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770B1 - 판상부재의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판상부재의 운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770B1
KR0132770B1 KR1019930006024A KR930006024A KR0132770B1 KR 0132770 B1 KR0132770 B1 KR 0132770B1 KR 1019930006024 A KR1019930006024 A KR 1019930006024A KR 930006024 A KR930006024 A KR 930006024A KR 0132770 B1 KR0132770 B1 KR 0132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plate
lead frame
motor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133A (ko
Inventor
히사시 우에다
노뷰유끼 아오야끼
다다유끼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아라이 가즈오
가부시끼가이샤 신가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라이 가즈오, 가부시끼가이샤 신가와 filed Critical 아라이 가즈오
Publication of KR930024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e.g. interconnected by pivo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Feeding Of Workpieces (AREA)
  • Relays Between Conveyo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아일랜드부의 유무에 관계없이 판상부재를 원활하게 또 판상부재에 악영향을 미침이 없이 운반한다. 또 1개의 모터구동으로 판상부재의 운반 및 판상부재의 폭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리드프레임(1)을 길이방향으로 운반하는 주 운반라인(10) 또는 가공운반라인(2)과, 운반라인(10,20)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리드프레임(1)을 운반하는 보조운반수단(30)을 구비하고, 보조운반수단(30)은 이 보조운반수단(30)의 운반방향과 직각방향의 리드프레임(1) 양측을 지지하는 공작물 유지부재(52A, 52B)와 공작물 유지판(52A,52B)을 상하이동시키는 상하구동용 실린더(35)와 공작물 유지판(52A,52B)이 각각 부착된 타이밍 벨트(46A,46B)와 타이밍벨트(46A,46B)를 구동시키는 모터(61)를 가지며, 타이밍 벨트(46A)는 모터(61)의 출력축에 의해 구동되도록 연결되며, 타이밍 벨트(46B)는 모터(61)의 출력축에 브레이크수단 및 클러치를 통하여 구동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판상부재의 운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으로 형성된 판상부재의 운반장치의 1실시예를 예시하는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우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정면도
제4도는 제2도의 4-4선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5-5선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하는 클러치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6-6선의 화살표시로 본 도면
제8도는 제어회로 블록도
제9도는 제어 플로우챠트
제10도는 동작의 경우로 (a)는 운반동작의 플로우챠트, (b)는 폭변경 동작의 플로우챠트
제11도는 원점복귀의 경우로, (a)는 운반원점 복귀의 플로우챠트, (b)는 폭원점 복귀의 플로우챠트
제12도는 원점체크의 경우로, (a)는 운반원점 체크의 플로우챠트, (b)는 폭원점 체크의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드프레임 10 : 주 운반라인
20 : 가공운반라인 30 : 보조운반수단
31 : 운반수단 지지체 35 : 상하구동용 실린더
40A,40B : 구동축 46A,46B : 타이밍 벨트
50 : 리니어 가이드 51A,51B : 운반대
52A,52B : 공작물 유지판 61 : 모터
63,67 : 타이밍 벨트 64 :회전축
70 : 전자브레이크 80 : 클러치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리드프레임등의 판상(板狀)부재의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리드프레임 등의 판상부재의 운반장치로서, 예컨대 일본국 특개소 62-235742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장치는 복수대의 동일 가공장치의 전방에 배치된 공통의 주 운반라인과 가공장치의 가공부 양측에 배치된 가공운반라인과 주 운반라인 및 가공운반라인에 교차되도록 직각으로 배치된 벨트 콘베이어로 형성되는 보조운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주 운반라인에 따라 운반되어온 리드프레임은 공급측의 보조수단으로 수취되어 주 운반라인과 직각방향으로 운반되어 공급측의 가공운반라인에 공급된다.
