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624Y1 - 승합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승합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624Y1
KR0131624Y1 KR2019940020114U KR19940020114U KR0131624Y1 KR 0131624 Y1 KR0131624 Y1 KR 0131624Y1 KR 2019940020114 U KR2019940020114 U KR 2019940020114U KR 19940020114 U KR19940020114 U KR 19940020114U KR 0131624 Y1 KR0131624 Y1 KR 0131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door
catching piece
sides
doo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0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356U (ko
Inventor
조동규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20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624Y1/ko
Publication of KR9600083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3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6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longitudinally-moving bars guided, e.g. by pivoted links, in or on the frame
    • E05F11/12Mechanisms by which the bar shifts the wing
    • E05F11/16Mechanisms by which the bar shifts the wing shifting the wing by pivotally-connected members (moving)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of the 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60J5/0473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the door having a hinge axis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longitudin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05Y2900/532Back doors or end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 승합자동차(미니버스)의 리어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리어 도어의 양측을 여닫이식으로 개폐토록 하여 탑승자가 승하차할 때 그 이동거리를 줄여서 편리한 승하차가 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쿼터 패널(1)과 필라 패널(2)의 상하에 각각 고정되는 힌지(3)(3')와, 상기 힌지(3)(3')의 가동판(4)(4')에 일체로 형성한 걸림공(5)을 뚫은 걸림편(6)과, 리어 도어(7)의 전후양측의 상하에 각각 상기 걸림편(6)의 대응위치에 설치하여 상기 걸림편(6)의 걸림공(5)에 잠기거나 해방되는 로커(8)(8')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로커(8)(8')는 하우징(9)에 1 조의 걸이구(10)(10')를 그 걸림턱(11)(11')이 외부로 돌출되게 핀(12)으로 연결하여 설치함과 동시에 핀(12)에 코일 스프링(13)을 감아서 그양단을 각각 걸이구(10)(10')에 고정하고, 걸이구(10)(10')의 하단을 경사면(14)(14')으로 형성하여 그 경사면(14)(14')에 도어 핸들(15)(15')에 연결된 케이블(16)의 끝에 고정된 조작구(17)를 접촉되게 설치하며, 조작구(17)의 외부에는 코일 스프링(18)을 감아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승합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설치상태도.
제2도는 제1도의 A-A 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힌지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잠금구의 사시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잠금구의 작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쿼터 패널 2 : 필라 패널
3, 3' : 힌지 4, 4' : 가동판
5 : 걸림공 6 : 걸림편
7 : 리어 도어 8, 8' : 로커
9 : 하우징 10, 10' : 걸이구
11, 11' : 걸림턱 12 : 핀
13 : 코일 스프링 14, 14' : 경사면
15, 15' : 도어 핸들 16 : 케이블
17 : 조작구
본 고안은 소형 승합자동차(미니버스)의 리어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리어 도어의 양측을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도록 한 리어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소형 승합자동차는 리어 도어가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고, 리어 도어는 통상적으로 차체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을 뿐 아니라 도어 핸들은 도어 전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승객용 시트는 통상적으로 2 열 내지 3 열이 설치되어 있는 바, 승객용 전방시트에 승하차하려는 탑승자는 리어 도어를 슬라이드식으로 열고 곧바로 승하차 할 수 있으나, 중간시트및 후방시트에 승차하려는 탑승자는 리어 도어를 열려고 도어 핸들을 조작하기 위하여서는 리어 도어의 전방으로 이동한 후 리어 도어를 열고 중간시트 또는 후방시트로 이동하고, 하차하려고 할 때도 도어 핸들 위치로 이동한 후 도어 핸들을 조작하여 리어 도어를 열고 하차하고 있으므로 승하차시에 이동거리가 길어서 특히 화물을 휴대하고 승하차시에는 많은 불편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불편을 감안하여 리어 도어를 양측에서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승하차시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승합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쿼터 패널과 필라 패널의 상하에 각각 고정된 힌지와 상기 힌지의 가동판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편과, 리어 도어의 전후양측의 상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걸림편에 걸리거나 빠지는 로커(locker)로 구성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쿼터 패널(1)과 필라 패널(2)의 상하에 각각 고정되는 힌지(3)(3')와, 상기 힌지(3)(3')의 가동판(4)(4')에 일체로 형성한 걸림공(5)을 뚫은 걸림편(6)과, 