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417B1 - 극세 이수축성 복합사 - Google Patents

극세 이수축성 복합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417B1
KR0132417B1 KR1019910009954A KR910009954A KR0132417B1 KR 0132417 B1 KR0132417 B1 KR 0132417B1 KR 1019910009954 A KR1019910009954 A KR 1019910009954A KR 910009954 A KR910009954 A KR 910009954A KR 0132417 B1 KR0132417 B1 KR 0132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fiber
shrinkage
polymers
shrink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9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721A (ko
Inventor
최덕용
이석준
Original Assignee
하기주
주식회사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기주, 주식회사코오롱 filed Critical 하기주
Priority to KR1019910009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417B1/ko
Publication of KR930000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 성분계 복합사로서 섬유형성성 고수축성 폴리머와 섬유형성성 저수축성 폴리머 및 용제추출형 폴리머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섬유횡단면상으로 고수축성 폴리머와 저수축성 폴리머가 접합되어 있으며 이둘 두 폴리머사이 또는 그 주면에 이들 두 폴리머와 성분이 다르고 용매로 추출될 수 있는 폴리머를 개재시켜서 상기 폴리머를 용제로 추출함으로서 자기 권축성이 발현되도록 한 극세 이수축성 복합사이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직,편물은 적어도 3데니어/필라멘트 이하의 극세사로 되어 드레이프성이 우수하고 풍합이 매우 좋다.

Description

극세 이수축성 복합사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 복합사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고수축 섬유형성성 폴리머 B : 저수축 섬유성성성 폴리머
C : 추출성분 폴리머
본 발명은 외관과 촉감이 좋으며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고밀도 직,편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극세 이수축성 복합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두가지의 비상용성 폴리머로 복합방사한 이수축성 복합사가 알려진바 있으나, 이것은 두 폴리머간의 용융점도차로 인하여 방사기술상 3 데니어/필라멘트 이하의 극세사를 제조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고도의 풍합과 드레이프성이 요구되는 제품에 사용할 수 없었으며, 또 양성분간의 접합력 부족 때문에 제직공정 중 두성분이 분리되어서 제직능율이 저하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고,저수축성의 두 폴리머와 함께 이들을 결합시켜주며 용제로 추출될 수 있는 추출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3 성분 폴리머로 복합방사하여서 3 성분계 봅합사를 제조한 후에 제직, 제편후 고차가공공정에서 추출성 폴리머를 용제로 추출제거하므로서 미추출, 잔존된 2성분복합사가 분할되어 적어도 1데니어/필라멘트인 극세사가 형성되며 접합된 섬유형성성 폴리머의 수축을 차이에 의하여 권축이 발현되기 때문에 풍합이 좋으며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직,편물을 제조할 수 있는 극세 이수축성 복합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소재는 접합된 상태데로 유지되면서 열수축율이 다른 A, B 성분과, 화학적으로 A, B 성분과 다른 성분 C 가 사용된다.
고수축성 섬유형성성 폴리머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열가소성 합성수지 PBT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계 수지이며, 저수축성 섬유형성성 폴리머는 고수축성 폴리머와 동종이거나 이종의 것일 수도 있다.
동종의 섬유형성성 폴리머일 경우에는 중합도 조절방식으로 점도를 조절하여 점도차가 최소한 0.2 이상 되도록 하며, 좋기로는 0.5 ∼ 1.2 정도가 바람직하다.
중합도조절에 의한 점도 조정방법 뿐만 아니라 저분자물질을 공중합한 공중합 폴리머를 사용하여 수축율이 다른 저수축 섬유형성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고수축성분으로는 85 몰 % 이상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저수축성 섬유형성성 폴리머로는 폴리레틸렌 네레프탈레이트 95 몰 % 이상인 수지를 분자량이 500 ∼ 5,000인 저분자물질과 공중합 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의 공중합 성분으로는 이소프탈산, 아디핀산, 세파친산, 디에틸렌 글리콜, 네오벤제닐 글라이콜, 술포이소프탈산, 1.4 부탄 디올 등을 들 수 있으며, 여기에 소량의 점삭제, 열안정제, 안료, 카본실리타 또는 제젖제(예를 들면 폴리알칼렌 글라이콜, 알킬벤젠 술폰산류), 난연제(인 또는 브롬화합물) 등을 함유시키는 것도 좋다.
수축율이 다른 동종의 섬유형성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최대한의 권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저수축성 섬유형성성 폴리머와 고수축성 섬유형성성 폴리머가 A, B의 단면적을 100으로 할 때 고수축성 성분의 점유면적이 저수축성 폴리머의 점유면적보다 최소한 5% 이상 커야 하며 좋기로는 10 ∼ 30% 정도 고추축성 폴리머가 저수축성 폴리머보다 더 점유하여야 한다.
고수축성 폴리머의 점유면적이 저수축성 폴리머보다 적을 경우에는 수축율차에 의한 미세한 나선반경 및 파장이 작아져 목적하고자 하는 볼륨감이 떨어져서 촉감이 떨어진다.
이와 같이 수축차 및 수축력, 탄성영율을 감안할 때, 저수축성 폴리머와 고수축성 폴리머의 점유면적비율이 양성분간의 수축율차와 같이 중요한 요소로도 작용한다.
A, B 폴리머의 수축율차 및 점유면적에 있어서 점도가 최소 0.2이상 차이가 나고 고수축 섬유형성성 폴리머의 점유면적이 저수축 섬유형성성 폴리머의 점유면적보다 최소 5% 이상되어야 A, B 성분의 수축율차가 10% 이상되어야만 적당한 권축파장으로 촉감이 우수하고 조밀한 섬유제품을 얻을 수 있다. 만일 위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권축반경 및 파장이 너무 작아져 권축력 및 촉감이 떨어질 뿐 아니라 고밀도의 직물을 얻을 수 없으며, 극단적으로 고수축성 폴리머가 저수축성 폴리머보다 작을 경우에는 권축파장이 커져 촉감이 거칠해 진다.
서로 다른 종류의 섬유형성성 폴리머를 사용하여 잠재권축성 복합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폴리머간의 열수축을 차이가 전술한 바와 같이 10% 이상되어야 하며, 점유면적에 있어서도 최소한 고수축성분의 폴리머가 저수축 섬유형성성 폴리머의 단면적보다 5% 이상 커야만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잠재권축성 소재로는 폴리에스터와 폴리아미드계의 폴리머(나이론 6, 나이론 66 등)가 있으며, 폴리아미드계 섬유형성성 폴리머와 폴리우레탄계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는 각종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 등과 같은 섬유제품 등의 제조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촉감이 부드러운 고밀도 직, 편물 제조에 적합하다. 섬유단면은 제1도 ∼ 제4도와 같이 할 수 있으며, 제1도의 경우 A, B 성분이 이수축성의 섬유형성성 폴리머가 되고 십자형으로 된 C성분은 용해 제거되는 성분을 표시한다.
[실시예 1]
제1도와 같은 섬유단면을 갖는 극세 이수축 복합사를 제조함에 있어서 고수축성분 A는 고유점도가 0.6 (25oC 오르도 클로로 페놀에서 측정 )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저수축성분 B는 고유점도가 0.73 인 폴리에틸렌 성분이며, AB 성분의 단면적비가 5:4 이며 추출소재 C 는 폴리스틸렌을 사용하였다.
C 성분의 면적은 전체대비하여 15% 로 하여 285oC 에서 제1도의 섬유단면을 제공하는 방사구금 장치를 통하여 복합방사한 수, 3단연신 기계에서 90oC 에서 3.5배로 연신한 후 1,500m/min 로 권치하여 36 데니어 / 12 필라멘트의 복합사를 얻었다.
이렇게 얻어지 원사를 사용하여 경사밀도를 130본/인치, 위사밀도를 100 본/인치의 평직물을 제직한 후 4 염화탄소로 폴리스티렌을 용해 추출한 후 열수로 세척을 하면 직물밀도가 더 조밀해지면서 고수축성분에 의하여 권축이 발생한다.
[실시예 2]
제2도와 같은 섬유단면을 갖는 고수축성분 A 는 고유점도가 0.63 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삼대점도가 2.40 (25oC 황산용매)인 폴리아마이드계 열가소성수지인 나이론 6을 B 성분으로, 추출성분은 폴리스틸렌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측정방법 : JIS L 1079