그리고 가공운반라인에서는 가공장치에 리드프레임을 운반하여 가공이 행해지고, 가공이 종료된 리드프레임은 배출측의 가공운반라인으로 운반된다. 또 배출측의 보조운반수단으로 가공운반라인의 리드프레임을 받아 주 운반라인에 운반된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기 종래기술의 보조운반수단은, 벨트 콘베이어로 이루어지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리드프레임에는 펠릿이 고착되는 부분이 아래쪽으로 돌출한 아일랜드부를 갖는 것이 있다. 이 알랜드부는 리드프레임의 대략 중앙에 이 리드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 운반라인 및 가공운반라인에서는 리드프레임 양측을 지지하여 운반하므로 하등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보조운반수단은 리드프레임의 장변(長 )측의 방향으로 운반하므로, 리드프레임의 길이가 변경되어도 대응할 수 있도록 많은 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벨트 콘베이어에 아일랜드부가 걸려 원활하게 운반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아일랜드부는 양쪽이 리드프레임의 본체부에 폭이 작은 부분에서 지지되어 있을 뿐이므로, 벨트에 아일랜드부가 직접 얹혀진 경우, 리드프레임의 자중에 의한 외력이 일랜드부에 걸려, 와이어 본딩후의 리드프레임 경우에는 와이어를 변경시키고 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일랜드부의 유무에 불구하고, 판상부재를 원활하게 또 판상부재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없이 운반할 수 있는 판상부재의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개의 모터의 구동으로 판상부재의 운반 및 판상부재의 폭변경이 가능한 판상부재의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판상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운반하는 운반라인과, 이 운반라인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판상부재를 운반하는 보조운반수단을 구비한 판상부재의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운반수단은 이 보조운반수단의 운반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판상부재의 양측을 지지하는 서로 대향하여 배열설치된 한쌍의 제1 및 제2공작물 유지부재와, 이 공작물 유지부재를 상기 운반라인과 직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운반기구와, 이 운반기구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구동용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운반기구는 상기 운반라인과 직각방향으로 배열설치되어 상기 공작물 유지부재가 미끄럼 자유로이 설치된 리니어 가이드와 상기 공작물 유지부재가 부착되어 공작물 유지부재를 상기 리니어 가이드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1의 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제2의 공작물 유지부재가 부착되어 이 공작물 유지부재를 상기 리니어 가이드에 따라서 이동되는 제2벨트 컨베이어와,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모터로 형성되며,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는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의해 구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는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브레이크수단 및 클러치를 통하여 구동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부재의 운반장치이다.
[작용]
판상부재의 폭이 변경되고, 그것에 대응하여 한쌍의 제1 및 제2공작물 유지부재의 간격을 바꾸는 경우에는 브레이크수단을 ON, 클러치를 OFF로하여 행한다. 브레이크수단을 ON, 클러치를 OFF로 하면 모터의 출력축의 회전은 제2벨트 컨베이어에는 전달되지 않고 제2벨트 컨베이어는 이동하지 않는다.
그래서 모터를 구동시키면 제1벨트 컨베이어만이 구동하여 제1공작물 유지부재가 이동하므로, 제1 및 제2공작물 유지부재의 간격을 판상부재의 폭에 맞추어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공작물 유지부재의 간격이 판상부재의 폭으로 설정되고, 공작물 유지부재로 판상부재를 운반할 때는 브레이크 수단을 OFF, 클러치를 ON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모터의 출력축 회전은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에 전달된다.
따라서 공작물 유지부재는 상하구동용 기구에 의해 상하이동되고 운반라인으로부터 판상부재를 인수하며, 또는 운반라인에 판상부재를 인도한다.
또 운반기구에 의해 공작물 유지부재가 운반라인과 직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판상부재를 운반라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운반 또는 운반라인 방향으로 운반한다. 이 경우, 공작물 유지부재는 보조운반수단의 운반방향과 직각인 판상부재 양측을 지지하여 운반하므로, 판상부재에 아일랜드부가 없는 경우는 물론이거니와, 아일랜드부가 있어도 이 아일랜드부가 걸리는 일없이 원활하게 또 아일랜드부에 외부압력을 거는 일없이 운반한다.
