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743Y1 - 전기보온밥솥의 가열체 - Google Patents

전기보온밥솥의 가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743Y1
KR0132743Y1 KR2019950037815U KR19950037815U KR0132743Y1 KR 0132743 Y1 KR0132743 Y1 KR 0132743Y1 KR 2019950037815 U KR2019950037815 U KR 2019950037815U KR 19950037815 U KR19950037815 U KR 19950037815U KR 0132743 Y1 KR0132743 Y1 KR 0132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late
inner pot
rice cooker
thermal
h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7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869U (ko
Inventor
유재원
Original Assignee
유재원
세광알미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원, 세광알미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재원
Priority to KR2019950037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743Y1/ko
Publication of KR9700268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8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7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밥솥에서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전열판과 취사용기와의 밀착성이 개선되도록 한 전기보온밥솥의 가열체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가열판이 평면형태이거나 사발모양을 갖도록 외경을 상부로 소정길이 연장한 연장부를 형성한 것이 제안되었으나 실제 사용할 때 가열판이 가열되는 경우 열팽창에 의하여 변형이 되어 내솥과의 접촉성이 좋지 않게 되어 열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에서는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판과 내솥과의 열전달이 매우 양호하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에 음식물을 담기는 내솥의 바닥면 및 측면하부면과 밀착되도록 둘레에 상측으로 연장부가 형성된 사발형상으로서 접촉면을 확대하여 열전도율을 향상하도록 한 가열판으로 구성된 전기보온밥솥에 있어서, 상기 내솥과 밀착되어 열전도하도록 하는 가열판 둘레의 연장부에 복수개의 완충용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는 열변형력이 내측으로 작용하도록 내면에 요홈띠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보온밥솥의 가열체
제1도는 본 고안의 가열판구조를 보인 부분단면으로서, (a)는 테두리가 분리된 상태이고, (b)는 테두리가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가열판구조에 의한 사용상태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다른 가열판 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히터 2,20 : 가열판
3,30 : 내솥 21 : 연장부
100 : 가열판 110 : 연장부
111 : 단턱부 115 : 절개부
120 : 히터 130 : 내솥
140 : 테두리
본 고안은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히터에 의해 가열된 가열판과 취사용기와의 열전도를 향상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전기보온밥솥의 가열체에 관한 것이다.
전기보온밥솥은 전기에 의한 저항발열을 열원으로 하여 음식물 특히 밥을 취사하는 것으로서 사용이 간편하고 장시간 음식을 따뜻하게 보존하는 것으로 일반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취사도구이다.
이와같은 전기보온밥솥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를 에너지로 하여 저항발열하는 히터(1)와 상기 히터(1)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판(2)과 상기 가열판(2)에 접촉되어 열전도에 의해 전달된 열로 담겨진 음식물을 조리하는 내솥(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가열판(2)은 평한 모양으로 구성된 것으로 내솥(3)의 바닥면 만을 가열하도록 한 구조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의 전기보온밥솥은 음식물이 담겨지는 내솥(3)의 바닥면만이 상기 가열판(2)에 국부적으로 접촉하여 가열되는 방식으로 조리가 된다.
상기 가열판(2)과 내솥(3)과의 사이에는 최대로 넓은 면적이 밀착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어야만 열전도가 양호하여 열효율이 좋게 되므로 가열판(2)과 내솥(3)와의 밀착접촉정도와 접촉면적의 확대는 제품의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와같은 종래의 내솥은 바닥면만의 국부적인 가열에 의하여 안에 담겨진 조리물(쌀)에 열이 골고루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조리시간이 많이 걸리게 된다.
이와같이 조리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원인은 히터(1)의 발열량에 비해 가열판(2)에 의한 내솔(3)으로서 열전도가 불량하여 열전달 효율이 떨어지는데 기인한 것이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95-17740호를 통하여 열전달이 양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발열체의 구조를 제안한 바 있다.
즉 상기 선출원의 특징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히터(11)와 상기 히터(11)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판(12)과 상기 가열판(12)을 통해 전달받아 내부에 음식물이 담겨진 내솥(13)를 간접가열하도록 하는 전기밥솥에서 상기 가열판(12)이 사발모양을 갖도록 외경을 상부로 소정길이 연장한 연장부(14)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가열판(12)의 연장부(14)에 의하여 내솥(13)의 바닥면 및 측면부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가열되게 되므로 열전달이 양호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선출원의 경우 실제 사용할 때 가열판(12)이 가열되는 경우 열팽창에 의하여 변형이 되어 내솥(13)과의 접촉성이 좋은 않게 되어 열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즉 제4도의 (b)와 같이 히터(11)가 내장된 가열판이 열팽창에 의하여 늘어나는 경우 내솥(13)을 둘러싼 연장부(14) 부분이 벌어지면서 틈(A)이 형성되어 열전도를 떨어뜨리게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물이나 음식물이 담긴 내솥과 히터에 의해 직접가열되는 가열판의 상슨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팽창율도 커다란 차이가 있게된다.
따라서 이때 형성되는 틈(A)의 이격상태에 의하여 열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선출원의 미비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에서는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판과 내솥와의 열전달이 매우 양호하도록 한 전기보온밥솥의 가열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내부에 음식물을 담기는 내솥의 바닥면 및 측면하부면과 밀착되도록 둘레에 상측으로 연장부가 형성된 사발형상으로서 접촉면을 확대하여 열전도율을 향상하도록 한 가열판으로 구성된 전기보온밥솥에 있어서, 상기 내솥과 밀착되어 열전도하도록 하는 가열판 둘레의 연장부에는 복수개의 절개부를 형성하여 열변형에 의한 완충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연장부의 둘레이는 열팽창률이 작은 재질로 된 테두리를 끼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의 (a)는 본 고안 가열판(100)의 구성상태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로서 가열판(100)과 별도의 테두리(140)이 상호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b)는 상호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이며, 제 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전원에 의한 저항발열로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하는 취사기구로서 내부에 음식물을 담도록 하며 본체와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된 내솥(130)과; 상기 내솥(130)의 바닥 및 측면하부와 밀착되어 열전도율을 향상하도록 둘레에 상측으로 연장부(110)가 형성된 사발형상으로서 내부에 히터(120)가 내장 설치된 가열판(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솥(130)과 밀착되어 열을 전도하는 가열판(100)의 연장부(110)에는 복수개의 절개부(115)가 길게 형성되어 있고, 외측으로는 별도의 테두리(14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단턱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두리(140)는 연장부(110)의 외측 둘레에 끼워져 가열판(100)의 열팽창을 제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므로 상기 가열판(100)의 재질보다는 열팽창계수가 작은 내열성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본다.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매부에 장착 설치된 히터(120)에 의해 가열판(100)이 가열되면서 점점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내솥(130)에는 물과 혼합된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 상기 가열판(100)에 밀착된 접촉부를 통하여 열이 전도되어 조리가 이루어 진다.
이때 가열판(100)과 내솥(130)의 상승온도는 커다란 차이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호 열팽창정도가 다르게 되므로 가열판(100)의 연장부(110)와 내솥(130)의 외측면 사이에 틈이 생기는 이격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은 가열판(100)의 연장부(110)에 복수개의 절개부(1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115)의 외측 둘레에는 테두리(140)가 둘리워져 있으므로 열팽창에 의한 변형이 적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테두리(140)와 절개부(115)는 가열판(100)이 열에 의해 팽창시 이를 제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열팽창에 의해 늘어난 부피를 상기 절개부(115)에 의해 상쇄되도록 하며, 따라서 상기 테두리는 변형력이 외측으로 작용됨을 방지하여 준다.
따라서 가열판(100)과 내솥(130) 사이에 밀착성이 확보되어 열전도율을 높이게 되므로서 열효율이 좋아 더욱 빠른 조리가 가능하게 되며, 아울러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전기보온밥솥의 가열판 구조의 변경을 통하여 열전달을 향상하며, 특히 히터의 열이 조리용 내솥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여 고른 취사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며 취사 후 보온기능을 향상시킨 것으로 매우 유익한 기술인 것이다.

