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717Y1 - 삼각캔 - Google Patents

삼각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717Y1
KR0132717Y1 KR2019960027879U KR19960027879U KR0132717Y1 KR 0132717 Y1 KR0132717 Y1 KR 0132717Y1 KR 2019960027879 U KR2019960027879 U KR 2019960027879U KR 19960027879 U KR19960027879 U KR 19960027879U KR 0132717 Y1 KR0132717 Y1 KR 01327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ave
opening
triangular
folded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7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4723U (ko
Inventor
카플라 안드레아스
레이히 알버트
가슬러 레네
Original Assignee
우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용기 filed Critical 우용기
Priority to KR2019960027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717Y1/ko
Publication of KR199800147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7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7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8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polygonal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용물이 빈 캔 본체를 납짝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삼각캔에 관한 것으로, 캔 본체를 삼각형으로 만들고, 상측 밀봉판재에 개봉부를 절취하기 위한 개봉절취선과 상기 개봉절취선을 파절시키는 개봉손잡이를 부착하여서 된 삼각캔에 있어서, 상기 캔 본체의 3면을 절첩면과 압압면 그리고 평탄면으로 구분한 다음 상기 절첩면 중심부에 수직상으로 형성시킨 요형절곡선과, 상기 요형절곡선의 상,하부에서 연결되며, 그 해당면인 절첩면에 형성된 상,하측 밀봉판재의 플렌지 양측 코너부분 까지 경사상으로 연장되는 요형경사절곡선들과, 상기 요형경사절곡선들 중 일측 요형경사절곡선과 동일한 경사각도를 가지며 경사지게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철형연장절곡선들 및 상기 철형연장절곡선들의 끝부분과 인접하며, 상기 절첩면과 인접한 압압면에 형성된 플렌지의 먼쪽 코너부분까지 길게 경사지게 연장되는 요형연장절곡선을 구성하여 캔 본체의 압압면을 절첩면쪽으로 압압하므로서 상기 절첩면에 형성된 수직상의 요형절곡선이 안쪽으로 절첩되면서 캔 본체가 납짝하게 절첩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삼각캔
본 고안은 내용물이 빈 캔 본체를 납짝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삼각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량음료나 혼합과즙음료 또는 맥주와 같은 주정음료를 내용물로 하는 캔은 원형으로 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바, 이러한 종래 기술의 원형캔들은 캔 본체가 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도 잘 찌그러지지 않도록 비교적 강한 강도를 보유하고 있다.
그런데 캔 속에 들어있는 내용물을 다 비운 후 캔을 그대로 버리게 될 경우에는 캔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수거시 많은 량을 운반할 수 없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캔 본체를 납짝하게 찌그러뜨려야 하는데 원형으로 된 캔 본체 자체의 강도가 강해 작은 힘으로는 용이하게 찌그러뜨릴 수 없어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캔의 내용물을 식음한 후에는 캔 본체의 부피를 축소시키지 않고 그대로버리게 되는 폐단이 있어 캔의 수거처리에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원형캔은 밀봉판재에 형성된 개봉부를 통해 내용물을 인출시킬 때 내용물이 한곳으로 모아진 상태로 인출되지 않고 좌우로 퍼진 상태로 흘러내리게 되어 내용물이 입 가장자리로 흘러내리면서 의복으로 떨어지는 폐단을 없애기 위해 캔을 삼각형으로 제조한 것으로서 실용신안공보 제 1534 호에 공고번호 제 92-172 