또 1개의 모터구동으로 한쌍의 공작물 유지부재의 폭조정 및 판상부재의 운반이 행해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 리드프레임(1)을 주 운반라인(10)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레일(11A,11B)과, 가공장치(도시않음)에 리드프레임(1)을 운반하거나 또는 가공장치로 가공이 종료된 리드프레임(1)을 운반하는 가공운반인(20)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레일(21A,21B)과 주 운반라인(10)의 가이드레일(11A,11B)상의 리드프레임(1)을 가공운반라인(20)의 가이드레일(21A, 21B)상에 운반하는 보조운반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드프레임(1)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1A,11B)은 서로 대향하며 또한 일정한 간격(12)을 유지하여 배열설치되고, 레일지지판(13A,13B)에 고정되어 있다. 또 레일지지판(13A,13B)에는 상기 간격(12)에 대응한 부분에 공간(14)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레일(21A,21B)도 상기 가이드레일(11A,11B)과 같이 서로 대향하며 또한 일정한 간격(22)를 유지하여 배열 설치되며, 레일지지판(23A,23B)에 고정되어 있다. 또 레일지지판(23A,23B)에도 상기 간격(22)에 대응한 부분에 공간(24)(제4도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운반수단(30)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4도(주로 제2도 참조)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각 공간(14,24)에는 이공간(14,24)을 관통하여 각각 운반수단 지지체(31)가 배열설치되어 있으며, 각 운반수단 지지체(31)의 바닥판(31a)은 연결판(32,33)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연결판(32)은 베이스판(34)에 고정된 상하구도용 실린더(35)의 작동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운반수단 지지체(31)의 가공운반라인(20)의 바깥쪽 부분에는 평행으로 배열설치된 2개의 구동축(40A,40B)이 축받이(41A,41B)를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40A)에는 운반수단 지지체(31)의 우측에 각각 운반용 타이밍 폴리(42A)가 고정되고, 구동축(40B)에는 각 운반수단 지지체(31)의 좌측에 각각 운반용 타이밍 풀리(42B)가 고정되어 있다. 또 구동축(40A)의 우단 및 구동축(40B)의 좌단에는 각각 구동용 타이밍 폴리(43A,43B)가 고정되어 있다.
각 운반수단 지지체(31)의 상기 레일지지판(13B)측의 측면에는 상기 운반용 타이밍풀리(42A,42B)에 대응하여 각각 지축(支軸)(44A,44B)이 고정되어 있고, 지축(44A,44B)에는 각각 로울러(45A,45B) 가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운반용 타이밍 풀리(42A,42B)와 로울러(45A,45B)에는 각각 타이밍 벨트(46A,46B)가 걸쳐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운반수단 지지체(31)의 상판(31b)에는 리니어 가이드(50)가 고정되어 있고, 각 리니어 가이드(50)에는 한쌍의 운반대(51A,51B)가 미끄럼 움직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운반대(51A,51B)에는 리드프레임(1)을 유지하는 공작물 유지판(52A,52B)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 공작물 유지판(52A)은 동일위치로 되도록 운반대(51A)가 타이밍 벨트(46A)에 고정되며, 또 동일하게 각 공작물 유지판(52B)은 동일위치로 되도록 운반대(51B)가 타이밍 벨트(46B)에 고정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연결판(33)의 우단 및 좌단에는 각각 지지판(54,55)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판(54,55)의 하단에는 바닥판(56)이 고정되며, 또 연결판(33)과 바닥판(56)에는 지지판(57)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판(54)에는 출력축(60)을 양쪽에 갖는 모터(61)가 고정되어 있다.
출력축(60)의 한편쪽에는 상기 구동용 타이밍 풀리(43A)에 대응하여 타이밍 풀리(62)가 고정되고, 구동용 타이밍 풀리(43A)와 타이밍 풀리(62)에는 타이밍 벨트(63)가 걸쳐 있다. 출력축(60)의 다른편 쪽에는 이 출력축(60)과 동일선상에 회전축(64)이 지지판(55,57)에 축받이(65)를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
회전축(64)에는 상기 구동용 타이밍 풀리(43B)에 대응하여 타이밍 풀리(66)가 고정되어 있고, 구동용 타이밍 풀리(43B)와 타이밍 풀리(66)에는 타이밍 벨트(67)가 걸쳐 있다.
회전축(64)과 지지판(55)에는 전자브레이크(70)가 부착되어 있다. 브레이크 구동분(71)는 지지판(55)에 고정되며, 이 브레이크 구동부(71)에 한쪽의 브레이크판(72)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쪽 브레이크판(73)은 회전축(6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모터(61)의 출력축(60)의 다른편 쪽과 상기 회전축(64)에는 클러치(80)가 부착되어 있다. 클러치(80)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걸거나 벗기는 클러치부(81a,82a)를 가지는 클러치부재(81,82)를 가지며, 한쪽의 클러치부재(81)는 상기 출력축(60)에 고정되고, 또 클러치부재(81)에는 상기 회전축(64)이 축받이(83)를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 축받이(83)측에 배열 설치된 홀딩플레이트(84)와 다른쪽 클러치부재(82)사이에는 스프링(85)이 배열설치되고, 클러치부(81a,82a)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클러치부재(81,82)는 가압되고 있다.
