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277B1 - 자동 판매기 및 보급용 상품 포장 상자 - Google Patents

자동 판매기 및 보급용 상품 포장 상자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277B1
KR0133277B1 KR1019920002241A KR920002241A KR0133277B1 KR 0133277 B1 KR0133277 B1 KR 0133277B1 KR 1019920002241 A KR1019920002241 A KR 1019920002241A KR 920002241 A KR920002241 A KR 920002241A KR 0133277 B1 KR0133277 B1 KR 0133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goods
rack
box
ware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2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994A (ko
Inventor
쇼조 이와모또
유끼오 기무라
가즈시게 나가따
고조 마쯔시마
Original Assignee
나까오 다께시
후지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오 다께시, 후지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오 다께시
Publication of KR920016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2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고내의 좌우, 전후에 나란한 복수의 상품랙을 갖춘 도기, 병입 상품의 자동 판매기 및 그 자동 판매기에 적용하는 배송, 보급용의 상품 포장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자동 판매기에서는 좌우 각 열마다 전후단에 나란한 상기 상품 랙을 일괄하여 창고내에서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는 안출식 선반으로서 구성하고, 인출식 선반의 선반내 상부에는 선반측방에서 상품 포장 상자를 출입하는 상품 보급실을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판매기 및 보급용 상품 포장 상자
제1도는 상품 포장 상자의 장전 상태를 나타낸 본 발명 실시예의 자동 판매기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기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상품랙의 개략적인 구조도.
제4도는 제1도의 응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자동 판매기의 구성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자동 판매기의 구성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자동 판매기의 정면도.
제7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품 포장상자의 구성 사시도.
제8도는 제4도 및 제5도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품 포장상자의 구성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 판매기의 본체 케이스 2 : 상품랙
4, 13 : 상품 포장 상자 4a, 13a, 13b, 13c, 13d : 절취선(재봉틀 눈)
4b : 통기 구멍 7 : 상품 투입구
10 : 인출 기구 11 : 상품 보급실
12 : 상품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창고내에서 좌우, 전후에 나란한 복수와 상품 랙을 갖춘 도기, 병입 상품의 자동 판매기 및 그 자동 판매기에 적용되는 배송, 보급용의 상품 포장 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현재, 시장에서의 자동 판매기에 대한 상품 보급은 다음과 같이 행하여지고 있다. 즉 도기, 병입 상품을 종류별로 단위 개수씩 정렬하여 막은 판지 상자 등으로 만들어진 상품 포장 상자를 루트맨이 자동 판매기의 로케이션 앞에 배송하고, 현지에서 상품 포장 상자를 열어 손작업에 의하여 상품을 1개씩 꺼내어 자동 판매기의 상품 랙내로 투입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자동 판매기로의 상품 보급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행하는 것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작업 능률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상품이 들어간 상품 포장 상자를 상자마다 기내에 셋트하는 것만으로 상품 판매의 진행에 맞추어 상품 포장 상자에서 상품을 직접 상품 랙으로 자동 보급할 수 있도록 한 자동 판매기가, 본 발명과 동일한 출원인에 의해 특개평 2-33694로서 이미 제안되어 있다. 상기 제안된 자동 판매기는 창고내에 나란히 설치한 상품 랙마다 상품 투입구가 랙의 머리부에 개구되어 있으며, 그 상품 랙 위에 상품 포장 상자를 장전하고, 상품 랙의 상품 투입구와 대향된 포장 상자의 단면을 열어 포장 상자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품을 상품 랙으로 직접 보급하도록 한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상기의 특개평 2-22694 호 공보에 기술된 구성에서는 상품 포장 상자를 기내에 장전할 때의 작업성에 난점이 있다. 즉, 상품 포장 상자를 전방에서 기내에 장전하여 상품 랙 위에 장전하도록 되어 있지만, 특히 전후 단에 나란한 상품 랙의 후단 랙에 상품 포장 상자를 장전하는 경우에는 전단의 상품 랙에 이미 장전되어 있는 상품 포장 상자가 장애가 되므로, 상품 랙 전체를 전방으로 기울여서 장전 장업을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품 랙은 중량물이므로, 상품 랙 전체를 전방으로 기울이거나 재차 기내에 격납할 때에 큰 힘을 요하는 것 외에 상품 랙의 자세를 기울이면 랙내에서 상품의 자세가 흩어져 판매 동작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개평 2-33694에서 제안되어 있는 상품 보급 방식을 베이스에, 상품 랙으로의 상품 포장 상자의 장전 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 자동 판매기 및 그 자동 판매기에 적용하는 개량형의 보급용 상품 포장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 판매기에서는 좌우 각 열마다 전후단에 나란한 상기 상품 랙을 일괄하여 창고내에서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는 인출식 선반으로서 구성하고, 인출식 선반의 선반내 상부에는 선반 측방에서 상품 포장 상자를 출입하는 상품 보급실을 설치한 것이다.