호로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위 선행고안의 삼각형 캔 역시 캔 본체를 용이하게 찌그러뜨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캔을 삼각형으로 만들되, 캔 본체에 절곡선을 형성시키는 구조로서 내용물을 다 비운 다음에는 사용자 스스로가 적은 힘으로 캔 본체를 납짝하게 절첩시켜 캔 본체의 부피를 최소화로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일정크기의 캔 수거함에 보다 많은 량의 캔을 수거할 수 있게 함과 동시 일시에 많은 량의 캔을 운반하여 폐기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또한 삼각형으로 된 캔의 밀봉판재에 형성된 개봉부를 위생적으로 개봉함과 동시 내용물을 남기거나 흘리지 않고 전량 식음할 수 있게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캔 본체를 삼각형으로 만들고, 상측 밀봉판재에 개봉부를 절취하기 위한 개봉절취선과 상기 개봉절취선을 파절시키는 개봉손잡이를 부착하여서 된 삼각캔에 있어서, 상기 캔 본체의 3면을 절첩면과 압압면 그리고 평탄면으로 구분한 다음 상기 절첩면 중심부에 수직상으로 형성시킨 요형(凹型)절곡선과; 상기 요형절곡선의 상,하부에서 연결되며, 그 해당 면인 절첩면에 형성된 상,하측 밀봉판재의 플렌지 양측 코너부분까지 경사상으로 연장되는 요형경사절곡선들과; 상기 요형경사절곡선들 중 일측 요형경사절곡선과 동일한 경사각도를 가지며 경사지게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철형(凸型)연장절곡선들과; 및 상기 철형연장절곡선들의 끝부분과 인접하며, 상기 절첩면과 인접한 압압면에 형성된 플렌지의 먼쪽 코너부분까지 길게 경사지게 연장되는 요형연장절곡선;을 구성하여 캔 본체의 압압면을 절첩면쪽으로 밀면서 눌러주면 상기 절첩면에 형성된 수직상의 요형절곡선이 안쪽으로 절첩되면서 캔 본체가 납작하게 절첩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캔 본체가 납짝하게 절첩될 때, 상,하측 밀봉판재는 절첩면을 납짝하게 절첩시키는 압압면 위로 평탄하게 절첩되도록 하는데 다른 특징이 있으며, 또한 상기 캔 본체의 상측 밀봉판재의 일측 삼각코너부에 근접되게 삼각형의 개봉절취선을 형성시킴과 동시 상기 개봉절취선의 삼각형 선단부를 압압하여 파절시키는 절곡돌부가 있는 삼각형으로 된 개봉손잡이를 부착한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삼각캔의 전개도.
제3도 내지 제6도의 (a)(b)도는 본 고안의 삼각캔을 납짝하게 접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삼각캔의 밀봉판재를 절취하는 개봉손잡이의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삼각캔의 밀봉판재의 단면도.
제9도 및 제10도는 본 고안의 밀봉판재를 절취,개봉하는 개봉손잡이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캔 본체 2,3 : 상,하측 밀봉판재
4 : 개봉손잡이 11 : 요형절곡선
12a, 12b, 13a, 13b : 요형경사절곡선 14a, 14b : 철형연장절곡선
15a, 15b : 요형연장절곡선 21 : 개봉부
22 : 요형절곡멈춤선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제2도는 본 고안의 캔 본체 및 상,하측 밀봉판재를 전개시킨 전개도이고, 제3도 내지 제6도의 (a)(b)도는 본 고안의 캔 본체를 납짝하게 접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이며, 제7도는 본 고안의 캔 본체의 상측 밀봉판재를 절취하는 개봉손잡이의 사시도이고, 제8도는 본 고안의 상측 밀봉판재의 개봉부를 절취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제9도 및 제10도는 본 고안의 상측 밀봉판재에 형성시킨 개봉부를 절취,개봉하는 개봉손잡이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면부호 1은 캔 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캔 본체(1)는 삼각형으로 성형되어 절첩면(1a)과 압압면(1b) 그리고 평탄면(1c)으로 구분된다.
상기 캔 본체(1)의 상,하부는 상,하측 밀봉판재(2)(3)와 이를 결합하기 위한 상,하측 플렌지(2a)(3a)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캔 본체(1)의 절첩면(1a) 중심에는 상,하측 플렌지(2a)(3a)에 가까운 위치까지 요형절곡선(11)이 수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요형절곡선(11)은 프레스가공으로서 캔 본체(1)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절첩면(1a) 자체가 내측을 향해 반으로 절첩되게 하는 작용을 담당한다.