다른쪽의 클러치부재(82)에는 판스프링(86)을 통하여 2개의 로드(87)가 고정되어 있다. 로드(87)는 대직경부(87a)와 소직경부(87b)로 형성되며, 대직경부(87a)는 회전축(64)에 고정된 가이드부재(89)의 U자 형상의 가이드홈(89a)에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가이드되며, 소직경부(87b)의 후방측은 회전축(64)에 고정된 가이드부재(90)의 가이드구멍(90a)에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가이드되어 있다.
로드(87)의 소직경부(87b)에는 가동판(91)이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배열설치되어 있고, 가동판(91)과 가이드부재(90)사이의 로드(87)부분에는 스프링(92)이 배열설치되며, 가동판(91)이 로드(87)의 대직경부(87a)에 접촉하도록 가압되고 있다.
또 상기 바닥판(56)에는 클러치 개폐용 실린더(93)가 고정되어 있고, 클러치 개폐용 실린더(93)의 작동로드에는 상기 가동판(91)의 전방(제5도에 있어서 우측)에 배열 설치된 작용판(94)이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제어수단 기구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터(61)의 출력축(60)에는 폭 조정용 원점 캠(100)이 고정되고 이 폭 조저용 원점 캠(100)에 대응하여 바닥판(56)에는 폭 조정용 원점센서(101)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64)에는 운반용 원점 캠(102)이 고정되고, 이 운반용 원점 캠(102)에 대응하여 바닥판(56)에는 운반용 원점 센서(103)가 고정되고 있다.
연결판(33)상의 우측부에는 축받이 홀더(104)가 고정되고, 축받이 홀더(104)에는 축받이(105)를 통하여 회전축(106)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있다.
회전축(106)에는 타이밍 풀리(107)가 고정되고, 또 구동축(40B)에는 타이밍 풀리(107)에 대응하여 타이밍 풀리(108)가 고정되며, 타이밍 풀리(107)와 타이밍 풀리(108)에는 타이밍 벨트(109)가 걸쳐 있다.
또 회전축(106)에는 3개의 운반용 리미트 캠(110), 운반용 + 측캠(111), 운반용 - 측캠(112)이 고정되며, 이들의 운반용 리미트 캠(110), 운반용 + 측캠(111), 운반용 - 측캠(112)에 대응하여 축받이 홀더(104)에 고정된 유지판(113)에는 운반용 리미트센서(114), 운반용 + 측센서(115), 운반용 - 측센서(116)가 고정되어 있다.
또 연결판(33)상의 좌측부에는 축받이 홀더(120)가 고정되고, 축받이 홀더(120)에는 축받이(121)를 통하여 회전축(122)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122)에는 타이밍 풀리(123)가 고정되고, 제4도에 도시하는 구동축(40A)에는 타이밍 풀리(123)에 대응하여 타이밍 풀리(124)가 고정되며, 타이밍 풀리(123)와 타이밍 풀리(124)에는 타이밍 벨트(125)가 걸쳐 있다.
또 회전축(122)에는 폭 조정용 캠(126)이 고정되고, 이 폭 조정용 캠(126)에 대응하여 축받이 홀더(120)에 고정된 유지판(127)에는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90도 간격으로 3개의 폭 조정용 리미트센서(128), 폭 조정용 + 측센서(129), 폭조정용 - 측센서(130)가 고정되어 있다.
제8도는 제어회로를 도시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40)에는 상기 각 센서(101, 103, 114, 115, 116, 128, 129, 130)의 신호가 센서입력회로(141)를 통하여 입력된다. 또 마이크로 컴퓨터(104)는 상기 각 센서(101,103,114,115,116,128,129,130)의 신호에 의해 모터구동회로(124)를 통하여 제5도에 도시하는 모터(61)의 구동, 실린더 구동회로(143)를 통하여 제2도에 도시하는 상하구동용 실린더(35)의 ON, OFF, 제5도에 도시하는 클러치 개폐용 실린더(93)의 ON, OFF, 전자브레이크(70)의 ON, OFF를 행한다.