Claims (2)

  1. 전원에 의한 저항발열로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하는 취사기구로서 내부에 음식물을 담도록 하며 본체와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된 내솥(130)과; 상기 내솥(130)의 바닥 및 측면하부와 밀착되어 열전도율을 향상하도록 둘레에 상측으로 연장부(110)가 형성된 사발형상의 가열판(100)으로 구성된 전기보온밥솥에 있어서, 상기 내솥(130)과 밀착되어 열을 전도하는 가열판(100)의 둘레 연장부(110)에는 복수개의 절개부(115)와 상기 연장부(110)의 외측 둘레에는 테두리(140)가 끼워져 열팽창에 의한 접촉불량이 방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보온밥솥의 가열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100)의 연장부(110) 외측둘레에 끼워지는 테두리(140)는 상기 가열판(100)의 재질보다 열팽창율이 작은 소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보온밥솥의 가열체
KR2019950037815U 1995-12-01 1995-12-01 전기보온밥솥의 가열체 KR0132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815U KR0132743Y1 (ko) 1995-12-01 1995-12-01 전기보온밥솥의 가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815U KR0132743Y1 (ko) 1995-12-01 1995-12-01 전기보온밥솥의 가열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869U KR970026869U (ko) 1997-07-24
KR0132743Y1 true KR0132743Y1 (ko) 1998-12-01

Family

ID=1943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7815U KR0132743Y1 (ko) 1995-12-01 1995-12-01 전기보온밥솥의 가열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7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811B1 (ko) * 2000-11-30 2007-06-2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열변형 보정기능을 갖는 공작기계의 헤드바디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811B1 (ko) * 2000-11-30 2007-06-2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열변형 보정기능을 갖는 공작기계의 헤드바디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869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9947A (en) Rice and vegetable steamer
CN101611990A (zh) 电加热陶瓷壶
KR0132743Y1 (ko) 전기보온밥솥의 가열체
KR200140985Y1 (ko) 전기보온밥솥의 가열체
KR0132744Y1 (ko) 전기보온밥솥의 가열체
CN201223213Y (zh) 电加热陶瓷壶
KR200357125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
KR200182399Y1 (ko) 전기밥솥
CN219693329U (zh) 一种电热围炉
CN209346646U (zh) 一种新型带制冷的慢炖锅
CN109875386A (zh) 米饭口感均衡的电饭煲
CN219422611U (zh) 一种蒸烫一体式火锅
CN215304952U (zh) 一种蒸汽烹饪器具
CN220546135U (zh) 一种可分区煮饭的电饭煲锅胆
CN213850029U (zh) 一种热量循环利用的烹饪式套餐机
JPS5925289Y2 (ja) 電磁調理器用煮沸具
CN210673045U (zh) 内锅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09770013U (zh) 一种新型电饭煲的加热隔热装置
KR20060124369A (ko)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조리용기
JPS6016071Y2 (ja) 電気調理器
CN206371911U (zh) 一种盖体及其饭煲
KR100407794B1 (ko) 전기밥솥
JPH0214722Y2 (ko)
KR200276867Y1 (ko) 카본시트 발열체를 내면에 코팅시킨 전기보온밥통
JPS5854008Y2 (ja) 電気煮炊調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