또한 요형절곡선(11) 상,하부는 절첩면(1a)의 상,하측 플렌지(2a)(3a)의 양쪽 코너부분까지 대칭상으로 연장되는 요형경사절곡선(12a)(12b),(13a)(13b)과 서로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한 요형경사절곡선들은 모두 캔 본체(1)의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프레스가공된 것이다.
상기 요형절곡선(11)의 상,하부와 요형경사절곡선(12a)(12b),(13a)(13b)들이 만나는 지점에는 별도의 철형연장절곡선(14a)(14b)이 형성되는데, 상기 철형연장절곡선들은 일측 요형경사절곡선(12b),(13b)과 일직선상태로 연장되어 절첩면(1a)과 압압면(1b)의 코너부분까지 연장된 상태이며, 또 상기 철형연장절곡선들은 캔 본체(1)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게 가공되어 외측으로의 절첩작용을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캔 본체(1)의 압압면(1b)에는 대칭상으로 두줄의 요형연장절곡선(15a)(15b)이 형성되는데, 상기 요형연장절곡선들의 일단은 상기 절첩면(1a)과 압압면(1b)의 코너부분에서 철형연장절곡선(14a)(14b)과 연장된 상태에서 반대측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서 먼쪽 플렌지의 코너부분까지 이어져 있다.
그리고 캔 본체(1)를 구성하고 있는 평탄면(1c)는 절첩면(1a)과 압압면(1b)을 절첩하게 될 때 버팀면의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의 캔 본체(1)의 상,하측에 결합되는 상,하측 밀봉판재(2)(3) 중 상측 밀봉판재(2)에는 개봉부(21)와 개봉손잡이(4)가 착설되어 있다.
상기 개봉부(21)는 상측 플렌지(2a)의 삼각코너부분에 인접하여 ∧자형으로 형성되는 개봉절취선(21a)과 상기 개봉절취선의 양쪽 끝부분을 잇는 요형절곡멈춤선(22)으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개봉부(21)에는 삼각형으로 된 개봉손잡이(4)가 리벳(41)으로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 개봉손잡이(4)의 삼각형 선단부에는 개봉절취선(21a)의 선단을 압압하는 절곡돌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개봉손잡이(4)의 끝부분에는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호형돌출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2도의 도시예와 같이 캔 본체(1)와 상,하측 밀봉판재(2)(3)를 각각 별도의 공정으로 가공한 다음 캔 본체(1)를 삼각형으로 성형한 후 상,하측 밀봉판재(2)(3)를 차례로 드로우잉 가공하여 내용물이 충진된 삼각캔을 제조하는데, 이때 상측 밀봉판재(2)에는 개봉손잡이(4)가 리벳(42)으로 결착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삼각캔의 상측 밀봉판재(2)에 착설된 개봉손잡이(4)를 이용하여 개봉부(21)를 개봉(개봉부의 개봉상태는 후술한다)하여 내용물을 다 비운후에는 캔 본체(1)의 부피를 최소화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캔 본체(1)의 압압면(1b)을 한차례 밀면서 눌러주는 동작으로 완료할 수 있다.