다음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가공운반라인(20)은 리드프레임(1)을 가공장치에 송출하는것이며, 주 운반라인(10)상의 리드프레임(1)을 가공운반라인(20)상에 운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공작물 유지판(52A)과 공작물 유지판(52B)의 간격(H)은 리드프레임(1)을 유지할 수 있는 간격으로 세트되어 있다. 또 공작물 유지판(52A,52B)은 주 운반라인(10)의 가이드레일(11A,11B)측에 위치하며, 또한 공작물 유지판(52A, 52B)의 리드프레임 가이드면은 가이드레일(11A,11B)의 가이드면으로부터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의 공작물 유지판(52A, 52B)위치를 운반원점으로 한다.
이 리드프레임(1)의 운반은 제9도, 제10도(a), 제11도(a), 제12도(a)의 플로우챠트에 따라 행해진다. 그래서 주 운반라이(10)의 가이드레일(11A, 11B)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운반수단에 의해 리드프레임(1)이 운반되고, 이 리드프레임(1)이 공작물 유지판(52A, 52B) 윗쪽에서 위치결정되여 정지하면, 마이크로 컴퓨터(140)의 지령에 의해 실린더 구동회로(143)를 통하여 상하구동용 실린더(35)가 ON으로 되고, 이 상하구동용 실린더(35)의 작동로드가 돌출되도록 작동한다.
이것에 의해 운반수단 지지체(31)와 함께 공작물 유지판(52A,52B)이 52A1, 52B1의 위치에 상승하고, 가이드레일(11A,11B)상의 리드프레임(1)은 공작물 유지판(52A,52B)에 지지된다.
다음에 마이크로 컴퓨터(140)의 지령에 의해 실린더 구동회로(143)를 통하여 전자브레이크(70)는 OFF, 클러치(80)는 클러치부재(81,82)의 클러치부(81a, 82a)가 걸어맞춤된 상태 (클러치(80) ON), 즉 클러치 개폐용 실린더(93)는 OFF로 작용판(94)이 가동판(91)으로부터 멀어진 상태로 된다.
이 상태로 모터(61)가 +방향으로 구동되고, 출력축(60)이 화살표시 A방향에 회전하며, 타이밍 풀리(62), 타이밍벨트(63), 구동용 타이밍 풀리(43A)를 통하여 구동축(40A)이 화살표시 B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출력축(60)이 화살표시 A방향으로 회전하면, 클러치(80)(클러치부재(81,82), 로드(87), 가이드부재(89,90)를 통하여 회전축(64)이 회전한다.
회전축(64)의 회전은 타이밍 풀리(66), 타이밍 벨트(67), 구동용 타이밍 풀리(43B)를 통하여 구동축(40B)이 상기 구동축(40A)과 같은 화살표시 B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축(40A,40B)의 회전에 의해 운반용 타이밍 풀리(42A,42B)를 통하여 타이밍벨트(46A,46B)가 화살표시 C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공작물 유지판(52A,52B)은 52A2,52B2의 위치에서 대기한다. 그리고 가공운반라인(20)의 가이드레일(21A,21B)상에 리드프레임(1)이 없는 상태로 된 경우, 모터(61)는 재차 출력축(60)이 화살표시 A방향에 회전하도록 구동되고 공작물 유지판(52A,52B)은 52A3, 52B3로 표시한 바와같이 가이드레일(21A,21B)의 윗쪽에 위치한다.
다음에 상하구동용 실린더(35)가 OFF로 되며, 상기와 반대방향(상하구동용 실린더(35)의 작동로드가 안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작동하여 공작물 유지판(52A,52B)이 하강한다.
이것에 의해 공작물 유지판(52A,52B)상의 리드프레임(1)은 가이드레일(21A,21B)상에 전재된다. 그후 모터(61)는 상기와 반대의 한쪽 방향으로 구동되고, 공작물 유지판(52A,52B)은 원래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운반원점위치(가이드레일(11A,11B)의 아래쪽)으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레일(21A,21B)상에 적재된 리드프레임(1)은 도시하지 않은 푸셔수단으로 가이드레일(21A,21B)에 따라 가공장치의 위치에 송출된다.
