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700Y1 - 고압발생기의 코어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고압발생기의 코어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700Y1
KR0132700Y1 KR2019950054655U KR19950054655U KR0132700Y1 KR 0132700 Y1 KR0132700 Y1 KR 0132700Y1 KR 2019950054655 U KR2019950054655 U KR 2019950054655U KR 19950054655 U KR19950054655 U KR 19950054655U KR 0132700 Y1 KR0132700 Y1 KR 0132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pressure generator
section
cores
circular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46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6312U (ko
Inventor
채승욱
Original Assignee
서두칠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두칠,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두칠
Priority to KR20199500546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700Y1/ko
Publication of KR9700463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63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7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압발생기(1)의 코어(20a,20b)를 간편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코어(20a,20b)의 원형 단면부(21)외주면의 원주상에 반원형의 홈(24)을 형성하고, 상기 코어(20a,20b)의 원형 단면부(21)에 형성된 반원형 홈(24)에 고무링(25)를 부착하여 고압발생기(1)의 코어 삽입공에 원형 단면(21)의 코어(20a,20b)를 삽입하는 과정과 본드 주입 공정에 의해 고압발생기(1)와 코어(20a,20b)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서, 코어(20a,20b)를 간편하게 조립 및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압발생기의 코어 고정 구조
제1도는 종래의 고압발생기 코어 고정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고압발생기 코어 고정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압발생기 20a,20b : 코어
21 : 원형 단면부 22 : 사각 단면부
23 : 결합홈 24 : 반원 홈
25 : 고무링 30 : 코어 밴드
본 고안은 고압발생기의 코어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어밴드를 이용하지 않고 코어의 원형 단면부의 외주면에 고무링을 부착하여 고압발생기의 코어를 간편하게 조립 및 고정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 향상과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고압발생기의 코어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어는 고압발생기에서 자화에 의한 전력 손실을 작게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자성체로 제작되며, 고압발생기의 상하에 대칭형으로 결합되는 구성품으로 텔레비전 수상기의 드롭테스트나 일반적 충격 등에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고압발생기 코어 고정 구조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압발생기(1)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중앙에는 각각 상부코어(20a)와 하부코어(20b)의 삽입공을 형성한다.
상하부 코어(20a,20b)는 각각 원형 단면부(21)와 사각 단면부(22)로 구성되며, 각각의 원형 단면부(21)는 고압발생기(1)의 상.하부면에 형성된 코어 삽입공과 대응되며, 사각단면부(22)는 고압발생기(1)외부에 노출되는 것으로 사각 단면부(22)의 외측면 중앙에 코어밴드 결합홈(23)을 형성한다.
코어밴드(30)는 원형단면의 철심으로 상기 코어밴드 결합홈(2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되며, 탄성력을 향상되도록 모서리부를 돌출되게 절곡한다.
상기와 고압발생기(1)의 상하부 코어 삽입공에 각각 상.하부 코어(20a,20b)의 원형 단면부(21)을 삽입한후, 상기 상.하부 코어(20a,20b)의 사각 단면부(22)에 형성된 코어밴드(30) 결합홈(23)에 코어밴드(30)를 끼워 코어밴드(30)의 탄성작용으로 코어(20a,20b)가 고압발생기(1)에 고정되도록하며, 상기 코어(20a,20b)밴드 결합홈(23)에 끼워진 코어밴드(30)가 코어(20a,20b)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본드로 접착하여 코어(20a,20b)를 조립 및 고정되게 구성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고압발생기(1) 코어(20a,20b)의 고정 구조에서는 고압발생기(1)에 코어(20a,20b)를 삽입한후, 코어밴드(30)로 코어(20a,20b)를 고정하고, 코어밴드(30)를 코어(20a,20b)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본드칠을 함으로서, 작업공정이 까다로와 작업 시간이 지연되고, 코어밴드(30)라는 자재를 사용하게 되므로 생산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코어 고정 구조를 간편하게 하여 작업공정을 간소화하며,
둘째; 코어밴드를 사용하지 않고 코어를 고압발생기에 고정할 수 있게함으로서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코어고정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코어의 원형 단면부 외주면의 원주상에 반원형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코어의 원형 단면부에 형성된 반원형 홈에고무링를 부착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압발생기(1)의 상하부면에는 코어 삽입공을 형성하며, 상하부 코어(20a,20b)는 각각 원형 단면부(21)과 사각 단면부(22)로 구성되며, 각각의 원형 단면부(21)에는 외주면의 원주상에 반원형의 홈(24)을 형성하고, 상기 반원형의 홈(24)에 고무링(25)이 부착된다.