즉, 제3도와 같은 상태에서 압압면(1b)측에서 힘을 가하되, 절첩면(1a)과 인접한 코너부분을 손가락(힘이 가장 센 엄지손가락)으로 절첩면(1a)을 향해 힘을 가하게 되면 절첩면(1a)은 그 중심부에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요형절곡선(11)이 내측으로 절곡되려는 작용에 의해 절첩면(1a) 자체가 안쪽으로 절첩되기 시작하게 되며(제4도 참조 : 이 경우 사용자는 캔 본체를 쥐고 있는 다른 손가락으로 절첩면의 외측에서 눌러주는 동작을 겸하게 되면 절첩작용이 더욱 쉬워진다). 이같이 절첩면(1a)을 절첩시키기 시작하는 압압면(1b)은 그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요형연장절곡선(15a)(15b)이 안쪽으로 절첩되는 작용에 의해 절첩면(1a)측으로 계속해서 힘을 가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한편, 상기 요형연장절곡선(15a)(15b)들과 연결되어 있는 철형연장절곡선(14a)(14b)들은 절첩면(1a)을 외측으로 절첩시키는 작용을 하게 됨과 동시 요형절곡선(11)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요형경사절곡선(12a)(12b),(13a)(13b)들이 내측으로 절곡되는 작용을 유도하게 되므로서 결국 절첩면(1a)은 제5도의 도시예와 같이 납짝하게 절첩되는 작용이 진행되는 것이며, 이때 절첩면(1a)과 압압면(1b)에 형성된 요형경사절곡선(12a)(12b),(13a)(13b)과 철형연장절곡선(14a)(14b) 및 요형연장절곡선(15a)(15b)의 절첩작용에 의하여 상,하측 밀봉판재(2)(3)은 삼각형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압압면(1b) 위쪽으로 납짝하게 절첩되는 것이다.(제6도 참조)
상기와 같이 캔 본체(1)의 압압면(1b)을 절첩면(1a)쪽으로 힘을 가하는 동작만으로 절첩면(1a) 자체가 평탄면(1c)과 압압면(1b) 사이에 완전하게 납짝하게 반절되고 또 상,하측 밀봉판재(2)(3)도 압압면(1b) 위에 납짝하게 압착된 상태가 되므로서 삼각캔 전체는 납짝하게 절첩되는 것이다.
다음 삼각캔의 상측 밀봉판재(2)에 형성된 개봉부(21)를 개봉하는 작용을 설명하면, 제8도의 도시예와 같이 개봉손잡이(4)의 끝부분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호형돌출부(43) 밑으로 손가락 끝을 밀어 놓고 위로 들어올리게 되면 개봉손잡이(4) 자체는 리벳(41)을 중심으로 하여 시이소작용을 하게 되므로서 삼각형 선단부가 개봉부(21)를 압압하게 되는데, 이때 개봉손잡이(4)의 선단에 형성된 절곡돌부(42)는 개봉절취선(21a)의 삼각형 선단부를 압압하게 되므로서 개봉부(21)의 선단부는 밑으로 파절되면서 개봉되기 시작하며(제9도 참조). 이같이 개봉부(21)의 선단부가 개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개봉손잡이(4)를 잡아당기게 되면 개봉부(21)의 개봉절취선(21a)은 요형절곡멈춤선(22)까지 파절되다가 멈추게 된다. 이같은 작용으로 요형절곡멈춤선(22)까지 개봉되는 개봉부(21)는 캔 본체 속으로 몰입되지 않고 상측 밀봉판재(2)의 위를 향해 대락 Z자형으로 완전히 개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개봉부(21)가 상향으로 개봉되므로서 개봉하기 전상태에서 개봉부(21)상면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내용물에 용해되는 사례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개봉부(12)의 八자형 개봉 절취선(21a)은 플렌지(2a)의 삼각코너부분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서 내용물 유출시 좌,우로 흩어지는 사례가 없어 내용물을 식음할 때 흘리거나 남기지 않고 전량 마실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삼각캔의 내용물을 식음한 후 캔 본체를 버리고자 할 때 사용자 스스로가 캔 본체를 납짝하게 절첩하여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서 캔 수거함에 많은 량을 수거 및 저장할 수 있어 캔의 수거효율과 운반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캔의 재활용률을 증대시켜 자원의 재활용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삼각캔의 밀봉판재를 개봉할 때 개봉부가 캔속으로 몰입되지 않고 밖으로 개봉되므로서 내용물을 보다 위생적으로 식음할 수 있게 하는 효과와 함께 내용물을 흘리거나 남기지 않고 식음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져다주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3)