다음에 가공운반라인(20)은 가공장치로부터 가공이 종료된 리드프레임(1)을 받아 내는 것이며, 가공운반라인(20)상의 리드프레임(1)을 주 운반라인(10)상에 운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는 공작물 유지판(52A,52B)은 가이드레일(21A,21B)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대기하고, 이 위치가 운반원점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가공장치로부터 가이드레일(21A,21B)상에 따라 리드프레임(1)이 이송되고, 이 리드프레임(1)이 공작물 유지판(52A,52B)의 윗쪽에서 정지하면, 상하 구동용 실린더(35)가 ON으로 되어 그 작동로드가 돌출하고, 공작물 유지판(52A, 52B)은 상승하여 52A3, 52B3의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레일(21A,21B)상의 리드프레임(1)은 공작물 유지판(52A,52B)에 유지된다. 다음에 모터(61)의 출력축(60)이 화살표시 A방향과 반대의 한쪽방향으로 회전하고, 공작물 유지판(52A,52B)은 52A2, 52B2의 위치에 이동하여 대기한다.
그리고, 주 운반라인(10)상으로부터 리드프레임(1)을 이송하여도 좋다는 취지의 신호에 의해 모터(61)의 출력축(60)이 재차 화살표시 A방향과 반대의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공작물 유지판(52A,52B)은 가이드레일(11A,11B)윗쪽의 52A1, 52B1의 위치에 이동한다.
그후, 상하구동용 실린더(35)가 OFF로 되어 작동로드가 안으로 들어가고, 공작물 유지판(52A,52B)은 하강하여 가이드레일(11A,11B)아래쪽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공작물 유지판(52A,52B)상의 리드프레임(1)은 가이드레일(11A,11B)에 적재된다.
다음에 모터(61)가 + 방향으로 구동되어 출력축(60)이 화살표시 A방향으로 회전하고, 공작물 유지판(52A,52B)은 가이드레일(21A,21B)아래쪽에 위치하여 대기한다. 또 가이드레일(11A,11B)상에 적재된 리드프레임(1)은 도시하지 않은 운반수단에 의해 운반된다.
다음에 품종변경에 의해 리드프레임(1)이 폭이 변하고, 그것에 따라 공작물 유지판(52A)과 공작물 유지판(52B)의 간격(H)을 변경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는 제9도, 제10도(b), 제11도(b), 제12(b)의 플로우챠트에 따라 행해진다.
먼저 마이크로 컴퓨터(140)의 지령에 의해 공작물 유지판(52A,52B)을 기준위치에 이동시킨다. 다음에 전자브레이크(70)를 ON 또 클러치(80)를 OFF로하여 행한다. 전자브레이크(70)를 ON으로 하면 브레이크판(73)은 브레이크판(72)에 끌어 당겨져 회전축(64)은 회전할 수 없도록 잠겨진다.
클러치(80)을 OFF로 하려면 클러치 개폐용 실린더(93)의 작동로드가 안으로 들어가는 방향(제5도에 있어서 좌측방향)으로 클러치 개폐용 실린더(93)를 작동시킨다. 이것에 이해 작용판(94)은 스프링(92)에 저항하여 가동판(1)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클러치부재(82)는 스프링(85)의 가압력으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고, 클러치부재(82)의 클러치부(82a)는 클러치부재(81)의 클러치부(81a)로부터 멀어져 클러치는 OFF로 된다. 따라서 모터(61)가 작동하여도 출력축(60)회전은 회전축(64)에 전달되지 않는다.
그래서, 모터(61)을 자동시켜서 출력축(60)을 + 방향의 화살표시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타이밍 풀리(62), 타이밍 벨트(63), 구동용 타이밍 풀리(43A)를 통하여 구동축(40A)이 화살표시 B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축(40A)의 회전에 의해 운반용 타이밍 풀리(42A)를 통하여 타이밍 벨트(46A)가 화살표시 C방향으로 이동하고, 공작물 유지판(52A)이 타이밍 벨트(46A)와 함께 동일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모터(61)가 작동하여 회전축(64)은 회전하지 않으므로 타이밍 벨트(46B)는 이동하지 않으며 공작물 유지판(52B)도 이동하지 않는다.
