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093Y1 - 칸막이벽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칸막이벽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093Y1
KR0132093Y1 KR2019940038910U KR19940038910U KR0132093Y1 KR 0132093 Y1 KR0132093 Y1 KR 0132093Y1 KR 2019940038910 U KR2019940038910 U KR 2019940038910U KR 19940038910 U KR19940038910 U KR 19940038910U KR 0132093 Y1 KR0132093 Y1 KR 0132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rtition wall
lower body
jaw
re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8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868U (ko
Inventor
조태승
Original Assignee
서석구
금강종합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석구, 금강종합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석구
Priority to KR2019940038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093Y1/ko
Publication of KR9600228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8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0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being achieved without any restraining forces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칸막이벽 시공시 작업시간을 보다 짧게 하고 칸막이 설치후 공간변형시 용이한 해체 및 자제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칸막이벽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천정에 '

Description

칸막이벽 결합구조
제1도는 종래 칸막이벽의 시공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확대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판넬 20 : 상부몸체
30,40 : 하부몸체 31,41 : 단턱
32 : 돌출턱 42 : 돌출부
50 : 고정볼트 60 : 고정너트
본 고안은 칸막이벽 시공시 작업시간을 보다 짧게 하고 칸막이 설치후 공간변형시 해체용이 및 자재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칸막이벽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칸막이벽의 시공은 천정면과 바닥면에 '', ''형으로 된 상·하부몸체를 못 등으로 고정시킨 후 그 몸체의 홈사이에 판넬을 끼워 밀어 넣은 후 세로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판넬사이에 목재 또는 철재로 된 사잇기둥을 세워 고정시키는 공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공방법은 몸체와 몸체사이에 판넬을 끼워 밀어 넣어야 했기 때문에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사무실 등에 칸막이 설치후 공간을 변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칸막이의 해체가 용이하지 않아 모도 허물어 버리거나, 간혹 해체를 한다 하더라도 판넬에 흠집이 생겨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어 자재의 낭비가 발생하게 되는 중대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칸막이 설치시 판넬에 생기는 흠집을 없애고 단시간 내에 정교하게 칸막이를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칸막이 설치후 공간변형시 해체가 용이함은 물론, 자재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칸막이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면에 ''형으로 된 상부몸체(20)를 나사못 등으로 타정 결합하고, 바닥면에는 두개가 한 쌍으로 된 하부몸체(30,40)중 일측하부몸체(30)를 나사못으로 타정하여 고정시킨 다음, 판넬(10)의 상부를 상부몸체(20)에 끼우고 그 하부는 고정된 하부몸체(30)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31)에 걸쳐 세운 후, 타측 하부몸체(30)의 돌출부(42)를 일측 하부몸체(30)의 돌출턱(32)에 밀어 넣어 끼운 다음, 하부몸체(30,40)를 고정볼트(50)로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판넬(10)의 상부를 상부몸체(20)에 끼우고 판넬(10)의 하부를 하부몸체(30,40)에 형성되어 있는 턱(31,41)에 걸치고 이 한 쌍의 하부몸체(30,40)를 고정볼트(50)로 결합하므로서 판넬(10)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종래와 같이, 상·하부몸체(20,30,40)에 판넬(10)을 억지로 끼운 후 밀어 넣음으로 발생되는 판넬(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시간의 단축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고안은 하부몸체(30,40)를 두개를 한 쌍으로 구성하여 각각 하부몸체(30,40)를 고정볼트(50)를 이용하여 결합하므로 이 두개의 하부몸체(30,40)가 겹쳐지는 부분의 길이를 길거나 짧게 조정하므로서 판넬(10)의 두께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칸막이벽의 시공시 판넬의 설치를 신속하게 하고, 판넬의 손상을 최소화 하므로서 사무실 등에서 공간을 변형할 필요가 있을 경우 칸막이의 해체를 수월하게 하고 판넬 및 몸체 등의 재사용을 가능하도록 하여 자재의 낭비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하는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천정에 ''형으로 된 상부몸체(20)를 나사못 등으로 타정 결합하고 그 상부몸체(20)에 판넬(10)을 끼워서 칸막이벽을 설치함에 있어서, 일측 상부에는 판넬(10)을 거치 하기 위한 단턱(3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돌출턱(32)이 형성된 하부몸체(30)와; 상부에는 상기 하부몸체(30)의 단턱(31)과 대응되는 단턱(4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돌출턱(32)이 끼워지는 돌출부(42)가 형성된 하부몸체(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벽 결합구조.
KR2019940038910U 1994-12-30 1994-12-30 칸막이벽 결합구조 KR0132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910U KR0132093Y1 (ko) 1994-12-30 1994-12-30 칸막이벽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910U KR0132093Y1 (ko) 1994-12-30 1994-12-30 칸막이벽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868U KR960022868U (ko) 1996-07-20
KR0132093Y1 true KR0132093Y1 (ko) 1998-12-15

Family

ID=19405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8910U KR0132093Y1 (ko) 1994-12-30 1994-12-30 칸막이벽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0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868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3362A (en) Wall support device
KR0132093Y1 (ko) 칸막이벽 결합구조
JP2634571B2 (ja) コンクリートの型枠装置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950008065Y1 (ko) 벽체 콘크리트 거푸집 프레임
JPS626169Y2 (ko)
CN110017017B (zh) 一种铝模板结构
JP2523022Y2 (ja) 化粧壁面用の鋼板製の隅角部スタッド、中間スタッド、出隅スタッド
KR200306769Y1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JPH06193159A (ja) パネル連結機構
JPS6340581Y2 (ko)
JP3498552B2 (ja) 外壁材の施工構造
JPH0218188Y2 (ko)
JPS6350329Y2 (ko)
JPS6227610Y2 (ko)
JPH0447348Y2 (ko)
KR940003680Y1 (ko) 조립식 벽판넬 조립구
JPH07259240A (ja) 天井下地構造及び野縁取付け金具
KR200396856Y1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구조
JPH0755260Y2 (ja) ガラスブロック窓枠取付装置
JPS5921230Y2 (ja) 型枠の支持具
KR960007039Y1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구
JPS6029558Y2 (ja) 胴差しパネル取付装置
JP3451381B2 (ja) 取付金具
JPH053415U (ja) パネル係止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