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154Y1 - 인출가능한 대형차량의 룸램프 - Google Patents

인출가능한 대형차량의 룸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154Y1
KR0132154Y1 KR2019960037325U KR19960037325U KR0132154Y1 KR 0132154 Y1 KR0132154 Y1 KR 0132154Y1 KR 2019960037325 U KR2019960037325 U KR 2019960037325U KR 19960037325 U KR19960037325 U KR 19960037325U KR 0132154 Y1 KR0132154 Y1 KR 01321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lamp
vehicle
lamp
luggage compartment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937U (ko
Inventor
권정규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37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15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39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9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1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1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3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compartments other than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e.g. luggage or engine compartments
    • B60Q3/35Portable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짐칸에 설치되어 짐을 싣거나 내릴 때 조명을 제공하는 룸램프를 인출 가능토록 설계하여, 평상시에는 짐칸의 조명을 위해 사용하고, 비상시에는 인출하여 차량 하부에 빛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인출가능한 대형차량의 룸램프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룸램프는 고정되어 사용토록 하기 때문에 사각지대를 살펴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비상램프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본 고안은 룸램프가 장착되는 패널일단에 스프링을 내장한 릴을 부착하고, 룸램프에 전선을 연결하되 차량 바닥을 비출수 있을 만큼 충분한 길이의 전선을 구비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짐칸에 조명을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비상시에는 차량의 외각을 비출 수 있기 때문에 비상램프를 미처 준비하지 못한상태에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출가능한 대형차량의 룸램프
도 1은 일반적인 룸램프 설치도.
도 2는 본 고안 인출가능한 룸램프 설치도.
도 3은 본 고안의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쿨러닥터 2,5 : 룸램프
3 : 짐칸 4 : 짐칸 도어
6 : 패널 7 : 릴
8 : 전선
[고안의상세한설명]
[고안의목적]
본 고안은 차량의 짐칸에 설치되어 짐을 싣거나 내릴 때 조명을 제공하는 룸램프를 인출 가능토록 설계하여, 평상시에는 짐칸의 조명을 위해 사용하고, 비상시에는 인출하여 차량 하부에 빛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안이속하는기술분야및그분야의종래기술]
본 고안은 인출가능한 룸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룸램프가 장착되는 패널에 스프링을 내장한 릴을 부착하고, 상기 릴에 리드선을 감을 수 있도록 전구에 연결된 배선의 길이를 확보하여, 평상시에는 짐칸의 조명을 위해 사용하고, 비상시에는 인출하여 차량 하부 및 기타 조명이 필요한 구간에 사용토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제공코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가능한 대형차량의 룸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각종 룸램프가 설치되고 있는바,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쿨러닥트(1)를 통해 전선을 배치하고 그 말단에 룸램프(2)를 설치하여 전기를 제공함으로써 승객들이 독서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차량의 짐칸(3)에 전원을 공급하여 짐칸 도어(4)를 여닫을 때 룸램프(5)를 통해 조명을 공급함으로써 짐을 넣고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짐칸에 연결된 룸램프(5)는 차량의 바닥을 통과하는 짐칸의 차체지지용 패널(6)의 외부에 위치하는바, 리드선은 룸램프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룸램프 스위치는 룸램프 릴레이를 통해 밧데리 또는 알터네이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주간에는 룸램프 스위치를 오프시켜 룸램프가 점등되는 것을 차단하고, 야간에는 룸램프 스위치를 온 시켜 룸램프가 점등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룸램프 회로단은 룸램프 스위치에서 룸램프 사이에 스토퍼를 통하게 되는데, 상기 스토퍼는 짐칸 도어가 닫혀지는 부분에 장착되며, 스토퍼가 푸쉬된 상태에서는 룸램프 스위치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가 룸램프에 전달되지 않아 룸램프가 점등되지 않지만, 스토퍼가 오픈 되면 룸램프 스위치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가 룸램프에 전달되어 룸램프가 점등된다.
왜냐하면 짐칸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내부에 조명을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회로로써 룸램프를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야간에는 운전자가 룸램프 스위치를 항상 온 상태로 유지하고 있으면 짐을 싣거나 내릴 때 운전자가 따로 스위칭 조작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룸램프가 점등된다.
[고안이이루고자하는기술적과제]
그러나 상기와 같은 룸램프는 고정되어 사용토록 하기 때문에 사각지대를 살펴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다른 부위를 비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룸램프를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룸램프에 지원되는 전선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고, 아울러 전선을 감고 풀수 있는 릴을 추가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이용함이 가능토록 한다.
[고안의구성및작용]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룸램프가 장착되는 패널에 스프링을 내장한 릴을 부착하고, 상기 릴에 리드선을 감을 수 있도록 전구에 연결된 배선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도로써, 룸램프(5)가 장착되는 패널(6) 일단에 릴(7)을 부착하고, 상기 릴(7)은 회전에 의해 전선을 감거나 풀 수 있도록 복원스프링을 내장하며, 상기 릴(7)에 위치하는 전선을 통해 룸램프로 전원을 인가되도록 하되 전선은 차량 바닥에 닿을만큼 충분한 길이로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릴(7)에 전선이 완전히 감겨 있는 상태이며, 룸램프(5)는 패널(6)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룸램프 스위치를 온오프 함에 따라 동작하여 짐칸에 조명을 제공한다.
한편, 짐칸의 사각지대를 살피기 위해 짐칸 도어(4)를 개방하면 룸램프(5)가 점등되며, 사용자는 룸램프(5)의 배선(8)을 릴(7)로부터 풀어 연장시킨다.
이후 짐칸의 사각지대를 구석구석 비추고, 작업이 끝나면 앞으로 약간 잡아당겼다가 놓으면 릴 내부의 스프링력에 의해 다시 릴이 회전하게 되어 전선(8)은 릴(7)에 감기게 된다.
여기서 릴(7)을 회전시키기 위해 내부에 형성되는 스프링 자체는 이미 공지기술이기 때문에 그 구성 및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차량의 고장등으로 조명이 필요시, 만약 운전자가 플래쉬 등 비상램프를 준비하지 않았다면, 짐칸에 설치된 룸램프를 풀어 플래쉬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룸램프(5)에 연결된 전선(8)을 길게 늘어뜨리는데, 차량 바닥에 까지 이를만큼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기 때문에 별 어려움없이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원상태로 복귀할때도 마찬가지로 약간 잡아당겼다가 놓으면 릴 내부에 내장된 스프링력으로 자동으로 릴(7)에 감기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도 3은 본 고안을 이용한 실제 동작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 패널에 부착된 릴로부터 전선을 뽑아내 차량 바닥을 비추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짐칸에 조명을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비상시에는 차량의 외각을 비출 수 있기 때문에 비상램프를 미처 준비하지 못한상태에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고안의효과]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짐칸에 설치되어 짐을 싣거나 내릴 때 조명을 제공하는 룸램프를 인출 가능토록 설계하여, 평상시에는 짐칸의 조명을 위해 사용하고, 비상시에는 인출하여 차량 하부에 빛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 짐칸에 조명을 제공하는 룸램프에 있어서, 상기 룸램프를 패널 내부에 위치시키되 룸램프(5)가 장착되는 패널(6) 일단에 릴(7)을 부착하고, 상기 릴(7)은 회전에 의해 전선을 감거나 풀 수 있도록 복원스프링을 내장하며, 상기 릴(7)에 위치하는 전선을 통해 룸램프로 전원을 인가되도록 하되 전선은 차량 바닥에 닿을만큼 충분한 길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가능한 대형차량의 룸램프.
KR2019960037325U 1996-10-31 1996-10-31 인출가능한 대형차량의 룸램프 KR01321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325U KR0132154Y1 (ko) 1996-10-31 1996-10-31 인출가능한 대형차량의 룸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325U KR0132154Y1 (ko) 1996-10-31 1996-10-31 인출가능한 대형차량의 룸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937U KR19980023937U (ko) 1998-07-25
KR0132154Y1 true KR0132154Y1 (ko) 1999-10-01