다른 수단으로서, 각 상품 랙을 고정 배치한 채, 창고 내의 상부에는 좌우 각 열마다 전후단에 나란한 각 상품 랙에 대응하여 전방에서 상품 포장 상자를 출입하는 상품 보급실을 상하단으로 나누어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각 수단을 조합하여, 특히 자동 판매기의 전면문의 힌지 측에 가까운 상품 랙 열에 대하여는 전후단의 각 상품 랙에 대응하여 전방에서 상품 포장 상자를 출입하는 상품 보급실을 상하단으로 나누어 창고내의 상부에 설치하고, 나머지 상품 랙 열에 대하여는 전후단에 나란한 상기 상품 랙을 일괄하여 창고내에서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는 인출식 선반으로서 구성하고, 인출인식 선반의 선반내부의 상부에 선반의 측면에서 상품 포장 상자를 출입하는 상품 보급식을 설치한 구성도 있다.
한편, 상기 구성의 자동 판매기에 적용되는 보급용 상품 포장 상자로서는 상품 포장 상자가 각 상품 랙과 1 대 1 로서 대응하는 크기이고 상품 랙의 상품 투입구와 대응하는 상자체의 단면에 개봉용 절취선(재봉틀 눈)을 넣은 것, 또는 전후에 나란한 복수기의 상품 랙에 대응하는 크기이고, 각 상품 랙의 상품 투입구와 대면하는 상자체의 복수개소에 개봉용 절취선을 넣어 구성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창고내에 장전한 상태에서 상품 포장 상자내에 남아 있는 상품을 보냉(保冷)내지 가온(加溫)시키도록 상기의 상품 포장 상자의 상자체 주면상에는 다수의 통기 구멍을 분산 개구시켜두는 것이 좋다.
[작용]
상기 구성에서 우선, 좌우 각 열마다 전후단에 나란한 상기 상품 랙을 일괄하여 창고내에서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는 인출식 선반으로 하고, 그 인출 인식 선반의 선반 내상부에는 선반 측면에서 상품 포장 상자를 출입하는 상품 보급실을 설치한 구성에서는 인출식 선반을 전방으로 인출하여 선반의 측면측에서 상품 포장 상자를 상품 보급실에 출입하여 상품 랙 위에 장전한다. 이 장전 방식에 의하면 상품 랙을 수평 자세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품 포장 상자가 각 상품 랙에 장전됨으로 상기 랙내에서 상품의 자세가 흩트러질 우려가 없고 선반의 인출 및 눌러 복귀하는 데도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상품 포장 상자의 장전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각 상품 랙을 고정 배치한 채, 창고내의 상부에는 좌우 각 열마다 전후단에 나란한 각 상품 랙에 대응하여 전방에서 상품 포장 상자를 출입하는 상품 보급실을 상하단으로 나누어 설치한 구성에서도, 상기의 인출 장전 방식과 마찬가지로, 전후단의 상품 랙 사이에서 상호 간섭없이 각 상품 랙으로 상품 포장 상자를 장전할 수 있다.
