 자동차용 에어백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760U KR960004760U (ko) 1996-02-16
KR0133420Y1 true KR0133420Y1 (ko) 1999-01-15

Family

ID=19388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7252U KR0133420Y1 (ko) 1994-07-12 1994-07-12 자동차용 에어백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4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760U (ko)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2800B2 (en) Mounting structure for a pillar trim in an automobile having a curtain type airbag
KR20080047286A (ko) 머리 보호용 측면 에어백을 구비한 차량
KR100352659B1 (ko)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
KR20050053116A (ko) 커튼 에어백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프런트필러트림 결합구조
KR0133420Y1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장착구조
KR100504284B1 (ko) 차량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 구조
KR0133310Y1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파단부구조
KR100402121B1 (ko) 자동차의 필러 트림 고정장치
KR100475966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KR0138810Y1 (ko) 승객보호용 에어백
KR100381224B1 (ko) 조수석용 에어백 장착 구조물
JP2004058965A (ja) エアバッグドアの開放構造
KR100579724B1 (ko) 차량의 에어백 도어
KR100353064B1 (ko) 자동차의 승객용 에어 백 도어 구조
KR100462111B1 (ko) 커튼 에어백 전개를 위한 센터필러트림 구조
KR101482221B1 (ko) 커튼 에어백의 장착 구조체
KR0133623Y1 (ko) 조수석 에어백 장착구조
KR100445172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착구조
KR0129271Y1 (ko) 승객에어백 도어열림장치
KR0138830Y1 (ko) 승객용 에어백
KR0138820Y1 (ko) 승객보호용 에어백
KR0138829Y1 (ko) 승객용 에어백
KR200181747Y1 (ko) 필러 장착용 에어백 장치
KR200193452Y1 (ko) 조수석 에어백 커버의 개방 구조
KR100405809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