Claims (3)

  1. 섬유의 횡단면상으로 고수축성 섬유형성성 폴리머 A와 저수축성 섬유형성성 폴리머 B가 서로 접합되어 있으며, 접합되어 있지 않은 폴리머 A와 폴리머 B사이에, 또는 접합되어 있는 두 폴리머 A,B의 주면에 A,B성분과 다르며 요매로 추출될 수 있는 폴리머 C가 존재하는 극세 이수축성 복합사.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머 A,B간의 열수축을 차이가 10%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국세 이수축성 복합사.
  3. 제1항에 있어서, 섬유횡단면에서 폴리머 A의 점유면적비가 폴리머 B의 그것보다 5% 이상 큼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 이수축성 복합사.
KR1019910009954A 1991-06-17 1991-06-17 극세 이수축성 복합사 KR0132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9954A KR0132417B1 (ko) 1991-06-17 1991-06-17 극세 이수축성 복합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9954A KR0132417B1 (ko) 1991-06-17 1991-06-17 극세 이수축성 복합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721A KR930000721A (ko) 1993-01-15
KR0132417B1 true KR0132417B1 (ko) 1998-04-16

Family

ID=1931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9954A KR0132417B1 (ko) 1991-06-17 1991-06-17 극세 이수축성 복합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4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721A (ko) 199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470B1 (ko) 해도형 복합 방사 섬유의 제조 방법
CN108779585B (zh) 纱线和布帛以及纤维制品
US20050142325A1 (en) Primary carpet backing
AU716177B2 (en) Yarns of covered high modulus material and fabrics formed therefrom
JP5356771B2 (ja) グローブ用布帛および繊維製品
KR100829480B1 (ko)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0132417B1 (ko) 극세 이수축성 복합사
KR100646655B1 (ko)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JP5178413B2 (ja) 中空異型ポリエステルマルチフィラメント
JPS638207B2 (ko)
JPS6261686B2 (ko)
KR100462502B1 (ko) 폴리에스터 극세 섬유 직물의 제조방법
JP7201395B2 (ja) グローブ用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3587269B2 (ja) シルキー調織編物の製造方法
JP6923354B2 (ja) グローブ用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3489919B2 (ja) ポリエステル系繊維
KR940004699B1 (ko) 촉감이 유연한 고밀도 직물의 제조방법
JP3558820B2 (ja) 表面変化織物
KR0132393B1 (ko) 이수축혼섬사
JPS6045610A (ja) 複合繊維
JP4667632B2 (ja) フィブリル化繊維およびフィブリル化繊維の製造方法
KR100490789B1 (ko) 초극세섬유의제조방법
JPH05331737A (ja) 軽量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32561B1 (ko) 인테리어용 스웨드조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JPH036460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