자동 판매기의 전면문(한쪽 여는 문)은 설치 장소의 제약으로 전개할 수 없는 경우가 있지만, 전면 문의 힌지측에 가까운 상품 랙 열에 대하여는 상품 랙을 고정 배치한 채, 상품 포장 상자를 전방에서 장전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나머지의 상품 랙 열에 대하여는 인출식 선반으로서 상품 포장 상자를 상자의 측방에서 장전하는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며, 전면 문의 반개방 상태에서는 제약된 작업 공간내에서 각 상품 랙에 상품 포장 상자를 지장없이 장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품 포장 상자에는 상품 랙의 상품 투입구와 대면하는 상자체의 부위에 개봉용의 절취선이 들어가 있으며, 상품 포장 상자를 상품 랙상에 장전하여 절취선을 개봉하면, 포장 상자내에 막아 있는 상품은 자체 중량으로 낙하하여 상품 랙내에 보급된다. 여기서, 전후에 나란한 복수기의 상품 랙과 대응하는 대형 크기의 상품 포장 상자에 대하여 각 상품 랙의 상품 투입구와 대응하는 복수개소에 개봉용의 절취선을 넣어 둠으로서, 이 상품 포장 상자에서 상품을 동시에 복수기의 상품 랙으로 보급할 수 있다. 상품 포장 상자의 상자체 주면에 통기 구멍을 개구하여 둠으로서 상품 포장 상자를 창고내에 장전한 상태에서는 창고내측의 냉기 내지 난기가 상자내에 통하므로, 상자내에 남아 있는 상품이 판매에 적합하도록 보냉, 가온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1항에 대응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에서 1은 자동 판매기의 본체 케이스(전면문은 도면상에서 생략하고 있다).
2는 본체 케이스(1)의 창고내에 좌우, 전후로 나란히 설치한 복수기의 상품 랙, 3은 상품 랙(2)에서 반출한 상품을 전면문에 개구하는 상품 취출구로 송출하는 슈터, 4는 상품 랙(2)위에 장전한 상품 포장 상자이다. 여기서, 상품 랙(2)은 예를들면 서펜타인식 랙이고, 그 구성은 제3도에 나타나듯이, 구불구불한 형상의 상품 통로를 이루는 상품 레일(5)과, 상품 통로의 출구단에 설치한 상품 반출 기구(6)와, 랙의 머리부에 개구한 상품 투입구(7)에 나란히 랙의 상면측에 설치한 상품 포장상자(4)의 유지구(8) 및 상품 포장 상자(4)를 개봉하는 칼날 다이(9)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품 랙의 구조는 특개평 2-33694 호 공보에 기술된 것과 같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체 케이스(1)의 내부에는 콜드 판매, 포트 판매에 대응하여 수납 상품을 보냉, 가온하는 냉각기, 히터를 갖추고 있다.
창고내에 좌우, 전후에 나란한 상품 랙(2)에 대하여 좌우의 각열 단위로서 전후단에 나란한 상품 랙은 일괄하여 본체 케이스(1)에서 인출 기구(1)를 거쳐 전방으로 인출시키도록 한 인출식 선반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출식 선반의 선반내 상부에는 각기의 상품 랙(2)과 1 대 1 로서 대응하여 상품 포장 상자(4)를 출입하는 상품 보급실(11)이 측면을 개방하여 제공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품 포장 상자(4)의 구체적인 구조를 제 7 도에 나타낸다. 즉, 상품 포장 상자는 그 내부에 소정 개수의 상품(12)(도기, 병입 상품)을 정렬하여 수용한 댐볼 상자이고, 그 상품 취출측부의 단면(상품 포장 상자를 랙 위에 장전한 상태에서 상품 투입구와 대응하는 면)에는 주연(周緣)의 3변을 따라자형으로 개봉용의 절취선(4a)이 들어가 있으며, 상자체의 주연에는 다수의 통기 구멍(4b)이 분산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상품 포장 상자(4)를 상품 랙(2)위의 소정 위치에 장전하여 눌러내리면, 상기 절취선(4a)은 칼날 다이(9)의 인선에서 파단되고, 상자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품(12)의 중량으로 단면이 도시하듯이 개봉된다. 상품 포장 상자(4)를 창고내에 장전한 상태에서는 상기 통기 구멍(4b)을 통하여 창고내의 냉기 내지 난기가 상자내에 흘러 상품(12)이 보냉내지 가온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의한 자동 판매기로의 상품 보급 작업을 제1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상품 랙(2)의 재고가 적게되어 상품 보충의 필요가 생긴 경우에는 자동 판매기의 전면분(도시하지 않음)을 개방한 것이고, 지정한 상품 랙을 전방으로 인출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품 보급실(11)에 빈 상품 포장 상자를 취출하고, 대신에 상품이 들어가 있는 상품 포장 상자(4)를 새롭게 충전한다. 또한, 이경우에는 제7도에서 서술하듯이 절취선(4a)이 들어가 있는 단면을 상품 랙(2)의 상품 투입구(7)로 향하고, 장전 후에 힘을 가하여 포장 상자를 칼날 다이(9)에 가압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품 포장 상자(4)가 개봉되어 상자내에 수용되어 있던 상품(12)이 자체 중량으로 전출하여 상품 랙(2)내에 낙하 수납된다. 상품 포장 상자(4)의 장전이 완료되면, 상품 랙을 창고내에 압입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또한, 전부의 상품(12)이 상품 랙(12)에 수납하여 끊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남은 상품이 포장 상자(4)중에 남지만, 그후의 판매 동작으로 상품 랙(2)에서 상품이 반출되면, 이것에 따라 포장 상자(4)에서 상품 랙(2)으로 순차 보급된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적용예를 제4도에 나타낸다.
