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978Y1 - 엘리베이터 승강로 시공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로 시공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978Y1
KR0132978Y1 KR2019940034627U KR19940034627U KR0132978Y1 KR 0132978 Y1 KR0132978 Y1 KR 0132978Y1 KR 2019940034627 U KR2019940034627 U KR 2019940034627U KR 19940034627 U KR19940034627 U KR 19940034627U KR 0132978 Y1 KR0132978 Y1 KR 0132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anel
main
panels
mai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4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908U (ko
Inventor
신은하
Original Assignee
신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은하 filed Critical 신은하
Priority to KR2019940034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978Y1/ko
Publication of KR9600229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9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9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04G11/087Fill-in form panels in the plane of two adjac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등과 같은 건물을 건축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로를 콘크리트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푸집을 일체형으로 구비하면서도 사각면에 해당되는 메인판넬을 절첩할 수 있도록 하여 분리 및 조립등에 따른 사용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자재손실을 방지하면서도 안전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며, 이는 사방면이 힌지축을 지지점으로 절첩이 가능토록 되는 판넬로 구비되면서도 상,하부가 개방되는 단일체의 사각형으로 구비되어 있고, 이들 판넬들의 사이에는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판넬들을 상호 당기거나 또는 밀어내어 절첩이 되도록 하는 절첩부재가 각각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이의 절첩부재를 회전작동시켜 거푸집을 콘크리트 승강로로부터 간단히 분리시키거나 또는 새로운 층에 거푸집을 설치시공할 수가 있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이러한 거푸집을 크레인으로서 단번에 승강이송시키거나 또는 각각으로 분리하여 간단한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승강이송시킬 수 있게하여 작업의 호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로 시공용 거푸집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을 보인 일부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평단면구성도로써 펼쳐진 상태의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에서 접혀진 상태를 보인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 메인판넬을 고정하는 고정구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제6도는 본 고안 보조판넬을 연결하는 연결구의 구성을 보인 평단면구성도.
제7도는 본 고안 절첩부재의 체결구성을 보인 일부평면 구성도로써 작동전의 상태도.
제8도는 제7도에서 절첩부재가 작동되어 메인판넬이 접혀지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거푸집 본체 110. 111 : 메인판넬
120 : 보조판넬 121 : 연결구
122,162 : 나비너트 123,160,161 : 연결보울트
130 : 힌지축 140,140a : 절첩부재
141 : 저절봉 142,142a : 가동봉
150,151 : 밀대 170 : 고정구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시공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아파트등과 같은 건물을 건축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로를 콘크리트 시공시공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에 관한 것이며, 특히 거푸집을 일체형으로 구비하면서도 사각면에 해당되는 메인판넬을 절첩할 수 있도록 하여 분리 및 조립등에 따른 사용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자재손실을 방지하면서도 안전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아파트 또는 사무실용 고층건물등을 건축할 시에는 건물에 필연적으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승강 작동될 수 있는 승강로가 콘크리트 시공되는데, 이러한 엘리베이터 승강로는 통상 사각형으로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건물의 층수에 맞게 수직방향으로 연통되게 시공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콘크리트 시공은 건물의 전체적인 골격을 시공하는데 맞추어 하층부터 상층까지 순차적으로 시공을 하게 되는 것이었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서는 필연적으로 거푸집이 사용되어 지고 있는 것이었다.
지금까지도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콘크리트 시공하기 위하여 여러종류의 거푸집이 알려져 실제로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는 것이었다.
그 대표적으로는 목재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판넬을 보강대 및 고정대를 이용하여 승강로의 공간에 맞게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있고, 또한 이러한 거푸집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금속판넬로 이루어지는 거푸집을 역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보강대 및 고정대등으로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등이 알려져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거푸집들은 그 형태나 재질에 따라 약간의 차이들은 있으나, 대체적으로 별개로 분리되어 있는 여러 개의 판넬들을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보강대 및 고정대등으로 조립 및 해체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및 해체에 따른 안전성은 물론 작업성 등이 저하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엘리베이터 승강로는 콘크리트 시공당시 하층부터 상층을 향해 연속적으로 시공하게 되는데, 이때 하층에서 거푸집이 설치되어 콘크리트 시공이 완료되면, 이의 거푸집을 분리하여 그 다음 층에 재설치하는 작업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거푸집은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다수의 판넬들과 다수의 보강대 및 고정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일일이 조립 및 해체하여야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그만큼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었고, 또한 분리 또는 상부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들 자재들이 낙하되어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었다.