Family

ID=19472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325U KR0132154Y1 (ko) 1996-10-31 1996-10-31 인출가능한 대형차량의 룸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1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937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5028A (en) Warning triangle
KR0132154Y1 (ko) 인출가능한 대형차량의 룸램프
CN103090196B (zh) 一种可拉伸式照明装置
KR100693276B1 (ko) 차량의 승객용 실내등
CN217575015U (zh) 一种立式照明灯及具有其的车辆
KR200154235Y1 (ko) 밴타입 자동차의 트렁크용 램프의 구조
JPS6245926Y2 (ko)
KR100358915B1 (ko) 차량 엔진룸 조명장치
KR19980051260U (ko) 정비점검 램프
KR19980053545A (ko) 도어열림 경고장치
KR970008579B1 (ko) 자동차용 램프장치
KR0150315B1 (ko) 자동차의 실내등 작동장치
KR200337155Y1 (ko)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비상등, 커티시 램프, 다용도 램프 및 광원장치
JPH0141627Y2 (ko)
KR0138582Y1 (ko)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열림 경고장치
KR0152188B1 (ko) 자동차의 룸 램프와 스텝 램프 점등 장치
KR19980036902A (ko) 도어트림 내장형 독서등
KR20030062890A (ko) 차실 조명장치
KR20040104074A (ko)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비상등, 커티시 램프, 다용도 램프 및 광원 장치
KR20240000052A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JP2021172103A (ja) 照明装置付サービスホールカバー
KR100210779B1 (ko) 이동식 엔진룸램프
JPH0724286Y2 (ja) 車両用ルームランプ
KR0184166B1 (ko) 본네트 램프장치
KR20170070767A (ko) 탈부착 및 길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실내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