즉, 제1도의 실시예에서는 상품 포장 상자(4)가 각기의 상품 랙(2)과 1 대 1 로서 대응하도록 하는 크기의 것을 사용한 것에 대하여, 제4도의 실시예에서는 대형 크기의 상품 포장 상자(13)를 전후단으로 나란한 2기의 상품 랙(2)으로 건너 장전하고, 이 상품 포장 상자(13)에서 2기의 상품 랙(2)으로 같은 종류의 상품을 보급하도록 한 것이다. 이경우에 채용하는 상품 포장 상자(13)의 구체적인 구조는 제8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전후단에 나란한 2기의 상품 랙(2)의 상품 투입구와 대면하는 2개소에는 제7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개봉용의 절취선(13a, 13b)이 넣어져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포장 상자(13)의 상자체 주위면에는 제7도에 도시된 포장 상자(4)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통기 구멍이 분산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대형 크기의 상품 포장 상자(13)는 같은 종류의 상품을 전후단에 나란한 상품 랙(2)에서 판매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고, 2기의 상품 랙에 대하여 상품 포장 상자의 장전 조작이 1회로서 완료함으로 상품 보충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2하에 대응하는 실시예를 제5도에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상품 랙(2)을 창고내에서 고정 배치한 채, 전후단에 나란한 각기(4기)의 상품 랙(2)에 대하여 본체 케이스(1)의 전방에서 상품 포장 상자(13)(2 기의 상품 랙에 대응하는 대형 크기)를 장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체 케이스(1)의 창고내 상부에는 전단측에 나란한 2기의 상품 랙과 후단측에 나란한 2기의 상품 랙에 각각 대응하여 전방에 개방한 상품 보급식(14, 15)이 상하 2단으로 나누어 이루어져 있다. 또한, 16 은 상품 보급식(14, 15) 사이의 칸막이 벽이다. 그리고 상품 보급실(14)에는 대형 크기 상품 포장 상자(13)를 제4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종방향 자세로 하여 전단측에 나란한 2기의 상품 랙(2)상으로 건너도록 장전하고, 상품 포장 상자(13)에서 상품 랙에 상품(12)을 보급한다. 이것에 대하여 상품 보급실(15)에는 대형 크기의 상품 포장 상자(13)가 우측 전방으로 기울은 횡도 자세(橫倒姿勢)로 하여 후단측에 나란한 2기의 상품 랙(2)상으로 건너도록 장전되고, 이 상품 포장 상자(13)에서 2기의 상품 랙(2)에 상품(12)을 보급한다. 또한, 상품 포장 상자(13)를 횡도 자세로 한 상태에서 포장 상자에서 2기의 상품 랙(2)으로의 상품 보급을 행하므로, 제8도에 나타나듯이 상자체의 측면에도 절취선(13a, 13b)과 같은 개봉용의 절취선(13c, 13d)이 들어가 있다.