또한 콘크리트 시공되는 승강로는 사각형의 수직공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최하층을 제외한 각층마다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한 준비작업으로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가 필연적으로 먼저 시공되어야 함으로써 이의 작업대를 설치하는데 따른 자재손실은 물론 작업상의 어려움이 야기되었던 것이었다.
더욱이 이러한 작업대는 승강로의 콘크리트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별도의 해체작업으로 철수하여야 하는 작업이 부가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거푸집은 각각 별도의 부품들도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분리 및 조립하는 과정에서 많은량이 파손되어져 재사용이 불가능한 결점도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시공용 거푸집을 하나의 단일체로 구성하면서도 이의 각면에 구비되는 판넬을 절첩가능토록 하여 분리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시공용 거푸집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개선된 거푸집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직사각형의 사방판넬이 모서리부의 한지축을 지지점으로 절첩이 가능토록 구비되면서도 상,하부가 개방되는 단일체의 사각형으로 구비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상호 마주보는 판넬을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절첩부재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 이의 절첩부재의 작동으로 판넬들이 힌지축을 지지점으로 접하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고, 이에따라 단일체로 구성되는 거푸집이 콘크리트 승강로로부터 간단히 분리 및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거푸집을 크레인으로서 단번에 승강이송시키거나 또는 각각으로 분리하여 호이스트와 같은 간단한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승강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호환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계속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의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써 도면증 부호 100은 본 고안 거푸집의 본체를 나타내고 있다.
이의 본체(100)는 사각형으로 구비되면서 한면에 메인판넬(110)(111)이 한쌍으로 구비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는 상기 한쌍의 메인판넬(110)(111)을 연결하면서도 이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판넬(12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조판넬(120)은 양 메인판넬(110)(111)의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간격을 조절할 수가 있음에 따라 거푸집 본체(100)의 한면에 대한 폭을 조절할 수가 있게 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한면의 폭을 늘리고자 하면 이보다 그 폭이 큰 보조판넬을 교체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판넬(110)(111)들은 각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고, 이들의 사이, 즉 사각형 본체(100)의 각모서리부에는 힌지축(130)이 구비되어 이들을 일체형으로 연결하면서도 이를 지지점으로 절첩이 가능토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판넬(110)(111)과 보조판넬(120)이 구비되는 내측면에는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보조판넬(120)을 메인판넬(110)(111)에 연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보조판넬 연결구(121)가 체결되어 있다.
이의 연결구(121)는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되면서 막대형으로 구비되어 양 메인판넬(110)(111)에 양단이 지지되어 보조판넬(120)을 지지하는 것이고, 이의 중심부에는 통해 나비너트(122)로 체결되는 연결보울트(123)가 구비되어 보조판넬(120)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구(121)에 의해 보조판넬(120)은 양메인판넬(110)(111)과 체결되어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양메인판넬(110)(111)과 보조판넬(120)이 거푸집의 한면을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 하부 소정위치에는 사방향으로 구비되는 메인판넬을 내부축으로 오므라들게 하거나 또는 외부로 벌어지게 하는 한쌍의 절첩부재(140)(140a)가 한조로 하여 십자형으로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절첩부재(140)(140a)는 상호 동일한 구조를 갖추고 있음에 따라 그 하나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이의 절첩부재(140)는 양측이 각기 다른나사부를 가지면서 구비되는 조절봉(141)과, 이의 조절봉(141)의 양측단에 각각 나사체결되어 조절봉(141)의 회전작동으로 동일하게 오므라들거나 또는 벌어지는 한쌍의 가동봉(142)(142a)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절봉(141)을 정,역회전시키게 되면 이의 조절봉(141)의 양단에 각각 나사체결된 가동봉(142)(142a)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오믈라 들거나 또는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동봉(142)(142a)의 양단에는 각각 메인판넬(110)(111)의 내측 벽면에 가로질러 접면되면서 본체(100)의 양내측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하는 막대형의 밀대(150)(141)가 구비되어 있다.