즉 공작물 유지판(52A)만이 공작물 유지판(52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공작물 유지판(52A)과 공작물 유지판(52B)의 간격(H)을 넓게 할수 있다. 또 반대로 출력축(60)을 한쪽 방향의 화살표시 A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공작물 유지판(52A)은 공작물 유지판(52B)측으로 이동하므로 공작물 유지판(52A)과 공작물 유지판(52B)의 간격(H)을 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축(60)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간격(H)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리드프레 임(1)의 폭에 맞출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축(60)의 회전량은 디지탈 설정으로 쉽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리드프레임(1)의 폭이 변경되고, 그것에 대응하여 한쌍의 제1 및 제2공작물 유지부재(52A,52B)의 간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전자브레이크(70)을 ON, 클러치(80)를 OFF로하여 모터(61)를 구동시키면, 제1타이밍 벨트(46A)만 구동하여 제1공작물 유지부재(52A)만이 이동하므로, 제1 및 제2공작물 유지부재(52A,52B)의 간격을 리드프레임(1)의 폭에 맞추어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주 운반라인(10)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또는 가공운반라인(20)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리드프레임(1)을 운반하는 경우 보조운반수단(30)의 운반방향과 직각인 리드프레임(1)양측을 공작물 유지판(52A,52B)으로 지지하여 운반하므로, 리드프레임(1)에 아일랜드부가 없는 경우는 물론, 아이랜드부가 있어도 이 아일랜드부가 걸림이 없이 원활하게 또 아알랜드부에 외부압력을 거는 일없이 운반할 수 있다.
또 1개의 모터(61)구동으로 한쌍의 공작물 유지부재(52A, 52B)의 폭조정 및 리드프레임(1)의 운반이 행해진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판상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운반하는 운반라인과, 이 운반라인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판상부재를 운반하는 보조운반수단을 구비한 판상부재의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운반수단은 이 보조운반수단의 운반방향과 직각방향의 판상부재 양측을 지지하는 서로 대향하여 배열 설치된 한쌍의 제1 및 제2공작물 유지부재와, 이 공작물 유지부재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구동용 기구와, 상기 공작물 유지부재를 상기 운반라인과 직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운반기구를 가지며, 상기 운반기구는 상기 제1공작물 유지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운반라인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배열설치된 제1벨트 컨베이어와 동일하게 상기 제2공작물 유지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운반라인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배열설치된 제2벨트 컨베이어와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모터로 형성되고,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는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의해 구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는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브레이크수단 및 클러치를 통하여 구동되도록 연결된 구성으로 형성되므로 아일랜드부의 유무에 관계없이 판상부재를 원활하게 또 판상부재에 악영향을 미침이 없이 운반할 수 있는 동시에 1개의 모터의 구동으로 판상부재의 운반 및 판상부재의 폭변경이 행해진다.

Claims (1)

  1. 판상부재(1)를 길이방향으로 운반하는 운반라인(10 또는 20)과, 이 운반라인(10 또는 20)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판상부재(1)를 운반하는 보조운반수단(30)을 구비한 판상부재의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운반수단(30)은 이 보조운반수단(30)의 운반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판상부재(1)의 양측을 지지하는 서로 대향하여 배열설치된 한쌍의 제1 및 제2공작물 유지부재(52A,52B)와, 이 공작물 유지부재(52A,52B)를 상기 운반라인(10 또는 20)과 직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운반기구와, 이 운반기구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구동용 기구(35)를 구비하고, 상기 운반기구는 상기 운반라인(10 또는 20)과 직각방향으로 배열설치되어 상기 공작물 유지부재(52A,52B)가 미끄럼 자유로이 설치된 리니어 가이드(50)와, 상기 공작물 유지부재(52A)가 부착되어, 공작물 유지부재(52A)를 상기 리니어 가이드(50)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1의 벨트 컨베이어(43A,45A,46A)와, 상기 제2의 공작물 유지부재(52B)가 부착되어 이 공작물유지부재(52B)를 상기 리니어 가이드(50)에 따라서 이동되는 제2벨트 컨베이어(43B,45B,46B)와, 제1 및 제2벨트 컨베이어(43A,45A,46A 및 43B,45B,46B)를 구동시키는 모터(61)로 형성되며,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43A,45A,46A)는 상기 모터(61)의 출력축에 의해 구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43B,45B,46B)는 상기 모터(61)의 출력축에 브레이크수단(70) 및 클러치(80)를 통하여 구동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부재의 운반장치