상기 상.하부 코어(20a,20b)의 원형 단면부(21)를 고압발생기(1)의 상.하부면에 형성된 코어 삽입공에 삽입하고, 본드를 주입하여 고압발생기(1)에 코어(20a,20b)를 조립 및 고정되게 구성 하였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코어의 원형 단면부(21)의 외주면상에 부착된 고무링(25)의 원형 단면중 반원은 코어의 반원형 홈(24)에 묻히고 원형 단면중 반원은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코어(20a,20b)의 원형 단면부(21)에 고무링(25)을 부착한 상.하부 코어(20a,20b)를 고압발생기(1)의 상.하부면에 형성된 코어삽입공에 상하부 코어(20a,20b)의 원형 단면부(21)를 삽입하면, 고압발생기(1)의 상.하부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상.하부 코어 삽입공에 상.하부 코어(20a,20b)의 원형 단면부(21)는 고무링(25)에 의해 억지 끼워 맞춤이 되며, 고압발생기(1)에 코어(20a,20b)를 완전 삽입한 후 코어(20a,20b)의 원형 단면부(21)의 외주면과 코어 삽입공의 틈새로 본드를 주입하여 고압발생기(1)와 코어(20a,20b)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므로, 고압발생기(1)에 코어(20a,20b)를 조립 및 고정시 코어 밴드(30)가 불필요하게 되고, 고압발생기(1)의 코어 삽입공에 원형 단면의 코어(20a,20b)를 삽입하는 과정과 본드 주입 공정에 의해 고압발생기(1)와 코어(20a,20b)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코어의 원형 단면부의 외주면에 반원형 홈을 형성하고, 상기 반원형 홈에 고무링을 부착하여 고압발생기에 코어를 간편하게 조립 및 고정하게 함으로서, 생산성 향상과 코어밴드를 이용하지 않게 되어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고압발생기의 코어고정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압발생기 코어의 원형 단면부 외주면의 원주상에 반원형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코어의 원형 단면부에 형성된 반원형 홈에 고무링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발생기의 코어 고정 구조.
KR2019950054655U 1995-12-30 1995-12-30 고압발생기의 코어 고정 구조 KR0132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4655U KR0132700Y1 (ko) 1995-12-30 1995-12-30 고압발생기의 코어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4655U KR0132700Y1 (ko) 1995-12-30 1995-12-30 고압발생기의 코어 고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312U KR970046312U (ko) 1997-07-31
KR0132700Y1 true KR0132700Y1 (ko) 1998-12-15

Family

ID=1944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4655U KR0132700Y1 (ko) 1995-12-30 1995-12-30 고압발생기의 코어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7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312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2700Y1 (ko) 고압발생기의 코어 고정 구조
KR20020036610A (ko) 선형압축기의 피스톤작동부 및 그 제조방법
JP3444040B2 (ja) インダクタンス部品
KR0132692Y1 (ko) 고압발생기의 코어 고정구조
KR0140576Y1 (ko) 고압발생기의 코어고정 구조
KR200304745Y1 (ko) 하이드로닉제어유니트
KR0137551Y1 (ko) 고압 발생기의 코어 고정구조
KR0137550Y1 (ko) 고압 발생기의 코어 고정구조
KR200258827Y1 (ko) 편향 요크의 코일 세퍼레이터
KR100340419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KR970003719Y1 (ko) 저압보빈의 파이부와 몰딩케이스의 결합구조
KR19980028140U (ko) 스피커의 상부플레이트 결합구조
JP3254783B2 (ja) リーケージトランス
KR200157896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장치
JPS6012251Y2 (ja) 中間周波変成器
KR900003716Y1 (ko) 스피커
KR970017720A (ko) 고압 발생기의 코어 고정 구조
KR0137548Y1 (ko) 고압 발생기의 코어 고정구조
JPS5838713Y2 (ja) スピ−カ用永久磁石の磁気回路構造
KR0135028Y1 (ko) 스피커용 가스켓 결합구조
KR880002992Y1 (ko) 편향요크의 수직 코일 유동 방지장치
KR940005600Y1 (ko) 편향요크용 서브코일홀더(sub coil holder)구조
KR200209827Y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저압보빈과 케이스의 결합구조
KR19980061738A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코어 홀더
JPS632118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