리어 도어(7)의 전후양측의 상하에 각각 상기 걸림편(6)의 대응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편(6)의 걸림공(5)에 잠기거나 해방되는 로커(8)(8')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로커(8)(8')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9)에 1 조의 걸이구(10)(10')를 그 걸림턱(11)(11')이 외부로 돌출되게 핀(12)으로 연결하여 설치함과 동시에 핀(12)에 코일 스프링(13)을 감아서 그양단을 각각 걸이구(10)(10')에 고정하고, 걸이구(10)(10')의 하단을 경사면(14)(14')으로 형성하여 그 경사면(14)(14')에 도어 핸들(15)(15')에 연결된 케이블(16)의 끝에 고정된 조작구(17)를 접촉되게 설치하며, 조작구(17)의 외부에는 코일 스프링(18)을 감아서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리어 도어(7)가 닫쳐있을 때에는 쿼터 패널(1)과 필라 패널(2)에 고정된 힌지(3)(3')의 가동판(4)(4')에 일체로 형성한 걸림편(6)에 뚫은 걸림공(5)에 로커(8)(8')의 걸이구(10)(10')에 형성한 걸림턱(11)(11')이 걸려 있으므로(제5도 참조) 리어 도어(7)는 열리지 않으나, 리어 도어(7)를 전방 또는 후방에서 열려고 할 때에는 리어 도어(7)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된 도어 핸들(15)(15')을 선택적으로 조작하면 된다. 즉 리어 도어(7)의 후방측을 열려고 하면 후방측의 도어 핸들(15)을 조작하여 케이블(16)에 고정된 조작구(17)를 견인시키면 조작구(17)가 경사면(14)(14')에서 빠짐과 동시에 로커(8)의 걸이구(10)(10')는 코일 스프링(13)의 탄성에 의하여 제6도와 같이 벌어지면서 걸림턱(11)(11')이 걸림공(5)에서 빠지고 리어 도어(7)의 전방의 로커(8')의 걸이구(10)(10')는 잠겨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리어 도어(7)는 힌지(3')를 지점으로 후방이 여닫이식으로 열리는 것이고, 리어 도어(7)의 전방측을 열려고 하면 전방측의 도어 핸들(15')을 조작하여 전방의 로커(8')는 열리게 하고 후방의 로커(8)는 잠겨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리어 도어(7)는 힌지(3)를 지점으로 열리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쿼터 패널과 필라 패널의 상하에 각각 힌지를 고정하고, 상기 힌지의 가동판에 걸림편을 형성하여 리어 도어의 양측상하에 각각 설치된 로커를 리어 도어가 잠겨 있을 때에는 양 로커를 잠그고 리어 도어의 전후방의 어느 일측을 열려고 할 때에는 열려고 하는 로커만을 열어서 리어 도어를 전후방 양측에서 선택적으로 열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탑승자가 승객용 시트에 승차하거나 또는 하차할 때 이동거리를 줄이므로서 승하차가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쿼터 패널과 필라 패널의 상하에 각각 고정된 힌지와, 상기 힌지의 가동판에 일체로 형성한 걸림편과, 리어 도어의 전후양측의 상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걸림편에 걸리거나 빠지는 로커(locker)로 구성한 승합 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로커는 하우징에 1 조의 걸이구를 그 걸림턱이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걸이구의 하단에 조작구가 접촉되는 경사면을 형성한 승합 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커는 도어 핸들에 연결되는 케이블로 조작하도록 한 승합 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장치.
KR2019940020114U 1994-08-10 1994-08-10 승합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장치 KR0131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114U KR0131624Y1 (ko) 1994-08-10 1994-08-10 승합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114U KR0131624Y1 (ko) 1994-08-10 1994-08-10 승합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356U KR960008356U (ko) 1996-03-15
KR0131624Y1 true KR0131624Y1 (ko) 1998-12-15

Family

ID=1939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0114U KR0131624Y1 (ko) 1994-08-10 1994-08-10 승합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6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356U (ko) 199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0867B2 (en) Electrically operated ratcheting pawl latch
KR100873845B1 (ko) 적재 바닥 래치
EP0384719A1 (en) Lock device particularly for a two-part door of the luggage compartment of a wagon type vehicle
CN108625693B (zh) 具有防拍击闩锁机构的车辆关闭闩锁组件
EP0718134B1 (en) A hatch back door structure for motor vehicles
KR19990066954A (ko) 차량문 체결쇠 조립체
KR0131624Y1 (ko) 승합자동차의 리어 도어 개폐장치
KR101786705B1 (ko) 차량의 대향 개폐형 도어구조
KR100290037B1 (ko) 비상문이 설치된 버스용 시트의 슬라이딩 구조
US2802358A (en) Electric door lock for automobiles
KR100534338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손잡이 장착구조
KR100424883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KR20210055828A (ko) 차량의 슬라이딩/스윙 복합도어
KR200141964Y1 (ko) 차량용 리어도어의 구조
KR200150745Y1 (ko) 버스 선반의 도어잠금장치
KR100320870B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래칫 어셈블리
KR200144196Y1 (ko) 자동차 트렁크의 잠금장치
KR20130070028A (ko) 자동차용 풀핸들 일체형 인사이드 핸들 구조
KR19980069314A (ko) 승합차용 사이드 도어의 록크장치
KR0180658B1 (ko) 테일 게이트용 핸들의 구조
KR200149970Y1 (ko) 테일게이트의인사이드핸들
JPH11293988A (ja) キャブフロント窓のロック装置
KR0133579Y1 (ko)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KR200146405Y1 (ko) 자동차 도어의 보조 개폐장치
KR100233506B1 (ko) 화물차의 적재함 게이트 록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