KR1019930006024A 1992-05-19 1993-04-10 판상부재의 운반장치 KR0132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50105 1992-05-19
JP4150105A JP3063046B2 (ja) 1992-05-19 1992-05-19 板状部材の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133A KR930024133A (ko) 1993-12-22
KR0132770B1 true KR0132770B1 (ko) 1998-04-11

Family

ID=15489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024A KR0132770B1 (ko) 1992-05-19 1993-04-10 판상부재의 운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332079A (ko)
JP (1) JP3063046B2 (ko)
KR (1) KR01327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5696B2 (ja) 1999-03-15 2003-04-14 日本電気株式会社 ウェハ処理装置およびウェハ処理方法
US6364093B1 (en) * 2000-02-25 2002-04-02 Boltech, Inc. Walking beam conveyor and method
FR2853304B1 (fr) * 2003-04-03 2006-04-14 Cie Francaise Eiffel Construct Dispositif pour deplacer une charge lourde
CN103594405B (zh) * 2013-11-29 2016-05-11 如皋市大昌电子有限公司 一种轴向二极管自动化上胶后固化输送装置
CN105966886A (zh) * 2016-06-13 2016-09-28 歌尔股份有限公司 输送装置
CN106927237A (zh) * 2017-04-25 2017-07-07 全南县智护力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工业用的铝板输送装置
CN108673335A (zh) * 2018-06-04 2018-10-19 安徽万协智能科技集团有限公司 珩磨管加工用的自动感应输送装置
CN115649867B (zh) * 2022-12-26 2023-03-07 昆山圣翰智能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搬运用机械手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8170U (ko) * 1974-02-14 1975-09-04
JPS56132223A (en) * 1980-03-21 1981-10-16 Japan Steel Works Ltd:The Transfer-conveyance system of square motion
JPS59190105A (ja) * 1983-04-13 1984-10-27 Toppan Printing Co Ltd 物品搬送装置の物品幅変換装置
DE3601699A1 (de) * 1986-01-22 1987-07-23 Bosch Gmbh Robert Foerdereinrichtung zum transport von werkstuecken
JPS62235742A (ja) * 1986-04-06 1987-10-15 Shinkawa Ltd 半導体装置の組立装置
US5238100A (en) * 1991-06-13 1993-08-24 Ford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glass she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171813A (ja) 1994-06-21
US5332079A (en) 1994-07-26
JP3063046B2 (ja) 2000-07-12
KR930024133A (ko) 199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4011B1 (ko) 기계 가공 장치
JPH08169536A (ja) ワークの自動搬送方法および装置
KR0132770B1 (ko) 판상부재의 운반장치
KR20030042196A (ko)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JPS60180745A (ja) ワーク又はワークホルダの位置決め及び固定装置
KR0132771B1 (ko) 판상부재의 운반장치
US4893982A (en) Apparatus for conveying workpiece
US5938400A (en)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in particular for loading and unloading presses
US5186719A (en) Apparatus for conveying semiconductor lead frame strip using guide rails
US4256221A (en) Workpiece assembly machinery
US5862904A (en) Line synchronizing apparatus
US49695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verting printed circuit boards
KR940018303A (ko) 부품 이송장치
US5988481A (en) Bonding apparatus with adjustable heating blocks, clamps, and rails
US5264002A (en) Method for conveying semiconductor lead frame strip with an apparatus having vertically movable guide rails
JPH1025029A (ja) 移載ロボット用ロボットハンド
JPH0347639A (ja) トランスファフィーダ
CA2242427C (en) Loading device for a plate press
KR960002989B1 (ko) 푸셔장치
JPS59224232A (ja) 加工物の搬出入装置
JP3680579B2 (ja) ワーク移送装置
JPH05132118A (ja) 搬送装置
KR200324816Y1 (ko) 노광기의 기판 이송장치
JPH08139500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H04269133A (ja) ワークの位置決め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