이의 밀대(150)(151)는 가동봉(142)(142a)과 고정되어 있으므로써 가동봉(142)(142a)의 가변에 따라 동일간격으로 가변되어 지는 것이고, 메인판넬(110)(111)과는 한쌍의 연결보울트(160)(161)로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사이 연결보울트(160)(161)는 그 일측단이 메인판넬(110)(111)에 좌,우유동이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있으면서도 타측단은 밀대(150)(151)에 나비너트(162)로 체결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판넬(110)(111)의 내측 상단에는 메인판넬(110)(111)의 간격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17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의 고정구(170)는 그 일측단이 일측 메인판넬(111)에 구비되어 있으면서도 타측단은 타측 메인판넬(110)에 삽탈 가능토록 구비되어 있어 체결 및 분리가 가능토록 된 것이다.
한편 도면중 미설명부호 180은 거푸집(100)을 크레인으로 승강작동시키도록 하기 위한 걸고리를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의 제3도는 본 고안의 거푸집(100)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절첩부재(140)(140a)가 외측으로 작용을 하여 그 길이가 최대한 늘어난 상태임에 따라 양측밀대(150)(151)가 외측으로 밀려나 본체(100)의 각면을 구성하는 메인판넬(110)(111)을 펼친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는 거푸집(100)이 설치된 상태임에 따라 거푸집(100)의 외측면을 이용하여 통상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시공을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한층의 엘리베이터 승강로가 시공완료되면 이의 거푸집(100)을 해체하여 다음 층에 설치하여야 하는데, 첨부도면의 제4도는 거푸집(100)을 해체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3도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거푸집(100)을 해체하기에 앞서 먼저 메인판넬(110)(111)의 내측 상단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구(170)를 첨부도면의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체하고, 또한 보조판넬(120)을 메인판넬(110)(111)에 체결고정하고 있던 보조판넬 연결구(121)도 느슨하게 해체한다.
즉, 각 보조판넬 연결구(121)를 고정하고 있던 나비너트(122)를 연결보울트(123)로부터 약간 풀어서 보조판넬(120)이 유동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절첩부재(140)(140a)의 각조절봉(141)을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이의 조절봉(141)의 양측에 나사조립되어 있는 가동봉(142)(142a)들이 오므라들게 되는 것이고, 이에따라 양 가동봉(142)(142a)에 고정된 양측 밀대(150)(151)도 동일한 간격만큼 내측으로 이송작동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의 밀대(151)(151)의 양측에 연결보울트(161)(161)로서 연결된 메인판넬(110)(111)이 내측으로 당겨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느 첨부도면의 제7도와 같은 상태에서 제8도와 같은 상태로 가변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메인판넬(110)(111)은 다른 메인판넬들과 연결된 힌지축(130)을 지지점으로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거푸집(100)의 외측면이 이미 시공된 콘크리트 벽면, 즉 승강로의 내벽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지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메인판넬(110)(111)의 상면에 구비되는 걸고리(180)들을 이용하여 크레인으로서 거푸집(100)의 전체를 상부로 끌어올리면 되는 것이다.
한편, 크레인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공사현장일 경우에는 본 고안의 거푸집(100)을 몇부분으로 분리하여 이들 각 부품들을 호이스트등을 이용하여 승강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거푸집(100)은 다수개의 메인판넬과 보조판넬등을 연결구, 절첩부재등의 관련부품으로 조립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몇부분으로 분리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고안의 거푸집(100) 하단부에 별도의 작업대를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이의 작업대를 이용하여 전술한 작업을 안전하게 행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콘크리트 시공하는 거푸집을 단일체로 구성함과 동시에 거푸집을 형성하는 사방면의 메인판넬을 간단한 방법으로 접거나 펼칠 수가 있게 됨으로써 작업현장에 손쉽게 설치 및 분리할 수가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효과는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업의 단순화로 작업성은 물론 사용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고, 또한 안전하게 분리 및 조립할 수가 있음에 따라 안전성의 향상은 물론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재손실을 줄이게 되는 등 그 경제성도 향상되어 지는 것이다.