제5도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후단에 나란한 복수기의 상품 랙에 대하여, 전단측의 상품 랙에 장전하는 상품 포장 상자 및 후단측의 상품 랙에 장전하는 상품 포장 상자를 상호 간섭없이 전방에서 별개로 출입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제1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제5도에 나타낸 실시예를 조합시킨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3항에 대응하는 실시예를 제6도에 나타낸다. 또한, 제6도는 자동 판매기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체 케이스(1)에 설치된 전면문은 좌측 열림문이고, 그 힌지기구는 본체 케이스(1)의 좌측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1)의 창고내에는 상품 랙(2)이 좌우 5열로 나누어 각 열마다 전후로, 복수단씩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면문의 힌지 기구에 가까운 좌측 영역에 나란한 2열의 상품 랙에 대하여는 제5도와 마찬가지로 상품 랙(2)을 고정배치로서 상품 포장 상자(4)를 전방에서 장전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우측 영역에 나란한 나머지 3열의 상품 랙에 대하여는 제2도 또는 제4도와 같이 인출 기구(10)를 거쳐 전후단의 각 상품 랙을 일괄하여 본체 케이스(1)의 전방으로 인출시키도록 한 인출식 선반으로서 구성하고, 상품 포장 상자(4)(제1도 및 제2도 참조) 및 상품 포장 상자(13)(제4도 참조)를 선반의 측방에서 상품 랙(2)상에 장전하는 방식을 채용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잇점이 얻어진다. 즉, 편개식의 전면문은 자동 판매기의 설치 장소, 장애물 등에 의하여 반개방 상태로밖에 열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이 때문에 본체 케이스(1)의 전방에서 행하는 상품 보충 작업 공간이 제약을 받는다. 이러한 문의 반개방 상태에서는 특히 힌지 기구에 가까운 측의 영역에서는 작업 공간이 좁고, 반대측의 영역에서는 작업 공간이 확대된다. 제6도와 같이 전면문의 힌지 기구에 가까운 영역에서는 상품 랙을 고정한 전방 장전 방식을, 역으로 힌지 기구에서 벗어난 영역에서는 상품 랙의 인출 장전 방식을 채용한 구성을 가짐으로서, 전면문이 반개방 상태에서도 제약된 작업 공간내에서 좌우로 나란한 각열의 상품 랙에 대하여 지장없이 상품 포장 상자를 장전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자동 판매기는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상품 포장 상자에 상품을 넣은 상태이고, 상품 포장 상자를 단위로서 상품 랙으로의 상품 보급 작업을 능률 좋게 행할 수 있고, 상품 랙이 전후 복수단에 나란히 창고내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의 자동 판매기에서도 각기의 상품 랙에 상품 포장 상자를 장전할 때에는 상품 랙을 수평 자세로 유지하고, 전후단 사이에서 간섭없이 각기의 상품 랙으로 개별로 상품 포장 상자를 용이하게 장전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 판매기에 적용하는 상품 포장 상자에 대하여, 특히 전후에 나란한 상품 랙의 각 상품 투입구와 개별로 대응하는 부위에 개봉용의 절취선을 넣은 대형 크기의 상품 포장 상자를 채용하는 것이고, 같은 포장 상자에서 동시에 복수기의 상품 랙으로 동종류의 상품을 보충할 수 있고, 작업을 능률 좋게 행하는 것외에, 상자체의 주위면에 통기 구멍을 개구하여 둠으로서, 포장 상자를 창고내에 장전한 상태에서 창고내측의 냉기, 난기가 포장 상자내를 흐르므로, 포장 상자에 남아 있는 상품도 판매 온도로 보냉내지 가온될 수 있다.

Claims (7)

  1. 창고내에 좌우, 전후에 나란한 복수의 상품 랙을 갖춘 도기, 병입 상품의 자동 판매기로서, 머리부에 상품 투입구가 개구된 상품 랙상에 상품 포장 상자를 장전하고, 상품 랙의 상품 투입구와 대향되는 포장 상자의 단면을 개봉하여 포장 상자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품을 상품 랙으로 직접 보급하도록 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좌우 각 열마다 전후단에 나란한 상품 랙을 일괄하여 창고내에서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는 인출식 선반으로서 구성하고, 인출인식 선반의 선반내 상부에는 선반측방에서 상품 포장 상자를 출입하는 상품 보급실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2. 창고내에 좌우, 전후에 나란한 복수의 상품 랙을 갖춘 도기, 병입 상품의 자동 판매기로서, 머리부에 상품 투입구가 개구된 상품 랙상에 상품 포장 상자를 장전하고, 상품 랙의 상품 투입구와 대향되는 포장 상자의 단면을 개봉하여 포장 상자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품을 상품 랙으로 직접 보급하도록 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창고내의 상부에는 좌우 각 열마다 전후단에 나란한 각 상품 랙에 대응하여 전방에서 상품 포장 상자를 출입하는 상하단에 나란한 상품 보급실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3. 