  1. 캔 본체를 삼각형으로 만들고, 상측 밀봉판재에 개봉부를 절취하기 위한 개봉절취선과 상기 개봉절취선을 파절시키는 개봉손잡이를 부착하여서 된 삼각캔에 있어서, 상기 캔 본체의 3면을 절첩면과 압압면 그리고 평탄면으로 구분한 다음 상기 절첩면 중심부에 수직상으로 형성시킨 요형절곡선과; 상기 요형절곡선의 상,하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절첩면에 형성된 상,하측 밀봉판재의 플렌지 양측 코너부분 까지 경사상으로 연장되는 요형경사절곡선들과; 상기 요형경사절곡선들 중 일측 요형경사절곡선과 동일한 경사각도를 가지며 경사지게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철형연장절곡선들과; 및 상기 철형연장절곡선들의 끝부분과 인접하며, 상기 절첩면과 인접한 압압면에 형성된 플렌지의 먼쪽 코너부분까지 길게 경사지게 연장되는 요형연장절곡선;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 본체가 납짝하게 절첩될 때 상,하측 밀봉판재가 납짝하게 절첩되는 압압면 위로 평탄하게 절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 본체의 상측 밀봉판재의 일측 삼각코너부에 인접되게 형성된 개봉부는 개봉손잡이의 선단부에 형성된 절곡돌부의 압압력에 의해 하향 개봉된 후 개봉손잡이의 당김작용에 의해 상향으로 개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캔.
KR2019960027879U 1996-09-02 1996-09-02 삼각캔 KR01327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879U KR0132717Y1 (ko) 1996-09-02 1996-09-02 삼각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7879U KR0132717Y1 (ko) 1996-09-02 1996-09-02 삼각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723U KR19980014723U (ko) 1998-06-25
KR0132717Y1 true KR0132717Y1 (ko) 1998-12-01

Family

ID=1946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7879U KR0132717Y1 (ko) 1996-09-02 1996-09-02 삼각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7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5697B1 (ko) * 2023-07-14 2024-07-16 김지현 위생구조 배출구를 갖는 음료수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623Y1 (ko) * 2017-11-27 2019-07-12 주식회사 엑시옴 휀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5697B1 (ko) * 2023-07-14 2024-07-16 김지현 위생구조 배출구를 갖는 음료수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723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3342Y1 (ko) 위생 스파우트(spout)를 내장한 음료용기
US20130180989A1 (en) Container
JPS61127460A (ja) ストロ−を収納した飲料容器
US4184605A (en) Container opening means
JP2004501036A (ja) 薄膜飲料容器用注出帯アセンブリ
KR0132717Y1 (ko) 삼각캔
JPH1059351A (ja) 掴み部を有するパック
EP0327244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rinking straws
JPS5944274B2 (ja) パック飲料等の包装用箱
US20120256024A1 (en) Easy sealing pill crusher pouch for use with a pill crusher
JP2004155480A (ja) 開口容易缶蓋
KR200210336Y1 (ko)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KR20040025490A (ko) 개봉이 용이한 포장봉지
US3454190A (en) Integral opener and closure
KR100634345B1 (ko) 음료 캔의 밀봉 탭구조
CN219155011U (zh) 一种新型半开口易开盖
JP3103667B2 (ja) 把手部材
KR200209060Y1 (ko)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JPH11100031A (ja) 手でつぶし小さくして捨てられる嗜好飲料の缶
JP3081667U (ja) 飲料用容器
CN201305167Y (zh) 自动双扣底手挽盒
CN2205361Y (zh) 易开式瓶盖
KR200332933Y1 (ko) 음료 캔의 밀봉 탭구조
KR20020014660A (ko) 캔용기의 취출구 개방구조
KR200354817Y1 (ko) 개방시에 빨대가 돌출 되게한 음료수용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