Claims (1)

  1. 건물의 콘크리트 시공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콘크리트 시공하는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한쌍을 한조로하여 각조의 모서리부가 힌지축(130)으로 체결되어 절첩가능토록 구비되고, 사방면의 각면을 이루는 메인판넬(110)(111)과, 상기 메인판넬(110)(111)의 사이에 체결되어 이들을 연결하면서도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판넬(120)과, 상기 메인판넬(110)(111)의 내측면에 그 양단이 접면되면서 중심부는 연결보울트(123)로 보조판넬(120)과 연결되는 보조판넬 연결구(121)와, 본체의 내측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조절봉(141)의 양측에 나사체결 되어 이의 회전작동에 의해 진퇴작동되는 가동봉(142)(142a)과 이의 가동봉의 양측단에 각각 고정되면서 메인판넬(110)(111)의 내벽면에 연결보울트(161)(161)로 연결되어 메인판넬(110)(111)를 절첩하도록 하는 밀대(150)(151)와, 상기 메인판넬(110)(111)의 내측상단에 구비되고 일측의 체결점을 지지점으로 회동작동되면서 메인판넬의 간격을 고정토록 하는 고정구(1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시공용 거푸집
KR2019940034627U 1994-12-20 1994-12-20 엘리베이터 승강로 시공용 거푸집 KR0132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627U KR0132978Y1 (ko) 1994-12-20 1994-12-20 엘리베이터 승강로 시공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627U KR0132978Y1 (ko) 1994-12-20 1994-12-20 엘리베이터 승강로 시공용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908U KR960022908U (ko) 1996-07-20
KR0132978Y1 true KR0132978Y1 (ko) 1998-12-15

Family

ID=1940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4627U KR0132978Y1 (ko) 1994-12-20 1994-12-20 엘리베이터 승강로 시공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97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166A (ko) * 2000-05-25 2001-12-07 김영배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908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07263A (en) Self-climbing formwork hoist
KR0132978Y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시공용 거푸집
KR20190122798A (ko) 비계 지지대
CN113622660B (zh) 一种竖向孔洞用整体吊装式模板结构及混凝土施工方法
KR200237588Y1 (ko) 건축물의 엘리베이터 통로 시공용 거푸집장치
CN109098428A (zh) 一种电梯井施工平台
PL207104B1 (pl) Urządzenie do montażu i demontażu oszalowania
CN209958717U (zh) 一种用于电梯井的伸缩式操作平台
KR100948447B1 (ko) 트러스 상판 해체 장치 및 방법
KR101170545B1 (ko) 박스형 거푸집 조립체
KR200254677Y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시공용 거푸집 장치
JP2819238B2 (ja) 梁型枠支持装置及びその組立解体方法
WO2009093835A2 (ko)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크레인용 인양틀
KR970004245B1 (ko)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JPH03103569A (ja) 柱構築用型枠装置
CN219134815U (zh) 一种可折叠墙板运输架
CN219118711U (zh) 一种安装便捷的电梯井操作平台
CN218466364U (zh) 一种用于混凝土箱梁的折叠内模
CN211058274U (zh) 可折叠式电梯井道施工操作平台
RU1823905C (ru) Туннельна опалубка
KR200242479Y1 (ko) 건축물의 박스형 통로 시공용 거푸집 장치
SU1361276A2 (ru) Блочно-переставна опалубка
JP2607384B2 (ja) 足場の組立方法及び解体方法
SU796364A1 (ru) Подъемно-переставна опалубка
RU2025562C1 (ru) Блочная опалуб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