창고내에 좌우, 전후에 나란한 복수의 상품 랙을 갖춘 도기, 병입 상품의 자동 판매기로서, 머리부에 상품 투입구가 개구된 상품 랙상에 상품 포장 상자를 장전하고, 상품 랙의 상품 투입구와 대향되는 포장 상자의 단면을 개봉하여 포장 상자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품을 상품 랙으로 직접 보급하도록 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좌우로 나란한 상품 랙 열중, 전면문의 힌지축에 가까운 상품 랙 열에 대하여는 전후단의 각 상품 랙에 대응하여 전방에서 상품 포장 상자를 출입하는 상품 보급실을 상하단으로 나누어 창고내의 상부에 설치하고, 나머지 상품 랙 열에 대하여는 전후단에 나란한 상기 상품 랙을 일과하여 창고내에서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는 인출식 선반으로서 구성하고, 인출인식 선반의 선반내 상부에 선반의 측면에서 상품 포장 상자를 출입하는 상품 보급실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자동 판매기에 적용하는 보급용의 상품 포장 상자가 각 상품 랙과 1 대 1 로서 대응하는 크기이고, 상품 랙의 상품 투익구와 대면하는 상자체의 단면에 밀봉용 절취선이 새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급형 상품 포장 상자.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자동 판매기에 적용하는 보급용의 상품 포장 상자가 전후단에 나란한 복수기의 상품 랙에 대응하는 크기이고, 각 상품 랙의 상품 투입구와 대면하는 상자체의 복수개소에 밀봉용 절취선이 새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급용 상품 포장 상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자체의 주위면상에 다수의 통기 구멍이 분산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급형 상품 포장 상자.
  7. 제5항에 있어서, 상자체의 주위면상에 다수의 통기 구멍이 분산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급용 상품 포장 상자.
KR1019920002241A 1991-02-15 1992-02-15 자동 판매기 및 보급용 상품 포장 상자 KR0133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21224A JP2914402B2 (ja) 1991-02-15 1991-02-15 自動販売機および補給用商品包装箱
JP91-21224 1991-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994A KR920016994A (ko) 1992-09-25
KR0133277B1 true KR0133277B1 (ko) 1999-02-01

Family

ID=1204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2241A KR0133277B1 (ko) 1991-02-15 1992-02-15 자동 판매기 및 보급용 상품 포장 상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14402B2 (ko)
KR (1) KR01332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3753A (ko) 2016-03-24 2017-10-13 에스퓨얼셀(주) 연료 전지 시스템 및 그 운전 방법
CN108765721A (zh) * 2018-05-04 2018-11-06 合肥上郑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上货用的自动售货机储货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7444A (zh) * 2015-04-21 2016-11-23 长沙金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室外用自助售货机
NL2031498B1 (nl) * 2022-04-05 2023-10-25 Simeco Holland B V Verkoopautomaat voor het uitgeven van product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3753A (ko) 2016-03-24 2017-10-13 에스퓨얼셀(주) 연료 전지 시스템 및 그 운전 방법
CN108765721A (zh) * 2018-05-04 2018-11-06 合肥上郑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上货用的自动售货机储货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994A (ko) 1992-09-25
JPH04260191A (ja) 1992-09-16
JP2914402B2 (ja) 199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70396A3 (en) Selling box
EP1009267A1 (en) Rear loading merchandise shelving arrangement
US2014516A (en) Display case
KR0133277B1 (ko) 자동 판매기 및 보급용 상품 포장 상자
EP0490693A2 (en) Dispenser
US1974234A (en) Needle carinet and chart
US2217647A (en) Means for filling orders in retail stores
EP3054430B1 (en) Vending machine with trays
JP3148119B2 (ja) 商品小出し用陳列台
JP2796466B2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
JP3146799B2 (ja) 自動販売機
JPH08212454A (ja) 自動販売機
JPH0742359Y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S592623Y2 (ja) 自動販売機のサ−ペンタイン式商品棚
JPH06150136A (ja) 自動販売機
JPH06266945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棚
JP3156430B2 (ja) 自動販売機
JP2621473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棚
JP3096919U (ja) 冷蔵陳列棚
JP2991762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05165645A (ja) 自動販売機
JP4151567B2 (ja) 自動販売機
JP4026562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ラック
JPH082788Y2 (ja) 自動販売機の商品予冷棚
JPH1089826A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